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461B1 - 치과용 수동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치과용 수동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461B1
KR101068461B1 KR1020100009057A KR20100009057A KR101068461B1 KR 101068461 B1 KR101068461 B1 KR 101068461B1 KR 1020100009057 A KR1020100009057 A KR 1020100009057A KR 20100009057 A KR20100009057 A KR 20100009057A KR 101068461 B1 KR101068461 B1 KR 101068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oupled
shaft
handpiec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9589A (ko
Inventor
경희문
Original Assignee
(주)덴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덴토스 filed Critical (주)덴토스
Priority to KR1020100009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46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9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4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treadle or manua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8Flexible shafts; Clutches or the like; Bearings or lubricating arrangements; 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5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6Drives or transmissions with torque adjusting or limi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의 임플란트 시술이나 근관치료등 다양한 치과적 치료 및 수술에서 널리 사용되는 핸드피스를 구성하되, 특히 전기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핸드피스를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치과치료 혹은 수술시 시술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근관치료를 위한 치아속의 신경조직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파일이 파손되는 현상을 예방하고, 또한 핸드피스 단부에 조립된 도구만 회전되게 하여 환자의 신체에 상처를 주지 않고 안전하게 치료 및 수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수동형 핸드피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원통형의 핸들하우징 내에 전방수장실과 후방수장실을 구성하고, 상기 전방수장실 내에는 회전체의 수직회전력을 전달받아 수평방향으로 변환되게 하는 회전증속변환장치를 구성하되, 수직회전력을 배가시켜 수평방향으로 증속된 회전력이 부여되게 하고, 상기 회전증속변환장치 전면에 회전증속변환장치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필요한 공구에 회전력이 전달되게 하는 공구클램핑 장치를 구성하여 클램프에 끼워진 필요한 공구가 증속된 상태로 회전되게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회전수를 임의로 조절될 수 있게 하여, 클램프에 끼워진 공구에 무리한 회전력이 전가되지 않게 하고, 핸들하우징의 후방수장실에는 지지바를 길이조정가능케 설치하여 시술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상태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수동 핸드피스{MANUAL HANDPIECE FOR DENTAL CLINIC}
본 발명은 치아의 임플란트 시술이나 근관치료등 다양한 치과적 치료에서 널리 사용되는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치과적 치료 혹은 수술시 시술자가 핸드피스의 회전수를 임의로 조정가능토록 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할 뿐 아니라, 환자의 입술등에도 상처를 주지 않고 안전한 상태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근관치료작업시 파일의 파손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핸드피스는 치과용 기구 중 하나로서, 임플란트 시술시 치조골을 천공하고, 천공된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거나 치아의 근관치료시 파일을 이용하여 치아속의 신경조직을 제거하는 시술등 치과적 치료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치과용 기구 중 하나로서 여러 종류의 제품이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핸드피스는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필요한 도구(임플란트 식립용 드라이버팁이나 드릴, 근관치료용 파일 등)을 회전시켜 시술에 적용하고 있으나 동력을 이용한 핸드피스는 대부분이 수입제품으로서 가격이 고가일 뿐 아니라, 수리보수가 원활하지 않고, 특히 유연성을 가진 파일을 이용하여 치아속의 신경조직을 제거하는 근관치료 시술시 빠른속도로 회전하는 파일이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고, 또한 핸드피스의 바디부 전체가 회전하게 되므로 환자의 입술에 접촉하게 되면 상처 및 통증을 환자에게 전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제반 문제점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동 핸드피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수동으로 핸드피스를 조작하여 단부에 장착된 도구에 회전력을 전가시키기 위한 수단이 불편할 뿐 아니라, 회전력이 미미한 등 시술자의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런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치아의 임플란트 시술이나 근관치료등 다양한 치과적 치료 및 수술에서 널리 사용되는 핸드피스를 구성하되, 특히 전기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핸드피스를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치과치료 혹은 수술시 시술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근관치료를 위한 치아속의 신경조직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파일이 파손되는 현상을 예방하고, 또한 핸드피스 단부에 조립된 도구만 회전되게 하여 환자의 신체에 상처를 주지 않고 안전하게 치료 및 수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수동형 핸드피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원통형의 핸들하우징 내에 전방수장실과 후방수장실을 구성하고, 상기 전방수장실 내에는 회전체의 수직회전력을 전달받아 수평방향으로 변환되게 하는 회전증속변환장치를 구성하되, 수직회전력을 배가시켜 수평방향으로 증속된 회전력이 부여되게 하고, 상기 회전증속변환장치 전면에 회전증속변환장치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필요한 공구에 회전력이 전달되게 하는 클램핑장치를 구성하여 클램프에 끼워진 필요한 공구가 증속된 상태로 회전되게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회전수를 임의로 조절될 수 있게 하여 클램프에 끼워진 공구에 무리한 회전력이 전가되지 않게 하고, 핸들하우징의 후방수장실에는 지지바를 길이조정가능케 설치하여 시술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상태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과적 치료 및 수술에서 널리 사용되는 수동형 핸드피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핸드피스를 구성하는 핸들하우징 내에 수직회전력을 수평방향으로 증속전환하는 회전증속 변환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핸들하우징 선단부에 변환된 회전력을 공구에 전달되게 하는 클램핑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클램핑장치에 필요한 공구가 취부될 수 있게 하여 증속된 회전력이 공구에 전달되게 하되, 시술자의 선택에 의해 핸드피스에 결합된 공구의 회전속도를 조절케 함으로서, 치료의 목적이나 부위에 따라 회전을 조절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사용시 핸드피스 선단부에 결합된 공구만 회전되게 하여 입술과 같은 환자의 신체부위와 접촉되지 않게 하여 안전한 치료 및 수술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단면구성도
도 2 : 도 1의 일부확대단면구성도
도 3 : 도 1의 일부확대단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의 회전증속변환장치부의 단면상태 분해도
도 5 : 본 발명의 회전증속변환장치부의 단면상태 분해도
도 6 : 본 발명의 클램핑장치부분의 단면상태 분해도
도 7 : 본 발명의 길이조정장치부분의 단면상태 분해도
도 8 : 도 4 및 도 5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9 : 도 6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 : 도 7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1 : 본 발명 증속변환장치부의 기어치합상태도
도 12 : 본 발명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치과용 수동 핸드피스(10)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부분확대단면구성도로서, 핸들하우징(20) 내면에 전방수장실(21)과 후방수장실(22)을 구성하되, 상기 전후방수장실(21)(22) 사이에는 관통공(24)이 뚫려있고, 상기 전방수장실(21) 내에는 회전증속 변환장치(A)와, 클램핑장치(B)가 구성되어 있고, 후방수장실(22)에는 길이조정장치(C)가 구성되며, 이들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핸들하우징(20) 내에 구성되는 회전증속변환장치(A)는 수직회전력을 수평방향으로 변환하여 전방에 구성되는 클램핑장치(B)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장치로서, 핸들하우징(20) 중앙 일측에 축공(23)을 뚫어 전방수장실(21)과 상통하게 구성하고, 상기 전방수장실(21) 내면에는 축봉지지체(30)를 끼워 결합한다.
축봉지지체(30)는 도 4 및 도 8에서와 같이 축봉지지체(30)를 수평관통하는 수평축공(31)을 구성하되, 일측에는 결합돌부(32)가 구성되게 하고, 상면에는 수직축공(33)이 형성된 절삭면(34')이 구성되게 한다.
따라서 축봉지지체(30)의 결합돌부(32)가 핸들하우징(20) 내에 구성된 관통공(24) 내에 끼워지게 하되, 수직축공(33)이 핸들하우징(20)의 축공(23)과 나란히 일치되게 한다.
이때 축봉지지체(30) 상면에는 수직베벨기어(34)를 위치시키되, 수직베벨기어(34)의 관체부(35)가 핸들하우징(20)의 축공(23)에 끼워지게 한 다음 수직베벨기어(34)의 체결공(36)에 수직축봉(37)을 끼우고, 상기 수직축봉(37) 상에 회전체(38)를 결합한다.
상기에서 수직축봉(37)과 수직베벨기어(34) 및 회전체(38)는 키와 키홈(도시안됨)과 같은 고정수단을 통하여 일체형으로 조립구성되게 함으로서, 회전체(38)를 회전시키면 수직축봉(37)과 함께 수직베벨기어(34)가 회전되게 한다.
축봉지지체(30)의 수평축공(31)에는 수평축봉(39)을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하고, 상기 수평축봉(39)에 수평베벨기어(40)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직베벨기어(34)와 치차결합되게 하고, 상기 수평축봉(39) 단부에는 회전체(41)의 결합공(42)이 끼워지게 하되, 회전체(41)와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평축봉(39)과 함께 회전되게 함으로서, 수직축봉(37)에 결합된 회전체(38)를 회전시키면 수직베벨기어(34) 및 수평베벨기어(40)가 회전하고, 따라서 수평축봉(39)이 회전하여 회전체(41)가 회전되게 한다.
상기 회전체(41)의 회전판(43)에는 등간격으로 지지공(44)을 뚫어 구성하고, 상기 각 지지공(44)에는 연결축봉(45)을 결합하고, 상기 연결축봉(45)에 유성기어(46)를 굴대설치하고, 유성기어(46)를 관통한 연결축봉(45) 단부에는 회전원판(47)의 연결공(48)이 끼워지게 함으로서, 회전원판(47)이 회전체(41)와 함께 회전되게 한다.
상기 회전원판(47)의 관통공(49)에는 회전축봉(50)이 헐겁게 끼워지게 한 다음 유성기어(46) 사이에 치차결합된 태양기어(46')와 일체형으로 회전될 수 있게 축결합하고, 태양기어(46')를 관통한 회전축봉(50)은 회전체(41)에 구성된 결합공(42)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지게 한다.
회전원판(47)을 관통한 회전축봉(50) 선단부에는 필요한 공구를 결합하기 위한 클램핑장치(B)가 구성되며, 상기 클램핑장치(B)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회전원판(47)을 관통한 회전축봉(50) 선단부에 중공부(51)가 형성된 팁하우징(52)을 헐겁게 끼워 설치하되, 회전축봉(50)이 팁하우징(52)의 중공부(51) 내에 위치되게 한다.
이때 팁하우징(52)과 핸들하우징(20) 사이에는 연결관체(53')를 결합하여 이들이 연결되게 하되, 연결관체(53') 내면중앙부에는 링기어(54)를 구성하고, 상기 링기어(54)가 연결축봉(45)에 끼워진 유성기어(46)와 치차결합되게 한다.
상기 팁하우징(52)의 중공부(51) 내면에는 공구홀더(53)를 회전가능케 결합하되, 공구홀더(53)에 구성된 결합공(54)에 회전축봉(50)이 일체형으로 끼워지게 함으로 태양기어(46')가 회전하면, 회전축봉(50)과 함께 공구홀더(53)가 회전되게 한다.
상기 공구홀더(53) 내면에는 절개부(55) 및 외부경사면(56)이 형성된 클램프(57)를 끼워 고정핀(58)을 통하여 공구홀더(53)와 일체로 회전되게 하고, 상기 공구홀더(53) 내면에는 다시 삽입공(61) 및 외면나사부(62)가 형성된 공구가이드(60)를 결합하되, 상기 공구가이드(60)에 구성된 외면나사부(62)가 공구홀더(53) 내면입구에 구성된 내면나사부(59)와 나사결합되게 한다.
상기 공구가이드(60)의 삽입공(61) 내면 일측에는 내부경사면(63)을 구성하여, 클램프(57)의 외부경사면(56)과 접하게 하였으며, 공구가이드(60) 선단부에는 공구가이드(60)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는 요철부(64)를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공구가이드(60)의 삽입공(61)에 치아의 치료 및 수술을 위한 필요한 공구를 끼운 다음 공구가이드(60)를 이용하여 핸드피스(10) 선단부에 공구가 결합고정되게 한다.
핸들하우징(20)의 후방수장실(22)에 구성되는 길이조정장치(C)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핸들하우징(20)의 후방수장실(22)은 각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형 후방수장실(22) 내에 각형스토퍼(70)를 결합하되, 상기 각형스토퍼(70)는 일측에 내부경사면(71)이 구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내부나사(72)를 구성하고, 상기 각형스토퍼(70)의 내부나사(72)에 지지바(80) 선단부에 구성된 외부나사(81)가 나사결합되게 하고, 상기 외부나사(81) 후단부에는 외부경사면(82)을 구성하여 각형스토퍼(70)의 내부경사면(71)과 접하게 한다.
상기 지지바(80) 선단부에는 스톱볼트(83)를 나사결합하여 지지바(80)의 외부나사(81)에 끼워진 각형스토퍼(70)가 지지바(80)로부터 이탈을 방지케 하고, 핸들하우징(20)의 후방수장실(22) 입구에는 스톱링(84)을 끼워 후방수장실(22)로부터 지지바(80)의 이탈을 방지케 하였으며, 지지바(80) 단부에는 가압부(85)가 형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 (90)--공구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동 핸드피스(10)는 치과적 치료 및 수술시 핸들하우징(20) 선단부에 구성된 클램핑장치(B), 즉 공구가이드(60)에 치료 및 수술에 필요한 공구(근관치료용 파일, 임플란트 식립용 드라이버팁이나 드릴 등)를 결합하여 필요한 치료 및 수술을 하게 된다.
공구(90)의 결합은 다음과 같이 된다.
즉 필요한 공구(90)의 결합부를 공구가이드(60)의 삽입공(61)에 끼워 넣어 클램프(57)까지 진입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공구가이드(60)의 요철부(64)를 이용하여 공구가이드(60)를 회전시키면 공구가이드(60)의 외면나사부(62)가 공구홀더(53)의 내면나사부(59)를 따라 진입하게 되고, 따라서 공구가이드(60)의 내부경사면(63)이 클램프(57)의 외부경사면(56)을 가압하게 되므로 클램프(57)는 절개부(55)에 의해 압축되면서 공구를 견고히 결합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공구가 결합완료되면 핸들하우징(20) 배면에 구성된 길이조정장치(C)를 이용하여 지지바(80)의 길이를 적절히 조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지지바(80)의 길이조정은 지지바(80)를 시계회전반대방향, 즉 일측으로 회전시켜 외측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면 지지바(80)의 외부경사면(82)으로부터 각형스토퍼(70)의 내부경사면(71)이 이탈하게 되므로 확장되었던 각형스토퍼(70)의 외경이 축소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지지바(80)를 밀거나 당겨 핸들하우징(20)으로부터 지지바(80)의 길이가 적당하게 조정되게 한다.
지지바(80)의 길이가 설정되면 지지바(80)를 시계회전방향, 즉 타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외부나사(81) 및 각형스토퍼(70)의 내부나사(72)에 의해 지지바(80)가 전진이동하게 되면 지지바(80)의 외부경사면(82)에 의해 각형스토퍼(70)의 내부경사면(71)이 외측방향으로 확개되면서 각형스토퍼(70) 외경부분이 후방수장실(22) 내벽과 밀착하게 되므로 지지바(80)가 이동하지 않고 견고히 결속고정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수동 핸드피스(10)에 공구의 결합이 완료되고, 지지바(80)의 길이조정이 완료되면 공구를 회전시켜 치아에 필요한 치료 및 수술을 행하게 된다.
수동 핸드피스(10)에 결합된 공구의 수동회전은 다음과 같이 된다.
즉 핸들하우징(20) 중앙부에 돌출구성된 회전체(38)를 회전시키면 링기어(54)와 유성기어(46) 및 태양기어(46')에 의해 증속된 회전력이 공구에 전달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회전체(38)를 회전시키면 수직축봉(37)에 결합된 수직베벨기어(34)가 회전하고, 따라서 이와 치합된 수평베벨기어(40)와 수평축봉(39) 및 회전체(41)가 회전하게 되며 회전체(41)가 회전하면 회전체(41)의 연결축봉(45)에 끼워진 유성기어(46)는 회전체(4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유성기어(46)가 회전체(41)를 따라 이동하면 링기어(54)와 치차결합된 유성기어(46)는 연결축봉(45)을 축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유성기어(46)와 치차결합된 태양기어(46')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링기어(54)의 치차수는 유성기어(46) 치차수의 약4배로 구성되어 있어 회전체(41)가 한바퀴 돌면 유성기어(46)를 지지하는 연결축봉(45)도 회전체(41)와 함께 한바퀴 돌게 되나, 연결축봉(41)에 끼워진 유성기어(46)는 4바퀴 회전하고, 동시에 유성기어(46)와 치차결합된 태양기어(46')도 4바퀴 회전하여 회전수를 4배증속시키게 된다.
증속된 속도로 태양기어(46')가 회전하면 일체형으로 축결합된 회전축봉(50)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봉(50)이 회전하면 선단부에 축결합된 공구홀더(64)가 회전하게 되므로 클램프(57)에 결합된 공구가 증속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력의 증속비율은 링기어(54)와 유성기어(46) 및 태양기어(46')의 치차배율조정으로 증속비율을 임의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속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천공작업을 하거나, 천공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거나, 유연성있는 파일을 이용하여 치아의 신경조직을 제거하는 근관치료 등에 적용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수동 핸드피스(10)는 시술자가 필요한 치료를 하기 위하여 손에 잡으면 수동 핸드피스(10) 후방에 구성된 지지바(80)의 가압부(85)가 손바닥에 위치하고, 회전체(38)는 자연스럽게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회전체(38)를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수동 핸드피스(10)의 공구홀더(53)에 결합된 공구를 회전시켜 필요한 시술을 할때 회전수를 임의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정적인 시술이 가능하게 된다.
일예로서 치아의 신경조직을 제거하는 근관치료시 유연성있는 파일을 공구홀더(53)에 결합시킨 다음 치아의 신경조직을 제거할때 신경조직을 따라 삽입된 파일의 선단부가 휘어지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 고속으로 파일을 회전시키게 되면, 탄성회복력에 무리가 발생하면서 파일이 절단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되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수동 핸드피스(10)는 파일이 휘어질 경우 회전속도를 적절히 조정하여 파일에 무리한 탄성력이 부여되지 않게 하여 신경조직을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시술작업 중 파일이 절단되는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시킬 수 있게 된다.
(10)--수동 핸드피스 (20)--핸들하우징
(21)--전방수장실 (22)--후방수장실
(23)--축공 (24)--관통공
(30)--지지체 (31)--수평축공
(32)--결합돌부 (33)--수직축공
(34)--수직베벨기어 (35)--관체부
(36)--체결공 (37)--수직축봉
(38)--회전체 (39)--수평축봉
(40)--수평베벨기어 (41)--회전체
(42)--결합공 (43)--회전판
(44)--지지공 (45)--연결축봉
(46)--유성기어 (46')--태양기어
(47)--회전원판 (48)--연결공
(49)--관통공 (50)--회전축봉
(51)--중공부 (52)--팁하우징
(53)--공구홀더 (53')--연결관체
(54)--링기어 (55)--절개부
(56)--외부경사면 (57)--클램프
(58)--고정핀 (59)--내면나사부
(60)--공구가이드 (61)--삽입공
(62)--외면나사부 (63)--내부경사면
(64)--요철부 (70)--각형스토퍼
(71)--내부경사면 (72)--내부나사
(80)--지지바 (81)--외부나사
(83)--스톱볼트 (84)--스톱링
(85)--가압부

Claims (3)

  1. 회전체의 회전력을 증속시켜 공구홀더에 결합된 공구가 증속회전되게 한 통상의 치과용 수동 핸드피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핸들하우징(20) 선단부에 축공(23)이 뚫린 전방수장실(21)을 구성하고, 상기 전방수장실(21) 내에 수직축공(33)과 수평축공(31)이 뚫린 지지체(30)를 결합하고, 상기 수직축공(33)에 수직축봉(37)을 끼워 축공(23)을 관통하여 외부돌출되게 하고, 수직축봉(37) 하단에 수직베벨기어(34)를 축결합되게 하고, 축공(23)을 관통한 수직축봉(37) 상단에 회전체(38)를 결합하고, 지지체(30)의 수평축공(31)에 수평축봉(39)을 끼우고, 상기 수평축봉(39)에 수평베벨기어(40)를 끼워 수직베벨기어(34)의 치차와 결합하고, 상기 수평축봉(39) 선단부에는 지지공(44)이 형성된 회전체(41)를 축결합하고, 지지공(44)에는 연결축봉(45)을 끼운 다음 유성기어(46)를 축결합하여, 핸들하우징(20) 전방에 결합된 연결관체(53') 내면의 링기어(54)와 결합하고, 상기 유성기어(46)는 태양기어(46')와 결합하고, 상기 태양기어(46')에는 회전축봉(50)을 끼운 다음, 선단부에 중공부(51)가 형성된 팁하우징(52)을 끼워 팁하우징(52)의 후단부가 연결관체(53') 내면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팁하우징(52)의 중공부(51) 내에 공구홀더(53)를 끼워 회전축봉(50) 선단부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공구홀더(53) 내에는 클램프(57)와 공구가이드(60)를 끼워 공구가이드(60)의 회전에 의해 클램프(57)의 내경이 신축되게 하고, 상기 공구가이드(60)의 삽입공(61)에 공구를 끼워 공구의 결합부가 클램프(57) 내에 위치토록 한 다음, 공구가이드(60)를 회전시키면 클램프(57)가 압축되어 공구를 결속고정토록 함으로서, 핸들하우징(20)에 구성된 회전체(38)를 회전시키면 수직베벨기어(34)와 수평베벨기어(40) 및 회전체(41)가 회전하고, 상기 회전체(41)의 회전에 의해 유성기어(46)가 링기어(54)를 따라 증속회전되게 하고, 상기 증속된 유성기어(46)의 회전력이 태양기어(46')와 회전축봉(50) 및 공구홀더(53)를 회전시켜 공구가 회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수동 핸드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핸들하우징(20) 후방에 각형으로 된 후방수장실(22)을 구성하고, 상기 후방수장실(22) 내에 내부나사(72)가 형성된 각형스토퍼(70)를 끼운 다음 지지바(80) 선단부에 구성된 외부나사(81)가 각형스토퍼(70)의 내부나사(72)와 결합되게 하고, 상기 각형스토퍼(70) 일측 단부에는 내부경사면(71)을 구성하여 지지바(80)에 구성된 외부경사면(82)과 접촉시켜 지지바(80)를 회전시키면 외부나사(81)에 결합된 각형스토퍼(70)가 이동되게 함으로서, 내외부경사면(71)(82)에 의해 각형스토퍼(70)가 확장되면서 지지바(80)가 결속고정되게 하여 지지바(80)의 길이가 조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수동 핸드피스.
  3. 제1항에 있어서, 링기어(54)와 치차결합되는 유성기어(46)는 3개가 등간격으로 위치되게 하고, 상기 유성기어(46)를 연결하는 연결축봉(45) 단부는 회전원판(47)의 연결공(48)에 끼워져 결합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수동 핸드피스.
KR1020100009057A 2010-02-01 2010-02-01 치과용 수동 핸드피스 KR101068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057A KR101068461B1 (ko) 2010-02-01 2010-02-01 치과용 수동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057A KR101068461B1 (ko) 2010-02-01 2010-02-01 치과용 수동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589A KR20110089589A (ko) 2011-08-09
KR101068461B1 true KR101068461B1 (ko) 2011-09-28

Family

ID=4492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057A KR101068461B1 (ko) 2010-02-01 2010-02-01 치과용 수동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4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325B1 (ko) * 2013-02-27 2014-04-01 (주) 케이제이 메디텍 피부 손상을 방지하는 악안면 시술용 수동 드라이버
KR101503036B1 (ko) 2013-05-16 2015-03-18 (주)세신정밀 절개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090A (ko) * 1997-09-24 1999-04-26 나카니시 도시마사 2개의 부재 연결용 커넥터
KR20070114160A (ko) * 2005-03-14 2007-11-29 디스커스 덴탈 임프레션스 인코포레이티드 프로필락시스 앵글 및 컵
KR20090001307U (ko) * 2007-08-02 2009-02-05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의료용 수동 핸드피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090A (ko) * 1997-09-24 1999-04-26 나카니시 도시마사 2개의 부재 연결용 커넥터
KR20070114160A (ko) * 2005-03-14 2007-11-29 디스커스 덴탈 임프레션스 인코포레이티드 프로필락시스 앵글 및 컵
KR20090001307U (ko) * 2007-08-02 2009-02-05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의료용 수동 핸드피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325B1 (ko) * 2013-02-27 2014-04-01 (주) 케이제이 메디텍 피부 손상을 방지하는 악안면 시술용 수동 드라이버
KR101503036B1 (ko) 2013-05-16 2015-03-18 (주)세신정밀 절개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589A (ko)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6948B1 (en) Device for causing tooth movement
KR101068462B1 (ko)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치과용 수동핸드피스
KR100946269B1 (ko) 임플란트용 천공 드릴
US10045687B2 (en) Dental implants, device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dental implantation procedures
JP5969588B2 (ja) インプラント施術用ドリル
JP2012501768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を埋入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手順
KR101658458B1 (ko)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KR101113306B1 (ko) 상악동 거상술용 드릴 유닛
KR101068461B1 (ko) 치과용 수동 핸드피스
KR101720605B1 (ko) 치과용 평탄화 드릴
TWI597085B (zh) 注藥裝置
KR20210017095A (ko) 가압세라믹치아 제작을 위한 수동형 핸드피스
KR20130049514A (ko) 베벨기어를 갖는 치아 발치용 엘리베이터
CN115462918A (zh) 一种口腔种植体取出装置
KR102205986B1 (ko) 임플란트용 트레파인 드릴
KR200365219Y1 (ko) 시술봉(tip)에 스토퍼가 구성된 치과용오스테톰(osteotomes)
CN108601631B (zh) 外科手钻
WO2009035359A1 (en) Precision device for dental implant placement
CN218528934U (zh) 一种口腔种植螺丝刀夹持器
KR102234777B1 (ko) 임플란트 체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체결 방법
KR20100066020A (ko)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
CN211834796U (zh) 一种植牙用软组织环形切割刀
KR101512797B1 (ko)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KR101723967B1 (ko) 치과용 평탄화 드릴
CN212015825U (zh) 一种具备伸缩杆的可变向种植修复螺丝刀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