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772U - 차량용 퓨즈 단선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퓨즈 단선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772U
KR19990031772U KR2019970044517U KR19970044517U KR19990031772U KR 19990031772 U KR19990031772 U KR 19990031772U KR 2019970044517 U KR2019970044517 U KR 2019970044517U KR 19970044517 U KR19970044517 U KR 19970044517U KR 19990031772 U KR19990031772 U KR 199900317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vehicle
light
fuses
transparen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춘우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4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772U/ko
Publication of KR199900317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772U/ko

Links

Landscapes

  • Fus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에 구비되는 퓨즈 박스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차량의 운행중 퓨즈(3)가 단락되거나 각종 전기장치의 단품에 전기적 이상이 생겼을 경우에 차량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며, 또한 퓨즈 박스(5)의 내측에 구비되는 휴즈(3)가 단락되었다는 것을 알았더라도 어느 퓨즈(3)가 단락되었는지를 알아내려면 수동작으로 단락검사를 해야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퓨즈(21∼29)의 중앙부에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창(4)을 구비하고, 퓨즈 박스(5)의 상부에 각각의 퓨즈(21∼29)마다 발광부(11∼19)를 구비하여 상기 발광부(11∼19)에서 각 퓨즈(21∼29)의 투명창(4)을 향해 빛을 발광하며, 퓨즈 박스(5)의 하부에 상기 발광부(11∼19)에서 발광된 빛이 각 퓨즈(21∼29)의 투명창(4)을 통해 수광되는 경우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수광부(31∼39)를 구비하여 상기 수광부(31∼39)에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이씨유(40)를 통해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된 디스플레이(50)의 용단된 퓨즈(21∼29)에 해당하는 엘이디1∼9(51∼59)를 점등함으로써 운전자가 퓨즈 박스(5)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아도 상기 디스플레이(50)에 의해 어떤 퓨즈에 이상이 있는지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차량 운행에 편의를 도모하고 예기치 못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퓨즈 단선 검출장치
본 고안은 차량용 퓨즈 박스에 구비되는 퓨즈의 이상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퓨즈의 중앙부에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창을 구비하고, 퓨즈 박스의 상부에 각각의 퓨즈의 투명창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를 구비하며, 퓨즈 박스의 하부에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이 각 퓨즈의 투명창을 통해 수광되는 경우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수광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광부에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이씨유를 통해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의 용단된 퓨즈에 해당하는 엘이디를 점등하는 차량용 퓨즈 단선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전류의 2제곱에 비례한 줄(joule)의 열이 발생되며, 이 열이 절연피복을 변질시키거나 하여 화재발생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전선에는 안전한 상태로 사용하는 한도의 전류치가 반드시 정해져 있으며 이것을 허용전류라고 한다. 모든 전기회로에 사용하는 전선은 이 허용전류의 범위내에서 사용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을 가한 전선(1)의 절연피복이 손상되어 속의 전선(1)이 노출하여 이것이 프레임(2)에 접촉하면 부하를 통하지 않고 전원이 연결되므로 대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부하를 통하지 않고 전원이 연결되는 것을 단락(short)라고 하며, 상기 단락에 의해 전선이 화재를 발생하지 않도록 매우 용해점이 낮은 퓨즈를 회로중에 직렬로 삽입하여 전선의 온도가 상승하기 이전에 퓨즈가 용단되어 회로를 끊는 역할을 하고 있다.
상기 퓨즈는 형태에 따라 막대형 퓨즈와 클립형 퓨즈로 대별되며, 퓨즈의 재료로는 납 또는 납과 주석의 합금등이 사용되고, 허용전류의 용량에 따라 여러 가지로 세분화되어 있으므로, 차량에는 전기장치에 따라 여러 가지의 퓨즈가 같이 사용되고 있다.
차량에 사용되는 퓨즈는 일반적으로 5A, 10A, 15A, 20A, 30A 등이 있으며, 상기 퓨즈는 엔진 룸 내부에 구비된 퓨즈 박스에 삽입되고, 회로에 허용전류 이상이 흐를 경우 퓨즈가 단락되어 회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차단함으로써 회로를 보호한다. 상기 퓨즈 박스에는 퓨즈를 삽입하는 홀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홀의 측면에는 각 전기장치에 해당하는 퓨즈의 번호와 허용전류 등이 프린트 되어 있으므로 운전자는 각각의 용도에 맞도록 적절한 퓨즈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차량의 운행중 차량용 퓨즈 박스의 주변에 구비되는 각종 전기배선에 과전류가 흘러 퓨즈가 단락되거나 각종 전기장치의 단품에 전기적 이상이 생겼을 경우에 상기와 같은 전기적 이상은 눈에 쉽게 띄지 않는 장애이므로 운전자로서는 전기장치의 이상으로 인해 차량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며, 또한 설사 상기 퓨즈 박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휴즈가 단락되었다는 것을 알았더라도 다수개의 퓨즈들 중 어느 퓨즈가 단락되었는지를 알아내려면 일일이 수동작으로 단락검사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퓨즈의 중앙부에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창을 구비하고, 퓨즈 박스의 상부에 각각의 퓨즈마다 발광부를 구비하여 각 퓨즈의 투명창에 빛을 발사하며, 퓨즈 박스의 하부에 상기 발광부에서 발사된 빛이 각 퓨즈의 투명창을 통해 수광되는 경우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수광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광부에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의 용단된 퓨즈에 해당하는 엘이디를 점등하는 차량용 퓨즈 단선 검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차량의 전기배선인 전원선이 프레임에 단락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퓨즈 단선 검출장치에 구비되는 투명창을 갖는 퓨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퓨즈 단선 검출장치에 구비된 광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퓨즈 박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퓨즈 단선 검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퓨즈 단선 검출장치에 의해 퓨즈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 운전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시도이다.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전선 2: 프레임 3: 퓨즈 4: 투명창 5: 퓨즈 박스 11∼19: 발광부1∼9 21∼29: 퓨즈1∼9 31∼39: 수광부1∼9 40: 이씨유(ECU) 50: 디스플레이 51∼59: 엘이디1∼9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부에 투명창을 구비하고 있으며 차량의 전기장치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용단되는 퓨즈와, 상기 퓨즈가 삽입되는 홀를 구비하고 있는 퓨즈 박스와, 상기 퓨즈 박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퓨즈의 투명창을 향해 빛을 발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퓨즈 박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발광부에서 발사된 빛이 투명창을 통해 수광되는 경우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이씨유와,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측 소정부위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씨유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함으로써 퓨즈의 단락을 경보하는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전기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용단되는 퓨즈(3)는 중앙부에 투명창(4)을 구비하여 퓨즈(3)의 형상이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 있다.
차량의 퓨즈 박스(5)에는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고, 차량마다 상기 퓨즈 박스(5)에 삽입되는 퓨즈(3)의 개수가 다르므로 본 고안에서는 일예로 퓨즈 박스(5)에 퓨즈(3) 9개가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창(4)을 구비한 퓨즈(3)는 퓨즈 박스(5)의 홀(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고, 상기 퓨즈 박스(5)의 상부에는 각각의 퓨즈(21∼29)마다 각각 발광부(11∼1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발광부(11∼19)는 퓨즈(21∼29)의 투명창(4)을 향해 빛을 발광한다. 상기 퓨즈 박스(5)의 하부에는 각각의 퓨즈(21∼29)마다 각각 수광부(31∼3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광부(31∼39)는 발광부(11∼19)에서 발광됨 빛이 퓨즈(21∼29)의 투명창(4)을 통해 차단되거나 수광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퓨즈(21∼29)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발광부(11∼19)에서 발광된 빛이 퓨즈(21∼29)에 의해 차단되므로 수광부(31∼39)에서는 빛이 수광되지 않고, 상기 퓨즈(21∼29)가 용단되는 경우에는 발광부(11∼19)에서 발광된 빛이 수광부(31∼39)에서 수광되므로 상기 수광부(31∼39)에서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수광부(31∼39)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는 이씨유(40)에 전달되고, 상기 이씨유(40)에서는 수광부1(31)에서 빛이 수광된 경우에는 퓨즈1(21)가 용단된 것으로 판단하고, 수광부2(32)에서 빛이 수광된 경우에는 퓨즈2(22)가 용단된 것으로 판단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이씨유의 제어신호는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50)에 전달되고, 상기 디스플레이(50)는 이씨유(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광부1(31)에서 빛이 수광된 경우에는 퓨즈1(21)에 해당하는 엘이디1(51)를 점등하고, 수광부2(32)에서 빛이 수광된 경우에는 퓨즈2(22)에 해당하는 엘이디2(52)를 점등한다. 이런 방식으로 수광부(31∼39)에서 빛이 수광되는 경우에는 퓨즈(21∼29)가 단선된 것으로 판단하여 디스 플레이(50)의 해당되는 엘이디1∼9(31∼39)를 점등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퓨즈 박스의 퓨즈 단락 검출장치는 퓨즈(21∼29)의 중앙부에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창(4)을 구비하고, 퓨즈 박스(5)의 상부에 각각의 퓨즈(21∼29)마다 발광부(11∼19)를 구비하여 상기 발광부(11∼19)에서 각 퓨즈(21∼29)의 투명창(4)을 향해 빛을 발광하며, 퓨즈 박스(5)의 하부에 상기 발광부(11∼19)에서 발광된 빛이 각 퓨즈(21∼29)의 투명창(4)을 통해 수광되는 경우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수광부(31∼39)를 구비하여 상기 수광부(31∼39)에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이씨유(40)를 통해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된 디스플레이(50)의 용단된 퓨즈(21∼29)에 해당하는 엘이디(51∼59)를 점등함으로써 차량의 전기장치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운전자가 엔진 룸(도시되지 않음)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퓨즈 박스(5)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아도 상기 디스플레이(50)에 의해 어떤 퓨즈에 이상이 있는지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차량 운행에 편의를 도모하고 예기치 못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에 구비되는 퓨즈 박스에 있어서,
    중앙부에 투명창(4)을 구비하고 있으며 차량의 전기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용단되는 퓨즈(3)와, 상기 퓨즈(3)가 삽입되는 홀(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는 퓨즈 박스(5)와, 상기 퓨즈 박스(5)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퓨즈 박스(5)에 삽입되어 있는 각각의 퓨즈(21∼29)의 투명창(4)을 향해 빛을 발사하는 발광부(11∼19)와, 상기 퓨즈 박스(5)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발광부(11∼19)에서 발사된 빛이 투명창(4)을 통해 수광되는 경우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수광부(31∼39)와, 상기 수광부(31∼39)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이씨유(40)와,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도시되지 않음)의 일측 소정부위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씨유(4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엘이디(51∼59)가 점등함으로써 퓨즈(21∼29)의 단락을 경보하는 디스플레이(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퓨즈 단선 검출장치.
KR2019970044517U 1997-12-31 1997-12-31 차량용 퓨즈 단선 검출장치 KR199900317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517U KR19990031772U (ko) 1997-12-31 1997-12-31 차량용 퓨즈 단선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517U KR19990031772U (ko) 1997-12-31 1997-12-31 차량용 퓨즈 단선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772U true KR19990031772U (ko) 1999-07-26

Family

ID=69678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517U KR19990031772U (ko) 1997-12-31 1997-12-31 차량용 퓨즈 단선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77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8454B2 (en) Fault diagnosis circuit for LED indicating light
US7075252B1 (en) LED driver circuit
JP2008296863A (ja) 車載用のヒューズ断線検出装置
JPH07287043A (ja) 発光ダイオードを用いた信号灯の断線検知装置
KR19990031772U (ko) 차량용 퓨즈 단선 검출장치
EP1003194A1 (en) Luminous indicator for blown fuses and their causes in electrical circuits of automobiles
KR100268084B1 (ko) 자동차용 램프단선 검출회로 및 검출장치
JP2998879B2 (ja) 車載ワイヤハーネスのショート検出装置
KR920005915Y1 (ko) 자동차용 램프의 점등 확인 장치
KR19980047264U (ko) 자동차 퓨즈 단락 검출장치
JP3729650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故障検出装置
JPH1094156A (ja) ヒューズの断線検知装置
KR910005325Y1 (ko) 자동차의 퓨즈상태 표시 장치
KR100333907B1 (ko) 자동차용 복합형 기능박스
CN2656219Y (zh) 汽车灯光故障报警器
KR19990007452U (ko) 카오디오 배선 점검기
GB2323487A (en) Electric fuse with indicator lamp
KR200396433Y1 (ko) 휴즈 단선 표시 장치
KR0128478Y1 (ko) 자동차의 릴레이 고장 식별장치
RU11839U1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 плавкий автомобильный
KR19980017370A (ko) 자동차의 퓨즈 단선 표시회로
KR980009625U (ko) 퓨즈단선표시장치
GB2323981A (en) Indicator lamp and electric fuse
KR930006971Y1 (ko) 차량용 램프 모니터
KR19980039211U (ko) 차량의 퓨즈단선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