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458B1 -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458B1
KR101658458B1 KR1020150027288A KR20150027288A KR101658458B1 KR 101658458 B1 KR101658458 B1 KR 101658458B1 KR 1020150027288 A KR1020150027288 A KR 1020150027288A KR 20150027288 A KR20150027288 A KR 20150027288A KR 101658458 B1 KR101658458 B1 KR 101658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guide
mount
rota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4373A (ko
Inventor
공태현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7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458B1/ko
Priority to PCT/KR2015/010377 priority patent/WO2016137077A1/ko
Priority to TW104140224A priority patent/TWI566750B/zh
Publication of KR20160104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61C13/1003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by embedding in base material
    • A61C13/1013Arch forms
    • A61C13/1016Methods or apparatus for mounting, holding or positioning a set of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는 드릴 장치; 및 상기 드릴 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임플란트 시술공의 깊이와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 고정하는 치아틀 고정부를 갖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외형을 이루는 몸체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어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개방부가 구비되어 상기 드릴 장치의 측면 진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IMPLANT OPERATION GUIDE APPARATUS SE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악간 거리가 짧은 위치에서도 가이드부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시술공을 원활하게 형성하고, 픽스쳐의 회전 위치를 파악하도록 이루어진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 임플란트(implant)는 문제가 있거나 손실된 치아를 제거한 후, 인공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임플란트는 입접한 자연 치아를 제거하지 않으면서도 치아가 없는 부분만을 수복(修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임플란트 시술을 간략히 설명하면, 시술자는 전용 드릴을 사용하여 임플란트가 설치될 위치의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임플란트 시술공에 픽스쳐(fixture)를 결합하여 치조골과 픽스쳐를 골융합(osseointegration) 시키게 된다. 이때, 픽스쳐는 인공 치아 형상을 갖는 보철물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픽스쳐는 치조골에 형성된 임플란트 시술공에 삽입 결합되는 구성으로, 인체와의 거부반응을 보이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치조골과 픽스쳐가 골융합된 상태에서 픽스쳐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결합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인공 치아를 어버트먼트에 씌운 상태로 결합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 과정 중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환자의 치아 상태, 임플란트 시술이 이루어지는 치아의 위치, 환자의 치조골 상태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임플란트 시술공의 방향 및 깊이는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공을 안정적이고 정확히 형성하기 위해 드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사용하기도 하나, 어금니와 같이 악간(顎間) 거리가 짧은 위치에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경우에는 가이드부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어금니의 위치는 악간 거리가 짧기 때문에 가이드부의 내부로 드릴 진입이 어려워 임플란트 시술공 형성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임플란트 시술공에 픽스쳐를 결합함에 있어, 치조골에 결합되는 픽스쳐의 회전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즉, 치조골에 결합되는 픽스쳐는 시술자가 눈으로 확인하며 픽스쳐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시술자의 시술 경험에 따라 픽스쳐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에, 픽스쳐가 정확한 회전 위치로 식립되지 못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와 인공 치아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인공 치아가 정위치가 아닌 틀어진 상태로 식립되는 문제가 있다. 즉, 인공 치아가 가지런하게 식립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악간 거리가 짧은 위치에서도 가이드부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시술공을 원활하게 형성하고, 픽스쳐의 회전 위치를 파악하도록 이루어진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는 드릴 장치; 및 상기 드릴 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임플란트 시술공의 깊이와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 고정하는 치아틀 고정부를 갖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외형을 이루는 몸체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어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개방부가 구비되어 상기 드릴 장치의 측면 진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임플란트 시술공에 삽입 고정되는 픽스쳐; 및 상기 가이드부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픽스쳐의 회전 상태를 파악하는 회전 조정부가 구비된 마운트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개방부와 대향되며 상기 마운트 어셈블리의 회전 위치를 지정하는 회전 기준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 조정부의 측면을 상기 회전 기준홈에 의해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의 내경측 모서리를 연결한 가상의 선분과 평행하도록 조정하여 상기 픽스쳐가 식립되는 회전 위치를 조정하도록 이루어진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몸체부와 이격 공간을 형성하며, 연결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개방부의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개방부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에는 상기 수용홈과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는 상기 개방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어셈블리는, 일단부에 제1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픽스쳐와 나사 결합되는 마운트 스크류; 및 상기 마운트 스크류의 일단부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마운트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나사산은 상기 관통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픽스쳐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스크류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바; 상기 삽입바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나사산; 상기 삽입바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머리부; 및 한 쌍을 이루는 상기 머리부의 이격 공간에 구비되는 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상면에는 다각홈이 형성되고, 제1 드라이버는 상기 다각홈에 결속되어 상기 마운트 스크류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바디는, 제2 드라이버가 결속되며, 상기 제2 드라이버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픽스쳐로 전달하는 드라이버 체결부; 상기 드라이버 체결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단면이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픽스쳐의 회전 위치를 파악하는 회전 조정부; 상기 회전 조정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되 하부는 원뿔대 형상을 이루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조정부와 동일한 정다각형을 이루되, 각 측면은 상기 회전 조정부의 측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조정부에 비해 외접원의 크기가 작은 픽스쳐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는 상기 픽스쳐 지지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상기 픽스쳐 지지부가 삽입 고정되는 지지부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고정홈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나사산과 결합되는 제2 나사산이 구비되며, 외측에는 상기 치조골에 결합되는 제3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는 상기 바디부의 원뿔대와 대응되는 형상의 이동 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픽스쳐 지지부를 상기 지지부 고정홈으로 안내할 수 있다.
삭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장치에는 몸체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는 개방부가 구비되어 임플란트 식립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방향에서도 드릴을 가이드 장치의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다.
예로, 드릴 장치의 진입이 어려운 어금니와 같은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경우, 시술자는 개방부를 몸체부로부터 분리하여 형성된 삽입 공간부를 통해 가이드부의 내부로 드릴을 손쉽게 진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부에는 회전 기준홈이 형성되어 픽스쳐의 회전 위치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치조골에 고정된 픽스쳐에 어버트먼트와 인공 치아를 결합함에 있어, 인공 치아가 틀어진 상태로 식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로, 개방부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 단면도로, 개방부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 어셈블리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에 삽입된 픽스쳐가 결합된 마운트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식립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의 사용 상태도로,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1000)는 드릴 장치(100)와 가이드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1000)에는 가이드 장치(200)가 구비되어 시술자는 드릴 장치(100)를 이용하여 치조골(미도시)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정확한 위치와 깊이로 형성할 수 있다.
드릴 장치(100)는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드릴 장치(100)는 동력 전달축(110), 걸림부(120), 드릴 헤드(130) 및 드릴(14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동력부(150)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은 동력 전달축(110)으로 전달되고, 동력 전달축(110)으로 전달된 회전력은 동력 전달축(110)과 일체로 이루어진 드릴(140)로 전달되어, 드릴(140)은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동력부(150)는 모터 등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드릴 장치(100)는 가이드 장치(200)에 구비되는 가이드부(300)를 따라 이동되며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부(300)에는 드릴 장치(100)의 이동을 구속하는 단턱부(301)가 형성되어 있어, 치조골에 형성되는 임플란트 시술공의 깊이와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이드 장치(200)는 가이드부(300)와 치아틀 고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틀 고정부(240)에 지지 고정되는 가이드부(300)는 한 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2개, 3개, 4개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가이드부(300)의 개수는 특정 개수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00)가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가이드부(300)는 서로 이웃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서로 일정 거리가 떨어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등 가이드부(300)의 위치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300)는 환자의 치아 상태, 임플란트 시술이 이루어지는 치아의 위치, 환자의 치조골 상태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정된다.
즉, 임플란트 시술을 받을 환자는 컴퓨터 단층촬영(CT, computed tomography)을 통해 치아 상태를 정밀히 파악하게 되며, 이렇게 파악된 치아 상태에 따라 임플란트 시술공의 방향 및 깊이 등을 결정하게 된다.
예로, 3차원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해 환자의 치아를 3차원으로 분석함으로써, 시술부위의 치아 정보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환자의 치은을 직접 절개하지 않고도 3차원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해 환자의 치은, 치조골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정확히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근거로 가이드 장치(200)를 제조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치아틀 고정부(240)는 임플란트 식립이 이루어질 아랫니 또는 윗니를 제외한 모든 치아에 대하여 아랫니틀 또는 윗니틀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치아틀 고정부(240)는 양각 형태의 치아에 대해 음각 형태로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치아에 덮여 끼워지며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예로, 이러한 치아틀 고정부(240)는 환자가 임플란트를 아랫니에만 시술할 경우에는 아랫니틀 형태로 제조하게 되고, 임플란트를 윗니에만 시술할 경우에는 윗니틀 형태로 제조하게 된다.
만약 환자가 임플란트를 아랫니와 윗니에 시술할 경우에는 치아틀 고정부(240)는 아랫니틀 형태와 윗니틀 형태로 각각 제조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의 (a)에서 보여지는 치아틀 고정부(240)는 임플란트 식립이 이루어질 아랫니를 제외한 모든 아랫니에 대한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이고, 도 1의 (b)에서 보여지는 치아틀 고정부(240)는 임플란트 식립이 이루어질 아랫니의 일부에만 끼워지는 형태이다.
이와 같이, 시술자는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치아틀 고정부(240)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치아틀 고정부(240)는 가이드부(300)를 지지 고정하는 구성으로, 임플란트 식립이 이루어질 아랫니 또는 윗니만을 제외한 각각의 치아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각각의 치아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보여지는 치아틀 고정부(240)는 아랫니틀 형태를 갖는 치아틀 고정부(240)를 일예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치아틀 고정부(240)는 컴퓨터 단층촬영를 통해 환자 개개인의 치아에 맞도록 맞춤형태로 제조된다. 따라서, 치아틀 고정부(240)는 환자의 치아와 정확히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며 가이드부(3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치아틀 고정부(240)는 가이드부(30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가이드부(300)는 치아틀 고정부(240)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로, 개방부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300)에는 개방부(3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개방부(320)는 몸체부(310)의 원주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부(320)는 몸체부(310)와 이격 공간(311)을 형성하며 연결부재(312)에 의해 몸체부(3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312)는 시술자가 일정 이상의 힘을 개방부(320)에 가할 경우, 몸체부(310)로부터 개방부(320)가 손쉽게 분리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시술자가 개방부(32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여 개방부(320)를 회전시킬 경우, 개방부(320)의 양측면에 구비된 연결부재(312)는 비틀림에 의해 몸체부(310)로부터 끊어지도록 이루어진다. 즉, 개방부(320)와 몸체부(310) 사이에는 이격 공간(311)이 형성되어 개방부(320)는 몸체부(310)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부(320)는 시술자가 필요에 따라 제거하거나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개방부(320)의 길이는 몸체부(310)의 길이보다 짧도록 이루어져 몸체부(310)로부터 개방부(320)를 분리할 시, 몸체부(310)가 완전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개방부(320)는 몸체부(310)로부터 분리될 경우, 삽입 공간부(330)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삽입 공간부(330)는 외부로부터 드릴(140)의 진입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임플란트 시술공 형성을 위해 드릴 장치(100)의 드릴(140)을 가이드부(300)의 내부로 안내함에 있어, 드릴(140)을 몸체부(310)의 일단부로부터 임플란트 식립 방향으로 진입시키지 않고, 삽입 공간부(330)를 통해 가이드부(300)의 측면으로 드릴(140)을 진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드릴 장치(100)의 진입이 어려운 어금니와 같은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경우, 개방부(320)를 몸체부(310)로부터 분리하여 드릴 장치(100)의 드릴(140)을 삽입 공간부(330)를 통해 가이드부(300)의 내부로 손쉽게 진입시킬 수 있다.
이에, 시술자는 환자가 입을 크게 벌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임플란트 시술공을 원활히 형성할 수 있다. 즉, 시술자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따라 개방부(320)를 선택적으로 분리시킨 상태에서 임플란트 시술을 시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 과정에서 환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고, 시술 작업의 어려움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악간(顎間) 거리가 동일한 환자를 시술함에 있어, 개방부(320)가 몸체부(310)로부터 뜯어지도록 이루어지는 가이드부(300)를 사용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시술 과정에서 환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가이드부(300)에는 회전 기준홈(302)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 기준홈(302)은 개방부(320)에 대향되도록 위치되어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800, 도 13참조)의 회전 위치 기준을 설정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B-B 단면도로, 개방부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7에서 보여지는 가이드부(300')는 도 2 내지 4에서 보여지는 가이드부(300)와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위치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즉, 도 5에서는 연결부재(312)가 개방부(320)의 양측면에 구비된 것과 달리, 도 6의 연결부재(312')는 개방부(320)의 하면에 구비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개방부(320)를 몸체부(310)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시술자는 개방부(320)의 상단부에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여, 연결부재(312')가 몸체부(310)로부터 끊어지도록 부러뜨린다. 이러한 개방부(320)는 시술자가 필요에 따라 제거하거나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몸체부(310)와 개방부(3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12, 312')는 개방부(320)의 양측면 또는 하면의 위치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더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이드부(400)에 구비되는 개방부(420)는 몸체부(410)의 원주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부(420)에는 돌출부(421)가 형성되고, 몸체부(410)에는 돌출부(421)에 대응되는 수용홈(411)이 형성되어 개방부(420)는 몸체부(41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개방부(420)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몸체부(410)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개방부(420)를 몸체부(410)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시술자는 개방부(420)를 가이드부(400)의 길이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개방부(420)를 몸체부(41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개방부(420)의 길이는 몸체부(410)의 길이보다 짧도록 이루어져 몸체부(410)로부터 개방부(420)를 분리할 시, 몸체부(410)가 완전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 어셈블리의 조립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에 삽입된 픽스쳐가 결합된 마운트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1000)는 마운트 어셈블리(700) 및 픽스쳐(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운트 어셈블리(700)와 픽스쳐(800)는 드릴 장치(100)를 이용하여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한 후, 사용되는 구성이다.
마운트 어셈블리(700)는 임플란트 시술공에 픽스쳐(800)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마운트 어셈블리(700)는 마운트 스크류(500)와 마운트 바디(60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 스크류(500)의 단부는 픽스쳐(800)와 나사 결합되는 구성으로, 마운트 스크류(500)는 삽입바(510), 제1 나사산(520), 머리부(530) 및 오링부(540)를 포함하게 된다.
삽입바(510)는 원기둥 형태를 이루며 마운트 스크류(500)의 길이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삽입바(510)는 마운트 바디(600)에 형성된 관통홀(601)에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삽입바(510)의 일단부에 구비된 제1 나사산(520)은 픽스쳐(800)의 내측에 형성된 제2 나사산(810)과 나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머리부(530)는 삽입바(510)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머리부(530)는 관통홀(60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삽입바(510)가 관통홀(601)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이 발생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삽입바(510)가 관통홀(601)에 삽입된 상태에서 픽스쳐(800)와 결합된 상태로 전진 이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머리부(530)가 마운트 바디(600)에 맞닿을 시 삽입바(510)의 전진 이동은 구속될 수 있다. 이러한 머리부(530)는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머리부(530)의 상면에는 다각홈(531)이 형성되며, 다각홈(531)의 내측으로는 제1 드라이버(미도시)가 결속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드라이버는 다각홈(531)에 결속된 상태로 마운트 스크류(50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정회전은 제1 나사산(520)과 제2 나사산(810)의 결합을 위한 오른쪽 방향으로의 쪼임 회전을 말하고, 역회전은 제1 나사산(520)과 제2 나사산(810)을 분리시키기 위한 왼쪽 방향으로의 풀림 회전을 말한다. 여기서, 제1 나사산(520)과 제2 나사산(810)이 왼 나사의 경우에는 정회전과 역회전의 방향은 반대로 이루어진다.
오링부(540)는 한 쌍을 이루며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머리부(530)의 이격 공간에 구비된다. 이러한 오링부(540)의 역할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마운트 바디(600)는 관통홀(601)이 형성되어 마운트 스크류(500)의 일단부가 관통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가이드부(300)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이루어져 가이드부(300)에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마운트 바디(600)는 드라이버 체결부(610), 회전 조정부(620), 바디부(630) 및 픽스쳐 지지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라이버 체결부(610)의 외측면에는 제2 드라이버(미도시)가 결속되어 제2 드라이버의 회전에 따라 마운트 바디(600)는 회전될 수 있다. 즉, 제2 드라이버를 통해 드라이버 체결부(610)로 전달된 회전력은 최종적으로 픽스쳐(800)로 전달되어 픽스쳐(800)는 회전되며 치조골에 형성된 임플란트 시술공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드라이버는 머리부(530) 및 드라이버 체결부(610)를 감싼 상태로 드라이버 체결부(610)에 결속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오링부(540)는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며 제2 드라이버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드라이버 체결부(610)에 결속된 제2 드라이버가 헐거워 드라이버 체결부(610)로부터 손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버 체결부(610)는 단면 형상이 8각형으로 이루어지고, 회전 조정부(620)는 6각형으로 이루어지며, 픽스쳐 지지부(640)도 6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드라이버 체결부(610), 회전 조정부(620) 및 픽스쳐 지지부(640)는 다양한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회전 조정부(620)와 픽스쳐 지지부(640)는 외접원의 크기만 다를 뿐, 동일한 변의 개수를 갖는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지되, 반드시 각 측면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회전 조정부(620)는 드라이버 체결부(610)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 조정부(620)는 마운트 어셈블리(700)의 회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구성으로, 최종적으로는 픽스쳐(800)의 회전 상태를 파악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회전 조정부(620)의 각 측면(621)이 만나는 부분은 라운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마운트 스크류(500)가 관통홀(601)에 관통 삽입된 후, 제1 나사산(520)이 픽스쳐(800)에 형성된 제2 나사산(810)과 쪼임에 의해 견고한 나사 결합이 이루어진 조립된 형태의 마운트 어셈블리(700)는 가이드부(300)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부(300)의 안내를 받으며 기 형성된 임플란트 시술공에 픽스쳐(800)를 삽입하여 식립하게 된다.
이때, 시술자는 개방부(320)에 대향되며 몸체부(310)에 형성된 회전 기준홈(302)과 회전 조정부(620)의 조정을 통해 픽스쳐(800)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즉,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조정부(620)의 어느 하나의 측면(621)을 회전 기준홈(302)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부(300)의 내경측 모서리를 연결한 가상의 선분(s)과 평행하도록 회전 조정부(620)를 회전시켜 픽스쳐(800)의 회전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부(300)를 따라 픽스쳐(800)를 치조골에 식립하는 최종 단계에서 회전 조정부(620)의 측면(621)과 가상의 선분(s)이 평행하도록 회전 조정부(62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픽스쳐(800)의 회전 위치를 정확히 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술자는 시술자의 경험에 의해 픽스쳐(800)의 회전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 조정부(620)의 측면(621)과 가상의 선분(s)이 평행하도록 눈으로 직접 확인하며 마운트 어셈블리(70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픽스쳐(800)의 회전 위치를 정확히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쳐(800)의 회전 위치를 정확히 지정함에 따라 픽스쳐(800)에 어버트먼트와 인공 치아를 결합함에 있어, 인공 치아가 틀어진 상태로 식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인공 치아가 가지런하게 식립될 수 있다.
한편, 바디부(630)는 회전 조정부(620)의 하부에 구비되며 가이드부(300)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마운트 어셈블리(700)가 가이드부(300)를 따라 이동함에 있어, 바디부(630)는 마운트 어셈블리(70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바디부(630)의 하부는 원뿔대 형상을 이루어 픽스쳐 지지부(640)가 지지부 고정홈(820)에 원활히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픽스쳐 지지부(640)는 바디부(630)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픽스쳐 지지부(640)는 단면이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지되, 회전 조정부(620)와 동일한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회전 조정부(620)가 6각형이라면 픽스쳐 지지부(640) 역시 6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회전 조정부(620)와 픽스쳐 지지부(640)는 외접원의 크기만 다르다. 이때, 픽스쳐 지지부(640)의 외접원 크기는 회전 조정부(620)의 외접원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픽스쳐 지지부(640)는 픽스쳐(800)에 형성된 지지부 고정홈(820)에 삽입 고정되어 드라이버 체결부(610)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픽스쳐(800)로 전달하게 된다. 즉, 지지부 고정홈(820)은 픽스쳐 지지부(64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마운트 바디(600)의 회전력은 픽스쳐(800)로 원활히 전달될 수 있다.
한편, 픽스쳐(800)의 내측에는 제2 나사산(810)이 형성되어 마운트 스크류(500)의 제1 나사산(520)과 나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나사산(810)은 지지부 고정홈(82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픽스쳐(800)의 외측에는 제3 나사산(8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나사산(520), 제2 나사산(810) 및 제3 나사산(830)은 동일한 회전 방향을 같도록 이루어지며, 실시예로 설명되는 제1 나사산(520), 제2 나사산(810) 및 제3 나사산(830)은 오른 나사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픽스쳐(800)에는 이동 안내부(840)가 형성되어 픽스쳐 지지부(640)를 지지부 고정홈(820)으로 원활히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이동 안내부(840)는 바디부(630)의 원뿔대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제1 나사산(520)과 제2 나사산(81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픽스쳐 지지부(640)를 지지부 고정홈(820)으로 원활히 안내하게 된다. 즉, 이동 안내부(840)는 바디부(630)의 일단부와 지지부 고정홈(820) 사이에 경사를 형성하여 픽스쳐 지지부(640)가 지지부 고정홈(820)으로 원활히 안내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픽스쳐 지지부(640)는 제1 나사산(520)과 제2 나사산(810)의 결합시 자연스럽게 지지부 고정홈(8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운트 어셈블리(700)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마운트 스크류(500)의 제1 나사산(520)을 관통홀(601)에 관통 삽입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1 나사산(520)과 픽스쳐(800)에 형성된 제2 나사산(810)을 나사 결합하게 된다. 이때, 제1 나사산(520)과 제2 나사산(810)이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픽스쳐 지지부(640)는 지지부 고정홈(820)에 삽입 고정된다. 즉, 픽스쳐(800)에 형성된 이동 안내부(840)에 의해 픽스쳐 지지부(640)는 지지부 고정홈(820)에 삽입 고정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픽스쳐 지지부(640)가 지지부 고정홈(820)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마운트 스크류(500)를 회전시켜 제1 나사산(520)과 제2 나사산(810)을 견고히 결합시킨다. 즉, 마운트 스크류(500), 마운트 바디(600) 및 픽스쳐(800)는 견고히 결합된 하나의 덩어리를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픽스쳐(800)가 결합된 마운트 어셈블리(700)는 가이드부(300)에 삽입되어 임플란트 시술공에 픽스쳐(800)를 식립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식립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제조된 가이드 장치(200)를 환자의 치아에 고정시킨다. 이때, 가이드 장치(200)는 임플란트가 식립될 자리에 가이드부(300, 300', 400)가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S100)
다음으로, 드릴 장치(100)를 가이드부(300, 300', 400)의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게 된다. (S200)
이때, 시술자는 작업 여건에 따라 가이드부(300, 300', 400)에 구비된 개방부(320, 420)를 선택적으로 분리시켜 가이드부(300, 300', 400)의 내부로 드릴 장치(100)를 수월하게 진입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픽스쳐(800)가 결합된 조립 상태의 마운트 어셈블리(700)를 가이드부(300, 300', 400)에 관통 삽입하여 픽스쳐(800)를 임플란트 시술공에 결합하게 된다. (S300)
이때, 가이드부(300, 300', 400)를 따라 픽스쳐(800)를 치조골에 식립하는 최종 단계에서 회전 조정부(620)의 어느 하나의 측면(621)과 가상의 선분(s)이 평행하도록 회전 조정부(62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픽스쳐(800)의 회전 위치를 정확히 지정할 수 있다.
이렇게 임플란트 시술공에 픽스쳐(800)를 결합한 상태에서 조립 상태의 마운트 어셈블리(700)를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머리부(530) 상면의 다각홈(531)에 제1 드라이버를 결속한 후, 제1 드라이버를 역회전시켜 제1 나사산(520)과 제2 나사산(810)의 나사 결합을 분리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1 드라이버를 역회전시켜 제1 나사산(520)과 제2 나사산(81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마운트 바디(600)가 함께 회전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드라이버 체결부(61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 드라이버를 역회전시켜 마운트 스크류(500)를 픽스쳐(8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렇게 픽스쳐(800)로부터 마운트 스크류(50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마운트 바디(600)는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치조골과 픽스쳐가 골융합(osseointegration)된 상태에서 픽스쳐에 어버트먼트(abutment, 미도시)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는 나사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인공 치아를 어버트먼트에 씌운 상태로 결합하여 임플란트 식립을 마무리하게 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드릴 장치 200: 가이드 장치
240: 치아틀 고정부 300, 300', 400: 가이드부
302: 회전 기준홈 310: 몸체부
312: 연결부재 320, 420: 개방부
500: 마운트 스크류 520: 제1 나사산
600: 마운트 바디 620: 회전 조정부
630: 바디부 640: 픽스쳐 지지부
700: 마운트 어셈블리 800: 픽스쳐
820: 지지부 고정홈 1000: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Claims (14)

  1.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는 드릴 장치; 및
    상기 드릴 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임플란트 시술공의 깊이와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 고정하는 치아틀 고정부를 갖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외형을 이루는 몸체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어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개방부가 구비되어 상기 드릴 장치의 측면 진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시술공에 삽입 고정되는 픽스쳐; 및
    상기 가이드부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픽스쳐의 회전 상태를 파악하는 회전 조정부가 구비된 마운트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개방부와 대향되며 상기 마운트 어셈블리의 회전 위치를 지정하는 회전 기준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 조정부의 측면을 상기 회전 기준홈에 의해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의 내경측 모서리를 연결한 가상의 선분과 평행하도록 조정하여 상기 픽스쳐가 식립되는 회전 위치를 조정하도록 이루어진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몸체부와 이격 공간을 형성하며, 연결부재로 결합된 것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개방부의 양측면에 구비된 것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개방부의 하면에 구비된 것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에는 상기 수용홈과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는 상기 개방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어셈블리는, 일단부에 제1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픽스쳐와 나사 결합되는 마운트 스크류; 및
    상기 마운트 스크류의 일단부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마운트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나사산은 상기 관통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픽스쳐와 나사 결합되는 것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스크류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바;
    상기 삽입바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나사산;
    상기 삽입바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 머리부; 및
    한 쌍을 이루는 상기 머리부의 이격 공간에 구비되는 오링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상면에는 다각홈이 형성되고, 제1 드라이버는 상기 다각홈에 결속되어 상기 마운트 스크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바디는, 제2 드라이버가 결속되며, 상기 제2 드라이버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픽스쳐로 전달하는 드라이버 체결부;
    상기 드라이버 체결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단면이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픽스쳐의 회전 위치를 파악하는 회전 조정부;
    상기 회전 조정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되 하부는 원뿔대 형상을 이루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조정부와 동일한 정다각형을 이루되, 각 측면은 상기 회전 조정부의 측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조정부에 비해 외접원의 크기가 작은 픽스쳐 지지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는 상기 픽스쳐 지지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상기 픽스쳐 지지부가 삽입 고정되는 지지부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고정홈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나사산과 결합되는 제2 나사산이 구비되며, 외측에는 상기 치조골에 결합되는 제3 나사산이 구비된 것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는 상기 바디부의 원뿔대와 대응되는 형상의 이동 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픽스쳐 지지부를 상기 지지부 고정홈으로 안내하는 것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14. 삭제
KR1020150027288A 2015-02-26 2015-02-26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KR101658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288A KR101658458B1 (ko) 2015-02-26 2015-02-26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PCT/KR2015/010377 WO2016137077A1 (ko) 2015-02-26 2015-10-01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및 그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방법
TW104140224A TWI566750B (zh) 2015-02-26 2015-12-01 植牙手術導引裝置組及利用其的植牙植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288A KR101658458B1 (ko) 2015-02-26 2015-02-26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373A KR20160104373A (ko) 2016-09-05
KR101658458B1 true KR101658458B1 (ko) 2016-09-21

Family

ID=5678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288A KR101658458B1 (ko) 2015-02-26 2015-02-26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58458B1 (ko)
TW (1) TWI566750B (ko)
WO (1) WO20161370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525B1 (ko) * 2017-11-20 2020-01-21 김주식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KR102108530B1 (ko) * 2017-11-23 2020-05-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핸드피스
KR101841747B1 (ko) * 2017-12-22 2018-03-23 왕제원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을 위한 방향확인 핀과 가이드 탭 드릴 키트
CN108371562B (zh) * 2018-02-12 2023-08-08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牙科种植导板
CN108969131A (zh) * 2018-08-07 2018-12-11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种植牙备孔装置
CN110226979B (zh) * 2019-05-30 2024-04-02 杭州六维齿科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自导航钻套的种植备孔钻系统
KR102311760B1 (ko) * 2020-04-13 2021-10-1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946B1 (ko) 2006-04-27 2006-08-11 주식회사 메가젠 임플란트용 스텐트
US20090011382A1 (en) 2007-05-25 2009-01-08 Bavar Trevor Surgical drill guide and index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7726B2 (ja) * 2007-09-12 2014-04-09 イマグノーシス株式会社 インプラント植立用穿孔器具、ハンドピース、ハンドピース用アダプタおよびサージカルガイド
US8777612B2 (en) * 2007-11-16 2014-07-15 Biomet 3I, Llc Components for use with a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 placement
KR101291754B1 (ko) * 2011-08-08 2013-08-05 정충현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KR101205841B1 (ko) * 2011-09-22 2012-11-2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드릴, 드릴셋트 및 치조골의 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946B1 (ko) 2006-04-27 2006-08-11 주식회사 메가젠 임플란트용 스텐트
US20090011382A1 (en) 2007-05-25 2009-01-08 Bavar Trevor Surgical drill guide and index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373A (ko) 2016-09-05
TWI566750B (zh) 2017-01-21
TW201630570A (zh) 2016-09-01
WO2016137077A1 (ko)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458B1 (ko)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ES2707963T3 (es) Sistema de colocación de implantes dentales
US9283057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implants
JP6074571B2 (ja) 脊柱を安定化させるための低侵襲的方法および装置
EP2706948B1 (en) Device for causing tooth movement
EP2572671A1 (en) Stopper ring for a bone drill
KR101419832B1 (ko) 임플란트용 소재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가공장치
US20170143351A1 (en) Implant placement trephine, prepackaged and sized implant / trephine kit, and methods of use
AU2008290807A1 (en) Drill guide with a limit stop
KR101525165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가이드 기구
EP2010094B1 (en) Orthodontic implant device
US20140220508A1 (en) Method and drills for two stage protocol for creating an osteotomy for a dental implant
WO2007067105A1 (en) A surgical tool for a dental implant procedure, a tool kit for a dental implant procedure and a method for making a dental implant
KR101695006B1 (ko)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US20190159790A1 (en) Dental drilling device
KR101250493B1 (ko) 임플란트 식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방법
EP3409236B1 (en) Dental flattening drill
KR20180014995A (ko)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장치
KR101437376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어버트먼트 홀더
KR20210035866A (ko) 구강 수술 개입 용 드릴 지그
KR20140132472A (ko) 날개픽스쳐
US9763755B2 (en) Surgical kit for precise vertical positioning of dental implants
KR101512561B1 (ko)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플랩리스 임플란트 시술에서 즉시 보철수복을 위한 치조골의 표면을 정리하는 드릴
JP4108217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埋入用治具
KR20180019264A (ko) 치과용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