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100A - 전화교환기 - Google Patents

전화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100A
KR19990029100A KR1019980700404A KR19980700404A KR19990029100A KR 19990029100 A KR19990029100 A KR 19990029100A KR 1019980700404 A KR1019980700404 A KR 1019980700404A KR 19980700404 A KR19980700404 A KR 19980700404A KR 19990029100 A KR19990029100 A KR 19990029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line
called
call
subscriber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크리스토퍼 밀라
로버트 브루스 필립 카펜터
Original Assignee
세모스 로버트 어니스트 빅커스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모스 로버트 어니스트 빅커스,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filed Critical 세모스 로버트 어니스트 빅커스
Publication of KR19990029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10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872Non-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 H04M3/4878Advertisement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5Interface circuits for subscriber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03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06Microprocessor, CP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3Busy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6Common channel signaling, CCS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8Rin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4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2Logic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4Configuration within the swit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86Line concentr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405Dual frequency signaling, DTM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화교환기는 교환기 또는 네트워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가청 신호를 가입자 회선으로 전송하고, 가입자 회선으로 전송될 가청 신호는 그 가입자 회선의 기억장소(20)의 내용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효 가청 신호 소스(14,16,17,18,19)로부터 선택되며(수단(15)), 상태에 따라 추가 가청 신호 소스(22,23,24)를 선택(수단(21))할 수 있도록 각각의 가입자 회선에 추가 기억장소(25)가 제공되고, 가입자는 특수 코드로 호출하므로써 그의 기억장소(20,25) 내용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화교환기
본 발명은 전화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예를 들어 전화를 거는 것이 가능한전화기 또는 네트워크 상태를 나타내고 요구된 접속을 설치하려는 시도를 나타내기 위해, 가청 신호가 교환기에 의해 가입자에게 전송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a) 다수의 오디오 소스중의 하나를 식별하는 코드 워드를 내포하는, 교환기와 연결된 다수의 가입자 회선 각각의 기억장소를 갖는 기억수단;
(b) 대응하는 기억장소를 검색하고 호출이 가능하다고 나타내는 대응하는 오디오 소스를 가입자 회선으로 루트하기위해, 가입자 회선의 오프훅 상태에 반응하는 제어수단; 및
(c) 또다른 가입자에게로의 교환기 응답의 변경없이, 계속되는 가입자의 오프훅 상태를 위해 선택될 오디오 소스를 변경하기 위해 대응하는 기억장소의 코드 워드를 변경하도록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호출된 지정된 신호에 응하여 동작가능한 수단을 갖는 전화교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a) 다수의 오디오 소스중의 하나를 식별하는 코드 워드를 내포하는, 교환기와 연결된 다수의 가입자 회선 각각의 기억장소를 갖는 기억수단;
(b) 교환기와 연결된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통화가 이루어질 또다른 가입자 회선으로 호출을 루트하는 것과 관련된 상태를 인식하고, 그에 응하여 호출한 가입자 회선에 대응하는 기억장소를 검색하며, 그안의 코드 워드에 의해 식별된 오디오 소스를 호출한 가입자 회선으로 루트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수단; 및
(c) 계속되는 가입자에 의한 호출 시도를 위해 선택될 오디오 소스를 변경하기 위해 대응하는 기억장소의 코드 워드를 변경하도록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호출된 지정된 신호에 응하여 동작가능한 수단을 갖는 전화교환기가 제공된다.
적절한 실시예에서, 제어 수단은, 통화가 이루어질 가입자 회선에 대응하여 호출된 숫자를 호출한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수령한 후 호출된 숫자를 저장하여 상기 상태는 호출된 숫자를 저장한 상태가 되고, 오디오 소스로부터의 신호의 종료 또는 호출한 가입자 회선으로부터의 앞선 코드된 수용/거절 신호의 현존 또는 부재에 응하여 통화 설정하기 위해 호출되어 저장된 숫자를 방출하도록 작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통화를 설정하기 위해 호출된 숫자의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호출된 가입자 회선으로 수령후에 동작가능한 제어수단을 갖는 전화교환기가 제공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ⅰ) 숫자의 수령을 승인하기 위해 오디오 신호 소스를 호출한 가입자 회선으로 루트하고;
(ⅱ) 호출 전류를 호출된 가입자 회선으로 적용시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그것을 명령하는 신호를 호출된 가입자 회선의 교환기로 전송하며;
(ⅲ) 호출한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호출된 가입자 회선으로의 성공적인 통화 루팅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인식하고, 오디오 소스로부터의 신호 종료 또는 호출한 가입자 회선으로부터의 앞선 코드된 수용/거절 신호의 현존 또는 부재에 응하여, 호출 전류의 적용을 호출된 가입자 회선으로 방출하기 위해 호출된 가입자 회선의 교환기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지금부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예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디지털 시내 교환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디지털 집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3 내지 도 7은 각각의 실시예에서 도 2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 - '발신'음을 가입자 선택가능 오디오 소스로 치환;
도 4 - '호출'음을 가입자 선택가능 오디오 소스로 기본 치환;
도 5 - 호출된 숫자를 보류하는 동안 가입자 선택가능 오디오 안내 재생;
도 6 - 호출된 숫자를 보류하는 동안 초기 오디오 안내와 연결된 추가 오디오 정보를 선택하는 추가 설비를 이용하여 가입자 선택가능 오디오 안내 재생; 및
도 7 - 발신 전류를 호출된 가입자 회선에 보류하는 동안 가입자 선택가능 오디오 안내 재생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스위치(1)는 그러한 다른 교환기 및/또는 전화망의 시외교환기와의 접속(2), 및 디지털 집신기(4)(및, 요구되는 경우 원격 집신기(5))를 통한 아나로그 가입자 회선(6)과의 접속(3)으로 나타나있다.
도 2는 디지털 집신기(4)내 다수의 가입자 회선 모듈(7)과 접속된 가입자 회선(6)을 나타내고 있고, 각각의 회선 모듈(7)은 호출 전류 주입, 2선 내지 4선 변환, 및 아나로그-디지털 및 디지털-아나로그 변환기를 포함한다. 각각의 회선 모듈(7)은 다수의 디지털 스위치(8,9)중의 하나와 접속된 디지털 입력 및 출력을 가지고 있다. 스위치(8)로부터 방출되는 신호는 음 주입 장치(10)를 통해 그로부터 디지털 스위치(1)로 통과한다. 여기서 또한 음(DTMF) 시그낼링을 위해 수신기(11)와 접속된다. 유사하게 스위치(1)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는 음 주입 회로(12)를 통해 통과한다. 이러한 모든 장치들(7 내지 12)은 내장 프로그램 제어 프로세서의 형태로 집신기 제어 장치(13)와 접속된다.
가입자가 "오프훅(off-hook)"하면, 가입자에 의한 "호출"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스위치(8,9)를 통해 접속을 루트하고 DTMF 검출기들(11)중의 하나를 할당하도록 트리거가 상기 제어장치(13)에서 처리하는 회선 모듈(7)에 의해 이것이 인식된다. 가입자가 호출할 수 있다는 것은 가입자가 제어장치(13)에 의해 스위치(15) 및 음 주입 장치(12)를 통해서 음 발생기(14)로부터 발신음의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교환기는 통상의 호출 검출에 대한 교환기의 응답과 같이 일반적이다.
상기 교환기는 신호를 제공하는 치환 오디오 소스 설비면에서 일반적인 교환기와 다르다. 예를 들어:
장치(16) - 음악 소스
장치(17) - 기록된 뉴스 소스
장치(18) - 날씨 정보.
물론 오디오 소스의 전체적인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내정보회선, "What's on" 방송 민원, 생산품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럽트된 발신음을 제공하는 장치(19)와 같은 다른 소스들은 가입자 회선의 특정한 상태, 예를 들어 호출 전송이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가입자들이 그의 송수화기를 들었을 때 들리는 소리, 즉 오프훅 상태에 대한 응답를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모든 소스들이 소용된다는 것이 평가될 것이다.
가입자가 청취될 소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집신기 모듈(4)은 각각의 가입자 회선의 기억장소를 내포하는 기억장치(20)을 포함하고, 그래서 그곳에 저장된 코드 번호가 가입자의 현재 선호성을 식별하기 위해 제어장치(13)에 의해 검색받을 수 있다. 가입자가 DTMF 검출기(11)에 의해 수신되고 제어장치(13)에 의해 인식되는 특수 코드(예를 들어*1,*2 등)를 어느 시기에 입력하여 선택된 그의 선호성을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제어장치(13)는 대응하는 코드 번호를 기억장치(20)의 적절한 위치에 기록한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가입자가 오프훅한 다음, 새로운 코드 번호가 기억장치(20)에 존재하게 되고 새로운 선호성이 제공된다.
기억장치(20)내 코드 번호의 변경은 요구된 발신음 또는 치환을 선택할 때만 소용되고, 교환기에 의해 가입자에게 공급된 서비스에는 다르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부터 도 3을 추가로 참조하여, 가입자가 오프훅하는 경우에서 기억장치(20)내 입력된 코드번호가 도 2에서 사용된 번호(14, 16 내지 18)인 것으로 가정하여 제어장치(13)의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회선 모듈(7)에 의한 가입자의 오프훅 상태 검출, 및 집신기 스위치 및 DTMF 장비의 할당에 따라, 상기 가입자 회선에서 호출 전송이 작동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점검이 이루어진다. 그래서 만일, 인터럽트된 발신음장치(19)가 선택되면, 스위치(15) 및 음 주입 장치(12)를 통해 오디오 소스가 가입자에게 루트된다. 만일 호출 전송이 작동되지 않으면, 제어장치(13)는 기억장치(20)내 가입자 기억장소의 내용을 읽고 그곳에서 식별된 오디오 소스 장치를 선택한다. 이것은 통상의 발신음장치(14) 또는 치환 오디오 소스 장치(16 내지 18)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선택된 오디오 소스는 스위치(15) 및 음 주입 장치(12)를 통해 가입자에게 루트된다.
할당된 DTMF 장비는 오디오 소스가 재생되는 동안 어떠한 입력된 번호 또는 코드의 가입자 회선을 모니터한다. 만일 장치(16 내지 18)로부터의 치환 오디오 소스가 가입자 회선상에서의 DTMF 신호 검출전에 재생을 종료한다면, 발신음장치
(14)가 선택되고 발신음이 재생될 것이다. 발신음이 선택되는 동안, DTMF 신호가 가입자 회선상에서 검출되거나 또는 타임아웃이 종료될 때까지, 타임아웃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동작하고, 후자의 경우 호출 시도는 제어장치(13)에 의해 종료될 것이다.
DTMF 검출은 가입자가 의도되어 호출된 가입자의 번호로 전화를 걸었거나, 또는 기억장소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해 특수 코드로 호출된 경우를 나타낸다. DTMF를 검출하면 현재 선택된 오디오 소스의 재생을 바로 중지할 것이다.
만일 가입자가 특수 코드 "*0"로 호출하는 경우, 제어장치(13)는 유효한 오디오 소스 및 입력될 대응하는 코드 목록이 있는 도움말 방송을 재생할 것이다. 유효한 코드 엔트리는 새로운 선호성을 나타내기 위해 기억장치(20)내 가입자의 기억장소를 갱신할 것이고, 선택된 오디오 소스의 아이덴티티를 확인하기 위해 재생될 것이다. 그러면, 장치(14)로부터의 발신음은 가입자가 또다른 특수 코드로 들어가거나 또는 전화번호를 호출할 때까지, 또는 타임아웃이 종료할 때까지 재생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대안적인 가입자 선택가능 오디오 소스는 의도되어 호출된 가입자의 번호로 전화하기 전보다는그 후에, 즉 발신음 대신으로 재생될 수 있다. 일반적인 배치에서, 전화통화를 설정하기 위해 호출된 숫자는 스위치(1) 및 네트워크를 통해 호출된 가입자의 교환기로 (또는 가입자로의 호출을 위해 동일한 교환기 상에서, 스위치(1)로) 루트된다. 호출된 교환기가 접속하는데 성공하고 호출 전류를 호출된 가입자 회선에 적용하는 경우, 제어장치(13)는 주입장치(12)를 통해 발신음을 주입시키는 발신 교환기로 이러한 사실을 시그널한다.
발신음 치환의 가장 간단한 버전에서, 발신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는 대안적인 소스(22(일반적인 발신음), 23(음악), 또는 24(광고))로부터 스위치(21)를 통해 제어장치(13)에 의해 선택된다. 현재의 선택은 기억장치(20)에서와 유사한 각 가입자의 위치와 함께 기억장치(25)에 저장된 코드에 의해 표시된다(사실, 하나의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기억장치(20,25)의 기능이 제어장치(13)내 범용 기억장치 자신의 할당된 영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의 제어장치(13)의 동작이 도 4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오디오 소스(22 내지 24)중의 하나에 대한 선호성을 나타내기 위해 추가 특수 코드 세트중의 하나로 호출하여 기억장치(25)내 그의 저장 위치의 내용을 변경할 기회가 가입자에게 제공되고, 의도되어 호출된 가입자의 전화번호로 호출한 뒤 재생된다. 도 3을 참조로 하여 논의된 도움말 안내는 호출된 가입자의 번호로 호출한 후 사용하기 위해 오디오 소스 장치(22 내지 24) 선택 옵션을 유효한 오디오 소스 리스트에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발신음 치환의 간단한 버전의 단점은 호출하는 가입자가 호출된 가입자가 응답하는데 걸리는 시간만큼만 선택된 소리를 듣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만일 요구된다면, 통화자가 요구된 메세지를 듣도록 통화의 완료가 일부러 지연될 수 있다. 이것은, 원격 교환기가 호출된 회선으로 발신 전류를 전송하기전 정리를 기다릴 때까지 발신 교환기에서 호출된 번호를 (예를 들어 버퍼(26)에서) 버퍼링하거나, 또는 호출된 교환기가 호출된 가입자 회선이 호출을 수용하기에 유효하도록 검증하는 포인트까지 통화 설정 처리가 지속되도록 하므로써 성취될 수 있다.
긴급 호출 또는 응급 호출의 지연을 막기 위해, 호출하는 가입자가 이러한 지연을 무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먼저 호출한 가입자가 통화 완료를 진행하기 전에 치환 방송을 청취하는 동안 호출된 가입자가 다른 호출을 하거나 수신하는 것이 금지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장치(13)의 동작이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통화 처리는 의도되어 호출된 가입자의 전화번호로 호출한 후 호출한 가입자의 발신 교환기내에서 중지되며, 호출된 숫자는 오디오 소스가 재생되는 동안 버퍼(26)에 버퍼된다. 기억장치(25)내 호출 가입자 회선의 기억장소의 내용에 따라, 이 예에서 도 2에 도시된 유효 오디오 소스 장치(22 또는 23)로부터 오디오 소스가 선택된다. 도 5에 따라, 호출된 숫자를 버퍼링한 후에 제어장치(13)는 기억장치(25)내 가입자의 기억장소를 읽어들인다. 만일 일반적인 오디오 소스 장치(22)가 지시되면, 버퍼된 숫자는 평소대로 진행하도록 호출을 위해 네트워크로 즉시 방출되고, 만일 호출된 가입자 회선이 통화 시도를 수신하기에 유효한 경우 일반적인 발신음은 호출한 가입자에게로 루트된다. 만일 치환 오디오 소스 장치(23)가 지시되면, 제어장치(13)는 스위치(21) 및 음 주입장치(12)를 통해 가입자 회선으로 오디오 안내를 루트할 것이다. 한편, 할당된 DTMF 검출기는 오디오 소스가 재생되는 동안 어떠한 입력된 번호 또는 코드의 가입자 회선을 모니터할 것이다. 만일 오디오 소스 장치(23)가 가입자 회선상에서의 DTMF 신호의 검출전에 재생을 종료하는 경우, 버퍼된 숫자는 네트워크로 공개되고 통화 시도는 평소대로 진행될 것이다. 그러나 만일 가입자가 "#"와 같은 특수 코드로 호출하면, 선택된 방송은 즉시 중지되고 호출된 숫자는 네트워크로 공개될 것이다.
도 6을 참조로 하여 상기 실시예에서의 변경이 설명되어 있는데, 제어장치(13)는 호출한 가입자가 두 부분 방송을 듣도록 배치되고, 제 2 부분은 특수 코드의 엔트리에 따라 선택된다. 이 예에서, 도 2의 오디오 소스 장치(24)(광고)는 두 부분 방송을 제공한다. 제 1 부분 방송을 재생하는 동안, 할당된 DTMF 검출기는 어떠한 입력된 번호 또는 코드의 가입자 회선을 모니터한다. "#"을 호출하면 즉시 방송을 중지하고 평소대로 통화가 진행되도록 호출된 숫자를 네트워크로 공개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그가 추가적인 광고를 듣기 원하는 경우, 제 1 부분 방송은 가입자가 예를 들어, "블로그(Bloggs) 식품점은 이 통화 비용으로 당신에게 5펜스를 부가합니다. 원한다면*7을 누르고 이번 주의 야채 공급 세부사항을 청취하십시오"의 코드 "*7"을 입력하게 한다. 만일 사용자가 "*7"를 입력하면, 소스(24)는 광고를 재생한다. 광고가 종료되면, 버퍼된 숫자는 네트워크로 공개되고 통화는 평소대로 진행된다. 만일 사용자가 제 1 부분 방송후에 아무 행위도 하지 않는다면, 버퍼된 숫자는 예정된 타임아웃 기간후에 방출된다. 다시, 만일 요구되면, 가입자가 "#"를 입력해 방송이 어느 단계에서 무시될 수 있지만, 상기 예에서 완료전에 제 2 부분 방송 중지가 제어장치(13)에 의해 기록될 수 있고 제공된 통화 할인 권리는 취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호출된 숫자는 버퍼되지 않지만, 오히려 통화의 루팅을 위해 (원격) 교환기로 통과될 수 있고, 이러한 숫자들은 상기 교환기에게 호출전류를 호출된 가입자 회선으로 적용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명령하므로써 (그렇지 않으면 통화를 평소대로 처리하는 동안) 수반될 것이다. 일단 호출된 교환기가 통화가 진행되려고 한다고 호출한 교환기에게 시그널하면, 후자는 기억장치(25)내 호출한 가입자의 기억장소 내용 및 방송 완료 또는 호출한 가입자에 의한 중단시의 호출 방출을 위한 호출된 교환기로의 신호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소스를 호출한 가입자에게 재생하고, 일반적인 발신음(또는 일부 다른 선택된 소리)을 호출한 회선으로 적용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호출된 숫자들을 호출된 교환기로 전송하고 호출된 가입자 회선이 호출을 수신하려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호출 완료 신호의 수령 후, 제어장치(13)는 기억장치(25)내 호출한 가입자의 기억장소를 읽어들이고 그안에 표시된 오디오 소스 장치를 선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일 일반적인 호출음장치(22)가 선택되는 경우, 통화는 즉시 평소대로 진행될 것이다. 치환 오디오 소스 장치(23 또는 24)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다른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호출한 가입자에게 방송이 재생되는 결과를 낳는다. 다시, 호출한 가입자는 방송이 재생되는 동안 어느 때에 방송을 중지하고, 코드 "#"를 입력하여 즉시 통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호출된 가입자가 제 1 호출한 가입자가 선택된 방송을 듣는 동안 호출을 하거나 다른 가입자로부터 호출을 받는데 방해받지 않도록하기 위해, 제어장치(13)는 호출된 가입자 회선이 통화를 하기 위해 오프훅이거나 또는 또다른 입력 호출이 그리로 수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호출된 교환기로부터 반환되는 '통화중' 신호를 점검한다. 만일 그러한 '통화중' 신호가 수신되면, 플래그는 호출된 가입자 회선이 지금 '통화중'이라고 기록하도록 제어장치(13)에 의해 세트된다. 방송이 종료되거나, 또는 만일 호출한 가입자가 '통화중' 플래그 설정후에 그것을 중지하는 경우, 통화중 음은 평소대로 호출된 가입자 회선으로 루트될 것이다. 만일 호출된 가입자 회선이 호출을 받아들이기 위한 상태('통화중' 플래그가 세트되지 않음)로 남아있는다면, 방송 완료 또는 호출한 가입자에 의한 중단시 호출한 교환기 신호는 호출된 교환기로 호출 전류를 방출하고 호출 시도를 평소대로 진행한다.
일반적인 음의 대안적인 오디오 소스를 치환하는 개념은 다른 음, 예를 들어 "통화중" 또는 "사용중" 음로 확장될 수 있다. 제어장치(13)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방법에 의해 현존하는 기억장치(20 또는 25)중 하나의 내부, 또는 예를 들어 '통화중' 음 교체로 제공된 추가 기억장치내의 각각의 가입자 회선의 기억장소를 이용하여, 치환 오디오 소스 선택을 허용하도록 배치된다.

Claims (10)

  1. 다수의 오디오 소스중의 하나를 식별하는 코드 워드를 내포하는, 교환기와 연결된 다수의 가입자 회선 각각의 기억장소를 갖는 기억수단;
    대응하는 기억장소를 검색하고 호출이 가능하다고 나타내는 대응하는 오디오 소스를 가입자 회선으로 루트하기위해, 가입자 회선의 오프훅 상태에 반응하는 제어수단; 및
    또다른 가입자에게로의 교환기 응답의 변경없이, 계속되는 가입자의 오프훅 상태를 위해 선택될 오디오 소스를 변경하기 위해 대응하는 기억장소의 코드 워드를 변경하도록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호출된 지정된 신호에 응하여 동작가능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교환기.
  2. 다수의 오디오 소스중의 하나를 식별하는 코드 워드를 내포하는, 교환기와 연결된 다수의 가입자 회선 각각의 기억장소를 갖는 기억수단;
    교환기와 연결된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통화가 이루어질 또다른 가입자 회선으로 호출을 루트하는 것과 관련된 상태를 인식하고, 그에 응하여 호출한 가입자 회선에 대응하는 기억장소를 검색하며, 그안의 코드 워드에 의해 식별된 오디오 소스를 호출한 가입자 회선으로 루트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수단; 및
    계속되는 가입자에 의한 호출 시도를 위해 선택될 오디오 소스를 변경하기 위해 대응하는 기억장소의 코드 워드를 변경하도록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호출된 지정된 신호에 응하여 동작가능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교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는 교환기와 연결된 호출한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호출된 가입자 회선으로의 성공적인 호출 루팅에 대응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교환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는 교환기와 연결된 호출한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호출된 가입자 회선으로의 루트 실패에 대응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교환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통화가 이루어질 가입자 회선에 대응하여 호출된 숫자를 호출한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수령한 후 호출된 숫자를 저장하여 상기 상태는 호출된 숫자를 저장한 상태가 되고, 오디오 소스로부터의 신호의 종료 또는 호출한 가입자 회선으로부터의 앞선 코드된 수용/거절 신호의 현존 또는 부재에 응하여 통화 설정하기 위해 호출되어 저장된 숫자를 방출하도록 작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교환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통화를 설정하기 위해 호출된 숫자의 호출한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호출된 가입자 회선으로 수령후, 호출 전류를 호출된 가입자 회선으로 적용시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그것을 명령하는 신호를 호출된 가입자 회선의 교환기로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오디오 소스로부터의 신호 종료 또는 호출한 가입자 회선으로부터의 앞선 코드된 수용/거절 신호의 현존 또는 부재에 응하여, 호출 전류의 적용을 호출된 가입자 회선으로 방출하기 위해 호출된 가입자 회선의 교환기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교환기.
  7. 통화를 설정하기 위해 호출된 숫자의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호출된 가입자 회선으로 수령후에 동작가능한 제어수단을 갖는 전화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숫자의 수령을 승인하기 위해 오디오 신호 소스를 호출한 가입자 회선으로 루트하고;
    호출 전류를 호출된 가입자 회선으로 적용시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그것을 명령하는 신호를 호출된 가입자 회선의 교환기로 전송하며;
    호출한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호출된 가입자 회선으로의 성공적인 통화 루팅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인식하고, 오디오 소스로부터의 신호 종료 또는 호출한 가입자 회선으로부터의 앞선 코드된 수용/거절 신호의 현존 또는 부재에 응하여, 호출 전류의 적용을 호출된 가입자 회선으로 방출하기 위해 호출된 가입자 회선의 교환기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교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다수의 오디오 소스중의 하나를 식별하는 코드 워드를 내포하는, 교환기와 연결된 다수의 가입자 회선 각각의 기억장소를 갖는 기억수단, 및 호출한 가입자 회선에 대응하여 기억장소를 검색하고, 단계(ⅱ)에서 그안의 코드 워드에 의해 식별된 오디오 소스를 호출한 가입자 회선으로 루트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교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계속되는 가입자에 의한 호출 시도를 위해 선택될 오디오 소스를 변경하기 위해 대응하는 기억장소내 코드 워드를 변경하도록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호출된 지정된 신호에 응하여 동작가능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교환기.
  10.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그에 도시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전화교환기.
KR1019980700404A 1995-07-18 1996-07-17 전화교환기 KR199900291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514683.3 1995-07-18
GBGB9514683.3A GB9514683D0 (en) 1995-07-18 1995-07-18 Telephone exchan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100A true KR19990029100A (ko) 1999-04-15

Family

ID=1077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404A KR19990029100A (ko) 1995-07-18 1996-07-17 전화교환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088440A (ko)
EP (1) EP0839426B1 (ko)
JP (1) JPH11509699A (ko)
KR (1) KR19990029100A (ko)
CN (1) CN1150745C (ko)
CA (1) CA2226079C (ko)
DE (1) DE69631288T2 (ko)
GB (1) GB9514683D0 (ko)
NO (1) NO980216L (ko)
NZ (1) NZ313227A (ko)
WO (1) WO199700457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1986A2 (en) * 1996-07-08 1998-01-15 At & T Corp. Information message line condition signaling technique
EP0953250A1 (en) * 1997-01-15 1999-11-03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Telephone exchange
GB9703996D0 (en) 1997-02-26 1997-04-16 British Telecomm Message system
EP0972396A1 (en) * 1997-03-18 2000-01-19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Operating a communications network
US7272217B1 (en) * 1998-12-16 2007-09-18 At&T Corp. Telecommunications call time slicing system and method
US20020051521A1 (en) * 2000-10-27 2002-05-02 Patrick R. Scott Communication service with advertisement
US6697470B2 (en) * 2001-03-28 2004-02-24 Mcdonough Steven D. Incoming call indicator
US7184529B1 (en) * 2002-09-24 2007-02-27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a subscriber to an advertiser prior to call completion
US7136470B1 (en) 2002-09-24 2006-11-14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Ad ringer
KR100393553B1 (ko) * 2002-10-18 2003-08-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 미가입자에 대한 발신시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방법
US8375119B2 (en) * 2004-07-27 2013-02-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 P. Methods, systems, devices, and products for providing alerts for communications
US7889853B2 (en) * 2004-07-27 2011-02-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devices, and products for providing ring backs
US8335824B2 (en) * 2004-12-29 2012-12-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metadata subscription services
US20060177044A1 (en) * 2005-01-21 2006-08-10 O'neil Douglas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tone services
US20070133785A1 (en) * 2005-12-09 2007-06-14 Cotignola Christopher J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ringback greetings
US7421067B2 (en) * 2006-04-19 2008-09-02 Emotive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ology for peer-to-peer voice communication employing a pushed interactive multimedia announcement
WO2009026367A1 (en) * 2007-08-20 2009-02-26 Emotive Communications, Inc. Interactive interface for devices supporting communication employing sender-specified media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0349A (en) * 1981-12-30 1985-04-09 Segre Amar Leonello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s to a telephone set through the subscriber's line in a telephone system
US4850007A (en) * 1987-06-25 1989-07-18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Telephone toll service with advertising
US4856055A (en) * 1988-07-25 1989-08-08 Nira Schwartz Controllable telephone annunciator
US5200994A (en) * 1988-08-12 1993-04-06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with party identification features
US5220599A (en) * 1988-08-12 1993-06-15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with party identification and notification features
US4941167A (en) * 1988-11-04 1990-07-10 Motorola, Inc. Telephone system with customized central message center
US4996704A (en) * 1989-09-29 1991-02-26 At&T Bell Laboratories Electronic messaging systems with additional message storage capability
JPH04319849A (ja) * 1991-04-19 1992-11-10 Nec Corp アナウンスメント送出方式
US5321740A (en) * 1991-06-20 1994-06-14 Quantum Systems, Inc. Telephone marketing system
JPH0548728A (ja) * 1991-08-08 1993-02-26 Fujitsu Ltd 交換処理方式
US5329578A (en) * 1992-05-26 1994-07-12 Northern Telecom Limited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with mobility manager
US5598461A (en) * 1994-05-26 1997-01-28 Greenberg; Stephen Personalized annunciation signaling phon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80216D0 (no) 1998-01-16
EP0839426A2 (en) 1998-05-06
DE69631288D1 (de) 2004-02-12
EP0839426B1 (en) 2004-01-07
NO980216L (no) 1998-03-17
US6088440A (en) 2000-07-11
NZ313227A (en) 1999-10-28
CN1150745C (zh) 2004-05-19
CA2226079C (en) 2001-04-24
DE69631288T2 (de) 2004-11-25
AU695965B2 (en) 1998-08-27
JPH11509699A (ja) 1999-08-24
CA2226079A1 (en) 1997-02-06
CN1191051A (zh) 1998-08-19
WO1997004574A3 (en) 1997-03-06
GB9514683D0 (en) 1995-09-13
AU6524496A (en) 1997-02-18
MX9800470A (es) 1998-09-30
WO1997004574A2 (en) 199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9100A (ko) 전화교환기
US674167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peech recognition services to communication system users
US6233315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utility and interoperability of peripheral devices in communications systems
US427764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ing telephone calls
US5060255A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with timed-do-not-disturb
US6195418B1 (en) Telephone system having a callback capability and method for connecting a recipient of a message to a caller
JP3202862B2 (ja) 起呼端末と被呼端末との間の通信方法
JPH03123261A (ja) メッセージ記憶能力を付随させた電子メッセージ装置とその方法
JPH04230151A (ja) 電子メッセージシステム用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00070162A (ko) 전화 교환기 및 그 제어방법
CN100521717C (zh) 话音存储装置和来电呼叫应答系统
AU695965C (en) Telephone exchange
US64903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sic-on-hold service in key telephone system
KR100233461B1 (ko) 교환시스템에서 자동전환장치를 이용한 호출안내 방송 방법
JPH06244946A (ja) メッセージ蓄積再生方式
GB2332816A (en) Processing incoming calls in an exchange system
MXPA98000470A (en) Telefon central
JPH0482356A (ja) 話中着信時自動呼返し方法
KR100234128B1 (ko)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녹음메시지 동보 전송방법
NL8301422A (nl) Werkwijze voor het overdragen van kiesgegevens tussen abonneetoestellen en een centrale eenheid, alsmede de verbinding daarvan met een volgende centrale.
JPH0834517B2 (ja) 着信接続方式
JPH03104493A (ja) 構内交換システム
JPH0595422A (ja) 集合不在転送方式
KR20070012974A (ko)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JPH04120851A (ja) 音声蓄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