KR19990031988U -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 - Google Patents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988U
KR19990031988U KR2019970044737U KR19970044737U KR19990031988U KR 19990031988 U KR19990031988 U KR 19990031988U KR 2019970044737 U KR2019970044737 U KR 2019970044737U KR 19970044737 U KR19970044737 U KR 19970044737U KR 19990031988 U KR19990031988 U KR 199900319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pline portion
hollow shaft
transmission
oi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순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4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988U/ko
Publication of KR19990031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988U/ko

Links

Landscapes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가 5단 기어와 같이 오일 홀이 형성되지 않은 스플라인부에는 오일이 공급되지 않아 극압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스플라인부가 과다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내부를 흐르는 오일이 외측으로 흘러 나올 수 있도록 오일 홀(51')이 형성된 중공축(51)과, 상기 중공축(51)에 회전 자재토록 외삽되고 외주면에 변속 기어가 결합되는 스플라인부(54)와, 상기 중공축(51)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오일 홀(52')이 형성된 클러치 허브(52)와, 상기 클러치 허브(52)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오일 홀(53)과 상기 스플라인부(54)로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그 양단 턱부(53')에 유로 홈(55)이 각각 형성된 슬리브(53)를 포함함으로써,
오일 홀이 형성되지 않은 스플라인부(54)에도 오일이 공급되므로 스플라인부(54)의 과다 마모 및 과다 산화로 인한 슬러지의 발생을 억제하여 변속의 신뢰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스플라인부(54)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
본 고안은 싱크로나이저 기구가 결합되는 변속기의 스플라인 부분에 오일 공급하여 윤활시키는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윤활 불량 부위에도 오일이 흐르도록 함으로써 스플라인의 과다 마모를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를 흐르는 오일이 외측으로 흘러 나올 수 있도록 오일 홀(11')이 형성된 중공축(11)과, 상기 중공축(11)에 회전 자재토록 외삽되고 외주면에 변속 기어가 결합되는 스플라인부(14)와, 상기 중공축(11)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오일 홀(12')이 형성된 클러치 허브(12)와, 상기 클러치 허브(12)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역시 오일 홀(13')이 형성된 슬리브(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는 중공축의 내부를 흐르는 오일이 오일 홀을 통해 흘러나와 중공축에 결합된 각종 컴포넌트에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변속기의 원활한 조작을 위하여 중공축(11)을 통해 오일을 공급하면 클러치 허브(12)의 오일 홀(12')을 통해 클러치 허브(12)에 오일이 공급되고, 동시에 슬리브(13)의 오일 홀(13')을 통해 슬리브(13)의 스플라인부에도 오일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 허브(12)와 슬리브(13)의 스플라인 결합 부분은 윤활 작용이 원활하게 진행된다. 이때, 상기 슬리브(13)는 그 양단 부분에 턱부가 형성되어 있어 슬리브(13)에 공급된 오일이 다른 부분으로 흘러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는 5단 기어와 같이 오일 홀이 형성되지 않은 스플라인부에는 오일이 공급되지 않아 극압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스플라인부가 과다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스플라인부는 변속 기어에 회전력 전달을 위한 축이음 요소로서 상시 결합되어 있으므로 윤활유의 공급이 없게 되면 극압이 발생된다. 극압이 발생되면 구성 요소의 마모 및 산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므로 스플라인부(14)의 내구성이 약화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슬리브의 턱부에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오일 홀이 형성되지 않은 스플라인부에도 오일이 공급되도록 하여 스플라인부의 과다 마모를 방지하고 변속의 신뢰성 향상 및 스플라인부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의 일부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도 1의 4단 기어 저널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의 일부가 도시된 도면,
도 4는 도 3의 K 부분이 상세하게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중공축 52 : 클러치 허브
53 : 슬리브 53' : 턱부(슬리브의)
51',52',53 : 오일 홀 54 : 스플라인부
55 : 유로 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를 흐르는 오일이 외측으로 흘러 나올 수 있도록 오일 홀이 형성된 중공축과, 상기 중공축에 회전 자재토록 외삽되고 외주면에 변속 기어가 결합되는 스플라인부와, 상기 중공축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오일 홀이 형성된 클러치 허브와, 상기 클러치 허브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역시 오일 홀이 형성된 슬리브를 포함하는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스플라인부로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그 양단에 유로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로 홈은 오일 홀과 간섭되지 않음과 동시에 다른 유로 홈과 일 직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수동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를 흐르는 오일이 외측으로 흘러 나올 수 있도록 오일 홀(51')이 형성된 중공축(51)과, 상기 중공축(51)에 회전 자재토록 외삽되고 외주면에 변속 기어가 결합되는 스플라인부(54)와, 상기 중공축(51)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오일 홀(52')이 형성된 클러치 허브(52)와, 상기 클러치 허브(52)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오일 홀(53)과 상기 스플라인부(54)로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그 양단 턱부(53')에 유로 홈(55)이 각각 형성된 슬리브(5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로 홈(55)은 오일 홀(53)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다른 유로 홈과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수동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는 슬리브에 형성된 유로 홈을 통해 슬리브의 오일이 스플라인 부분에 공급되어 오일 홈이 없는 스플라인 부분을 윤활하게 된다.
변속기의 원활한 조작을 위하여 중공축(51)을 통해 오일을 공급하면 클러치 허브(52)의 오일 홀(52')을 통해 클러치 허브(52)에 오일이 공급되고, 동시에 슬리브(53)의 오일 홀(53)을 통해 슬리브(53)의 스플라인에도 오일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 허브(52)와 슬리브(53)의 스플라인 결합 부분은 윤활 작용이 원활하게 진행된다.
이때, 상기 슬리브(53)의 턱부(53')에 형성된 유로 홈(55)을 통해 슬리브(53)의 오일이 오일 홀이 형성되지 않은 스플라인부(54)로 공급된다. 따라서, 오일 홈이 형성되지 않은 스플라인부(54)도 충분한 윤활이 이루어지게 되고, 충분한 윤활로 인한 스플라인부(54)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수동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는 오일 홀이 형성되지 않은 스플라인부에도 오일이 공급되므로 스플라인부의 과다 마모 및 과다 산화로 인한 슬러지의 발생을 억제하여 변속의 신뢰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스플라인부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내부를 흐르는 오일이 외측으로 흘러 나올 수 있도록 오일 홀이 형성된 중공축과, 상기 중공축에 회전 자재토록 외삽되고 외주면에 변속 기어가 결합되는 스플라인부와, 상기 중공축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오일 홀이 형성된 클러치 허브와, 상기 클러치 허브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역시 오일 홀이 형성된 슬리브를 포함하는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스플라인부로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그 양단에 유로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로 홈은 오일 홀과 간섭되지 않음과 동시에 다른 유로 홈과 일 직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
KR2019970044737U 1997-12-31 1997-12-31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 KR199900319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737U KR19990031988U (ko) 1997-12-31 1997-12-31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737U KR19990031988U (ko) 1997-12-31 1997-12-31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988U true KR19990031988U (ko) 1999-07-26

Family

ID=6969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737U KR19990031988U (ko) 1997-12-31 1997-12-31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98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4371B2 (ja) 潤滑装置
JP4860626B2 (ja) 変速機
JP4624910B2 (ja) 変速機
CN105987089A (zh) 具有增强润滑的离合同步器环
KR19980070715A (ko) 개선된 시프트 요크
JP2019143689A (ja) プレッシャプレートおよびクラッチ装置
JP2010151184A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シフト装置
KR19990031988U (ko) 변속기의 오일 공급 구조
GB2315831A (en) Limiting differential with cone clutch
JP3185507B2 (ja) 変速機の同期装置
JP2007078033A (ja) 動力伝達装置
KR100279989B1 (ko) 수동 변속기의 3/4단측 윤활 구조
JP2007177986A (ja) 変速機
KR100215674B1 (ko) 수동 변속기의 동기 치합 장치의 싱크로나이저 허브
KR200210455Y1 (ko)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이너 링 구조
JPH08159170A (ja) 同期噛合装置の潤滑構造
KR100309384B1 (ko) 수동변속기의윤활구조
KR19990027748U (ko) 수동 변속기용 샤프트의 스플라인 구조
KR19980034448U (ko) 수동 변속기용 시프트 포크 결합부 윤활 구조
KR19990020818U (ko) 싱크로나이저의 윤활 구조
KR19990034246A (ko) 자동차의 수동변속기용 동기치합장치의 윤활구조
KR20030049222A (ko)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포크 구조
KR19990015590U (ko) 변속 기어의 윤활 구조
KR19980036318A (ko) 수동변속기의 오일 공급구조
KR970075508A (ko) 수동변속기의 리버스아이들기어샤프트의 윤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