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117A - 피제어 기기, 제어장치, 정보관리 센터,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 통신제어 시스템 및 매체 - Google Patents

피제어 기기, 제어장치, 정보관리 센터,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 통신제어 시스템 및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117A
KR19990030117A KR1019980039831A KR19980039831A KR19990030117A KR 19990030117 A KR19990030117 A KR 19990030117A KR 1019980039831 A KR1019980039831 A KR 1019980039831A KR 19980039831 A KR19980039831 A KR 19980039831A KR 19990030117 A KR19990030117 A KR 19990030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led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1339B1 (ko
Inventor
고지 이와모토
Original Assignee
모리시다 요이치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다 요이치,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다 요이치
Publication of KR19990030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1Multiprocessor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Abstract

본 발명의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은 기기(70, 80)와, 이 통신기기(70, 80)를 통신 등을 통해 제어하는 제어장치(400)로 구성된다. 각 기기 및 제어장치(400)에는 통신수단(31)과, 설치장소를 나타내는 하우스 코드와, 설정 시스템에서의 서브시스템의 ID를 나타내는 서브시스템 ID와, 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ID와, 기기 번호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번호로 구성되는 자기 어드레스를 유지하는 자기 어드레스 설정 보유수단(11)이 구비되며, 제어장치(400)에는 또한 제어대상의 시스템 구성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시스템구성 보유수단(301)과, 시스템구성에 관한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통신 제어된 상대의 어드레스를 설정 유지하는 통신상대 어드레스 설정 보유수단(401)이 구비된다.

Description

피제어 기기, 제어장치, 정보관리 센터,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 통신제어 시스템 및 매체
본 발명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기기와 이것을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어떤 통신수단에 의해 서로 접속된 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 될 수 있는 피제어 기기, 제어장치, 정보관리 센터,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 통신제어 시스템 및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피제어 기기(이하, 이것을 간단히 기기라 함)와 이것을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어떤 통신수단에 의해 접속되어 서로 제어되는 시스템에서는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 통신 초기설정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통신 초기설정이란, 각 기기의 통신에서의 어드레스 번호나 통신상대의 기기 어드레스 번호를 각 기기마다 설정하는 것을 나타낸다. 종래 이러한 설정은 수동으로 시스템 기동시에 개별적으로 설정되고 있었다. 이하, 종래의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에 관한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종래의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의 구조는 기기(10)와, 제어장치(50)로 구성되고, 상기 기기(10)와 상기 제어장치(50)가 통신수단(31)을 통해 통신매체(20)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기(10)와 상기 제어장치(50)에는 자신의 어드레스를 설정 유지하는 자기 어드레스 설정 보유수단(11)과, 통신하는 상대의 어드레스를 설정 유지하는 통신상대 어드레스 설정 보유수단(1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기기(10)에는 제어수단(15)이 구비되며, 상기 제어장치(50)에는 기기(10)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12)과, 이 버튼(12)이 눌려진 것을 검지하여 대응하는 제어내용을 발생시켜, 상기 통신수단(31)에 보내는 제어내용 발생수단(13)이 제어수단에 부가하여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기기(10)와 제어장치(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자기 어드레스와 통신상대의 어드레스를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기기(10)와 제어장치(50)의 자기 어드레스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자는 먼저 자기 어드레스 설정 보유수단(11)을 이용하여 자기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어드레스에 대해서는 통신규약에 의해 미리 어드레스 범위 등이 정해져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장치는 고유 어드레스를 가지며 고유 어드레스는 번호 1로부터 번호 7까지의 임의의 번호이며 중복되는 번호가 없도록 결정될 필요가 있다. 사용자는 상기 규약에 따라, 기기(10)의 자기 어드레스 설정 보유수단(11)을 이용하여 기기(10)의 자기 어드레스를 번호 1로, 제어장치(50)의 자기 어드레스 설정 보유수단(11)을 이용하여 제어장치(50)의 자기 어드레스를 번호 7로 설정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각 기기의 자기 어드레스가 정해진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각 기기가 통신하는 상대의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이 경우에는, 기기(10)가 제어장치(50)와 통신하고, 제어장치(50)는 기기(10)와 통신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기기(10)의 통신상대 어드레스 설정 보유수단(14)을 이용하여 기기(10)의 통신상대 어드레스를 번호 7로, 제어장치(50)의 통신상대 어드레스 설정 보유수단(14)을 이용하여 제어장치(50)의 통신상대 어드레스를 번호 1로 설정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각 기기의 통신상대 어드레스가 정해지고, 이후 통신이 가능해진다. 즉,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어장치(50)의 「전원 온」이라는 버튼(12)을 누르면, 제어장치(50)의 제어내용 발생수단(13)은 이것을 검지하여 대응하는 제어내용을 발생하여, 그 내용을 통신수단(31)에 보낸다. 통신수단(31)은 자기 어드레스 설정 보유수단(11)과 통신상대 어드레스 설정 보유수단(14)의 내용에 따라 상기 제어내용을 어드레스 번호 7로부터 어드레스번호 l로 송신한다. 송신된 제어내용은 통신매체(20)를 통해 기기(10)의 통신수단(31)을 경유하여 제어수단(15)에 도달하여, 제어내용이 실행된다. 즉, 상기 「전원 온」버튼이 눌러지면 기기(10)의 전원이 켜진다.
1대의 제어장치(50)로 복수대의 기기(1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어장치(50)에 설치된 제어기기 선택스위치(912)를 이용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특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초기설정으로서, 에어컨 1, 2의 어드레스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제어기기 선택스위치(912)를 에어컨 1로 표시된 위치로 설정하고, 그 후 상술한 일련의 설치작업을 행함으로써 에어컨 1의 어드레스 설정이 완료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기기 선택스위치(912)를 에어컨 2로 표시된 위치에 설정하고, 그 후 상술한 일련의 설치작업을 함으로써 에어컨 2의 어드레스 설정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신 초기설정을 수동으로 함으로써 상호 통신을 실현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기기와 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종래의 통신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종래의 통신제어 시스템에서는 제어장치가 기기를 제어하는 내용은 제어장치 내에 미리 설치되어 있었다. 이하, 종래의 통신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그 동작을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종래의 통신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의 구성에서는 기기(10)와 제어장치(50)로 구성되고, 상기 기기(10)와 상기 제어장치(50)는 통신수단(31)을 통해 통신매체(20)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어,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기(10)는 제어수단(15)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50)는 기기(10)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12)과, 이 버튼(12)이 눌려진 것을 검지하는 키입력 검지수단(811)과, 이 키입력 검지수단(811)에 대응하는 제어내용을 발생시켜 상기 통신수단(31)에 보내는 제어내용 발생수단(13)을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통신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어장치(50)의 「전원 온」이라는 버튼(12)을 누르면 제어장치(50)의 키입력 검지수단(811)은 버튼(12)이 눌러진 것을 검지하고, 또한 제어내용 발생수단(13)은 이 제어내용 발생수단(13)에 대응하는 기기(10) 앞으로 제어내용을 발생하여, 그 내용을 통신수단(31)에 보낸다. 통신수단(31)은 통신매체(20)를 통해 기기(10)의 통신수단(31)을 경유하여 제어수단(15)에 도달하여, 제어내용이 실행된다. 즉 상기 「전원 온」 버튼이 눌려지면 기기(10)의 전원이 켜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통신제어 시스템에서는 제어장치 내의 제어내용 발생수단에 미리 버튼이 눌려졌을 때에 대응하는 제어내용이 설정되어 있어, 이에 의해 기기를 제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초기설정으로서 상술한 설정을 수동으로 할 필요가 있었다. 왜냐하면 이 설정작업은 어드레스 설정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하므로, 어느 정도의 숙련자에 의해서만 설정이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이 종류의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 작업의 담당자가 필요하게 되어, 이러한 시스템은 비용이나 인력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이 아니었다. 더욱이 일반가정에서 가정의 주부, 노인 또는 아이들에 대해서는 상기 설정을 실행하는 것은 통상 곤란하기 때문에, 기기 증설이나 유지 보수할 때마다 공사담당자를 불러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종류의 통신기기가 가정으로 보급되는 것을 저해하는 일면도 함께 갖고 있었다.
종래의 통신제어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어내용 발생수단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제어내용에 대해서는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것은 예를 들면 어느 기기와 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있고, 그 후에 그 기기보다 상위기능을 갖는 새로운 기기를 구입한 경우 등에 원래 있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서는 새롭게 구입한 기기가 갖는 상위기능을 제어할 수 없다고 하는, 즉 제어장치가 기기의 변경 등에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초기설정이 종래에 비해 더한층 간단하게 되는 피제어 기기, 제어장치, 정보관리 센터,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 및 그 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통신제어 시스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기기의 변경에 대하여 제어장치가 용이하게 대응되는 통신제어 시스템 및 그 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
도 2의 (a)∼(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자기 어드레스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순서를 도시한 이미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표시수단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통신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 9의 (a), (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의 기능기술을 도시한 도면
도 10의 (a), (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의 통신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표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통신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구성도
도 14는 종래의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
도 15는 종래의 통신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기(피제어 기기)
11 : 자기 어드레스 설정 보유수단
14 : 통신상대 어드레스 설정 보유수단
l2 : 버튼 13 : 제어내용 발생수단
15 : 제어수단 20 : 통신매체
31 : 통신수단 50 : 제어장치
62 : 통신상대 어드레스 취득수단 90 : 외부 통신매체
101 : 기능기술 보유수단 102 : 기능기술 해석수단
l03 : 모드 전환수단 104 : 표시수단
110 : 기능기술 전개수단 200 : 외부 통신장치
201 : 외부 통신기능 202 :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
300 : 외부 통신센터 301 : 시스템구성 보유수단
400 : 제어장치 401 : 통신상대 어드레스 취득 보유수단
811 : 키입력 검지수단 901 : 암호화/암호 해독수단
903 : 단말 인증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의 제 1 발명은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피제어 기기로서,
상기 제어장치와 그것에 대응하는 피제어 기기 사이에서 복수의 조합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보관리 센터가 상기 복수의 조합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송신하라는 송신요구를 수신한 경우, 상기 송신요구에 따라 상기 조합정보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로 그 조합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 기기이다.
또 본원의 제 2 발명은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와 그것에 대응하는 피제어 기기 사이에서 복수의 조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보관리 센터가 상기 복수의 조합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송신하라는 송신요구를 수신한 경우, 상기 송신요구에 따라 상기 조합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로 그 조합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이다.
또한 본원의 제 3 발명은 제어장치와 그것에 대응하는 피제어 기기 사이에서 복수의 조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보관리 센터로서,
상기 복수의 조합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송신하라는 송신요구를 수신한 경우, 상기 송신요구에 따라 상기 조합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로 그 조합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 센터이다.
또한 본원의 제 4 발명은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피제어 기기로서,
상기 제어장치와 그것에 대응하는 피제어 기기 사이에서 복수의 조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보관리 센터가 미리 결정된 타이밍에 상기 조합 정보를 그 조합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 기기이다.
또 본원의 제 5 발명은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와 그것에 대응하는 피제어 기기 사이에서 복수의 조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보관리 센터가 미리 결정된 타이밍에 상기 조합정보를 그 조합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이다.
또한 본원의 제 6 발명은 제어장치와 그것에 대응하는 피제어 기기 사이에서 복수의 조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보관리 센터로서,
미리 결정된 타이밍에 상기 조합 정보를 그 조합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 센터이다.
또 본원의 제 7 발명은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어대상이 되는 피제어 기기와,
상기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와 그것에 대응하는 피제어 기기 사이에서 복수의 조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보관리 센터를 구비하며,
상기 정보관리 센터는 상기 복수의 조합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송신하라는 송신요구를 수신한 경우, 그 송신요구에 따라 상기 조합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로 그 조합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이다.
또한 본원의 제 8 발명은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어대상이 되는 피제어 기기와,
상기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와 그것에 대응하는 피제어 기기 사이에서 복수의 조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보관리 센터를 구비하며, 상기 정보관리 센터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조합 정보를 그 조합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이다.
또 본원의 제 9 발명은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피제어 기기로서,
상기 피제어 기기에는 상기 피제어 기기의 기능정보가 보유되는 제 1 기능정보 보유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제어 기기에 대하여 상기 보유되어 있는 기능정보의 송신요구가 발신된 경우, 그 송신요구에 따라 요구된 기능정보가 상기 제어장치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 기기이다.
또한 본원의 제 10 발명은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서,
상기 피제어 기기에는 상기 피제어 기기의 기능정보가 보유되는 제 1 기능정보 보유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제어 기기에 대하여 상기 보유되어 있는 기능정보의 송신요구가 발신된 경우, 그 송신요구에 따라 상기 피제어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기능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이다.
또한 본원의 제 11 발명은 제어대상이 되는 피제어 기기와, 상기 피제어 기기를 통신매체를 통해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통신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피제어 기기에는 상기 피제어 기기에 대한 기능정보를 보유하는 제 1 기능정보 보유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제어 기기에 대하여 상기 보유되어 있는 기능정보의 송신요구가 발신된 경우, 그 송신요구에 따라 요구된 기능정보가 상기 제어장치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 시스템이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l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l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 종래 구성의 주된 차이점은,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구성에 외부 통신장치 및 외부 통신센터 등이 추가된 점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종래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특별히 설명이 없는 것에 대해서는 종래예와 같은 것으로 가정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에서는 제 1 기기(70)와, 제 2 기기(80)와, 제어장치(400)와, 외부 통신장치(200)가 통신매체(20)에 의해 접속되어 서로 통신 가능하다. 또 외부 통신장치(200)는 외부 통신수단(201)을 통해 공중 전화회선 등의 외부 통신매체(90)에 의해 외부 통신센터(300)에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정보관리 센터에 대응하는 외부 통신센터(300)는 외부 통신수단(201)과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202)를 구비하여, 그 외부 통신수단(201)을 통해 복수개의 외부 통신장치(200)의 외부 통신수단(20l)과 통신 가능하다. 도 1은 외부 통신센터(300)가 어떤 하나의 외부 통신장치(200)와 접속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202)는 제어장치(400)와 그 제어장치에 대응하는 피제어 기기(예를 들면, 기기(70))의 조합 정보를 복수개 저장한다. 이 경우, 상기 조합 정보는 제어장치(400)의 제어대상이 기기(70)와, 그 기기(70)의 자기 어드레스 정보(즉, 제어장치(400)의 통신상대 어드레스)인 것을 나타내는 대응 정보를 포함한다. 이들의 정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다시 후술하기로 한다.
각 기기(70, 80) 및 제어장치(400)의 내부구성은 도 14의 종래예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지만, 제 1 실시예의 제어장치(400)에는 동 종래 예에서 설명한 통신상대 어드레스 설정 보유수단(14) 대신에 통신상대 어드레스 취득 보유수단(401)이 구비되고, 또한 기기의 구성을 유지하는 시스템구성 보유수단(301), 입력수단(411) 및 표시수단(41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통신상대 어드레스 취득 보유수단(401)은 제어장치(400) 및 외부 통신장치(200)에 설치된 각각의 통신수단(31)을 통해 외부 통신장치(200)와 통신하고, 또한 외부 통신장치(200)에 구비되어 있는 외부 통신수단(201)을 통하여 상기 외부 통신센터(300) 내의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202)로부터 통신상대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수단이다. 또한 외부 통신장치(200)에는 상기 시스템구성 보유수단(301)이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피제어 기기는 기기(70, 80)에 대응하고, 또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제어장치(400)에 대응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고, 동시에 본 발명의 피제어 기기, 제어장치 및 정보관리 센터의 각각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술한 각 기기(70, 80), 제어장치(400), 외부 통신장치(200)를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점포(판매점) 등에서 구입한다. 이 때 점포 또는 제조공장 등의 공급자 측에서 각 기기 등에 대하여 자기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또 제어장치 및 그 제어장치의 제어대상이 되는 피제어 기기의 대응정보 등도 결정한다.
이 경우, 판매점에서 상기 사용자가 구입한 기기 등의 자기 어드레스가 설정되고, 또한 상기 대응정보 등을 포함시킨 설정정보를 외부 통신센터(300)측에 등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 외부 통신센터(300)에는 각 판매점으로부터 각 사용자가 구입한 기기 등에 대한 상기 정보가 각각 보내진다. 또한 상술한 제어장치(400)의 제어대상이 되는 기기를 어느 것으로 할 것인가라는 대응정보도 이 단계에서 판매점이 사용자의 의향을 확인하여 설정한다.
이 경우 자기 어드레스는 각 기기 등의 설치장소를 나타낸 하우스 코드, 설정 시스템에서의 서브시스템의 ID를 나타내는 서브시스템 ID, 기기 등의 종류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ID, 기기 등의 번호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번호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하우스 코드로서는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나 그 판매점이 고객에 대하여 제공하고 있는 회원번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의 (a)는 자기 어드레스 포맷을 도시한다. 서브시스템의 예로서 에어컨 서브시스템과 주방 서브시스템이 하우스 A로 설정되어 있다.
또 도 3은 상기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구성은 상술한 도 1의 구성과 마찬가지이고, 동일부호를 붙인 것은 도 1에서 설명한 기능을 갖는다.
즉 도 3에서, 통신매체(2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기기로서 외부 통신장치(200), 제어장치(400) 외에 에어컨 서브시스템(510)과, 주방 서브시스템(520)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에어컨 서브시스템(510)은 제 l 실내장치(500)와 제 2 실내장치(501) 및 실외장치(502)로 구성되고, 상기 주방 서브시스템(520)은 냉장고(503)와 전자레인지(504)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기기는 모두 하우스 A(600)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스 코드는 하우스 A인 것을 나타내는 코드가 된다. 상기 에어컨 서브시스템(510)의 제 1 실내장치(500)의 자기 어드레스를 도 2의 (b)에 도시하고, 주방 서브시스템(520)의 냉장고(503)의 자기 어드레스를 도 2의 (C)에 도시한다.
다음으로 각 기기의 자기 어드레스 등을 설치한 판매점은 이들 설정정보를 외부 통신센터(300)로 보낸다. 그리고 이들 설정정보가 그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202)에 축적된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예에서는 하우스 A에는 외부 통신장치(200), 제어장치(400) 외에 에어컨 서브시스템(510)과 주방 서브시스템(520)이 접속되고, 상기 에어컨 서브시스템(510)은 제 1 실내장치(500)와 제 2 실내장치(501) 및 실외장치(502)로 구성되며, 주방 서브시스템(520)은 냉장고(503)와 전자레인지(504)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는 내용이 상기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202)에 축적된다.
다음으로 이용자가 새롭게 구입한 제어장치(400)를 이용하여 설치된 기기(70, 80) 등을 제어할 수 있게 되기까지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에서 제어장치(400)의 통신상대 어드레스 취득 보유수단(401) 및 시스템구성 보유수단(301)에는 구입한 초기의 시점에서는 아직 아무런 정보도 보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가령 제어장치(400)의 버튼(12)이 눌려지고, 그 버튼(12)이 눌러진 것을 검지한 제어내용 발생수단(13)이「전원 온」이라는 제어내용을 발생하였다고 해도, 시스템구성 보유수단(301)에는 기기의 구성이 보유되어 있지 않고, 또한 통신상대 어드레스 취득 보유수단(401)에 의해 통신상대 어드레스가 보유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어떤 기기에 대한「전원 온」명령인지는 현시점에서는 불명확하다. 즉 통신수단(31)에 통신 데이터를 보낼 수 없게 되어 어떤 기기도 제어할 수 없게 된다.
제어장치(400)의 제어대상이 되는 기기를 명백히 하기 위해 통신상대 어드레스 취득 보유수단(401)은 통신수단(31)과 통신매체(20)를 통해 외부 통신장치(200)에 대하여 제어대상 기기의 조회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이 조회에 대한 동기는 다음과 같이 하여 생성된다.
즉 전원 공급라인의 전류값의 변화를 감시하는 감시수단이 전원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있고, 새로운 기기가 설치되면 그 설치에 의한 미묘한 전류값의 변화를 검지하여, 그 검지결과를 제어장치(400)에 보낸다. 제어장치(400)는 그 검지결과를 수신하여 새로운 기기가 설치되었다고 판단하고, 통신상대 어드레스 취득 보유수단(401)에 대하여 상기 조회에 대한 실행을 지령한다. 이러한 방법 이외에 제어장치(400)가 정기적으로 상기 조회를 실행해도 되고, 혹은 사용자 자신이 조회 개시 지시를 제어장치(400)에 부여하여도 된다.
외부 통신장치(200)의 시스템구성 보유수단(301)에 필요한 정보가 보유되어 있으면, 외부 통신장치(200)는 통신상대 어드레스 취득 보유수단(401)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초기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외부 통신장치(200)의 상기 시스템구성 보유수단(301)에 필요한 정보가 보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외부 통신장치(200)는 외부 통신수단(201), 외부 통신매체(90) 및 외부 통신센터(300)의 외부통신 기능(201)을 통해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202)에 액세스된다. 또한 상기 외부 통신장치(200)는 필요한 정보를 참조하여 제어장치(400)의 통신상대 어드레스 취득 보유수단(40l) 및 시스템구성 보유수단(301)에 정보를 제공한다.
상술한 순서를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통신상대 어드레스 취득 보유수단(401) 및 시스템구성 보유수단(301)에 필요한 정보가 제공되어, 제어장치(400)가 정확하게 제어를 행하는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600에서 제어장치(400)의 통신상대 어드레스 취득 보유수단(401)은 제어장치(400)의 시스템구성 보유수단(301)에 통신상대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만약 이 단계 600에서의 상기 처리 결과로서 필요한 정보가 있으면, 단계 605로 이행하여 통신상대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단계 606에서 제어대상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처리를 도 3에 도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설정 단계에서 제어장치(400)의 시스템구성 보유수단(301)에 제어장치(400)의 제어대상은 에어컨 서브시스템(510)의 제 1 실내장치(500)인 것과, 통상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조건이지만 그 자기 어드레스가 보유되어 있으면, 단계 600으로부터 단계 605로 이행하고, 단계 605에서 제 1 실내장치의 자기 어드레스를 통신상대 어드레스 취득 보유수단(401)에 통신상대 어드레스로서 설정하고, 단계 606에서 이 어드레스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에서 다시 도 4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단계 600에서 시스템구성 보유수단(301)에는 필요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601에서 외부 통신장치(200)에 조회가 전송된다.
외부 통신장치(200)의 시스템구성 보유수단(301)에 필요한 정보가 있으면, 단계 604에서 제어장치(400)의 시스템구성 보유수단(301)에 대하여 이 정보를 제공한다.
이들 처리에 대하여 도 3의 구성을 이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을 행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즉 예를 들면 외부 통신장치(200)의 시스템구성 보유수단(301)에 하우스 코드가 하우스 A인 시스템 구성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정보가 보유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즉 하우스 A의 시스템 구성의 정보로서 에어컨 서브시스템(510)과 주방 서브시스템(520)으로 구성되어 있고, 에어컨 서브시스템(510)은 제 1 실내장치(500)와, 제 2 실내장치(501) 및 실외장치(502)로 구성되고, 또 주방 서브시스템(520)은 냉장고(503)와 전자레인지(504)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제어장치(400)의 제어대상은 에어컨 서브시스템(510)의 제 1 실내장치(500)인 것과, 그 제 1 실내장치(500)의 자기 어드레스가 하우스 A에 대한 구성 정보로서 보유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단계 604에서 상기 시스템의 구성 정보 중 제어장치(400)가 필요한 정보로서 제어장치(400)의 제어대상은 에어컨 서브시스템(510)의 제 1 실내장치(500)인 것과, 그 제 1 실내장치(500)의 자기 어드레스의 정보의 제공을 받고, 이하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계 605에서 제 1 실내장치(500)의 자기 어드레스를 통신상대 어드레스 취득 보유수단(401)에 설치하고, 단계 606에서 이 통신상대 어드레스 취득 보유수단(401)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단계 602에서 외부 통신장치(200)의 시스템구성 보유수단(301)에 상술한 바와 같은 정보가 없으면, 단계 603에서 외부 통신센터(300)의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202)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로 제어를 행한다. 초기설정 단계는 통상 이러한 경우에 상당한다.
이하, 이 경우의 처리를 도 3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통신센터(300)의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202)에는 하우스 A의 하우스 코드뿐만 아니라 모든 하우스 코드에 관계되는 시스템 구성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400)로부터 외부 통신센터(300)에 상기 대응정보의 송신요구가 있으면, 외부 통신장치(200)는 그 송신요구에 첨부되어 있는 요구원으로서 제어장치의 자기 어드레스(이미 판매점에서 설치완료)를 이용하여 그 중에서 하우스 A의 하우스 코드에 관계되는 정보만을 검색하여 추출한다.
이상과 같은 초기단계에서, 제어장치(400)에 통신상대 어드레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차례로 필요한 정보를 추적해 감으로써 결과적으로 통신상대 어드레스를 알 수 있고, 제어장치(400)의 제어대상의 기기가 어느 것인가를 제어장치(400)에 취득하여 보유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설명은 통신상대 어드레스의 제어장치(400)로의 설치 시에 입력수단(411) 및 표시수단(412)을 이용하지 않고 통신상대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경우이다. 다음으로 이들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제어대상 선택시의 표시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이 경우 상술한 예와 다소 다르지만, 도 1에 도시한 제어장치(400)는 표시수단(412) 상에 상기 시스템 구성정보를 표시시키고, 또한 입력수단(411)을 이용하여 제어장치(400)에 의해 제어되는 대상을 선택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제어장치(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기기로서 에어컨 실내장치 1과 에어컨 실내장치 2가 있는 것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선택가능 리스트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의 예는 상기 예와 상황설정이 다르다. 즉 상기 예에서는 제어장치와 각 기기를 구입하였을 때 판매점에서 제어대상 기기를 어느 것으로 할 것인가라는 대응정보를 결정하고, 그 후 그것을 변경하지 않고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서는 제어장치(400)의 제어대상으로 될 수 있는 기기로서 에어컨 실내장치(1, 2)를 임시로 상기 대응정보로서 결정하고, 그 후 그 장치 중에서 사용자가 실제로 제어대상 기기로 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도 5에서도 에어컨 실내장치 1 만을 제어장치(400)의 제어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예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입력수단(411)의 조작을 통하여 에어컨 실내장치 1 만이 선택된 상황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선택가능 리스트는 도 5 중에서 버튼 1 전원 온이라는 표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장치(400)의 버튼 1을 누름으로써 전원을 투입할 수 있는 기기의 리스트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선택가능 리스트에서, 에어컨 실내장치 1, 2의 각각의 표시의 우측에 구체적인 설치장소로서 거실, 침실이라는 개개의 구체적인 설치장소를 표시하면 더욱 판별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그들 설치장소의 정보는 각 기기를 구입할 때 판매점에서 결정하고, 자기 어드레스 정보의 일부로서 설정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처리는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단계 605에서 행해진다.
이러한 처리를 함으로써 판매점에서 에어컨 실내장치1, 2를 구입한 단계에서 제어장치(400)에 의해 어떤 기기를 제어할 것인가라는 대응정보를 일단 설정해 둔다. 그렇지만 정보를 그 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상과 같이 하여 제어장치(400)에 대하여 통신상대 어드레스의 설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실제로 기기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금부터 어떤 기기를 제어하고자 하는지에 대한 제어기기 선택정보를 제어장치(400)에 입력할 필요가 있다. 이 제어기기 선택정보는 제어기기 선택정보를 입력하는 모드로 바꾼 후, 도 1과 도 5에서 설명한 입력수단(411) 및 표시수단(4l2)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히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장치(400)에 의해 제어되는 대상 기기는 에어컨 실내장치 1 뿐이다. 그러므로 이 경우의 표시수단(412)의 표시내용은 도 5와 다르고, 결국 에어컨으로서는 에어컨 실내장치 1 만이 표시된다. 물론 제어장치(400)에 대하여 에어컨 실내장치 1 이외에 에어컨 실내장치 2도 제어대상 기기로서 등록되어 있는 경우는 에어컨 1, 2가 표시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각 기기의 자기 어드레스를 설치장소를 나타내는 하우스 코드, 설정 시스템에서의 서브시스템의 ID를 나타내는 서브시스템 ID와, 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ID 및 기기 번호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번호로 구성하고, 이것을 각 기기의 출하시 또는 판매시에 설정하여 외부 통신센터의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 또 외부 통신장치와 제어장치에 시스템 구성 보유수단을 갖고, 제어장치 내의 시스템구성 보유수단에 필요한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통신상대 어드레스 취득 보유수단에 설치 유지하고, 없는 경우에는 차례로 조회하여 최종적으로 외부 통신센터의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데이터를 보내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간단하게 통신 초기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각 시스템구성 보유수단은 자기가 필요한 부분의 정보만을 보유하고 있으면 되므로 간소한 구성을 갖는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외부통신 기능으로부터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외부 통신센터의 상기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외부 통신센터 이외의 장소에서 상기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를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일일이 외부 통신센터에서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지 않더라도 임의의 장소에서 원격조작으로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를 갱신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조합 정보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대응정보 및 자기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자기 어드레스로서 사용자의 집을 단위로 구별하기 위한 하우스 코드를 구비한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또한 제어장치와 그 제어대상이 되는 기기를 단위로서 구별하기 위한 각 제어장치에 고유하게 부여된 ID를 이용해도 된다. 또 이 경우 제어대상이 되는 기기 사이의 구별이 거실이나 침실이라는 각 기기의 구체적인 설치장소 정보에 의해 가능한 경우는, 본 발명의 조합 정보는 각 제어장치의 고유 ID와 상기 구체적인 설치장소 정보와의 대응정보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간략히 말하면, 본 발명의 조합 정보는 제어장치와 그 제어대상이 되는 피제어 기기의 대응관계를 알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정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합 정보의 송신요구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어대상 기기의 조회로서 설명하였다. 이 송신요구를 실행시키는 계기로서는 감시수단이 전원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 새롭게 설치된 기기 자신이 설치된 취지를 제어장치에 통신하고, 또한 제어장치는 그 연락을 계기로서 상기 송신요구를 발신해도 된다. 또는 이 경우 기기 자신이 직접 외부 통신센터(300)에 대하여 상기 송신요구를 전송해도 된다. 또는 판매점 등이 직접 외부 통신센터(300)에 대하여 상기 송신요구를 전송해도 된다. 또 외부로부터의 송신요구의 존재 여부에 관계없이 외부 통신센터(300) 자신이 제어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조합 정보의 송신을 실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 제 2 실시예 )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제 2 실시예의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외부 통신매체 상의 통신내용의 암호화 및 암호의 해독을 행하는 암호화/암호 해독수단을 외부 통신장치 내 및 외부 통신센터 내에 가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서 제 1 실시예와 같은 것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 특별히 설명이 없는 것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같다고 가정한다.
도 6은 도 1에서 외부 통신장치(200) 및 외부 통신센터(300) 내에 외부 통신매체(90) 상의 통신내용의 암호화 및 암호를 해독하는 암호화/암호 해독수단(901)을 부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고, 동시에 본 발명의 피제어 기기, 제어장치 및 정보관리 센터의 각각의 동작도 설명한다.
제어장치(400)에 통신상대 어드레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차례로 필요한 정보를 추적해 감으로써 최종적으로 통신상대를 알아내는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상기 외부 통신장치(200)와 상기 외부 통신센터(300) 사이의 통신내용은 상기 암호화/암호 해독수단(901)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외부 통신매체(90)를 감시하고, 통신내용을 들여다 보았다고 해도 그 내용은 암호해독 열쇠를 알고 있는 관계자 이외에는 이해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 통신매체 상의 통신내용이 은닉되기 때문에 이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밀 확보도 가능해진다.
( 제 3 실시예 )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제 3 실시예의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 2 실시예에 본 발명의 단말의 인증을 행하는 단말 인증수단을 통신매체(20)에 접속되는 각 장치와 기기에 부가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 2 실시예와 같은 것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 특별히 설명이 없는 것에 대해서는 제 2 실시예와 같은 것으로 가정한다.
도 7은 도 6에서 기기(70, 80), 제어장치(400), 외부 통신장치(200) 내에 상호의 통신을 할 때 정당한 통신 상대인 것을 인증하는 단말 인증수단(903)을 부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의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고, 동시에 본 발명의 피제어 기기, 제어장치 등의 각각의 동작에 대해서도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동작에 의해, 제어장치(400)가 해당 기기를 제어하는 상태는 본 제 3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다. 그렇지만 본 제 3 실시예가 상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다른 점은 통신매체(20) 상에서의 통신이 상기 단말 인증수단(903)이 정당한 통신상대라고 인증한 단말 사이에서만 성립하는 점이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 인증수단(903)을 이용함으로써 악의를 가진 제 3자가 상기 단말 인증수단(903)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부당한 단말을 이용하여 통신매체(20) 상의 단말을 부당하게 제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말인증에 대하여 각 단말 인증수단(903)이 어느 특정한 코드를 갖고, 이 특정 코드와 하우스 코드사이의 특정한 연산에 의해 얻어지는 새로운 코드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보는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매체 상의 통신이 정당한 단말 사이에서만 성립하기 때문에, 통신매체로서 무선 등을 이용할 때 전파 도달범위가 확장된다. 따라서 비록 악의를 가진 제 3자가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경우 등에서도 그의 부당한 조작을 저지할 수 있고 비밀성을 확보할 수 있게된다.
그런데 상술한 각 실시예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의 각 수단(또는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 수단의 기능(처리내용)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자기 기록매체나 광디스크 등의 매체를 작성하여 그것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을 실행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장치 내의 시스템구성 보유수단과, 상기 시스템 구성에 관한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통신 제어하는 상대의 어드레스를 설정 유지하는 통신상대 어드레스 설정 보유수단에 의해 이용자가 참여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통신 초기설정이 행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또한 설치장소 전체의 시스템 구성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시스템구성 보유수단을 구비하는 외부 통신장치를 추가하여, 상기 제어장치 내의 상기 시스템구성 보유수단에 필요한 정보가 보유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외부 통신장치 내의 상기 시스템구성 보유수단으로부터 제어대상의 시스템구성에 관한 정보만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또한 상기 하우스 코드 모두에 관계하는 시스템 구성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외부 통신장치와 공중 회선망 등의 외부 통신매체, 외부 통신수단을 통해 접속되는 외부 통신센터를 추가하고, 상기 외부 통신장치 내의 상기 시스템구성 보유수단에 필요한 정보가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외부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외부 통신센터 내의 상기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어대상의 시스템구성에 관한 정보만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기가 추가되거나 변경이 생기는 경우에도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대상을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어장치에 입력수단과 표시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통신장치의 상기 시스템구성 보유수단 및 상기 외부 통신센터의 상기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이것을 표시시키고, 상기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적당한 어드레스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장치의 상기 시스템구성 보유수단 및 상기 통신상대 어드레스 설정 보유수단 상기 어드레스의 내용을 선택 변경할 수 있고, 이용자의 기호에 맞는 고객 만족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외부 통신센터의 상기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외부통신 기능으로부터 액세스하여 갱신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외부 통신센터 이외의 장소에서 상기 시스템구성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외부 통신매체 상의 송신내용을 암호화하고, 또한 암호화된 수신 내용을 해독하는 암호화/암호 해독수단을 상기 외부 통신장치 및 상기 외부 통신센터 내에 구비함으로써 제 3자가 외부 통신매체 상의 통신내용을 훔쳐보는 것을 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통신매체 상의 통신을 정당한 단말사이에서만 성립시키는 단말 인증수단을 상기 통신매체 상의 단말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통신매체 상에서의 부당한 조작을 저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상대 어드레스의 초기설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통신제어 시스템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상기 초기설정이 완료된 후의 단계에서의 제어장치에 의한 각 기기의 제어기능의 설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 제 4 실시예 )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제 4 실시예의 통신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 종래예의 구성에, 본 실시예의 외부 통신장치 및 외부 통신센터를 추가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종래예와 같은 것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특별히 설명이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예와 같은 것으로 가정한다.
도 8은 기기(100)가 통신매체(20)를 통하여 제어장치(400)에 접속되어, 서로 통신 가능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각 기기(100) 및 제어장치(400)의 내부구성은 다음 점을 제외하고 도 15를 이용한 종래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제 4 실시예의 제어장치(400)에는 기기(100)의 기능을 기술하는 포맷문을 해석하고 그 포맷문을 제어내용 발생수단(13)에 설치하는 기능기술 해석수단(102)과, 상기 기능기술 해석수단(102)을 작동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수단(103)과, 상기 버튼(12)의 제어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104)이 부가되어 있다.
또한 기기(100)에는 기기(100)의 기능을 기술하고 있는 상기 포맷문이 보유되어 있는 기능기술 보유수단(101)이 부가되어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피제어 기기는 기기(100)에 대응하고, 또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제어장치(400)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통신제어 시스템의 제 4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고, 동시에 본 발명의 피제어 기기 및 제어장치의 각각의 동작도 설명한다.
즉 기기(100)의 상기 기능기술 보유수단(101)에는 기기(100)가 갖는 기능과 그 제어내용 및 방법이 헤더와, 기능의 동작을 규정하는 동작 규정과, 기능을 제어하는 버튼의 속성을 규정하는 관리속성과, 기능이 동작하는 동작조건으로 분류되고, 기술되는 기능기술 포맷문의 형식으로 보유되어 있다.
도 9의 (a)는 이 포맷문의 형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기(100)의 기능 중에서 「전원 온」이라는 기능과, 「전원 오프」라는 기능에 대하여 상기 포맷문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즉 「전원 온」에 대한 상기 동작 규정은 「버튼 1이 눌려지면 기능한다. 기능의 정의는 출력포트 1을 논리 “1”로 한다. 상기 관리속성은 버튼 1의 크기는 7포인트, 색은 청색, 아이콘은 POWER. ICO 등이다. 또한 동작 조건은 본체 및 리모콘으로 제어 가능하다. 전원 온 상태가 되면 제어장치(400)로 보고한다 라는 상태이다. 「전원 오프」에 대한 상기 동작규정은 「버튼 2가 눌려지면 기능한다. 기능의 정의는 출력포트 1을 논리 “0”으로 한다. 상기 관리속성은 버튼 2의 크기는 7포인트, 색은 적색, 아이콘은 POWER2. ICO 등이다. 또한 동작조건은 「본체 및 리모콘으로 제어가능. 전원 오프 상태가 되면 제어장치(400)로 보고한다 라는 상태이다. 이 상태를 도 9의 (b)에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장치(400)의 제어대상으로 되는 기기(100)의 통신상대 어드레스 등의 통신상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제어장치(400)의 메모리 등에 이미 보유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물론 종래대로의 방법으로 사용자 또는 공사 담당자가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통신상대 어드레스의 설치가 완료된 단계에서는 아직 제어내용 발생수단(13)에는 제어내용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버튼(12)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표시수단(104)에는 설치 없음이라는 표시가 되어 있다. 도 10의 (a)는 이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따라서 다음으로 사용자는 제어장치(400)의 모드 전환수단(103)을 이용하여 기능기술 해석수단(102)을 기능시킨다. 기능기술 해석수단(102)은 통신수단(31)과 통신매체(20)를 통해, 기기(100)에 대하여 기기(100)가 미리 보유하고 있는 기능기술의 상기 포맷문의 송신요구를 보낸다.
기기(100)의 기능기술 보유수단(101)은 통신수단(31)을 통해 이 송신요구를 수신하면, 보유하고 있는 기능기술의 상기 포맷문을 상기 통신수단(31)을 통해 제어장치(400)로 송신한다. 제어장치(400)의 기능기술 해석수단(102)은 통신매체(20)와 통신수단(31)을 통해 이것을 수신하고, 그 내용을 해석하여 제어내용 발생수단(13)에 설정하는 것과 함께, 표시수단(104)의 표시 내용을 상기 내용에 맞추어 변경한다. 도 10의 (b)는 변경후의 표시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상과 같이 설치된 다음에 제어장치(400)의 버튼(12)을 누르면, 이것에 대응한 제어가 제어내용 발생수단(13)의 내용에 따라 실행된다. 이상의 순서를 도 11에서 통신매체(20)의 통신 흐름도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의하면, 헤더와, 기능의 동작을 규정하는 동작규정과, 기능을 제어하는 버튼의 속성을 규정하는 관리속성과, 기능이 동작하는 동작조건으로 분류되고, 기술되는 기능기술 포맷문의 형식으로 기기의 동작을 기술하며, 이 포맷문을 기기의 동작기술 보유수단에 유지하여 통신매체를 통하여 제어장치의 동작기술 해석수단에 송신하고, 해석 후에 상기 포맷문을 제어내용 발생수단에 설정함으로써 기기가 변경된 경우에도 제어장치의 제어내용을 차후에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신매체에는 무선통신으로서는 미약 무선, 특정 소전력 무선, PHS 데이터 통신, 밀리미터파 무선, 적외선 등의 매체, 유선통신으로서는 광파이버, 동축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선, 전등 와이어 등의 매체가 포함된다.
( 제 5 실시예 )
도 12는 본 발명에서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통신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 4 실시예에서는 피제어 기기의 기능이 업 그레이드함에 따라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내용이 업 그레이드될 수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피제어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그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업 그레이드함으로써 제어기능을 업 그레이드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이러한 피제어 기기라면 피제어 기기 자체는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고 해도 제어장치측에 대해 새로운 제어기능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입함으로써, 원래의 피제어 기기의 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업 그레이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 4 실시예에 본 발명의 기능기술 전개수단(110)을 기기(200)에 추가하고, 제어장치(500)에도 상기 기능기술 보유수단(10l)을 추가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 4 실시예와 같은 것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특별히 설명이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제 4 실시예와 같은 것으로 가정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200)에는 기능기술 보유수단(l01) 외에 기능기술 전개수단(1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능기술 전개수단(110)은 상기 기능기술 포맷문을 제어기능으로 전개하여 제어수단(15)에 그 전개한 기능을 추가하는 작용을 한다.
예를 들면 기기(200)의 기능기술 보유수단(101)에는 「전원 온」과 「전원 오프」의 2가지의 기능기술 포맷문이 보유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의 소정의 지시에 의해 「30분 후에 전원을 오프한다」라는 타이머 기능을 기술한 포맷문이 제어장치(500)측에서 새롭게 추가되었다고 하면, 기능기술 전개수단(110)은 이것을 기능으로 전개하여 제어수단(15)에 해당기능을 추가한다. 또한 별도의 예로서, 예를 들면 실내온도를 25℃에 세트하기 위해, 그것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로서 업 그레이드되기 전의 제어장치에서는 단순히 25℃가 되도록 에어컨의 컴프레셔 동작만을 제어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이에 대하여 업 그레이드된 제어장치는 설정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이에 따라 컴프레셔의 동작 뿐만아니라 풍량도 함께 제어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업 그레이드된 실내온도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제어장치로부터 에어컨 기기로 이송함으로써, 제어수단(15)에 새로운 기능의 추가가 가능해 진다. 이렇게 하여 상기 제어장치를 업 그레이드된 장치로 바꾸는 것만으로, 같은 에어컨 기기가 사용되더라도 훨씬 편리하게 실내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실현하기 위하여 제어수단(15)이 원래 추가기능을 실행하는 기초능력을 갖고 있고, 그 기초능력을 조합함으로써 실현할 수도 있고, 또는 기능 자체가 하드웨어 구성에 의존하지 않고 소프트웨어만으로 기술되면 그 소프트웨어를 고쳐 씀으로써 실현된다는 조건이 필요하게 된다.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으로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자기 메모리라는 기억매체 상에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동작은 저장 매체내의 데이터를 업 데이터 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업 그레이드된 제어장치(500)의 기능기술 보유수단(101)에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기능기술이 보유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 새로운 기능기술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기(200)에 있어서 소프트웨어를 갱신함으로써 새로운 제어기능의 실행이 가능하며, 또한 현재로서는 기기(200)의 기능기술 보유수단(l01)에는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통신제어 시스템의 제 5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고, 동시에 본 발명의 피제어 기기 및 제어장치에 대한 동작도 설명한다.
사용자는 제어장치(500)의 모드 전환수단(103)을 이용하여 제어장치(500)를 기능기술 전송모드로 설정하고, 제어장치(500)의 기능기술 보유수단(101)의 기능기술을 기기(200)의 기능기술 전개수단(110)에 전송한다. 기능기술은 제어장치(500)의 기능기술 보유수단(101)으로부터 통신수단(31), 통신매체(20) 및 기기(200)의 통신수단(31)을 통해 기능기술 전개수단(110)에 전송된다. 기능기술 전개수단(110)은 이것을 기능으로 전개하여 제어수단(l5)에 기능 추가한다.
이상의 본 실시의 제 5 실시예를 실현하는 구체적인 구성을 도 13에 도시한다. 도 13의 구성에서는 기기(200)의 기능기술 보유수단(101)은 비휘발성 메모리(703)에 보유되고, 제어수단(15)과 기능기술 전개수단(110)은 소프트웨어 형식으로 ROM(701)에 저장되어 있으며, CPU(700)가 이 제어수단(15)과 기능기술 전개수단(110)을 실행한다. 실행 동작시의 연산결과의 저장이나 버퍼영역은 RAM(702)으로 구성된다. 기능을 실제로 실현하는 하드웨어는 입출력 포트(704)에 접속되는 주변 하드웨어(705)로 실현된다. 그렇지만 이 구성을 기기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함으로써 하드웨어에 의존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에만 의존하는 기능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제 5 실시예에 의하면, 기기의 기능은 제어장치에 기능기술 보유수단을 구비하여 이것을 통신을 통해 기기에 구비하는 기능기술 전개수단에 전송하고, 기능으로 전개하여 제어수단에 신기능으로서 추가함으로써 기기를 새롭게 구입하지 않고 통신을 통해 버전 업하는 것만으로 갱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기기의 기능이 기술하고 보유되는 기능기술 보유수단을 구비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보유내용을 변경함으로써 제어내용을 변경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기능기술 보유수단에 보유되는 기능의 기술을 헤더와, 기능의 동작을 규정하는 동작규정과, 기능을 제어하는 버튼의 속성을 규정하는 관리속성과, 기능이 동작하는 동작조건으로 분류하고, 기술되는 기능기술 포맷문의 형식으로 기기의 기능이 기술되기 때문에 기능을 일률적으로 기술하고 설명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기기에 상기 기능기술을 해석하여 설치하는 기능기술 해석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제어내용을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기기에 기능기술 전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기기의 기능을 갱신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어장치에 상기 기능기술 보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능기술 보유수단에 보유되어 있는 상기 기능기술을 상기 기기의 상기 기능기술 전개수단에 전송함으로써, 제어장치로부터 원격적으로 기기의 기능을 변경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설정이 종래에 비해 더 한층 간단하게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기의 변경에 대하여 제어장치가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거나 또는 제어장치의 변경에 대하여 피제어 기기가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자기 어드레스 정보가 본 발명의 조합정보에 포함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예를 들면, 자기 어드레스 정보 대신에 정보중의 하나는 조합정보에 기기의 발생과 설정 상태가 포함되는 것이 허용된다. 또한 자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정보의 3개중에서 2개를 선택하거나 3개 모두가 포함되는 것도 허용된다. 이 경우 정보에는 기기 제조자의 성명을 포함하는 기기의 발생과, 기기의 종류(예를 들면 에어컨, 조명장치 또는 텔레비전), 기기의 일련번호(제조번호), 모델명(제품명) 및 기기의 기능(즉 에어컨인 경우 냉각, 가열 및 제습기능)을 나타낼 필요가 있다. 또 상기 정보에는 기기 소유자를 포함하는 기기의 설정상태(예를 들면 형의 개인용 컴퓨터이거나 동생의 CD 플레이어), 기기의 설치 장소(예를 들면 주방, 거실 또는 침실), 기기의 설정 구역(즉 에어컨이 설치된 거실 구역) 및 기기의 별칭(즉 에어컨 번호 1, 에어컨 번호 2 또는 아무개씨의 개인용 컴퓨터)을 나타낼 필요가 있다.
상술한 모든 실시예 중에서 각 요소는 소프트웨어 또는 전용 하드웨어로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에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설명된 각 단계 또는 수단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기록된 각 단계 또는 수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컴퓨터로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상의 기록 매체를 준비하거나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통해 각종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2)

  1.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피제어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에 대응하는 피제어 기기 사이에서 복수의 조합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보관리 센터가 상기 복수의 조합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송신하라는 송신요구를 수신한 경우, 상기 송신요구에 따라 상기 조합정보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로 그 조합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 기기.
  2.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에 대응하는 피제어 기기 사이에서 복수의 조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보관리 센터가 상기 복수의 조합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송신하라는 송신요구를 수신한 경우, 상기 송신요구에 따라 상기 조합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로 그 조합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3.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에 대응하는 피제어 기기 사이에서 복수의 조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보관리 센터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 센터는 상기 복수의 조합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송신하라는 송신요구를 수신한 경우, 상기 송신요구에 따라 상기 조합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로 그 조합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 센터.
  4.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피제어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에 대응하는 피제어 기기 사이에서 복수의 조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보관리 센터가 미리 결정된 타이밍에 상기 조합 정보를 그 조합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 기기.
  5.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에 대응하는 피제어 기기 사이에서 복수의 조합 정보를 복수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보관리 센터가 미리 결정된 타이밍에 상기 조합정보를 그 조합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6.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에 대응하는 피제어 기기 사이에서 복수의 조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보관리 센터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 센터는 미리 결정된 타이밍에 상기 조합 정보를 그 조합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 센터.
  7. 제어대상이 되는 피제어 기기와,
    상기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에 대응하는 피제어 기기 사이에서 복수의 조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보관리 센터를 구비하며,
    상기 정보관리 센터는 상기 복수의 조합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송신하라는 송신요구를 수신한 경우, 그 송신요구에 따라 상기 조합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로 그 조합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
  8. 제어대상이 되는 피제어 기기와,
    상기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에 대응하는 피제어 기기 사이에서 복수의 조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보관리 센터를 구비하며,
    상기 정보관리 센터는 미리 결정된 타이밍에 상기 조합 정보를 그 조합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기기가 설치되었을 때 그 취지의 신호를 발신하는 설정신호 발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정보관리 센터에 대하여 상기 송신요구가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기기가 설치된 것을 검지하는 설치 검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설치 검지수단에 의해 상기 검지가 수행되었을 때, 상기 정보관리 센터에 상기 송신요구가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
  11.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제어장치 및 상기 피제어 기기에 관하여 적어도 설치장소를 구별하는 설정 ID 코드와, 상기 제어장치 또는 피제어 기기의 종류 및/또는 번호를 구별하는 종류 및 번호 ID 코드로 구성되는 자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정보는 상기 설정 ID 코드가 같은 상기 제어장치 및 상기 피제어 기기의 시스템 구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기 조합 정보가 상기 제어장치로 송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유지하는 시스템구성 보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조합 정보는 상기 송신요구가 수신된 경우 상기 시스템 구성 보유수단 또는 상기 정보관리 센터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설정 ID 코드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상기 조합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시스템 구성 보유수단을 갖는 외부 통신장치와, 상기 외부 통신장치와 상기 정보관리 센터를 접속하는 외부 통신매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통신장치 내의 상기 시스템구성 보유수단에 필요한 정보가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외부 통신매체를 통해 상기 정보관리 센터 내의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시스템구성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
  14. 제 7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장치에 송신되어 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내용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정보의 선택을 지정하는 입력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에 보유되어 있는 피제어 기기의 어드레스 정보의 내용은 상기 표시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선택되고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 센터의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외부 통신장치로부터의 액세스에 의해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
  16. 제 13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 센터 및 상기 외부 통신장치는 상기 외부 통신매체 상의 송신내용을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수신내용을 해독하기 위한 암호화/암호해독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
  17. 제 7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매체에 접속되는 상기 피제어 기기 및/또는 상기 제어장치에는 상기 통신매체 상의 통신을 정당한 단말사이에서만 성립시키는 단말 인증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설정 가능 통신 시스템.
  18.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피제어 기기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기기에는 상기 피제어 기기의 기능정보가 보유되는 제 1 기능정보 보유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제어 기기에 대하여 상기 보유되어 있는 기능정보의 송신요구가 발신된 경우, 그 송신요구에 따라 요구된 기능정보가 상기 제어장치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 기기.
  19.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기기에는 상기 피제어 기기의 기능정보가 보유되는 제 1 기능정보 보유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제어 기기에 대하여 상기 보유되어 있는 기능정보의 송신요구가 발신된 경우, 그 송신요구에 따라 상기 피제어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기능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20. 제어대상이 되는 피제어 기기와, 상기 피제어 기기를 통신매체를 통해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기기에는 상기 피제어 기기에 대한 기능정보를 보유하는 제 1 기능정보 보유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제어 기기에 대하여 상기 보유되어 있는 기능정보의 송신요구가 발신된 경우, 그 송신요구에 따라 요구된 기능정보가 상기 제어장치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 시스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정보는 헤더와, 상기 피제어 기기의 기능의 동작을 규정하는 동작규정과, 상기 기능을 제어하는 버튼의 속성을 규정하는 관리속성과, 상기 기능이 동작하는 동작조건으로 분류되어 기술되는 기능기술 포맷문의 형식으로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 시스템.
  22. 제 20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에는 상기 피제어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과,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내용을 발생시키는 제어내용 발생수단과, 상기 기능정보의 해석에 따라서 상기 제어내용을 설정하는 기능기술 해석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 시스템.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기술 해석수단은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기기의 상기 기능기술 보유수단에 의해 보유되어 있는 상기 기능정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 시스템.
  24. 제 20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기기에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온 기능정보를 기능으로 전개하여 상기 피제어 기기의 기능으로서 추가시키는 기능정보 전개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 시스템.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기능정보는 상기 제어장치에 설치된 제 2 기능정보 보유수단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 시스템.
  2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기록된 각 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27. 제 2항 또는 제 5항에 기록된 각 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28. 제 3항 또는 제 6항에 기록된 각 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29. 제 7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록된 각 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30. 제 18항에 기록된 각 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31. 제 19항에 기록된 각 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32. 제 20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록된 각 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KR10-1998-0039831A 1997-09-25 1998-09-25 피제어기기,제어장치,정보관리센터,초기설정가능통신시스템,통신제어시스템및매체 KR100491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60708 1997-09-25
JP26070897A JP3980131B2 (ja) 1997-09-25 1997-09-25 制御装置、初期設定可能通信システム、及び初期設定可能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9-260708 1997-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117A true KR19990030117A (ko) 1999-04-26
KR100491339B1 KR100491339B1 (ko) 2005-08-05

Family

ID=1735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831A KR100491339B1 (ko) 1997-09-25 1998-09-25 피제어기기,제어장치,정보관리센터,초기설정가능통신시스템,통신제어시스템및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6584364B1 (ko)
EP (1) EP0905590B1 (ko)
JP (1) JP3980131B2 (ko)
KR (1) KR100491339B1 (ko)
DE (1) DE69828670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773B1 (ko) * 2007-10-26 2009-1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피제어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기 제어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0131B2 (ja) * 1997-09-25 2007-09-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制御装置、初期設定可能通信システム、及び初期設定可能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EP1031898A3 (en) 1999-02-26 2007-11-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system with initialization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medium
DE19961460A1 (de) * 1999-12-20 2001-06-21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System zur Visualisierung von Betriebszustands- und/oder Steuerinformationen
US20030107471A1 (en) * 2000-11-30 2003-06-12 Nobuhiro Tsubone House code setting method and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JP3939104B2 (ja) * 2001-03-29 2007-07-04 三洋電機株式会社 通信設定支援方法及び通信設定支援システム
KR100452349B1 (ko) * 2001-10-15 2004-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셋팅방법
KR100437042B1 (ko) 2002-03-20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25129B1 (ko) * 2002-04-01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선로를 공유하는 다수의 홈 네트워크 구분방법
US6889207B2 (en) * 2002-06-18 2005-05-03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Content control in a device environment
US6795404B2 (en) * 2002-06-18 2004-09-21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Device for aggregating, translating, and disseminating communications within a multiple device environment
US7039698B2 (en) 2002-06-18 2006-05-02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Notification device interaction
US7016888B2 (en) 2002-06-18 2006-03-21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Learning device interaction rules
FR2841016B1 (fr) * 2002-06-18 2004-09-10 Somfy Procede de configuration d'un reseau d'elements de commande d'equipements
DE10229636A1 (de) * 2002-07-02 2004-01-22 Siemens Ag System und Verfahren zur direkten Kommunikation zwischen Automatisierungsgeräten
JP3827092B2 (ja) * 2003-10-22 2006-09-27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設定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設定方法ならびに設定プログラム
JP2006302297A (ja) * 2003-10-22 2006-11-02 Omron Corp 制御システム設定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設定方法ならびに設定プログラム
US7587238B2 (en) * 2005-03-11 2009-09-08 Cardiac Pacemakers, Inc. Combined neural stimulation and 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JP4656336B2 (ja) * 2006-05-24 2011-03-23 オムロン株式会社 Plc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開発支援装置
WO2008039759A2 (en) * 2006-09-25 2008-04-03 Intelligent Management System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management
US8661165B2 (en) 2008-10-27 2014-02-25 Lennox Industries, Inc. Device abstraction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 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EP2233991A1 (de) 2009-03-25 2010-09-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Sicherheitsgerichtetes Automatisierungssystem mit automatischer Adresswiederherstellung
TWI428756B (zh) * 2010-02-08 2014-03-01 Hon Hai Prec Ind Co Ltd 主從設備通訊電路
JP6362821B2 (ja) * 2012-05-18 2018-07-25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命令セット
CN102945006B (zh) * 2012-10-22 2015-03-11 华中科技大学 一种用于光材料加工的参数调节和显示装置
CN106016591B (zh) * 2016-05-20 2019-04-02 深圳创维空调科技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0765A (en) * 1986-04-30 1990-03-20 Ricoh Company, Lt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having a relaying function
GB8705892D0 (en) * 1987-03-12 1987-04-15 Security Services Plc Keys
FR2640785B1 (fr) * 1988-12-15 1991-02-08 Europ Rech Electr Lab Procede d'immatriculation d'un organe dans un reseau dont au moins une partie est constituee d'un canal ouvert
US5131087A (en) * 1988-12-29 1992-07-14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Computer system hav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distributing data records stored therein
DE69024638T2 (de) * 1990-05-21 1996-05-15 Hewlett Packard Gmbh Aktivierungsschaltung
US5325505A (en) * 1991-09-04 1994-06-28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Intelligent storage manager for data storage apparatus having simulation capability
US5544036A (en) * 1992-03-25 1996-08-06 Brown, Jr.; Robert J. Energy management and home automation system
JPH05276178A (ja) 1992-03-27 1993-10-22 Hitachi Ltd ホームバスシステム
ES2198407T3 (es) * 1992-09-30 2004-02-01 Motorola, Inc. Sistema de distribucion de mensajes de correo electronico.
US5831852A (en) * 1992-12-14 1998-11-03 Carri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 control program into a refrigeration system
US5548782A (en) * 1993-05-07 1996-08-20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transferring of data with peripheral device for period of time in response to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the device with the apparatus
JP3549003B2 (ja) * 1993-08-31 2004-08-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送出装置および情報送出/受信システム
US5539880A (en) * 1993-09-28 1996-07-23 Lakhani; Abdul-Malik H. Cable-based interactive multimedia workstation network
US5621662A (en) * 1994-02-15 1997-04-15 Intellinet, Inc. Home automation system
FR2718312B1 (fr) * 1994-03-29 1996-06-07 Rola Nevoux Procédé d'authentification combinée d'un terminal de télécommunication et d'un module d'utilisateur.
US5572438A (en) * 1995-01-05 1996-11-05 Teco Energy Management Services Engery management and building automation system
JPH09185385A (ja) * 1995-11-02 1997-07-15 Victor Co Of Japan Ltd 音楽情報の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並びに音楽情報再生装置
US5732074A (en) * 1996-01-16 1998-03-24 Cellport Labs, Inc. Mobile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309567A (en) * 1996-01-29 1997-07-30 Michael John Watson Wide area control system
US5875430A (en) * 1996-05-02 1999-02-23 Technology Licensing Corporation Smart commercial kitchen network
US5996030A (en) * 1996-12-31 1999-11-30 Emc Corporation System for providing an interrogating host computer with group status information about disk devices including status information regarding disk devices not accessible to said host
US5909430A (en) * 1996-12-31 1999-06-01 Northern Telecom Limited Address assignment in an ATM switched network
JP3980131B2 (ja) * 1997-09-25 2007-09-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制御装置、初期設定可能通信システム、及び初期設定可能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H11175626A (ja) * 1997-12-12 1999-07-02 Uiru Net Kk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
JP3863574B2 (ja) * 1998-05-20 2006-12-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および被制御装置
JP2000047925A (ja) * 1998-07-31 2000-02-18 Nec Corp 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情報サービス方法、並びに記録媒体
EP1031898A3 (en) * 1999-02-26 2007-11-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system with initialization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773B1 (ko) * 2007-10-26 2009-1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피제어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기 제어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80131B2 (ja) 2007-09-26
DE69828670D1 (de) 2005-02-24
KR100491339B1 (ko) 2005-08-05
EP0905590A3 (en) 2000-12-13
EP0905590B1 (en) 2005-01-19
US6584364B1 (en) 2003-06-24
US7092769B2 (en) 2006-08-15
US20030191542A1 (en) 2003-10-09
US20030191543A1 (en) 2003-10-09
DE69828670T2 (de) 2005-06-16
US7043571B2 (en) 2006-05-09
JPH11103309A (ja) 1999-04-13
EP0905590A2 (en) 1999-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339B1 (ko) 피제어기기,제어장치,정보관리센터,초기설정가능통신시스템,통신제어시스템및매체
US20030001721A1 (en) Authentication of remote appliance messages using an embedded cryptographic device
JP4841326B2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050201393A1 (en) Server apparatus, network-based appliance, and program product
US20030100962A1 (en)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home gateway
US101423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users registering home network supporting application based device
KR20160072178A (ko) 에이전트 디바이스에 대한 신뢰된 신원을 확립하는 방법
JPWO2002093826A1 (ja) 電子機器制御装置
US9538375B2 (en) Method for configuring wireless connection settings,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030082460A (ko) 통신장치, 통신방법 및 통신프로그램
JP2002354556A (ja) 制御装置への被制御装置の登録方法および制御システム
KR20140044215A (ko) 인터넷을 통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의 서버 인증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증장치
JP5496393B1 (ja) 宅内機器及び遠隔制御システム
JP2002290606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機器の選択方法
JP2002290416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機器の選択方法
KR102227505B1 (ko) 와이파이를 제공하는 억세스 포인트에 연결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02291039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機器の選択方法
WO2015149004A1 (en) Network node security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JP3974233B2 (ja) 被制御機器、制御装置、初期設定可能通信システム及び媒体
US20190349348A1 (en) Registry apparatus, agent device, applic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corresponding methods
KR20180054157A (ko) 신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단말 관리 방법 및 장치
EP4017044B1 (en) Network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device
KR20180000212A (ko)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보일러 제어 방법 및 단말 장치
KR100997265B1 (ko)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
CN112449441A (zh) 家电系统和家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