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028U - 자동차용 연료 파이프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료 파이프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028U
KR19990031028U KR2019970043733U KR19970043733U KR19990031028U KR 19990031028 U KR19990031028 U KR 19990031028U KR 2019970043733 U KR2019970043733 U KR 2019970043733U KR 19970043733 U KR19970043733 U KR 19970043733U KR 19990031028 U KR19990031028 U KR 199900310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pipe
underbody
pipe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3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028U/ko
Publication of KR199900310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028U/ko

Links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연료 파이프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일측이 연료 탱크와 연결되는 연료 파이프와, 일측이 기화기와 연결되는 연료 파이프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연료 파이프의 파손을 방지하며, 추후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연료 파이프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연료 파이프의 연결부위를 언더 바디에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즉, 일측이 기화기 및 연료 분사장치와 연결된 다수개의 연료 파이프 타측단을 클립에 의해 일체형으로 체결하고; 상기 클립에 삽입된 다수개의 연료 파이프 타측단이 연료 파이프 하우징의 일측에 삽입되도록 언더바디를 사이에 두고 클립과 연료 파이프 하우징을 볼트결합하며; 상기 연료 파이프 하우징의 타측에, 자동차 트렁크내의 언더바디 상부에 형성된 안착홈내로 하부가 안착된 연료 탱크와 일측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료 파이프 타측을 삽입하여 연료 파이프의 파손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연료 파이프 체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연료 파이프 체결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연료 파이프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자동차 연료 탱크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료 파이프와 일측이 기화기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료 파이프를 체결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체결하여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연료 파이프의 파손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연료 파이프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 탱크는 연료를 저장하는 것으로 탱크 본체, 메인 파이프, 연료 게이지 센더 유니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주행중 연료의 요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몇 장의 세퍼레이터(격리판)가 용접되어 있다. 또한 탱크 내면은 녹슬지 않도록 방청 처리되어 있다.
탱크 캡에는 탱크속에 부압이 만들어져 기화기나 연료 분사 장치에 연료가 공급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압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퓨얼 에미션 파이프(fuel emission pipe)는 탱크와 캐니스터 간을 연결하는 것으로 탱크속에 발생한 증기를 캐니스터에 흡수시키는 통로로 되어 있다.
상기 메인 파이프는 자동차 쿼터 패널에 장착되는 연료 캡 홀더와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캡 홀더와 연결되는 메인 파이프의 일측단 부위에 연료 탱크내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방출을 위하여 벤트(vent) 파이프가 장착되며, 타측단은 일부가 퓨얼 탱크내로 삽입 장착된 연료 주입 파이프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벤트 파이프는 일측단이 연료 탱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단은 메인 파이프 즉, 메인 파이프와 캡 홀더의 연결 부위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연료 탱크와 연결되어 있는 벤트 파이프에는 연료의 양을 체크할 수 있는 연료량 체크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연료 파이프에는 방청 처리된 강철관이 사용되고 있으며 파이프내에 베이퍼 록(vapour lock)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열을 적게 받는 곳을 선택하여 배관되어 있다. 또한 진동이 심한 부분에는 나이론제나 내유성의 고무 튜브를 사용한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연료탱크는 자동차 트렁크 내에 위치하고, 연료 파이프의 연결부위 즉, 일측이 기화기와 연결된 연료 파이프와의 연결부위가 리크(LEAK)로 인한 주변 전기 파트와 접촉으로 발생되는 폭발의 위험을 방지하고자 외부에 위치한다. 즉, 연료 탱크가 안착되는 트렁크 하단의 언더바디 하부로 일측이 돌출되도록 연료 탱크와 연결된 다수개의 연료 파이프가 도 6 과 같이 연료 탱크 하단 중앙부분에서 언더바디 하부로 향하도록 연료 탱크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폭발의 위험을 방지하고자 연료 파이프의 연결부위를 외부 즉, 언더바디 하부에 위치시킬 경우, 연결부위가 언더바디 하부에 위치하므로, 기화기와 일측이 연결되는 연료 파이프와 연료 탱크와 일측이 연결되는 연료 파이프와의 연결이 어려워 조립성이 저하되며, 연결부위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시, 추후 관리에 곤란한 점이 있었다.
또한, 언더 바디 하단에는 차동기어 및 서스펜션 서브프레임 등이 있어 연결부위의 설치 공간이 협소하였다.
또한, 연료 탱크를 트렁크 리드에 설치할 시, 연료파이프가 언더 바디 하부로 돌출되도록 연료 탱크와 연결되어 있어 연료 파이프에 손상을 주고, 연료 파이프가 연료 탱크 중앙 하단부에서 언더바디 하부로 돌출되므로, 언더바디 상부에 트렁크 설치홈이 크게 형성되어 있었다. 즉, 언더바디 하부로 돌출되도록 연결탱크에 설치되는 연료 파이프의 일측단이 도 5 와 같이 트렁크내의 언더바디와 접촉되는 연료 탱크 하단부보다 더 길게 설치되어 있어 연료 탱크의 트렁크내 설치시, 언더 바디와의 접촉으로 인해 연료 파이프의 일측단이 파손되며, 연료 탱크 설치홈이 연료 탱크 하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연료 탱크를 효과적으로 설치하지 못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일측이 연료 탱크와 연결되는 연료 파이프와, 일측이 기화기와 연결되는 연료 파이프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연료 파이프의 파손을 방지하며, 추후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연료 파이프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연료 파이프의 연결부위를 언더 바디에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즉, 일측이 기화기 및 연료 분사장치와 연결된 다수개의 연료 파이프 타측단을 클립에 의해 일체형으로 체결하고; 상기 클립에 삽입된 다수개의 연료 파이프 타측단이 연료 파이프 하우징의 일측에 삽입되도록 언더바디를 사이에 두고 클립과 연료 파이프 하우징을 볼트결합하며; 상기 연료 파이프 하우징의 타측에, 자동차 트렁크내의 언더바디 상부에 형성된 안착홈내로 하부가 안착된 연료 탱크와 일측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료 파이프 타측을 삽입하여 연료 파이프의 파손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연료 파이프 체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정면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측면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체결장치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의 작동상태도
도 5 는 종래의 정면 예시도
도 6 은 종래의 측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 탱크 (2) : 클립
(3) : 연료 파이프 하우징 (4,11) : 연료 파이프
(5) : 언더바디 (6) : 볼트
(12) : 연료 탱크 돌출 하단부 (21) : 결합부
(22) : 접촉부 (23) : 힌지
(31) : 밀착부 (32) : 장착홀
(33) : 실링 스폰지 (34) : 걸림턱
(51) : 안착홈 (52) : 설치홀
(211) : 삽입홀 (221,311) : 볼트공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정면예시도를, 도 2 는 본 고안의 측면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자동차 트렁크 내에 장착되고, 연료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 및 먼지 등을 제거하는 연료필터와, 기화기 또는 연료 분사장치로 연료를 토출시키는 연료 펌프가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연료 펌프에 의해 토출되는 연료를 기화기 또는 연료 분사장치로 이송시키는 연료파이프(11,4)가 장착된 연료 탱크(1)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 또는 연료 분사장치와 연결된 연료 파이프(4)를 클립(2) 및 연료 파이프 하우징(3)에 의해 연료 탱크(1)가 장착된 트렁크내의 언더바디(5) 하단에 장착하고, 상기 연료 탱크(1)와 연결된 연료 파이프(11)를 언더바디(5)에 장착된 연료 파이프 하우징(3)내로 삽입하여 일측이 기화기와 연결된 연료 파이프(4)와 일측이 연료 탱크(1)와 연결된 연료 파이프(11)를 용이하게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료 탱크(1)는 연료를 저장하는 것으로 탱크 본체, 메인 파이프, 연료 파이프, 연료 게이지 센더 유니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주행중 연료의 요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몇 장의 세퍼레이터(격리판)가 용접되어 있다. 또한 탱크 내면은 녹슬지 않도록 방청 처리되어 있다.
상기 연료 파이프(11)는 연료 펌프에 의해 토출되는 연료가 경유하는 곳으로, 방청 처리된 강철관이 사용되고 있으며 파이프내에 베이퍼 록(vapour lock)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열을 적게 받는 곳을 선택하여 배관되어 있다. 또한 진동이 심한 부분에는 나이론제나 내유성의 고무 튜브를 사용한다.
상기 클립(2)은 자동차 연료 탱크(1)가 장착된 트렁크내의 언더바디(5)에 장착되고, 일측이 기화기 및 연료 분사장치와 연결된 다수개의 연료파이프(4) 타측단을 동시에 체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료 파이프 하우징(3)은 클립(2)과 볼트(6)에 의해 체결되는 것으로, 일측이 트렁크내로 돌출되고, 타측이 트렁크내의 언더 바디(5)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언더바디(5)는 트렁크내에 안착되는 연료 탱크(1)의 돌출 하단부(12)에 대응하도록 안착홈(51)이 형성되고, 일측에 연료 파이프 하우징(3)이 삽입되는 설치홀(52)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체결장치를,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 일측이 기화기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료 파이프(4)를 하나의 클립(2)내로 삽입하고, 상기 클립(2)내에 삽입된 연료 파이프(4)의 일측단을 연료 파이프 하우징(3)내로 삽입하며, 상기 클립(2)과 연료 파이프 하우징(3)을 볼트체결한다.
상기 클립(2)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연결 파이프(4)가 삽입되는 삽입홀(211)이 형성된 결합부(21)와, 볼트(6)가 삽입되는 볼트공(221)을 구비하며 언더바디(5)에 접촉되는 접촉부(22)가 층을 이루고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다수개의 삽입홀(211)이 형성된 결합부(21)는 언더바디(5)에 일측이 접촉되는 접촉부(22)보다 높은 위치에 접촉부(22)와 평형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립(2)의 일측 접촉부에는 힌지(23)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23)를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분리·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클립(2)은 접촉부(22)와 결합부(21)로 구성되고, 상기 접촉부(22)와 결합부(21)는 좌/우측으로 각각 분리되며, 상기 좌/우측으로 분리된 클립(2)은 일측 접촉부에 장착된 힌지(23)를 중심으로 서로 회전하여 결합된다.
상기 연료 파이프 하우징(3)은 언더바디(5)와 접촉하는 밀착부(31)를 기준으로 일측이 언더바디내로 삽입되고, 타측이 트렁크내의 언더바디 외부로 돌출되도록 언더바디(5)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클립(2)과 볼트(6)에 의해 언더바디(5)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고, 언더바디내로 삽입된 연료 파이프 하우징(3) 일측 내부에, 기화기와 연결되는 연료 파이프(4)의 일측이 삽입·장착되고, 언더바디 외부로 돌출된 타측 내부에 연료 탱크(1)와 연결된 연료 파이프(11)의 일측이 삽입·장착된다.
즉, 상기 연료 파이프 하우징(3)내에는 연료파이프(11,4)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장착홀(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언더바디(5)와 접촉되는 연료 파이프 하우징(3)의 밀착부(31)에는 클립(2)의 접촉부(22)에 형성된 볼트공(221)과 연통되도록 볼트공(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언더바디(5)와 밀착되도록 실링스폰지(33)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자동차의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볼트(6)가 풀릴 경우, 언더 바디(5)와 연료 파이프 하우징(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턱(3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 트렁크내의 언더바디 일측에 형성된 안착홈내로 연료 탱크의 하단부를 삽입·장착하고, 상기 연료 탱크와 연결되는 연료 파이프와 기화기와 연결되는 연료 파이프를 트렁크내에서 용이하게 연결하여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연료 탱크와 연결된 연료 파이프의 파손을 방지하며, 추후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측이 기화기 및 연료 분사장치와 연결된 다수개의 연료 파이프 타측단을 클립에 의해 일체형으로 체결하고;
    상기 클립에 삽입된 다수개의 연료 파이프 타측단이 연료 파이프 하우징의 일측에 삽입되도록 언더바디를 사이에 두고 클립과 연료 파이프 하우징을 볼트결합하며;
    상기 연료 파이프 하우징의 타측에, 자동차 트렁크내의 언더바디 상부에 형성된 안착홈내로 하부가 안착된 연료 탱크와 일측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료 파이프 타측을 삽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파이프 체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파이프 하우징은 언더바디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일측에 형성되고, 언더바디와 접촉하는 연료 파이프 하우징 밀착부 일측에 실링 스폰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파이프 체결장치.
KR2019970043733U 1997-12-30 1997-12-30 자동차용 연료 파이프 체결장치 KR199900310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733U KR19990031028U (ko) 1997-12-30 1997-12-30 자동차용 연료 파이프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733U KR19990031028U (ko) 1997-12-30 1997-12-30 자동차용 연료 파이프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028U true KR19990031028U (ko) 1999-07-26

Family

ID=69696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733U KR19990031028U (ko) 1997-12-30 1997-12-30 자동차용 연료 파이프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02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52724B1 (en) Fuel pump module and method of assembly
US5794979A (en) Method and structure for mounting a fuel tank
CN101274591B (zh) 车辆用过滤罐的安装构造体
US6395072B2 (en) Canister mounting structure
US10137771B2 (en) Canister
US10711737B2 (en) Conduit mounting device
KR19990031028U (ko) 자동차용 연료 파이프 체결장치
CN110617139A (zh) 车辆的燃料系统控制器
JPS609061Y2 (ja) 燃料タンク用セパレ−タタンクの配設構造
KR19990027953U (ko) 자동차용 연료 메인 파이프 마운팅 장치
JP2008522073A (ja) 連続なディーゼル燃料の回収面を含む自動車用の内燃エンジン
KR19990056796A (ko) 체결이 용이한 연료파이프용 퀵 커넥터
US20210138897A1 (en) Plastic Filler Neck for Vehicles
CN220623108U (zh) 汽车碳罐电磁阀用密封件
KR100289558B1 (ko) 자동차 연료장치의 연료펌프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링 결합구조
KR200185226Y1 (ko) 내장형 연료탱크의 고정브라켓
KR0138566B1 (ko) 차량용 연료 주입호스 체결기구
KR19990020831U (ko) 자동차의 연료탱크와 연료파이프 장착용 브라켓 설치구조
US20230400000A1 (en) Evaporative emissions canister with integrated port interface
KR200147492Y1 (ko) 자동차의 연료파이프 연결구조
KR200147860Y1 (ko) 자동차의 엘.피.지 연료탱크 장착구조
KR19990027954U (ko) 자동차용 연료 캡 걸이
KR20200111399A (ko) 자동차용 필러넥의 에어드레인 케이스
JP2001253254A5 (ko)
KR0158358B1 (ko) 자동차의 연료주입구 파손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