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090A - 2개의 부재 연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2개의 부재 연결용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30090A KR19990030090A KR1019980039600A KR19980039600A KR19990030090A KR 19990030090 A KR19990030090 A KR 19990030090A KR 1019980039600 A KR1019980039600 A KR 1019980039600A KR 19980039600 A KR19980039600 A KR 19980039600A KR 19990030090 A KR19990030090 A KR 199900300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member
- axial bore
- connector
- insert portion
- r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8—Flexible shafts; Clutches or the like; Bearings or lubricating arrangements; Drives or transmiss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Endoscop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개시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제1 부재상에 제공되고 그 외부표면에 홈을 가지는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서트부와, 인서트부를 동심으로 수용하기 위한 제2 부재 내의 축선방향보어와, 축선방향보어 내에 수용되고, 축선방향보어를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축선방향보어에 대한 편심 및 동심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링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링부재는 제1 및 제2 부재를 연동시키기 위한 상기 편심위치에 있을 때 축선방향보어 내에 수용된 인서트부의 홈 내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2개의 부재를 함께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예를 들어 치과용 핸드피스의 핸드피스 본체 및 모터 케이싱과 같은 2개의 부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그 헤드부에 치과처치공구를 지지하는 핸드피스 본체와 이 공구에 구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케이싱과의 사이에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치과용 핸드피스에 사용되는 종래의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ISO3964-1977(국제규격)에 따른 E-타입 커넥터 또는 커플러 커넥터를 채용하고 있다.
도 7은 종래의 E-타입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다. 모터 케이싱(70)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인서트부(71)는 핸드피스 본체(60)의 후단부에서 덮개부(61) 내에 삽입되어 수용되고, 그 후단부에서의 인서트부(71)의 외부표면은 그 후단부에서 덮개부(61)의 내부표면 상의 환형스텝(62)에 맞물리고, 이에 따라 본체(60)와 케이싱(70) 사이에 연결을 제공한다. 모터출력을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63, 73)도 서로 연결된다. 본체(60)는 노브(74)를 가압함으로써 케이싱(70)으로부터 분리되어, 스프링에 의하여 항상 방사상 외측으로 가압되는 후크(72)가 방사상 내측으로 변위되고 스텝(62)과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된다. 이 위치에서, 핸드피스 본체(60)는 모터 케이싱(70)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8은 또 다른 종래의 커넥터, 즉 커플러 연결을 도시한다. 핸드피스 본체(80)의 후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인서트부(81)는 모터 케이싱(90)의 선단부에서 덮개부(91)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동시에, 덮개부(91)의 내벽에 배열되는 볼(92)이 인서트(81)의 외부표면 상의 오목부(82) 내에 끼워맞춤되며, 이에 따라 본체(80)와 케이싱(90) 사이에 연결을 제공한다. 본체(80) 및 케이싱(90)의 커플링(83, 93)도 각각 서로 연결된다. 본체(80)는 케이싱(90) 상의 슬라이드 링(94)을 선단으로 미끄럼이동시키므로서 케이싱(90)으로부터 분리되어, 오목부(82)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의 볼(92)의 변위를 허용하고, 덮개부(91)로부터 인서트부(81)를 선단에서 물러나게 한다.
E-타입 커넥터에서, 커넥터를 구성하는 덮개부(61) 및 인서트부(71)는 필연적으로 긴 축선길이를 가지며 이것은 지나치게 긴 전체 핸드피스 길이를 가지게 한다. 커플링(63, 73)의 설계를 변경하더라도, 후크(72)가 그 선단부에서 환형스텝(72)에 또한 그 후단부에서 노브(74)에 맞물리기 때문에 커넥터의 단축은 후크(72)의 길이에 의하여 제한된다. 따라서, 전체 핸드피스의 축선길이에 있어서의 감소는 제한을 받는다.
커플러 연결에서도, 연결부분의 단축은 슬라이드 링(94)의 축선변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커넥터보다 짧은 축선길이를 가지는, 핸드피스 본체 및 모터 케이싱과 같은 2개의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단계로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고, 종래의 커넥터와는 완전히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2개의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 본체 및 모터 케이싱이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 본체 및 모터 케이싱이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는 도 1의 치과용 핸드피스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모터 케이싱의 선단측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선 A-A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링부재의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링부재가 인서트부의 환형 홈 내에 끼워맞춤되는 방식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7은 종래의 E-타입 커넥터를 가지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일부 파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커플러 커넥터를 가지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일부 파단면도.
본 발명에 따라서, 제1 부재에 제공되고 그 외부표면에 홈을 가지는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서트부, 인서트부를 동심으로 수용하기 위한 제2 부재 내의 축선방향보어, 축선방향보어 내에 수용되고, 축선방향보어를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축선방향보어에 대한 편심 및 동심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링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링부재는 제1 및 제2 부재를 연동시키기 위한 상기 편심위치에 있을 때 축선방향보어 내에 수용된 인서트부의 홈 내에 끼워맞춤될 수 있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다양한 부재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커넥터는 바람직하게 치과용 핸드피스의 핸드피스 본체와 모터 케이싱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 커넥터는 복수의 단계로 감속비나 토크치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태양기어와 유성기어를 가지는 감속장치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부재는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서트부를 가진다. 인서트부의 구성은 설명될 제2 부재의 축선방향보어 내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한 축선길이를 가지는 한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인서트부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진다.
인서트부는 이하에 설명될 링부재와 잠금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외부표면에 홈을 가진다. 홈의 형상은 링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유지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홈은 환형 홈 또는 덴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홈의 단면이 링부재와 맞물리기 위한 표면을 제공하도록 직사각형인 것은 바람직하다.
제2 부재는 인서트부를 동심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부재를 통하여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를 가진다. 이 보어는 인서트부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직경을 가져야 한다.
이 보어에는, 링부재가 수용된다. 링부재는 축선보어를 가로지르는 평면에 위치되고, 이러한 평면의 축선방향보어에 대하여 편심 및 동심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하다.
링부재는 동심위치에 있을 때 인서트부의 통로를 통과하기에 충분히 큰 내경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링부재의 내경은 인서트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커서, 인서트부는 링부재를 통하여 원활하게 삽입되고 물러나게 되는 한편, 전체 커넥터의 직경은 최소치로 유지된다. 인서트부가 축선방향보어 내에 있고 링부재가 편심위치 내에 있을 때, 링부재의 내경 및 두께는 링부재의 일부가 인서트부와 링부재 사이, 즉 제1 및 제2 부재 사이의 연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인서트부 상의 홈에 끼워맞춤되도록 된다.
링부재의 내부 에지는 편심위치로부터 동심위치로 링부재를 변위시키는 부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경사진 내부에지 부분은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링부재를 동심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해서 인서트부가 축선방향보어 내로 전진됨에 따라 링부재를 향하는 인서트부의 에지 일부와 맞물림되어 합체된다. 여기에서 이 경사부는 경사진 내부에지의 상기 기능이 성취되는 한 둥글게 된 모서리 또는 다른 표면을 포함한다.
편심위치에 링부재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가압부재가 링부재에 가압력을 적용시키도록 채용될 수 있다. 가압부재는 축선방향보어를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링부재의 원주표면과 접하는 상태로 위치될 수 있고, 편심위치에 링부재를 탄성적으로 유지시키도록 링부재에 직경방향 힘을 계속해서 작용시킨다. 가압부재의 예는 고무부재 또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링부재는 축선방향보어를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가압부재에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링부재에 부착되거나 또는 일체로 만들어지는 동작부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부재로부터 멀리 링부재의 원주방향 표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동작부재를 가압하므로서, 링부재는 가압부재에 의하여 링부재에 적용되는 가압력에 대항하여 편심위치로부터 동심위치로 일시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동작부재는 로드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부재의 외부표면 상에서 동작노브를 형성한다.
링부재는 유지수단에 의하여 축선방향보어 내의 위치에 유지된다. 유지수단은 축선방향보어를 가로지르는 평면에 링부재를 유지시키고, 링부재의 원하지 않은 축선방향 이동을 막지만, 편심 및 동심위치 사이의 평면에서 링부재의 원활한 반경방향 변위를 허용한다.
바람직하게 유지수단은 링부재의 변위 평면을 포함하는 축선방향보어의 방사상 확장부분의 형상으로 된다. 이 확장부분은 축선방향보어의 나머지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링부재의 원하지 않은 축선방향 변위를 막기 위하여 링부재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약간 넓은 폭을 가진다. 확장부분의 단면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축선방향보어에 대한 동심위치에서의 링부재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확장부분은 링부재에 대한 멈춤부를 제공하기 위한 동심위치에 있을 때 링부재의 원주방향 표면의 일부와 접촉하는 벽을 가진다.
또한, 확장부분은 가압부재를 수용하기 위하여 원주방향 벽에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시 제1 및 제2 부재의 원주방향 정렬은 제1 부재 상에 제공되는 정렬핀 및 제2 부재 내에 제공되는 정렬구멍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정렬구멍 내로의 정렬핀의 끼워맞춤은 제1 및 제2 부재의 자동적인 원주방향 정렬을 제공한다.
다음에, 제1 및 제2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동작의 예가 이하에 설명된다.
제1 및 제2 부재를 연결하기 전에, 축선방향보어를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링부재는 가압부재에 의하여 적용되는 가압력에 의해 편심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인서트부가 축선방향보어 내로 삽입될 때, 우선 링부재를 향하는 인서트부의 에지 일부는 링부재의 바람직하게 경사진 내부에지 일부와 접촉된다. 에지가 링부재와 맞물리는 상태로 인서트부가 더욱 전진됨에 따라, 링부재는 가압력에 대항하여 동심위치로 자동적으로 변위된다. 바람직하게, 링부재의 원주방향 표면의 일부는 동심위치에서 링부재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또한 링부재의 우발적인 변위를 막기 위해서 축선방향보어의 멈춤부에 접촉된다. 동심위치에서의 링부재로, 인서트부는 링부재를 통하여 전진되게 된다.
인서트부 상의 홈이 링부재와 정렬될 때, 링부재는 가압부재에 의하여 적용되는 가압력으로 인하여 편심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되고, 링부재의 일부는 링부재에 대하여 인서트부를 잠그도록 홈 내에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잠금은 인서트부의 축선방향 이동을 막아, 제1 및 제2부재의 확실한 연결을 제공한다.
2개의 부재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링부재는 가압력에 대항하여 동작부재를 수동으로 가압하므로서 바람직하게 동심위치로 일시적으로 변위된다. 동심위치에서의 링부재로, 인서트부는 링부재를 통하여 축선방향보어로부터 물러나오게 되어, 제1 및 제2 부재를 분리시킨다.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 부재는 분리를 위하여 설명된 방식으로, 즉 가압력에 대항하여 동작부재를 수동으로 가압하므로서 동심위치로 링부재를 일시적으로 변위시키므로서 연결될 수도 있다. 동심위치에서의 링부재로, 인서트부는 링부재를 통하여 축선보어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동작부재는 그 후 해제되어 상기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인서트부를 잠그도록 편심위치로 링부재를 탄성적으로 복귀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서, 링부재의 잠금 및 풀림작용이 축선방향보어를 가로지르는 단일평면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축선길이는 현저히 감소된다.
또, 편심위치로 링부재를 가압시키는 가압부재 및 가압력에 대항하는 동심위치로 링부재를 변위시키도록 인서트부와 합체되는 링부재의 경사진 내부에지로서, 제1 및 제2 부재의 연결은 링부재를 통하여 인서트부를 간단하게 삽입시키므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분리된 상태로 도시된, 핸드피스 본체(10)와 모터 케이싱(20)으로 구성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이 본체(10)는 그 선단부에 치과처치공구(30)를 유지하는 헤드(10')를 가지고 있다. 이 공구(30)는 케이싱(20)에 수용된 모터(도시생략)에 의하여 발생되고 샤프트 및 톱니바퀴(도시생략)와 같은 모터출력 전달부재를 통해 공구(30)로 전달되는 토크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구동된다. 핸드피스는 케이싱(20)의 후단부에서 치과용 호스(도시생략)에 의하여 유체원 및 광원으로서 작용되는 치과용 유니트(도시생략)에 연결된다. 공기 및 물과 같은 유체는 핸드피스를 통하여 제공되는 유체통로(16, 16', 17, 17')를 통해 헤드로 전달되어, 칩공기 또는 냉각수로서 치료부분에 분사된다. 마찬가지로, 빛은 핸드피스를 통하여 제공되는 광통로(18, 18')를 통해 전달되어, 치료부분을 비추기 위해서 조사된다. 그러므로, 본체(10)와 케이싱(20)의 연결은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모터출력 전달부재 사이, 유체통로 사이 및 광통로 사이의 연결에 관련된다.
이 실시예에서, 본체(10) 및 케이싱(20)은 각각 본 발명의 커넥터와 함께 연결되는 제1 및 제2 부재이다.
핸드피스 본체(10)는 그 후단부에 하우징부(10)를 가진다. 하우징부(10)의 후단부면의 바깥에는 원통형상이고 외부표면 상에 환형홈(12)을 가지는 인서트부(11)가 축선방향으로 돌출된다. 하우징부(10)의 내벽과 인서트부(11)의 외벽 사이에는 환형공간(13)이 형성된다. 인서트부(11) 상의 환형공간(13) 내에는 정렬핀(14)이 제공된다.
모터 케이싱(20)은 인서트부(11)를 동심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케이싱(20)을 통하여 연장되는 축선방향보어(21)를 구비하고 있다. 축선방향보어(21)의 선단부에는 케이싱(20)의 선단부면 상에 배치되는 환형돌출부(23)가 동심으로 제공된다. 이 돌출부(23)는 하우징부(10) 내의 환형공간(13)에 끼워맞춤되고, 하우징부(10) 내에 정렬핀(14)을 수용하기 위한 정렬구멍(24)을 가진다.
도 3은 모터 케이싱(20)의 선단측단면을 도시하고, 도 4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 동일한 케이싱(2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축선방향보어(21)는 링부재(22)를 수용하기 위하여 그 내부표면에 환형채널(27)을 구비한다. 이 환형채널(27)은 축선방향보어(21)의 나머지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이 채널(27)의 베이스 부분은 스프링(25)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28)을 형성하도록 더욱 오목해져 있다. 관통구멍은 모터 케이싱(20)의 벽으로부터 채널(27)의 베이스 내의 구멍(28)에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제공된다.
링부재(22)는 경사진 선단 내부에지(22')를 가지고 있으며, 링부재(22)의 외주표면에는 동작부재로서 작동하는 노브(26)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단부에서 부착된다. 노브(26)가 그 외부단부에서 케이싱(20) 밖으로 관통구멍을 통하여 돌출되는 상태로, 링부재(22)는 채널(27) 내에 수용된다.
스프링(25)은 노브(26)에 직경방향으로 대향되는 구멍(28) 내에 위치되고, 축선방향보어(21)의 축선에 대하여 약간 편심되게 링부재(22)를 유지하기 위해서 직경방향으로 링부재(22)를 가압시킨다(도 4). 이러한 위치에서, 링부재(22)의 일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방향보어(21)의 내벽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된다. 케이싱(20)의 외측으로부터 노브(26)를 가압하므로서, 링부재(22)는 축선방향보어(21)와 동심이 되도록 스프링(2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일시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링부재(22)의 내벽은 축선방향보어(21)의 내벽과 일치되어 동일면으로 된다.
핸드피스 본체(10)와 모터케이스(20)의 연결은 케이싱(20) 내의 축선방향보어(21) 내로 본체(10) 상의 인서트부(11)를 삽입하므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정렬핀(14)은 정렬구멍(24)과 정렬되어 삽입되고, 이에 따라 축선방향 및 원주방향 양쪽으로 본체(10)와 케이싱(20)을 자동적으로 정렬시킨다. 이러한 동작은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6은 합체된 노브(26) 및 채널(27)의 일부 뿐만 아니라 인서트부(11)의 일부가 도시의 명확성을 위하여 제거된 상태로 본체(10)와 케이싱(20) 사이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인서트부(11)와 링부재(22)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링부재(22)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채널(27) 내에서 편심위치에 있는 상태로, 본체(10) 상의 인서트부(11)가 환형돌출부(23)를 통하여 축선방향보어(21) 내로 삽입되면, 우선 인서트부(11)의 인접에지(11')는 스프링(25)에 의하여 적용되는 가압력에 대항하여 링부재(22)를 변위시키도록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부재(22)의 경사진 선단 내부에지(22')에 우선 접촉된다. 도 6b에서, 이러한 변위는 화살표로 표시되는 하향이동으로 도시된다. 인서트부(11)가 후단 전진으로, 링부재(22)의 중앙구멍을 통하여 인서트부(11)가 진행되도록 링부재(22)는 축선방향보어(21)와 동심으로 될 때까지 더욱 변위된다.
인서트부(11)가 링부재(22)를 통하여 후단으로 더욱 전진됨에 따라, 인서트부(11)의 외부표면 상의 환형홈(12)은 링부재(22)와 정렬되어, 링부재(22)의 일부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홈(12)의 일부 내에 끼워맞춤되는 상태로, 링부재(22)가 스프링(25)에 의하여 최초 편심위치로 가압된다. 인서트부(11) 상의 환형홈(12) 내로의 링부재(22)의 이러한 끼워맞춤은 환형홈(12)의 계단식 벽과 링부재(22)의 후단부면의 맞물림과 함께 서로에 대한 핸드피스 본체(10) 및 모터 케이싱(20)의 축선방향 이동을 저지하여, 본체(10)와 케이싱(20)을 확실하게 연결한다.
확실하게 연결된 본체(10)와 케이싱(20)은 동심위치로 링부재(22)를 변위시키도록 노브(26)를 가압시켜 케이싱(20)으로부터 본체(10)를 분리시키도록 축선방향보어(21)로부터 인서트부(11)를 물러나게 하므로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체(10)와 케이싱(20) 사이의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연결은 커넥터에서의 모터출력 전달부재 사이, 유체통로 사이, 및 광통로 사이의 연결에 의하여 수반된다. 예를 들어 모터출력 전달부재는 전달부재의 연결단부에 제공되는 기어(15)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연결된다. 이 기어(15)는 인서트부(11) 및 축선방향보어(21) 내에 위치되어, 기어(15)는 본체(10)와 케이싱(20)을 연결시키자마자 맞물리게 된다. 그러한 기어 연결은 도 7 및 도 8의 종래의 커플링(63, 73; 83, 93)에서 요구되던 축선방향 공간에 대한 요구를 제거한다.
유체통로 및 광통로는 또한 종래 방식으로 성취될 수 있는, 케이싱(20)에 대한 본체(10)의 연결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내의 칩공기 파이프(16) 및 물 파이프(17)는 케이싱(20) 내의 칩공기 구멍(16') 및 물 구멍(17')에 직접적으로 단단하게 연결된다. 본체(10) 내의 광섬유(18)는 광 연통을 제공하도록 케이싱(20) 내의 광섬유(18')에 직접적으로 단단하게 인접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부재를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제1 부재인 인서트부를 제2 부재인 축선방향보어에 삽입하였을 때, 탄성부재의 가압에 의해서 보통 편심위치에 위치하는 링부재를 상기 가압에 저항하여 동심위치로 변위시키고, 링부재의 안쪽에 인서트부의 오목한 부분이 대향될 때, 링부재가 편심위치로 자동복귀하여 오목한 부분과 끼워맞춤되고, 이 끼워맞춤에 의해서 제1 및 제2 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하여 링부재를 일시적으로 동심위치로 하여, 제1 및 제2 부재를 서로 분리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부재 사이의 연결 및 그 해제에 실질적으로 이용되는 링부재, 탄성부재 및 조작부재를 동일한 직경방향면 내에 배열설치하므로서, 커넥터의 축방향 길이를 종래의 커넥터에 비하여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링부재의 내주전단에 경사부를 설치하여 인서트부의 선단이 경사부와의 접촉을 통해 링부재를 탄성부재의 가압에 대항하여 동심위치로 자동적으로 변위시키도록 하고, 계속해서 오목한 부분에 대향하는 링부재가 편심위치로 자동복귀하기 때문에, 단지 인서트부를 축선방향보어에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제1 및 제2 부재를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커넥터와의 현저한 구성의 상이에 의해서 제1 및 제2 부재 사이의 커넥터에 이바지하는 기술을 풍부화할 수 있다.
Claims (11)
-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제1 부재에 제공되고 그 외부표면에 홈을 가지는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서트부와,인서트부를 동심으로 수용하기 위한 제2 부재 내의 축선방향보어와,축선방향보어 내에 수용되고, 축선방향보어를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축선방향보어에 대한 편심 및 동심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링부재로 구성되며,상기 링부재는 제1 및 제2 부재를 연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편심위치에 있을 때 축선방향보어 내에 수용된 인서트부의 홈 내에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편심위치에 링부재를 유지시키도록 링부재에 가압력을 적용시키기 위한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링부재의 원주방향 표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된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동심 및 편심위치 사이에서 링부재의 반경방향 변위를 허용하기 위해서 또한 링부재의 축선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축선방향보어 내의 상기 평면에 링부재를 유지시키는 유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동심 및 편심위치 사이에서 링부재의 반경방향 변위를 허용하기 위해서 또한 링부재의 축선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축선방향보어 내의 상기 평면에 링부재를 유지시키는 유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축선방향보어의 방사상 확장부분이고, 상기 확장부분은 축선방향보어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링부재를 수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분은 가압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링부재에 대한 인서트부의 삽입 및 물러남을 허용하기 위해 가압부재에 의하여 적용되는 가압력에 대항하여 편심위치로부터 동심위치로 링부재를 변위시키기 위한 변위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수단은 가압부재에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링부재 상에 제공되는 동작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2 부재 밖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링부재가 편심위치에 있을 때 인서트부와 맞물리도록 제1 부재를 향하는 경사진 내부에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변위수단은 링부재의 상기 경사진 내부에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부재 상에 제공되는 정렬핀 및 제2 부재 내에 제공되는 정렬구멍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렬핀은 제1 및 제2 부재의 원주방향 정렬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정렬구멍 내에 끼워맞춤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7-258195 | 1997-09-24 | ||
JP9258195A JP3060211B2 (ja) | 1997-09-24 | 1997-09-24 | 部材間接続部構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0090A true KR19990030090A (ko) | 1999-04-26 |
KR100300667B1 KR100300667B1 (ko) | 2001-09-06 |
Family
ID=17316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39600A KR100300667B1 (ko) | 1997-09-24 | 1998-09-24 | 2개의부재연결용커넥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0905432B1 (ko) |
JP (1) | JP3060211B2 (ko) |
KR (1) | KR100300667B1 (ko) |
AT (1) | ATE315199T1 (ko) |
DE (1) | DE69833077T2 (ko) |
TW (1) | TW388709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8461B1 (ko) * | 2010-02-01 | 2011-09-28 | (주)덴토스 | 치과용 수동 핸드피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412322B (de) * | 2002-12-20 | 2005-01-25 | W & H Dentalwerk Buermoos Gmbh | Schnellkupplung zur verbindung von geräten eines medizinischen oder chirurgischen handstücksystems mit einem versorgungsschlauch |
WO2008144552A1 (en) * | 2007-05-17 | 2008-11-27 | Pro-Dex, Inc. | Handheld medical device |
WO2011085392A1 (en) | 2010-01-11 | 2011-07-14 | Pro-Dex, Inc. | Handheld medical device with thermal padding |
WO2011141441A1 (fr) * | 2010-05-12 | 2011-11-17 | Bien-Air Holding Sa | Dispositif d'accouplement entre un moteur et une piece a main a usage dentaire ou chirurgical |
KR101399981B1 (ko) | 2013-05-21 | 2014-05-28 | 주식회사 세양 | 핸드피스의 연결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1673973B1 (ko) * | 2015-03-31 | 2016-11-08 | 주식회사 세양 | 핸드피스 |
US10026535B2 (en) * | 2015-12-31 | 2018-07-17 | Catch Latch, Llc | Mechanical magnetic connector structure |
CA3130448A1 (en) * | 2019-03-27 | 2020-10-01 | Pathy Medical, Llc | Lighting devices for handheld surgical instruments, holsters for surgical instruments with lighting devices and kits containing surgical instruments and lighting devices |
CN114046307A (zh) * | 2021-10-12 | 2022-02-15 | 许继集团有限公司 | 一种快速锁合及快速解锁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96448A (en) * | 1972-09-15 | 1974-03-12 | Acker Drill Co Inc | Quick acting connector for telescopically joined pipe ends and the like |
JP3152427B2 (ja) * | 1990-08-07 | 2001-04-03 | 株式会社ナカニシ | 歯科用ハンドピースのチャック装置 |
FR2705430B1 (fr) * | 1993-05-14 | 1995-06-30 | Legris Sa | Connecteur rapide. |
-
1997
- 1997-09-24 JP JP9258195A patent/JP306021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
- 1998-09-08 TW TW087114934A patent/TW388709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09-11 EP EP98117272A patent/EP090543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9-11 AT AT98117272T patent/ATE315199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09-11 DE DE69833077T patent/DE69833077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9-24 KR KR1019980039600A patent/KR10030066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8461B1 (ko) * | 2010-02-01 | 2011-09-28 | (주)덴토스 | 치과용 수동 핸드피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905432A2 (en) | 1999-03-31 |
ATE315199T1 (de) | 2006-02-15 |
KR100300667B1 (ko) | 2001-09-06 |
DE69833077D1 (de) | 2006-03-30 |
DE69833077T2 (de) | 2006-08-10 |
EP0905432B1 (en) | 2006-01-04 |
JP3060211B2 (ja) | 2000-07-10 |
TW388709B (en) | 2000-05-01 |
EP0905432A3 (en) | 2002-05-15 |
JPH1189856A (ja) | 1999-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382723B1 (en) | Pressure-tight plug coupling | |
US10042126B2 (en) | Ferrule polishing method of duplex optical connector plug | |
US8114118B2 (en) | Medical instrument | |
KR100300667B1 (ko) | 2개의부재연결용커넥터 | |
US4781085A (en) | Locking socket wrench extension | |
US5930424A (en) | Device for connecting a fiber optic cable to the fiber optic connection of an endoscope | |
US5928241A (en) | Quick connection method and device, and surgical instrument for driving interchangeable rotary tools | |
US6497516B1 (en) | Guide pin for optical fiber connectors and optical fiber connector plug | |
US5796898A (en) | Modular optical fiber connector | |
WO1999027291A1 (en) | High pressure fluidline connector | |
WO2005121567A1 (ja) | プラグ/ソケットアセンブリ | |
US6964435B2 (en) | Coupling for connecting hydraulic ducts | |
US20100054885A1 (en) | Adapter for operating a keyhole saw on a driving machine | |
JP4503547B2 (ja) | 光コネクタ | |
JP2009301051A (ja) | コネクタホルダおよびコネクタホルダ付き光コネクタ | |
US4951977A (en) | Arthroscopic sheath with quick coupling socket | |
EP0592559B1 (en) | Connection and control device for fluid machines | |
JP4409364B2 (ja) | コネクタホルダおよびコネクタホルダ付き光コネクタ | |
MXPA05010798A (es) | Adaptador de impulso flexible. | |
US6705766B2 (en) | Easy-to-mount optical connector system | |
JP2020101283A (ja) | 雌型結合要素、及び雄型結合要素と雌型結合要素とを備える流体継手 | |
CN212699021U (zh) | 施夹器的适配器、夹仓组件以及施夹器 | |
TWM636880U (zh) | 旋轉卡合式接頭 | |
JP3676498B2 (ja) | ホースコネクター | |
US5087080A (en) | Arthroscopic sheath with quick coupling sock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526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