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006B1 -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006B1
KR101695006B1 KR1020150027287A KR20150027287A KR101695006B1 KR 101695006 B1 KR101695006 B1 KR 101695006B1 KR 1020150027287 A KR1020150027287 A KR 1020150027287A KR 20150027287 A KR20150027287 A KR 20150027287A KR 101695006 B1 KR101695006 B1 KR 101695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drill
implant treatment
inner diameter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4372A (ko
Inventor
공태현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7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006B1/ko
Priority to PCT/KR2015/010376 priority patent/WO2016137076A1/ko
Priority to TW104140223A priority patent/TWI563986B/zh
Publication of KR20160104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61C13/1003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by embedding in base material
    • A61C13/1013Arch forms
    • A61C13/1016Methods or apparatus for mounting, holding or positioning a set of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정해진 길이를 가지며,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는 드릴 장치; 및 상기 드릴 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임플란트 시술공의 깊이와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 고정하는 치아틀 고정부를 갖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외형을 이루며 제1 내경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2 내경을 형성하는 단턱부;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단턱부까지의 거리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일정 길이를 갖는 한 개의 상기 드릴 장치로 깊이가 다른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와 치아틀 고정부는 일체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IMPLANT OPERATION GUIDE APPARATUS SE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시술공의 방향 및 깊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 임플란트(implant)는 문제가 있거나 손실된 치아를 제거한 후, 인공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임플란트는 입접한 자연 치아를 제거하지 않으면서도 치아가 없는 부분만을 수복(修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임플란트 시술을 간략히 설명하면, 시술자는 전용 드릴을 사용하여 임플란트가 설치될 위치의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임플란트 시술공에 픽스쳐(fixture)를 결합하여 치조골과 픽스쳐를 골융합(osseointegration) 시키게 된다. 이때, 픽스쳐는 인공 치아 형상을 갖는 보철물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픽스쳐는 치조골에 형성된 임플란트 시술공에 삽입 결합되는 구성으로, 인체와의 거부반응을 보이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치조골과 픽스쳐가 골융합된 상태에서 픽스쳐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결합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인공 치아를 어버트먼트에 씌운 상태로 결합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 과정 중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환자의 치아 상태, 임플란트 시술이 이루어지는 치아의 위치, 환자의 치조골 상태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임플란트 시술공의 방향 및 깊이는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다양한 요인을 통해 결정된 임플란트 시술공의 방향 및 깊이에 따라 시술자는 드릴을 이용하여 요구되는 방향 및 깊이로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시술자는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함에 있어, 정확한 임플란트 시술공의 방향 및 깊이를 가늠하기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시술자가 드릴에 힘을 가하여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현재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깊이로 드릴링 작업이 이루어졌는지를 정확히 판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만약, 시술자가 일정 깊이를 초과하여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할 경우에는 치조골에 있는 신경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그와 반대로, 시술자가 일정 깊이 미만으로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할 경우에는 픽스쳐가 임플란트 시술공에 견고히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 시술 과정 중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는 과정은 어렵고도 매우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임플란트 시술공의 방향 및 깊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정해진 길이를 가지며,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는 드릴 장치; 및 상기 드릴 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임플란트 시술공의 깊이와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 고정하는 치아틀 고정부를 갖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외형을 이루며 제1 내경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2 내경을 형성하는 단턱부;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단턱부까지의 거리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일정 길이를 갖는 한 개의 상기 드릴 장치로 깊이가 다른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와 치아틀 고정부는 일체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정해진 길이를 가지며,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는 드릴 장치; 및 상기 드릴 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임플란트 시술공의 깊이와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 고정하는 치아틀 고정부를 갖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외형을 이루며 제1 내경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2 내경을 형성하는 단턱부;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단턱부까지의 거리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일정 길이를 갖는 한 개의 상기 드릴 장치로 깊이가 다른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치아틀 고정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정해진 길이를 가지며,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는 드릴 장치; 및 상기 드릴 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임플란트 시술공의 깊이와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 고정하는 치아틀 고정부를 갖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에는 드릴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드릴 안내홀이 형성된 부분의 상면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일정 길이를 갖는 한 개의 상기 드릴 장치로 깊이가 다른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단턱부까지의 거리가 1mm 이상 서로 차이가 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릴 장치는, 상기 제2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드릴 헤드; 상기 드릴 헤드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걸림부; 상기 드릴 헤드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는 드릴; 및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며 상기 드릴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아틀 고정부는 치아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치아에 덮여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와 상기 단턱부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 가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 가이드로부터 형성된 제3 내경의 크기는 상기 제2 내경의 크기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장치에는 요구되는 방향 및 깊이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가이드부가 구비되어 시술자는 손쉽게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가이드 장치에는 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단턱부까지의 거리가 선택적으로 조절된 가이드부가 구비됨으로써, 시술자는 임플란트 시술공을 손쉽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는 작업과정에서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깊이로 드릴링 작업이 이루어졌는지를 지속적으로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가이드 장치는 임플란트 시술의 경험이 부족한 초보자뿐만 아니라 시술 경험이 풍부한 숙련자에게도 임플란트 시술의 간편성 및 정확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시술자는 임플란트 시술공의 깊이에 따라 드릴 장치에 구비되는 드릴을 별도로 교체할 필요가 없다. 즉,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시 임플란트 시술공의 깊이에 따라 그에 맞는 드릴을 선택적으로 교체하던 과정을 없앰으로써, 임플란트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의 A-A 단면도로,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b)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틀 고정부와 탈부착되는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식립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의 A-A 단면도로,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의 (b)의 B-B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틀 고정부와 탈부착되는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1000)는 드릴 장치(100)와 가이드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1000)에는 가이드 장치(200)가 구비되어 시술자는 드릴 장치(100)를 이용하여 치조골(2)에 임플란트 시술공(5)을 정확한 위치와 깊이로 형성할 수 있다.
드릴 장치(100)는 치조골(2)에 임플란트 시술공(5)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드릴 장치(100)는 동력 전달축(110), 걸림부(120), 드릴 헤드(130) 및 드릴(14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동력부(150)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은 동력 전달축(110)으로 전달되고, 동력 전달축(110)으로 전달된 회전력은 동력 전달축(110)과 일체로 이루어진 드릴(140)로 전달되어, 드릴(140)은 치조골(2)에 임플란트 시술공(5)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동력부(150)는 모터 등이 될 수도 있다.
드릴 장치(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동력 전달축(110)의 단부는 걸림부(120)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걸림부(120)의 외경은 가이드부(230)에 형성된 제1 내경(211)과 대응되도록 이루어지며, 걸림부(120)는 가이드부(230)에 형성된 제1 내경(211)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임플란트 시술공(5)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걸림부(120)는 가이드부(230)의 제1 내경(21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드릴 헤드(130)는 걸림부(120)와 연결 형성되며, 드릴 헤드(130)의 외경은 가이드부(230)에 형성된 제2 내경(221)과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드릴 헤드(130)는 임플란트 시술공(5)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2 내경(22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120)와 드릴 헤드(130)는 원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림부(120)의 외경은 드릴 헤드(1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걸림부(120)가 이동되는 제1 내경(211)은 드릴 헤드(130)가 이동되는 제2 내경(221) 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드릴 장치(100)가 가이드부(230)에 의해 임플란트 식립 방향으로 이동됨에 있어, 단턱부(220)는 걸림부(120)의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즉, 단턱부(220)는 걸림부(120)의 이동을 제약함으로써 드릴 장치(100)의 이동은 구속될 수 있다. 이에, 임플란트 시술공(5)의 깊이는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치조골(2)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며 치조골(2)에 임플란트 시술공(5)을 형성하는 드릴(140)은 드릴 헤드(130)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즉, 드릴 헤드(130)의 일단부에는 걸림부(120)가 연결되고, 드릴 헤드(130)의 타단부에는 드릴(140)이 연결된다.
한편, 가이드 장치(200)는 가이드부(230)와 치아틀 고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230)는 몸체부(210)와 단턱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10)는 가이드부(230)의 외형을 형성하며, 걸림부(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내경(2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내경(211)은 걸림부(120)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져 걸림부(120)는 제1 내경(21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단턱부(220)는 몸체부(2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2 내경(221)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2 내경(221)은 드릴 헤드(1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드릴 장치(100)가 임플란트 시술공(5)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드릴 헤드(130)는 제2 내경(221)을 따라 이동되며, 임플란트 시술공(5)의 형성 위치 및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230)에 형성된 제1 내경(211)과 제2 내경(221)은 걸림부(120)와 드릴 헤드(130)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드릴 장치(10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즉, 드릴 장치(100)는 가이드부(230)의 안내를 받으며,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임플란트 시술공(5)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부(230)는 임플란트 시술공(5)의 깊이도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즉, 가이드부(230)에 구비되는 단턱부(220)의 위치에 따라 임플란트 시술공(5)의 깊이는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230)는 몸체부(210)의 일단부로부터 단턱부(220)까지의 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드릴 장치(10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이러한 치아틀 고정부(240)에 지지 고정되는 가이드부(230)는 한 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2개, 3개, 4개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가이드부(230)의 개수는 특정 개수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30)가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가이드부(230)는 서로 이웃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서로 일정 거리가 떨어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등 가이드부(230)의 위치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가이드부(230)는 몸체부(210)의 일단부로부터 단턱부(220)까지의 거리가 1mm 이상 서로 차이 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30) 간의 거리 차이에 의해 상이하게 형성되는 임플란트 시술공(5)에 식립되는 픽스쳐의 길이는 1~1.5mm 단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고하면, 도 2의 (a)와 도 2의 (b)는 몸체부(210)의 일단부로부터 단턱부(220)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각각의 가이드부(230)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의 (a)에서 보여지는 몸체부(210)의 일단부로부터 단턱부(220)까지의 거리(L1)는 도 2의 (b)에서 보여지는 몸체부(210)의 일단부로부터 단턱부(220)까지의 거리(L2)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의 (a)의 치조골(2)에 형성되는 임플란트 시술공(5)의 깊이(L3)는 도 2의 (b)의 치조골(2)에 형성되는 임플란트 시술공(5)의 깊이(L4) 보다 더 깊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부(230)는 몸체부(210)의 일단부로부터 단턱부(220)까지 떨어진 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공(5)의 깊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하게 된다. 즉, 가이드부(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드릴 장치(100)는 단턱부(220)의 위치에 따라 이동 거리가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서로 다른 깊이를 갖는 임플란트 시술공(5)을 형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의 (a)와 (b)를 참조하면, 드릴 장치(100)의 드릴(140)의 길이가 10mm로 동일한 상태에서, 도 2의 (a)는 임플란트 시술공(5)의 깊이(L3)가 10mm로 형성되었고, 도 2의 (b)는 임플란트 시술공(5)의 깊이(L4)가 8.5mm로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1000)는 단턱부(220)의 위치가 다른 가이드부(230)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길이가 일정한 드릴 장치(100)의 정지 위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뼈로 이루어진 치조골(2)에 천공 깊이를 달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230)는 환자의 치아 상태, 임플란트 시술이 이루어지는 치아의 위치, 환자의 치조골 상태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단턱부(220)의 위치는 선택적으로 조정된다.
즉, 임플란트 시술을 받을 환자는 컴퓨터 단층촬영(CT, computed tomography)을 통해 치아 상태를 정밀히 파악하게 되며, 이렇게 파악된 치아 상태에 따라 임플란트 시술공(5)의 방향 및 깊이 등을 결정하게 된다.
예로, 3차원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해 환자의 치아를 3차원으로 분석함으로써, 시술부위의 치아 정보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환자의 치은(1)을 직접 절개하지 않고도 3차원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해 환자의 치은(1), 치조골(2)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정확히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근거로 가이드 장치(200)를 제조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치아틀 고정부(240)는 임플란트 식립이 이루어질 아랫니 또는 윗니를 제외한 모든 치아에 대하여 아랫니틀 또는 윗니틀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치아틀 고정부(240)는 양각 형태의 치아에 대해 음각 형태로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치아에 덮여 끼워지며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예로, 이러한 치아틀 고정부(240)는 환자가 임플란트를 아랫니에만 시술할 경우에는 아랫니틀 형태로 제조하게 되고, 임플란트를 윗니에만 시술할 경우에는 윗니틀 형태로 제조하게 된다.
만약 환자가 임플란트를 아랫니와 윗니에 시술할 경우에는 치아틀 고정부(240)는 아랫니틀 형태와 윗니틀 형태로 각각 제조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의 (a)에서 보여지는 치아틀 고정부(240)는 임플란트 식립이 이루어질 아랫니를 제외한 모든 아랫니에 대한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이고, 도 1의 (b)에서 보여지는 치아틀 고정부(240)는 임플란트 식립이 이루어질 아랫니의 일부에만 끼워지는 형태이다.
이와 같이, 시술자는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치아틀 고정부(240)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치아틀 고정부(240)는 가이드부(230)를 지지 고정하는 구성으로, 임플란트 식립이 이루어질 아랫니 또는 윗니만을 제외한 각각의 치아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각각의 치아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보여지는 치아틀 고정부(240)는 아랫니틀 형태를 갖는 치아틀 고정부(240)를 일예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치아틀 고정부(240)는 컴퓨터 단층촬영를 통해 환자 개개인의 치아에 맞도록 맞춤형태로 제조된다. 따라서, 치아틀 고정부(240)는 환자의 치아와 정확히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며 가이드부(23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치아틀 고정부(240)는 임플란트 시술공(5)을 형성하는 가이드부(23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230)는 치아틀 고정부(240)에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시술자는 가이드부(230)를 치아틀 고정부(240)에 선택적으로 탈부착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가이드부(230)는 치아틀 고정부(240)와 결합됨에 있어, 드릴 장치(100)가 이동되는 방향과 깊이가 조절된 상태로 결합된다.
예로, 드릴 장치(100)가 임플란트 시술공(5)을 형성함에 있어, 치은(1)의 상부면에 대해 수직 방향이 아닌 일정의 경사를 갖도록 임플란트 시술공(5)을 형성해야 된다면, 가이드부(230)는 임플란트 시술공(5)이 일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치아틀 고정부(240)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의 가이드부(230)는 단턱부(220)의 위치 조정을 통해 임플란트 시술공(5)의 깊이는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치아틀 고정부(240)는 드릴 장치(100)가 가이드부(230)를 따라 이동되며 임플란트 시술공(5)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부(230)를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공(5)은 정확한 위치, 정확한 방향 및 정확한 깊이로 치조골(2)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드릴 장치(100)와 가이드 장치(200)는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져 임플란트 시술공(5)의 깊이는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드릴 장치(100)는 정해진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드릴 장치(100)의 걸림부(120)의 길이, 드릴 헤드(130)의 길이 및 드릴(140)의 길이는 정해진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드릴 장치(100)의 길이에 맞쳐 가이드부(230)는 몸체부(210)의 일단부로부터 단턱부(220)까지의 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임플란트 시술공(5)의 깊이를 조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일정 길이를 갖는 한 개의 드릴 장치(100)로 깊이가 다른 임플란트 시술공(5)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요구되는 임플란트 시술공(5)의 깊이에 따라 별도로 드릴 장치(100)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즉, 시술자는 동일한 드릴 장치(100)를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 방향 및 깊이를 갖는 임플란트 시술공(5)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술자는 치조골(2)에 임플란트 시술공(5)을 형성함에 있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깊이로 드릴링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1000)는 임플란트 시술의 간편성 및 정확성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몸체부(210)의 일단부에는 경사부(215)가 더 형성되어 드릴 장치(100)의 삽입 위치를 손쉽게 안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몸체부(210)의 일단부에는 경사부(215)가 형성되어 제1 내경(211)으로 드릴(140)을 손쉽게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경사부(215)의 내경 크기는 제1 내경(211)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드릴 장치(100)를 가이드부(230)로 손쉽게 진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210)의 일단부에 형성된 경사부(215)는 제1 내경(211)과 테이퍼(taper) 형태로 경사를 이룰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단면도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부(250)에는 돌기 가이드(25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돌기 가이드(253)는 몸체부(251)의 타단부와 단턱부(220) 사이에 구비되며, 몸체부(25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돌기 가이드(253)는 몸체부(2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몸체부(251)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 가이드(253)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반원형, 원형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돌기 가이드(253)의 단면 형상은 반원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돌기 가이드(253)의 단면 형상이 반원형일 경우에는 드릴 헤드(130)와의 접촉시, 점접촉이 이루어져 접촉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돌기 가이드(253)는 드릴 헤드(13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함과 동시에 드릴 헤드(130)와의 접촉시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며 드릴 장치(100)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돌기 가이드(253)로부터 형성된 제3 내경(252)의 크기는 제2 내경(221)의 크기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드릴 장치(100)는 제2 내경(221)과 크기가 같은 제3 내경(252)을 따라 흔들림없이 이동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예시도로, 가이드부(260)에는 드릴 안내홀(261)이 형성된다. 이러한 드릴 안내홀(261)은 치조골(2)에 임플란트 시술공(5)을 형성하는 드릴(5)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드릴 안내홀(261)이 형성된 가이드부(260)의 상면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공(5)의 깊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일정 길이를 갖는 한 개의 드릴 장치로 깊이가 다른 임플란트 시술공(5)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식립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를 참조하면,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제조된 가이드 장치(200)를 환자의 치아에 고정시킨다. 이때, 가이드 장치(200)는 임플란트가 식립될 자리에 가이드부(230, 250)가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S100)
여기서 가이드 장치(200)는 가이드부(230, 250)와 치아틀 고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230, 250)는 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단턱부까지 떨어진 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공(5)의 깊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부(230, 250)는 임플란트 시술공(5)의 깊이뿐만 아니라 드릴 장치(100)가 이동되는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가이드 장치(200)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된 바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드릴 장치(100)를 가이드부(230, 250)의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치조골(2)에 임플란트 시술공(5)을 형성하게 된다. (S200)
즉, 가이드부(230, 2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드릴 장치(100)를 이동시키며, 치조골(2)에 임플란트 시술공(5)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가이드 장치(200)를 환자의 치아로부터 제거한 후, 임플란트 시술공(5)에 픽스쳐(fixture, 미도시)를 결합하여 치조골(2)과 픽스쳐를 골융합(osseointegration) 시키게 된다. 이때, 임플란트 시술공과 픽스쳐는 나사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S300)
다음으로, 치조골과 픽스쳐가 골융합된 상태에서 픽스쳐에 어버트먼트(abutment, 미도시)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는 나사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인공 치아를 어버트먼트에 씌운 상태로 결합하여 임플란트 식립을 마무리하게 된다. (S400)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 임플란트 시술공 100: 드릴 장치
200: 가이드 장치 210: 몸체부
211: 제1 내경 215: 경사부
220: 단턱부 221: 제2 내경
230, 250, 260: 가이드부 1000: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Claims (10)

  1. 정해진 길이를 가지며,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는 드릴 장치; 및
    상기 드릴 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임플란트 시술공의 깊이와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 고정하는 치아틀 고정부를 갖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외형을 이루며 제1 내경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2 내경을 형성하는 단턱부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단턱부까지의 거리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 및 상기 드릴 장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걸림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단턱부에 의해 구속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임플란트 시술공의 깊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치아틀 고정부는 일체로 이루어진 것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2. 정해진 길이를 가지며,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는 드릴 장치; 및
    상기 드릴 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임플란트 시술공의 깊이와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 고정하는 치아틀 고정부를 갖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외형을 이루며 제1 내경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2 내경을 형성하는 단턱부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단턱부까지의 거리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 및 상기 드릴 장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걸림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단턱부에 의해 구속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임플란트 시술공의 깊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치아틀 고정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3. 정해진 길이를 가지며,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는 드릴 장치; 및
    상기 드릴 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임플란트 시술공의 깊이와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 고정하는 치아틀 고정부를 갖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에는 드릴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드릴 안내홀이 형성된 부분의 상면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 및 상기 드릴 장치에 형성된 걸림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에 의해 구속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임플란트 시술공의 깊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것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단턱부까지의 거리가 1mm 이상 서로 차이가 나도록 형성된 것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장치는, 상기 제2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드릴 헤드;
    상기 드릴 헤드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임플란트 시술공을 형성하는 드릴; 및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며 상기 드릴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축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드릴 헤드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틀 고정부는 치아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치아에 덮여 끼워지는 것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와 상기 단턱부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가이드로부터 형성된 제3 내경의 크기는 상기 제2 내경의 크기와 동일하게 이루어진 것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10. 삭제
KR1020150027287A 2015-02-26 2015-02-26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KR101695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287A KR101695006B1 (ko) 2015-02-26 2015-02-26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PCT/KR2015/010376 WO2016137076A1 (ko) 2015-02-26 2015-10-01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및 그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방법
TW104140223A TWI563986B (zh) 2015-02-26 2015-12-01 植牙手術導引裝置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287A KR101695006B1 (ko) 2015-02-26 2015-02-26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372A KR20160104372A (ko) 2016-09-05
KR101695006B1 true KR101695006B1 (ko) 2017-01-10

Family

ID=56789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287A KR101695006B1 (ko) 2015-02-26 2015-02-26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95006B1 (ko)
TW (1) TWI563986B (ko)
WO (1) WO20161370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691A (ko) * 2017-04-20 2019-10-30 썬전 어헤드피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치아 교합 제어 핸드피스 가이드 플레이트 및 그의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8371B (zh) * 2017-08-14 2024-05-28 深圳市植合体技术有限公司 用于制作种植牙备孔的牙咬可调导板装置及种植备孔方法
AU2018342609A1 (en) * 2017-09-29 2020-03-26 Smith & Nephew, Inc. Surgical punch tool for robotically assisted bone preparation for positioning of a cutting block
CN108836529A (zh) * 2018-06-07 2018-11-20 山东威高集团医用高分子制品股份有限公司 牙科种植导板
CN113967092B (zh) * 2021-11-04 2023-03-10 广州医科大学附属第三医院(广州重症孕产妇救治中心、广州柔济医院) 一种用于种植手术的引导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946B1 (ko) 2006-04-27 2006-08-11 주식회사 메가젠 임플란트용 스텐트
KR101096746B1 (ko) 2009-12-24 2011-12-21 주식회사 사이버메드 수술용 가이드를 만드는 방법
KR101147054B1 (ko) * 2007-01-26 2012-05-17 프리아덴트 게엠베하 임플란트 삽입의 준비 또는 실행을 위한 기구를 포함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6372B1 (fr) * 2002-02-28 2004-06-04 Obl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place d'implants dentaires
US20050282106A1 (en) * 2004-06-16 2005-12-22 Sussman Harold I Hole guide for mini and standard dental implants
TWI629050B (zh) * 2010-11-26 2018-07-11 鄭伯堃 用於牙齒定位模板之組件
TWI448276B (zh) * 2010-11-26 2014-08-11 Po Kun Cheng 牙齒定位模板及其製造方法
TWM421097U (en) * 2011-07-11 2012-01-21 Chen-Yi Lin Dental implant guide suite
KR20140127066A (ko) * 2013-04-24 2014-11-03 안경숙 치아삭제 유도장치, 치아삭제 장치 및 치과용 보철물
TWM458948U (zh) * 2013-04-24 2013-08-11 Jing-Jing Fang 植牙手術導引板
TWM472511U (zh) * 2013-09-06 2014-02-21 Yung-Tang Hung 人工植牙之鑽孔定位輔助器之角度調整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946B1 (ko) 2006-04-27 2006-08-11 주식회사 메가젠 임플란트용 스텐트
KR101147054B1 (ko) * 2007-01-26 2012-05-17 프리아덴트 게엠베하 임플란트 삽입의 준비 또는 실행을 위한 기구를 포함한 장치
KR101096746B1 (ko) 2009-12-24 2011-12-21 주식회사 사이버메드 수술용 가이드를 만드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691A (ko) * 2017-04-20 2019-10-30 썬전 어헤드피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치아 교합 제어 핸드피스 가이드 플레이트 및 그의 제작방법
KR102290924B1 (ko) * 2017-04-20 2021-08-18 썬전 어헤드피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치아 교합 제어 핸드피스 가이드 플레이트 및 그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372A (ko) 2016-09-05
TW201630569A (zh) 2016-09-01
WO2016137076A1 (ko) 2016-09-01
TWI563986B (zh) 2017-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006B1 (ko)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KR101658458B1 (ko)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EP2921128B1 (en) Guide jig
US112849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implants
US20160081765A1 (en) A precision surical guidance tool system and delivery method for implementing dental implants
CA2686191A1 (en) Drill guide
JP2005518868A (ja) インプラントの位置決め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482232Y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US20160331489A1 (en) A precision surgical guidance tool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dental implants
KR101385882B1 (ko)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수술가이드용 유니버셜 임플란트 수술키트
KR101610341B1 (ko)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
KR101954988B1 (ko) 임플란트용 상악동거상술을 위한 플래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101566456B1 (ko) 임플란트용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
KR101705871B1 (ko) 임플란트 가이드 어셈블리
KR20180132222A (ko) 치간공극을 이용한 다기능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KR101763763B1 (ko)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EP1900338B1 (en) Positioning device for dental implant
RU138962U1 (ru) Хирургическое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1453775B1 (ko) 임플란트 정밀유도 식립용 시술 기구 키트
CN108366842B (zh) 牙科手术引导系统
JP5410420B2 (ja) サージカルガイド
KR101516950B1 (ko) 어버트먼트 프로파일 드릴장치
KR100852572B1 (ko) 치과용 의료 기기
JP6619438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の埋入用キット
RU2705898C2 (ru)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ланирования и высверливания отверстий для зубных импланта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