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797B1 -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 Google Patents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797B1
KR101512797B1 KR1020140134470A KR20140134470A KR101512797B1 KR 101512797 B1 KR101512797 B1 KR 101512797B1 KR 1020140134470 A KR1020140134470 A KR 1020140134470A KR 20140134470 A KR20140134470 A KR 20140134470A KR 101512797 B1 KR101512797 B1 KR 101512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handpiece
stopper
dental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빈
Original Assignee
홍성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빈 filed Critical 홍성빈
Priority to KR1020140134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61C5/44Means for controlling working depth, e.g. supports or boxes with depth-gauging means, stop positioners or files with adjustably-mounted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61C5/42Files for root canals; Handgrips or gui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61C5/46Nerve extractors, e.g. needles; Means for removing broken parts of endodontic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는, 핸드피스; 및 상기 핸드피스의 단부에 설치되는 치료용 파일;을 포함한 치료 기구에 탈부착이 가능하거나 또는 일체로 설치된 치과 치료용 기구로서, 상기 치료용 파일에 대해 상기 치료용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를 상기 치료용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변환부; 상기 승강 변환부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승강 변환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 동력 전달부; 및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에 기구적으로 연결되며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회전 노브;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Apparatus for dental treament provided with universal dental-ruler}
본 발명은 통상적인 치과 치료에서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치과 치료용 기구에 관련된 것이다.
치아의 삭제, 치아 내 신경이나 혈관의 제거, 임플란트 식립 등에 사용되는 핸드피스는, 드릴이나 버, 파일 등을 장착시켜 회전시킴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치과 치료용 기구이다. 치과 치료에 있어서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를 계획한 만큼 유지하는 것은 성공적인 치료의 기본적인 요건이다.
임플란트 식립에 있어서, 계획된 심도보다 얕게 기구가 조작되는 경우, 식립된 매식체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향후 보철물이 삽입될 공간 확보가 곤란해져서 이상적인 치료가 어렵다. 한편 임플란트 식립에 있어서, 계획한 심도보다 깊게 조작될 경우, 상악동 천공이나 하치조 신경 손상 등 치료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 및 고통이 따르는 등의 의료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아의 근관 치료(endodontic treament)라 함은 충치나 외부 자극에 의해 치아에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 치아 내부의 신경조직인 치수를 제거하고 그 공간에 무균 상태의 다른 재료를 밀봉하여 통증을 제거하고 치아의 기능을 유지시키는 수술을 말한다. 근관 치료는 신경치료라고도 불리지만 신경을 치료하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치아 내부의 신경과 혈관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근관 치료에 있어서 계획한 심도보다 얕게 기구가 조작된 경우 잔존한 신경에 의한 통증 및 괴사로 인한 염증 반응의 원인이 된다. 한편 근관 치료에 있어서 계획한 심도 보다 깊게 조작되면 치주인대의 민감한 연조직을 손상시켜 심한 부종과 통증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보철을 위한 치아의 삭제에 있어서도 삭제 경계면의 일정한 깊이와 두께는 보철물의 수명에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다.
이와 같은 치과 치료를 위한 치과용 치료 기구의 일 예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5-0092412호에 개시되어 있다.
현재 치과 치료에 있어서, 기구 조작 깊이의 측정이나 유지는 버(bur)나 드릴과 같은 치료용 파일에 매겨진 눈금을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파일에 고무링을 끼워 깊이를 확인하고 수동으로 조작 심도를 유지한다. 즉, 치과의사의 주의(caution)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기계적으로 이를 유지해주는 장치는 상용화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치료기구의 정확한 심도를 유지해 주는 장치는 다양한 치과 치료의 성패를 가름하는 중요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치과 치료에 있어서 치료용 파일이 삽입되는 심도를 정확하게 설정하고, 미리 설정된 심도까지 삭제가 완료될 경우 시술자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치과 치료용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는, 핸드피스; 및 상기 핸드피스의 단부에 설치되는 치료용 파일;을 포함한 치료 기구에 탈부착이 가능하거나 또는 일체로 설치된 치과 치료용 기구로서,
상기 치료용 파일에 대해 상기 치료용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를 상기 치료용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변환부;
상기 승강 변환부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승강 변환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 동력 전달부; 및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에 기구적으로 연결되며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회전 노브;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승강 변환부는,
상기 핸드피스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치료용 파일과 나란하게 회전축이 배치된 회전 부재; 및
상기 스토퍼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치료용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설치된 승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는 원통형의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볼 스크루 구조로 결합 됨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치료용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기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에는 웜 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웜 기어와 치합되는 랙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변환부는,
상기 핸드피스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치료용 파일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축이 배치된 회전 부재; 및
상기 스토퍼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치료용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설치된 승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에는 피니언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는 랙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는,
상부에 배치된 헤드; 및
상기 헤드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비원형 단면이 구비된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연장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구비된 실린더 형상의 1차 승강 부재; 및
상기 1차 승강 부재의 외주면에 구비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한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핸드피스에 대해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구비한 2차 승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1차 승강 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스토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토퍼는 상기 1차 승강 부재에 의해 승강 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는 강체로 된 축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는 복수의 축 구조물을 포함하며, 축간 연결구조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는 유연성이 있는 벨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노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토퍼의 위치 또는 이동 거리를 표시하는 눈금 또는 수치가 표기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노브와 감속 기어로 연결되며, 상기 회전 노브에 표기된 눈금 또는 수치와 다른 단위의 눈금 또는 수치가 표기된 보조 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노브의 중심축과 이격되며 상기 회전 노브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인덱스 지지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 노브의 중심축과 상기 인덱스 지지축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회전 노브의 중심축과 상기 인덱스 축이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스크롤 인덱스 밴드가 구비되며,
상기 스크롤 인덱스 밴드의 표면에는 상기 스토퍼의 위치 또는 이동 거리를 표시하는 눈금 또는 수치가 표기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노브의 외주면에는 기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치료용 파일에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치료용 파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탐침(probe); 및
상기 전도성 탐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핸드피스 외측과 상기 전도성 탐침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연장 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탐침은 상기 핸드피스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치료용 파일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탐침은 상기 핸드피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치료용 파일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는, 치료용 파일에 의해 제거되는 근관의 심도를 제한하는 스토퍼의 위치를 회전 노브에 의해 미리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심도로 제거가 완료될 경,우 상기 스토퍼가 치아의 상단부에 걸림으로써, 시술자가 외부에서 용이하게 그 심도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정밀한 근관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회전 노브나, 보조 노브 또는 스크롤 인덱스 밴드에 상기 스토퍼의 위치 또는 이동 거리를 표시하는 눈금이나 수치가 표기된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의 위치를 더욱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기구는, 임플란트 시술시나, 보철물을 위한 치아 삭제시에도, 기구의 조작 깊이를 제한하고 유지하여, 안전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B" 부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0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1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B" 부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0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1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10, 이하 "치과 치료용 기구"라 함)는 다양한 치과 치료 과정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기구이다.
즉, 상기 치과 치료용 기구(10)는 핸드피스(20) 및 치료용 파일(30)을 포함한 치료 기구에 부가적으로 설치되거나 일체로 제조될 수 있는 의료용 기구이다.
먼저, 핸드피스(20) 및 치료용 파일(30)을 포함한 치료 기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핸드피스(20)는 사람이 손으로 파지할 있는 프레임 내부에 모터와 동력 변환을 위한 기어 구조물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핸드피스(20)는 공지된 종래의 치과 치료용 기구를 구성하는 핸드피스와 동일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치료용 파일(30)은 상기 핸드피스(2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치료용 파일(30)은 예컨대 상기 핸드피스(20)에 대해 회전구동되는 막대, 버(bur) 또는 드릴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일단부는 상기 핸드피스(20)에 구비된 모터에 동력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타단부는 뾰족한 바늘 형태를 구성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치료용 파일(30)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그 외경의 크기가 작아지는 테이퍼 형태의 단면을 구성한다.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외주면에는 스크류 형상의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서 근관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일단부에는 머리부가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는 상기 치료용 파일(30)을 상기 핸드피스(20)와 결합하거나, 그 핸드피스(20)로부터 분리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하는 부위로 다른 부위보다 두껍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 치료용 기구(10)는 스토퍼(40)와, 승강 변환부(50)와, 회전 동력 전달부(70)와, 회전 노브(80)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치료용 파일(30)에 대해 그 치료용 파일(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치료용 파일(30)과 접촉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스토퍼(40)는 후술하는 승강 부재(62)에 결합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40)와 상기 승강 부재(62)는 일체로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스토퍼(40)는 삭제(제거) 되는 치아의 상단부에 걸려서 상기 치과 치료용 기구(10)의 사용자(시술자)가 목표로 하는 삽입 심도(깊이)에 도달하였음을 감지 또는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 변환부(50)는 상기 스토퍼(40)를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작용을 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 변환부(50)는 회전 부재(52)와 승강 부재(62)를 포함 한다.
상기 회전 부재(52)는 상기 핸드피스(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 부재(52)는 상기 핸드피스(2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어댑터를 통해 상기 핸드피스(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 부재(5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료용 파일(30)과 나란하게 회전축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 부재(52)는 도 6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료용 파일(30)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축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 부재(62)는 상기 스토퍼(40)에 고정된다. 상기 승강 부재(6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상기 스토퍼(4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 부재(62)가 상기 스토퍼(40)에 고정된다는 의미는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40)와 상기 승강 부재(62)가 일체로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 부재(62)는 상기 회전 부재(5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70)는 후술하는 회전 노브(80)의 회전력을 상기 승강 변환부(5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70)는 상기 회전 노브(80)와 상기 승강 변환부(50)를 기구적으로 연결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70)는 상기 회전 노브(8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 부재(52)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70)는 예컨대 강체로 된 축 구조물이나, 유연성이 있는 벨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70)가 강체로 된 축 구조물로 이루어진 예는 도 1, 도 3, 도 6, 도 9,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70)는 복수의 축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축간 연결구조는 유니버설 조인트(7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70) 예컨대 도 4, 도 5, 도 7,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이 있는 벨트(belt)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노브(80)는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70)에 기구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전 노브(80)는 상기 회전 부재(52)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마련된 부재이다. 상기 회전 노브(80)는 원형의 외주면 단면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 노브(80)의 외주면은 다각형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 노브(80)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토퍼(40)의 위치 또는 상기 스토퍼(40)의 이동 거리를 표시하는 눈금이나 수치가 표기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노브(80)에 상기 스토퍼(40)의 이동거리를 적절하게 표시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노브(80)에 감속 기어(85)를 매개로 결합된 보조 노브(8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노브(84)는 상기 회전 노브(80)에 표기된 눈금 또는 수치와 다른 단위의 눈금 또는 수치가 표기된다.
한편, 상기 회전 노브(80)에 상기 스토퍼(40)의 위치나 이동 거리가 표기되지 않고 다른 구조에 의해서도 상기 스토퍼(40)의 위치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인덱스 밴드(8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인덱스 밴드(86)는 상기 회전 노브(80)의 중심축(81)과 인덱스 지지축(82)을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스크롤 인덱스 밴드(86)는 띠 형태의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인덱스 밴드(86)의 표면에는 상기 스토퍼(40)의 위치 또는 이동 거리를 표시하는 눈금이나 수치가 표기될 수 있다. 상기 인덱스 지지축(82)은 상기 회전 노브(80)의 중심축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인덱스 지지축(82)은 상기 회전 노브(80)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인덱스 지지축(82)은 상기 스크롤 인덱스 밴드(86)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핸드피스(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스크롤 인덱스 밴드(86)는 상기 회전 노브(80)의 중심축(81)과 상기 인덱스 지지축(82)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도 11에는 도 10과는 다른 구조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 노브(80)의 외주면에는 기어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핸드피스(20) 외주면을 따라 링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인덱스 링(8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덱스 링(88)의 내주면에 상기 회전 노브(80)와 치합되는 내치 기어가 구비된다. 상기 인덱스 링(88)의 외주면에 상기 스토퍼(40)의 위치 또는 이동 거리를 표시하는 눈금 또는 수치가 표기된다. 따라서, 상기 인덱스 링(88)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 노브(80)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 노브(80)에 연결된 회전 동력 전달부(70)가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70)에 의해 회전 부재(52)인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고 승강 부재(62)에 구비된 랙 기어가 승강 운동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 부재(62)에 결합된 스토퍼(40)가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 운동을 한다. 상기 회전 노브(80)의 외주면에 기어부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술한 인덱스 링(88)이 외에도 외부의 구동 수단과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승강 변환부(50)를 구성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변환부(50)의 구조의 일 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 예에서는, 상기 회전 부재(52)가 원통형의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 부재(62)는 상기 회전 부재(52)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볼 스크루 구조로 결합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부재(5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 부재(62)는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한다. 상기 회전 부재(52)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70)와 기구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톱니바퀴나 기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52)는 축 구조물이나 벨트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시 예에서는 상기 회전 부재(52)에 평기어(spur gear)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70)에 크라운 기어(crown gear)가 구비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상기 회전 부재(52)의 외주면에는 기어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부재(52)는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70)에 구비된 웜 기어(73)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회전 부재(52)가 회전함에 따라, 그 회전 부재(52)에 볼 스크루 구조로 결합된 승강 부재(62)가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 되는 구조는 상기 제1실시 예와 동일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제3실시 예에서는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70)가 벨트 구조롤 구성된 점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승강 변환부(50)와 차이가 있을 뿐 회전 부재(52)가 회전함에 따라 승강 부재(62)가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하는 구조는 동일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제4실시 예에서는, 상기 회전 부재(52)는,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70)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회전축을 가진다. 상기 회전 부재(52)의 외주면에는 웜 기어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 부재(62)는 랙 기어(64)가 구비된다. 상기 랙 기어(64)는 상기 회전 부재(52)에 마련된 웜 기어와 치합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부재(5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승강 부재(62)는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제5실시 예에서는, 상기 승강 변환부(50)가 상기 핸드피스(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치료용 파일(30)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축이 배치된 회전 부재(5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52)에 결합되는 승강 부재(62)는 상기 회전 부재(5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승강 부재(62)는 상기 스토퍼(40)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 부재(52)의 외주면에는 피니언 기어(6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부재(62)는 상기 피니언 기어(65)와 치합되는 랙 기어(64)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부재(52)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승강 부재(62)는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제6실시 예에서는 회전 부재(52)와 승강 부재(62)가 신축 가능한 망원경 구조(telescopic structure)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기 회전 부재(52)는 헤드(56) 및 연장부(58)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56)는 상기 회전 부재(52)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헤드(56)는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중심축을 가진다. 상기 헤드(56)는 상기 동력 전달 부재(70)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연장부(58)는 상기 헤드(56)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비원형 단면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 부재(62)는 1차 승강 부재(66)와 2차 승강 부재(67)를 포함한다.
상기 1차 승강 부재(6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부재(52)의 연장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한다. 상기 1차 승강 부재(66)의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구비된다. 상기 1차 승강 부재(66)는 실린더 형상의 부재이다. 따라서, 상기 1차 승강 부재(66)는 상기 회전 부재(52)의 회전에 따라 종속적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1차 승강 부재(66)는 전체적으로 상부의 외경이 하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1차 승강 부재(66)의 상부에만 수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2차 승강 부재(67)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68)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68)의 내주면에 상기 1차 승강 부재(66)의 외주면에 구비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2차 승강 부재(67)의 외주면에는 상기 핸드피스(20)에 대해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구비한다. 상기 관통공(68)은 하부에 상기 1차 승강 부재(66)에 형성된 수나사부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걸림턱(미도시) 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턱 구조는 상기 1차 승강 부재(66)가 상기 2차 승강 부재(67)의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 된다.
상기 1차 승강 부재(66)의 하단부는 상기 스토퍼(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1차 승강 부재(66)를 따라 승강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승강 변환부(50)의 작동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회전 부재(52)가 회전한다. 상기 회전 부재(52)의 하부에 배치된 비원형 단면의 연장부(58)는 상기 1차 승강 부재(66)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1차 승강 부재(66)는 상기 2차 승강 부재(67)의 내주면과 나사결합된 구조이므로, 상기 1차 승강 부재(66)는 회전하면서 상기 2차 승강 부재(67)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상기 1차 승강 부재(66)와 상기 2차 승강 부재(67)의 결합 구조는 일종의 볼 스크루 구조라고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2차 승강 부재(67)는 상기 핸드피스(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지만 상기 1차 승강 부재(66)가 하강하는 동안에는 상기 핸드피스(20)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승강 부재(66)가 하강하여 상기 걸림턱에 상기 1차 승강 부재(66)의 수나사부가 걸리면, 상기 회전 부재(52)와 상기 2차 승강 부재(67)의 상면이 요철 구조(미도시) 또는 기어 구조(미도시)로 서로 결합 되면서 상기 회전 부재(52)가 상기 2차 승강 부재(67)를 직접 회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2차 승강 부재(67)는 상기 핸드피스(20)에 나사결합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1차 승강 부재(66)와 상기 2차 승강 부재(67)가 신축형 망원경 구조와 같이 승강하면서 상기 스토퍼(40)를 승강시킨다.
한편, 상기 치과 치료용 기구(10)는 전도성 탐침(90)과, 연장 포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탐침(90)은 상기 치료용 파일(30)에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전도성 탐침(90, probe)은 전기 전도성이 양호한 금속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탐침(90)은 예컨대 알루미늄이나 은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도성 탐침(90)은 상기 치료용 파일(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장 포트(미도시)는 상기 전도성 탐침(90)과 전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장 포트(미도시)는 일종의 외부 기기와 상기 전도성 탐침(9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연장 포트(미도시)는 표면이 피복된 전선에 의해 상기 전도성 탐침(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장 포트(미도시)는 상기 핸드피스(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 포트(미도시)는 상기 핸드피스(20) 외부에 존재하는 기기와 상기 전도성 탐침(9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접점 역할을 한다. 상기 연장 포트(미도시)에는 예컨대 전자 근관장 측정 장비와 같은 기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탐침(90)은 도 12에 도시된 제10실시 예와 같이 상기 핸드피스(20)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도성 탐침(90)은 상기 치료용 파일(30)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도성 탐침(90)은 도 13에 도시된 제11실시 예와 같이 상기 핸드피스(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도성 탐침(90)은 상기 치료용 파일(30)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도성 탐침(90)은 항상 상기 치료용 파일(3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전기적인 연결을 할 수 있도록 분리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한 치과 치료용 기구(10)의 작용 효과를 근관 치료의 경우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원 발명의 핵심적 특징인 상기 스토퍼(40)의 정밀한 위치 설정 가능한 작용효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토퍼(40)는 제거해야할 근관의 심도를 미리 설정하고, 상기 스토퍼(40)의 위치를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하단부로부터 삭제할 심도만큼 높은 위치에 설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40)의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스토퍼(40)가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하단부에 위치할 때 상기 회전 노브(80)나, 상기 보조 노브(84) 또는 상기 스크롤 인덱스 밴드(86)에 표기된 눈금이나 치수가 기준 위치(예컨대 "0"에 위치)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노브(80)를 회전한다. 상기 회전 노브(80)는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예컨대 서보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원에 연결하여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 노브(8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 노브(80)의 회전은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70)를 통해 상기 승강 변환부(50)에 전달된다. 상기 승강 변환부(50)를 구성하는 상기 회전 부재(52)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 부재(52)와 볼 스크루 구조, 랙 앤 피니언 구조, 웜 앤 랙 기어 구조 등으로 결합된 상기 승강 부재(62)가 상승 또는 하강한다. 그 결과 상기 승강 부재(62)에 고정된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치료용 파일(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스토퍼(40)를 원하는 위치에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료용 파일(30)을 회전시켜 치수의 제거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치료용 파일(30)은 드릴 형태로 치아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근관을 제거한다.
상기 치료용 파일(30)이 근관을 삭제하여 미리 설정된 심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스토퍼(40)가 삭제되는 치아의 상단부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근관 제거 작업을 멈추면 원하는 심도만큼 정확하게 근관의 삭제가 완료된다. 이후에는 삭제된 근관 내부 공간에 무균 처리된 물질을 충전시킴으로써 치아 근관 치료를 완료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전도성 탐침(90)과 상기 연장 포트(미도시)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연장 포트(미도시)에 전자 근관장 측정 장비와 같은 장비를 연결하여 상기 치료용 파일(30)로 근관을 삭제하면서, 상기 전도성 탐침에 의해 측정되는 저항값으로 삭제되는 심도를 계산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기구는, 치료용 파일에 의해 삭제되는 근관의 심도를 감지하는 스토퍼를 회전 노브와, 회전 동력 전달부와, 승강 변환부를 통해 매우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정밀한 근관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 치과 치료용 기구
20 : 핸드피스
30 : 치료용 파일
40 : 스토퍼
50 : 승강 변환부
52 : 회전 부재
56 : 헤드
58 : 연장부
62 : 승강 부재
64 : 랙 기어
65 : 피니언 기어
66 : 1차 승강 부재
67 : 2차 승강 부재
68 : 관통공
70 : 회전 동력 전달부
73 : 웜 기어
74 : 유니버설 조인트
80 : 회전 노브
81 : 회전 노브의 중심축
82 : 인덱스 지지축
84 : 보조 노브
85 : 감속 기어
86 : 스크롤 인덱스 밴드
88 : 인덱스 링
90 : 전도성 탐침

Claims (17)

  1. 핸드피스; 및 상기 핸드피스의 단부에 설치되는 치료용 파일;을 포함한 치료 기구에 탈부착이 가능하거나 또는 일체로 설치된 치과 치료용 기구로서,
    상기 치료용 파일에 대해 상기 치료용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를 상기 치료용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변환부;
    상기 승강 변환부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승강 변환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 동력 전달부; 및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에 기구적으로 연결되며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회전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변환부는,
    상기 핸드피스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치료용 파일과 나란하게 회전축이 배치된 회전 부재; 및
    상기 스토퍼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치료용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설치된 승강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원통형의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볼 스크루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치료용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기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에는 웜 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웜 기어와 치합되는 랙 기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6. 핸드피스; 및 상기 핸드피스의 단부에 설치되는 치료용 파일;을 포함한 치료 기구에 탈부착이 가능하거나 또는 일체로 설치된 치과 치료용 기구로서,
    상기 치료용 파일에 대해 상기 치료용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를 상기 치료용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변환부;
    상기 승강 변환부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승강 변환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 동력 전달부; 및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에 기구적으로 연결되며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회전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변환부는,
    상기 핸드피스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치료용 파일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축이 배치된 회전 부재; 및
    상기 스토퍼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치료용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설치된 승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에는 피니언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는 랙 기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부에 배치된 헤드; 및
    상기 헤드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비원형 단면이 구비된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연장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구비된 실린더 형상의 1차 승강 부재; 및
    상기 1차 승강 부재의 외주면에 구비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한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핸드피스에 대해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구비한 2차 승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1차 승강 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스토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토퍼는 상기 1차 승강 부재에 의해 승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는 강체로 된 축 구조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는 복수의 축 구조물을 포함하며, 축간 연결구조는 유니버설 조인트, 베벨 기어, 마찰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는 유연성이 있는 벨트 구조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11.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노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토퍼의 위치 또는 이동 거리를 표시하는 눈금 또는 수치가 표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노브와 감속 기어로 연결되며, 상기 회전 노브에 표기된 눈금 또는 수치와 다른 단위의 눈금 또는 수치가 표기된 보조 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13.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노브의 중심축과 이격되며 상기 회전 노브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인덱스 지지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 노브의 중심축과 상기 인덱스 지지축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회전 노브의 중심축과 상기 인덱스 축이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스크롤 인덱스 밴드가 구비되며,
    상기 스크롤 인덱스 밴드의 표면에는 상기 스토퍼의 위치 또는 이동 거리를 표시하는 눈금 또는 수치가 표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14. 핸드피스; 및 상기 핸드피스의 단부에 설치되는 치료용 파일;을 포함한 치료 기구에 탈부착이 가능하거나 또는 일체로 설치된 치과 치료용 기구로서,
    상기 치료용 파일에 대해 상기 치료용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를 상기 치료용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변환부;
    상기 승강 변환부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승강 변환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 동력 전달부; 및
    상기 회전 동력 전달부에 기구적으로 연결되며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회전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노브의 외주면에는 기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핸드피스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인덱스 링이 구비되며,
    상기 인덱스 링의 내주면에 상기 회전 노브와 치합되는 내치 기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15.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용 파일에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치료용 파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탐침(probe); 및
    상기 전도성 탐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핸드피스 외측과 상기 전도성 탐침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연장 포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탐침은 상기 핸드피스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치료용 파일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탐침은 상기 핸드피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치료용 파일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KR1020140134470A 2014-10-06 2014-10-06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KR101512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470A KR101512797B1 (ko) 2014-10-06 2014-10-06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470A KR101512797B1 (ko) 2014-10-06 2014-10-06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797B1 true KR101512797B1 (ko) 2015-04-20

Family

ID=53053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470A KR101512797B1 (ko) 2014-10-06 2014-10-06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46092A (ja) * 2019-03-11 2020-09-17 株式会社ミクロン 歯科用工具のホルダ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6886A (en) * 1995-08-30 1996-12-24 Roane; James B. Rotary handpiece for endodontic instruments
JP2635707B2 (ja) * 1987-08-24 1997-07-30 デンタルウエルク・ビユールモース・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歯科用ハンドピース
JP2000308651A (ja) * 1999-04-09 2000-11-07 Kaltenbach & Voigt Gmbh & Co 医療用のハンドピースに深さ止め具を設定するための設定ゲージ
JP2002035010A (ja) * 2000-07-24 2002-02-05 Manii Kk 歯科用ハンドピー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5707B2 (ja) * 1987-08-24 1997-07-30 デンタルウエルク・ビユールモース・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歯科用ハンドピース
US5586886A (en) * 1995-08-30 1996-12-24 Roane; James B. Rotary handpiece for endodontic instruments
JP2000308651A (ja) * 1999-04-09 2000-11-07 Kaltenbach & Voigt Gmbh & Co 医療用のハンドピースに深さ止め具を設定するための設定ゲージ
JP2002035010A (ja) * 2000-07-24 2002-02-05 Manii Kk 歯科用ハンドピー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46092A (ja) * 2019-03-11 2020-09-17 株式会社ミクロン 歯科用工具のホルダー
JP7361253B2 (ja) 2019-03-11 2023-10-16 株式会社ミクロン 歯科用工具のホルダ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51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causing tooth movement
US200800861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or eliminating the pain associated with an injection
US20060263743A1 (en) Mini-dental implant surgical stent
KR101610341B1 (ko)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
US9839492B2 (en) Ultrasonic ring tip to activate endodontic instruments
KR101607227B1 (ko) 치과용 보철의 제거부재 및 그 제조방법
US20010012606A1 (en) Implant body and rotatory body
KR101512797B1 (ko) 치과용 핸드피스의 조작 심도의 조절 및 표시 기능이 구비된 치과 치료용 기구
US4886075A (en) Thermoelectric ion generator for endodontic therapy
KR101470426B1 (ko) 근관 삽입 심도 감지 기능이 구비된 치아 근관 치료용 기구
JP6482565B2 (ja) 薬液注入装置
KR20100011761A (ko)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
WO2013181105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dental endodontic point
WO2009035359A1 (en) Precision device for dental implant placement
KR101068461B1 (ko) 치과용 수동 핸드피스
KR20120111484A (ko) 임플란트용 상악동 거상 시술장치
KR101503911B1 (ko) 헤드 부위의 구조가 개선된 치과 치료용 기구
CN204863514U (zh) 牙科手机
JP3233684U (ja) 計測スケール付き歯科用ハンドピース
JP6357014B2 (ja) 測定治具
KR20100066020A (ko)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
CN219742921U (zh) 一种用于种植螺丝刀防误吞装置
KR102069947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정밀 시술을 위한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세트
CN216257510U (zh) 医用工具
RU122282U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защиты проксимальн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зуб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