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669U - Steering Column Mounting Bracket - Google Patents

Steering Column Mounting Br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669U
KR19990029669U KR2019970042335U KR19970042335U KR19990029669U KR 19990029669 U KR19990029669 U KR 19990029669U KR 2019970042335 U KR2019970042335 U KR 2019970042335U KR 19970042335 U KR19970042335 U KR 19970042335U KR 19990029669 U KR19990029669 U KR 199900296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steering
mounting bracket
bracket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33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효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23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9669U/en
Publication of KR199900296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669U/en

Link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향칼럼의 마운팅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트럭이나 버스 등과 같이 조향칼럼의 장착각도가 큰 차량이 주행중에 충돌사고로 인해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핸들에 부딪칠 때에 조향칼럼이 마운팅 브라켓에 지지된 상태로 마운팅 브라켓에 형성된 슬릿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면서 그 때에 발생하는 저항력으로 조향핸들에 가해지는 충격을 적절히 흡수해서 운전자의 상해를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향칼럼의 장착각도도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극히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bracket of a steering column, in which a steering column is supported on a mounting bracket when a driver's upper body hits a steering wheel due to a collision accident while a vehicle with a large steering column mounting angle such as a truck or a bus is driving. It can move along the slit formed in the mounting bracket while absorbing the shock applied to the steering wheel with the resistance generated at that time, which can effectively reduce the injury of the driver and also the mounting angle of the steering column. The purpose is to make it extremely easy to adjust.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체에 평판형상을 한 베이스 브라켓이 장착되고, 조향칼럼의 직경보다 큰 간격을 두고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양측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직립되게 배열된 2개의 지지브라켓이 고정되게 부착되며, 이 지지브라켓에는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이 끼워져 체결되는 다수개의 안착구멍과 이들 안착구멍들을 서로 연통되게 연결시키면서 안착구멍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 연결통로로길이방향을 따라 슬릿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조향칼럼에 고정되게 장착된 지지축이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ase bracket having a flat plate shape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and two support brackets are arranged to be er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base bracket at interval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eering column. The support bracket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with a constant diameter to connect the plurality of seating holes to which the support shaft is fitted and the seating ho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 slit is formed along the direction, while a support shaft fixedly mounted to the steering column is movably fitted along the slit.

Description

조향칼럼의 마운팅 브라켓Steering Column Mounting Bracket

본 고안은 조향칼럼을 차체에 장착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마운팅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주행중에 충돌사고로 인해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핸들에 부딪칠 때에 조향칼럼을 마운팅 브라켓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가 마운팅 브라켓에 형성된 슬릿을 따라 이동되면서 적절히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상해를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향칼럼의 틸팅각도도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극히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조향칼럼의 마운팅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bracket used to mount a steering column to a vehicle body. In particular,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steering column to the mounting bracket when the upper body of the driver hits the steering wheel due to a collision accident while driving the vehicle is provided. In addition to reducing the driver's injury by moving the slit formed in the mounting bracket to absorb shock properly, the tilting angle of the steering column can be adjusted very easily according to the driver's body typ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장치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해 조향을 하는 장치로서, 운전자가 직접 조향조작을 하여 그 조작력을 조향 기어 및 링크 등에 전달하기 위해 핸들과 조향축 및 조향칼럼 등으로 구성된 조작기구와, 상기 조향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조작력을 크게 함과 동시에 조작기구의 운동방향을 바꾸어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기어장치 및, 이 기어장치의 작동을 앞바퀴에 전달하고 또 좌우 바퀴의 관계 위치를 바르게 지지하기 위해 피트먼 아암과 드래그 아암, 너클 아암 및 타이 로드 등으로 구성된 링크기구로 이루어져 있다.In general, a steering device of a vehicle is a device for steering in order to arbitrarily chang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The steering device includes steering wheels, steering shafts, steering columns, and the like, for directing steering to transmit steering power to steering gears and links. Gear and gear to reduce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shaft to increase the operating force and to chang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perating mechanism to the link mechanism, and to transmit the operation of the gear to the front wheels and to correctly pos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ft and right wheels It consists of a link mechanism consisting of a pitman arm, a drag arm, a knuckle arm and a tie rod to support it.

그리고 상기 조향조작기구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석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차체에 장착되는 바,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핸들(101)이 상단부에 장착된 조향축(102)의 외주에는 조향칼럼(103)이 끼워지고, 이 조향칼럼(10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의 소정부위에는 상부 마운팅 브라켓(104)과 하부 마운팅 브라켓(105)이 용접으로 부착되며, 상기 각 마운팅 브라켓이 차체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조향칼럼이 차체에 마운팅 브라켓을 매개로 장착되게 되어 있다.And the steering operation mechanism is disposed adjacent to the driver's seat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operate the bar, that is, the steering wheel 101 of the steering shaft 102 is mounted on the upper end as shown in FIG. A steering column 103 is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upper and lower mounting brackets 104 and 105 ar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predetermined por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ring column 103 by welding. It is fixedly mounted on the vehicle body, and the steering column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via a mounting bracket.

상기와 같이 조향조작기구가 운전조작의 편의성을 부여하기 위해 운전자와 가능한 한 인접해서 차체에 장착되게 되는 데, 이로 인해 차량의 충돌사고시에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핸들에 부딪치면서 상해를 입을 우려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steering operation mechanism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as close as possible to the driver in order to provide convenience of driving operation, which may cause injury to the driver's upper body hitting the steering wheel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f the vehicle. .

그러므로 차량의 충돌사고시에 조향핸들과의 충돌로 인한 운전자의 상해를 줄여주기 위해 종래의 승용차량에서는, 마운팅 브라켓이 차체에 이탈가능하게 장착되어 마운팅 브라켓에 소정 크기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마운팅 브라켓이 차체로부터 이탈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저감시켜주게 되어 있지만, 트럭이나 버스 등과 같이 조향칼럼의 장착각이 큰 경우에는 마운팅 브라켓을 차체에 이탈가능하게 장착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에 마운팅 브라켓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직접적으로 고정되게 장착되어,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핸들에 부딪칠 때에 충격을 적절히 흡수해서 저감시켜주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운전자에게 심각한 상해를 입힐 우려가 있었다.Therefor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passenger vehicle, the mounting bracke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vehicle body in order to reduce the driver's injury due to the collision with the steering wheel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f the vehicle. Although the shock absorber reduces the shock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mounting bracket, when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column, such as a truck or bus, is large,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mounting bracket detachably on the vehicle body. Likewise, there is a risk of serious injury to the driver because there is no device that is directly fixed to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upper body of the driver hits the steering wheel, there is no device for absorbing and reducing the shock properly.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트럭이나 버스 등과 같이 조향칼럼의 장착각도가 큰 차량이 주행중에 충돌사고로 인해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핸들에 부딪칠 때에 조향칼럼이 마운팅 브라켓에 지지된 상태로 마운팅 브라켓에 형성된 슬릿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면서 그 때에 발생하는 저항력으로 조향핸들에 가해지는 충격을 적절히 흡수해서 운전자의 상해를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향칼럼의 장착각도도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극히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조향칼럼의 마운팅 브라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when the upper body of the driver hits the steering wheel due to a collision accident while a vehicle with a large steering column mounting angle such as a truck or a bus is driving, the steering column is mounted on the mounting bracket.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move along the slit formed in the mounting bracket in a supported state while absorbing the shock applied to the steering wheel with the resistance generated at that time, the driver's injury can be effectively reduced as well as the mounting angle of the steering colum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ounting bracket of the steering column can be adjusted very easily to fit the body shap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조향칼럼이 마운팅 브라켓으로 차체에 장착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teering column mounted on a vehicle body with a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운팅 브라켓으로 조향칼럼이 차체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a steering column is mounted to a vehicle body with a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운팅 브라켓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조향핸들 2-조향축1-steering handle 2-steering shaft

3-조향칼럼 4-조향기어박스3-steering column 4-steering gear box

5,6-상,하부 마운팅 브라켓 7-지지축5,6-Upper, Lower Mounting Bracket 7-Support Shaft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체에 평판형상을 한 베이스 브라켓이 장착되고, 조향칼럼의 직경보다 큰 간격을 두고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양측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직립되게 배열된 2개의 지지브라켓이 고정되게 부착되며, 이 지지브라켓에는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이 끼워져 체결되는 다수개의 안착구멍과 이들 안착구멍들을 서로 연통되게 연결시키면서 안착구멍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 연결통로로길이방향을 따라 슬릿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조향칼럼에 고정되게 장착된 지지축이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above is,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 base bracket in the form of a plate, the two are arranged upr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base bracket at interval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eering column The support bracket is fixedly attached, and the support bracket is formed with a constant diameter at regular intervals, and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ating hole while connecting the seating holes and the seating holes in which the support shafts are fitt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A slit is formed along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assageway, while a support shaft fixedly mounted to the steering column is movably fitted along the slit.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운팅 브라켓으로 조향칼럼이 차체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운팅 브라켓의 사시도인 바, 즉 조향핸들(1)이 상단부에 체결된 조향축(2)의 외주에는 조향칼럼(3)이 끼워지고, 상기 조향축(2)의 하단부에는 피니언기어와 같은 조향구동기어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이 조향구동기어가 조향기어박스(4) 속으로 수납되어 조향피동기어와 치합되어, 조향핸들의 조작력이 조향축을 통해 조향구동기어를 매개로 조향피동기어에 전달되고, 이 조향피동기어의 운동은 링크기구 등을 통해 차륜에 장착된 너클에 전달되어, 운전자가 의도하는 대로 차량이 조향되게 된다.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steering column mounted on the vehicle body with a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teering shaft (1) the steering shaft fastened to the upper end ( A steering column 3 is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2), and a steering drive gear such as a pinion gear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shaft 2, and the steering drive gear is housed in the steering gear box 4. Engaged with the steering driven gear, the steering force of the steering wheel is transmitted to the steering driven gear through the steering drive gear, and the movement of the steering gear is transmitted to the knuckle mounted on the wheel through the link mechanism, The vehicle is steered as intended.

그리고 상기 조향칼럼(3)을 차체에 적절히 지지시키기 위해 조향칼럼이 상부 마운팅 브라켓(5)과 하부 마운팅 브라켓(6)을 매개로 차체에 장착되는 데, 각 마운팅 브라켓은 차체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반면에 조향칼럼은 각 마운팅 브라켓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And in order to properly support the steering column (3) to the vehicle body, the steering column is mounted to the vehicle body via the upper mounting bracket (5) and the lower mounting bracket (6), each mounting bracket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The steering column is movably fastened to each mounting bracket.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마운팅 브라켓(5,6)은 차체에 넓은 면적으로 안정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평판형상을 한 베이스 브라켓(5a,6a)과, 이 베이스 브라켓의 양쪽 측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직립되게 배열되어 고정되게 부착된 2개의 지지브라켓(5b,6b)을 갖추고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3, each mounting bracket (5, 6) is a flat base bracket (5a, 6a) to be securely mounted to a large area on the vehicle body, and perpendicular to both sides of the base bracket It has two support brackets 5b and 6b which are arranged upright in one direction and fixedly attached.

여기서 상기 각 지지브라켓(5b,6b)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5c,6c)이 형성되어 있는 데, 이 슬릿은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안착구멍과, 이들 안착구멍들을 서로 연통되게 연결시키면서 구멍보다 직경이 작은 연결통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2개의 지지브라켓사이의 간격은 조향칼럼의 직경보다 최소한 크게 형성되어 있다.Here, each of the support brackets 5b and 6b has slits 5c and 6c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lits have a plurality of seating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with a constant diameter, and these seating holes The connecting passage is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hole while being connected, and the gap between the two support brackets is formed at leas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eering column.

또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조향칼럼을 체결시키기 위해 조향칼럼에는 횡방향으로 지지축(7)이 고정되게 부착되는 바, 이 지지축(7)은 보울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지지축은 각 마운팅 브라켓의 제일 바깥쪽에 형성된 안착구멍속에 끼워져 이탈되지 않도록 예컨대 너트로 체결되어, 조향칼럼이 지지축을 매개로 마운팅 브라켓에 체결되어 지지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fasten the steering column to the mounting bracket, the support column 7 is fixedly attached to the steering column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support shaft 7 may use a bolt or the like, and the support shaft may be used for each mounting bracket. It is fastened with a nut, for example,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seating hole formed at the outermost side, and the steering column is fastened to the mounting bracket via the support shaft to be supported.

이에 따라 상기 안착구멍에 끼워지는 지지축의 위치를 가변시키면 조향칼럼의 장착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데, 즉 상기 지지축을 제일 바깥쪽의 안착구멍에 끼우게 되면 조향칼럼의 장착각도가 가장 크게 되는 반면에 제일 안쪽의 안착구멍에 지지축을 끼우면 조향칼럼의 장착각도가 가장 작게된다. 그러므로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조향칼럼의 장착각도를 극히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shaft fitted into the seating hole, the mounting angle of the steering column can be easily adjusted, that is, when the support shaft is inserted into the outermost seating hole, the mounting angle of the steering column is the largest. On the other hand, if the support shaft is inserted into the innermost mounting hole, the mounting angle of the steering column is the smallest. Therefore, the driver can easily adjust the mounting angle of the steering column according to his body type.

한편 상기와 같이 조향칼럼이 본 고안에 따른 마운팅 브라켓을 매개로 차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주행중에 충돌사고로 인해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핸들에 부딪치게 되면, 그 충격이 조향핸들을 통해 조향칼럼에 전달되게 되고, 조향칼럼에 전달된 충격은 지지축에 가해져서 지지축이 안착구멍을 이탈하여 연결통로를 통해 인접한 다른 안착구멍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상기 연결통로의 직경은 지지축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축이 연결통로를 통해 이동될려고 할 때에 연결통로를 확경시켜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eering column hits the steering wheel due to a collision accident while driving while the steering column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via the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steering column through the steering wheel.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steering column is applied to the support shaft so that the support shaft leaves the seating hole and moves to another adjacent seating hole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 and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passag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ing shaft. Therefore, when the support shaft is to be moved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 the connecting passage should be enlarged.

상기와 같은 연결통로의 확경은 지지브라켓의 변형을 야기시키고, 이러한 지지브라켓의 변형과정에 지지축의 충격을 적절히 흡수해서 저감시키므로 결국에는 조향핸들에 가해진 충격을 완화시키겨주게 되는 것이다.The diameter of the connection passage as described above causes the deformation of the support bracket, and in the process of deformation of the support bracket, the shock of the support shaft is appropriately absorbed and reduced so that the shock applied to the steering wheel is mitigated.

따라서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핸들에 부딪칠 때에 조향핸들을 통해 조향칼럼에 전달되는 충격으로 인해 조향칼럼이 마운팅 브라켓에 형성된 슬릿을 따라 이동되면서 마운팅 브라켓을 변형시켜 그 때에 발생하는 저항력으로 충격을 상쇄시켜주므로, 운전자가 받게 되는 반발충격을 최소한으로 줄여서 운전자의 상해를 경감시켜주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driver's upper body hits the steering wheel, the steering column moves along the slit formed in the mounting bracket due to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steering column through the steering wheel, and the mounting bracket is deformed to offset the impact by the resistance generated at that time. As a result, the driver's injuries are reduced by minimizing the impact shock received by the driv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향칼럼의 마운팅 브라켓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중에 충돌사고로 인해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핸들에 부딪치게 되면 그 충격으로 인해 조향칼럼이 마운팅 브라켓에 형성된 슬릿을 따라 이동하면서 마운팅 브라켓을 변형시켜 주므로, 마운팅 브라켓의 변형과정에 발생하는 저항력으로 충격을 흡수해서 저감시키게 되어, 운전자가 받게되는 반발충격을 최소한으로 줄여서 운전자의 상해를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조향칼럼의 장착각도를 극히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unting bracket of the steering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body of the driver hits the steering wheel due to a collision accident while driving the vehicle, the steering column moves along the slit formed in the mounting bracket due to the impact. As the bracket is deformed, the shock generated by the deformation process of the mounting bracket is absorbed and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repulsive shock to the driver to the minimum and effectively alleviating the driver's injury. The mounting angle of the steering column can be adjusted very easily.

Claims (2)

차체에 장착되는 베이스 브라켓과, 조향칼럼의 직경보다 큰 간격을 두고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양측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직립되게 배열되어 고정되게 부착된 2개의 지지브라켓, 이 지지브라켓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 상기 조향칼럼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지지축을 갖춘 조향칼럼의 마운팅 브라켓.A base bracket to b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two support brackets which are arranged upright and fix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base bracket at interval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eering column, and a slit formed in the support brack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ounting bracket of the steering column having a support shaft fixedly mounted to the steering column and movably fitted along the sl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이 끼워져 체결되는 다수개의 안착구멍과, 이들 안착구멍들을 서로 연통되게 연결시키면서 안착구멍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 연결통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칼럼의 마운팅 브라켓.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its are formed with a constant diamet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plurality of seating holes to which the support shaft is fitted and fastened, the connecting passage formed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seating hole while connecting these seating hole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Steering column mounting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KR2019970042335U 1997-12-29 1997-12-29 Steering Column Mounting Bracket KR1999002966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335U KR19990029669U (en) 1997-12-29 1997-12-29 Steering Column Mounting Br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335U KR19990029669U (en) 1997-12-29 1997-12-29 Steering Column Mounting Brack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669U true KR19990029669U (en) 1999-07-26

Family

ID=69696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335U KR19990029669U (en) 1997-12-29 1997-12-29 Steering Column Mounting Bra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9669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9156B2 (en) Support device for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KR20080068333A (en)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for vehicle equipped with wire block assembly
JP2000103339A (en) Steering column supporting device
KR100201728B1 (en) Energy absorption system
KR19990029669U (en) Steering Column Mounting Bracket
KR20060004272A (en) Shock asorption apparatus for a steering column in a vehicle
KR0184836B1 (en) Collapsible bracket for mounting steering column
US5368331A (en) Safety steering wheel device for a motor car
KR100241715B1 (en) Mounting Bracket for Lower Steering Column
KR100559904B1 (en) Structure for absorbing impact to steering shaft
KR19980053975A (en) Shock-absorbing structure of the steering device
KR100241712B1 (en) Steering Wheel Shock Absorber
KR100622497B1 (en) Structure for mounting lower portion of steering column
KR101136264B1 (en)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for Vehicle Equipped with Wire Plate
KR200171108Y1 (en)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KR200187161Y1 (en) Shock absorbing deviece for steering wheel
KR200178181Y1 (en)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a steering wheel
KR19990034516A (en) Steering column of car with shock absorbing structure
KR100231996B1 (en)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steering shaft
KR200270719Y1 (en) structure for absorbing impact of steering column in vehicle
KR19990019112U (en) Collapsible Steering Shaft
JPH0485172A (en) Steering support structure
KR19980038218U (en) Dampening structure of the steering wheel
KR19990056657A (en) Shock Absorber of Steering Column
KR19980027133U (en) Steering shaft buffer structure of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