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492U -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492U
KR19990029492U KR2019970042157U KR19970042157U KR19990029492U KR 19990029492 U KR19990029492 U KR 19990029492U KR 2019970042157 U KR2019970042157 U KR 2019970042157U KR 19970042157 U KR19970042157 U KR 19970042157U KR 19990029492 U KR19990029492 U KR 199900294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iving means
level
leveling device
level gau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호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2019970042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9492U/ko
Publication of KR199900294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492U/ko

Links

Landscapes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계측장비 등의 플레이트가 자동적으로 수평이 되도록 제어하는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이 수평조절장치는, X,Y 축상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의 수평면을 맞추는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장자리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된 복수개의 상하구동수단과, 상기 플레이트의 X축 및 Y축 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수준계와, 상기 각 수준계의 수포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수포위치에 따라 상기 상하구동수단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센서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는 장비 설치시에 수평면이 자동적으로 세팅되므로, 수평조절작업이 현저히 간단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
본 고안은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계측장비 등의 플레이트가 자동적으로 수평이 되도록 제어하는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계측장비, 정밀제어장비 등의 장치에서는 그 플레이트의 수평조절이 극히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장비를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수평조절에 유의해야 한다.
종래의 경우에 장비의 수평을 잡기 위해서는, 플레이트상에 수준계를 실치하고, 장비의 다리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수평조절자는 수준계의 수포위치를 눈으로 파악하면서 장비 다리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수포위치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수평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플레이트 수평민 조절방식은 사람의 힘을 이용하여 수평을 조절하므로, 조절하는데 힘이 들고 상당히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플례이트의 수평면이 자동으로 맞추어지도록 구성된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의 작동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플레이트
20a,20b,20c,20d... 유압실린더
30a,30b,30c,30d...제 1 솔레노이드밸브
30a',30b',30c',30d'...제 2 솔레노이드밸브
40,50... 수준계 41,51... 수포
42,42',52,52'... 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는, X,Y축상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의 수평면을 맞추는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장자리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된 복수개의 상하구동수단과, 상기 플레이트의 X축 및 Y축 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수준계와, 상기 각 수준계의 수포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수포위치에 따라 상기 상하구동수단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센서수단을 구바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구동수단은 각각,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하로 이동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센서수단에 의하여 작동되어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하측에 공급되는 압력을 개폐하는 제 1솔레노이드밸브 및 제 2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구동수단은 플례이트의 4개의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수단은, 상기 수준계의 수포 중앙위치로부터의 이탈을 감지하여, 이 감지신호를 대응하는 상기 상하구동수단의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밸브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의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는, 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상하구동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상하구동수단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중 4개의 모서리부(10a,10b,10c,10d)에、각각 설치되어서, 상기 모서리부(1Oa,1Ob,1Oc,1Od)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하구동수단은 복수개의 유압실린더(20a,20b,20c,20d)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압실린더(20a,20b,20c,20d)의 상하측에는 각각 제 1 솔레노이드밸브(30a,30b,30c,30d)와 제 2 솔레노이드밸브(30a',30b',30c',30d')가 설치되어서, 상기 유압실린더(30a,30b,30c,30d)로 공급되는 유압력을 개폐하도록 한다. 한편 제 1 솔레노이드벨브(30a,30b,30c,30d)와 제 2솔레노이드밸브(30a',30b',30c',30d')는 센서수단(40,50;이하에서 설명)에 의하여 제어된다.
본 실시예의 플레이트(10)는 XY 평면상에서 연장되는데, X 축 및 Y 축 방향으로 각각 2개의 수준계(40,50)가 실치된다. 상기 수준계(40,50)의 내부는 일부를 제외하고 액체로 가득 채워져 있는데, 상기 액체가 채워지지 않은 부분을 수포(41,51)라 한다. 따라서 플레이트(10)가 수평인 경우에는 수포(41,51)가 수준계(40,50)의 중앙에 위치하고, 플래이트(10)가 좌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 수포(41,51)는 우측으로 이동하며, 반대로 플레이트(10)가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수포(41,51)가 수준계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수준계(40,50)에는 수포(41,51)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42,42',52,52')가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2개의 센서(42,42',52,52')는 수준계(40,50)의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되어, 수포(41,51)가 수준계(40,50)의 중앙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센서(42,42',52,52')는 제 1 솔레노이드밸브(30a,30b,30c,30d) 및 제 2 솔레노이드밸브(30a',30b',30c',30d')에 상기 수포(41,51)의 위치에 대응하는 전기적신호를 전송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플레이트(10)자 수평이 맞지 않으면, 수준계(40,50)의 수포(41,51)가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흘러내린다. 만약 플레이트(10)가 도 2에 도시된 X축 상에서 우측으로 기울어진 경우를 상정하면, 이 경우에 수준계(40)의 수포(41)는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편향된 수포(41)는 수준계의 좌측에 센서(42)에 의하여 감지된다. 그리고 이 센서(42)는 이 감지신호에 의하여 플레이트의 4 모서리부(10a,10b,10c,10d)에 위치한 상하구동수단을 제어한다. 즉 상기 상하구동수단의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벨브(30a,30b,30a',30b')를 개폐하여 유압실린더(20a,20b)의 상하부에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함으로써, 플레이트(1O)의 좌측모서리(1Oa,1Ob)가 하강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상하구동수단의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30c,30d,30c',30dl)를 개폐하여 유압실린더(20c,20d)의 상하부에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함으로써, 플레이트(10)의 우측모서리(1Oc,1Od)가 상승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작용은 플레이트(10)가 수평을 이루게 되어, 수준계(40)의 수포(41)가 중앙부로 이동할 때까지 계속된다. 만약 플레이트(10)가 X 축상에서 좌측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방향의 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플레이트(10)의 Y 축방향의 수평면을 맞추기 위하여는, 수준계(50) 및 센서(52,52')가 작용하게 되고,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작용이 발생하게 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딘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청구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는 장비 설치시에 수평면이 자동적으로 세팅되므로, 수평조절작업이 현저히 간단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X,Y 축상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의 수평면을 맞추는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장자리부롤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된 복수개의 상하구동수단과,
    상기 플레이트의 X축 및 Y축 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수준계와,
    상기 각 수준계의 수포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수포위치에 따라 상기 상하구동수단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센서수단을 구바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구동수단은 각각,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하로 이동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센서수단에 의하여 작동되어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하측에 공급되는 압력을 개폐하는 제 1솔레노이드밸브 및 제 2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구동수단은 플레이트의 4개의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수단은,
    상기 수준계의 수포 중앙위치로부터의 이탈을 감지하여, 이 감지신호를 대응하는 상기 상하구동수단의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밸브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
KR2019970042157U 1997-12-29 1997-12-29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 KR199900294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157U KR19990029492U (ko) 1997-12-29 1997-12-29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157U KR19990029492U (ko) 1997-12-29 1997-12-29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492U true KR19990029492U (ko) 1999-07-26

Family

ID=69699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157U KR19990029492U (ko) 1997-12-29 1997-12-29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949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903Y1 (ko) * 2009-03-26 2009-09-10 임채영 콘크리트 슬럼프 측정용 수평조절장치
CN114144279A (zh) * 2019-07-22 2022-03-04 普洛菲斯瑞责任有限公司 用于对机床用的模块化床的模块进行定位的装置和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903Y1 (ko) * 2009-03-26 2009-09-10 임채영 콘크리트 슬럼프 측정용 수평조절장치
CN114144279A (zh) * 2019-07-22 2022-03-04 普洛菲斯瑞责任有限公司 用于对机床用的模块化床的模块进行定位的装置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0342B1 (ko) 기울기 센서와 온 오프 밸브를 이용한 유압구동 플랫폼 수평제어 장치
JP2008163734A (ja) 道路切削機及び切削深さ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
FI62465C (fi) Saett och anordning foer reglering av ett haengande redskap vi aendring av redskapets laege i foerhaollande till en upp hangningspunkt
KR19990029492U (ko) 플레이트 수평조절장치
KR101692522B1 (ko) 인상용 유압잭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공법
CN114088556A (zh) 密封件测试装置
JPH0676200B2 (ja) 飛行機をジヤツキアツプするための装置
CN113913922A (zh) 一种单晶炉液口距设置方法
KR101677976B1 (ko) 플랫잭을 이용한 대형구조물의 자동 리프팅 제어방법
JP3022562B1 (ja) テ―ブル型ダイコ―タ
CN207488446U (zh) 基板检测装置
KR19990075567A (ko)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장치
KR101950607B1 (ko) 코크스 오븐용 승강장치
KR101982833B1 (ko) 워크테이블 처짐 보정 기능을 구비한 글래스 검사 장치
JPH06241172A (ja) 液体充填機の定量供給機構
KR200198449Y1 (ko) 반도체 화학기상증착장비의 수평조절장치
KR200269293Y1 (ko)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
JP3468569B2 (ja) 給紙機
JPH05170209A (ja) キャップ装着検知方法
JPS5929036Y2 (ja) テ−ブルリフトの水平度維持装置
JPH083271B2 (ja) コンクリートバケット開閉装置における開閉用空気の自動供給制御装置
KR100779825B1 (ko) 회전형 자동팔렛트 교환장치 셋-엎 스테이션 흔들림방지장치
CN214979134U (zh) 双砼缸定位设备
KR200370702Y1 (ko) 인쇄물 수평조절기의 승강장치
KR200195477Y1 (ko) 차량용 리프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