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919A - 현상제 - Google Patents

현상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919A
KR19990028919A KR1019980700221A KR19980700221A KR19990028919A KR 19990028919 A KR19990028919 A KR 19990028919A KR 1019980700221 A KR1019980700221 A KR 1019980700221A KR 19980700221 A KR19980700221 A KR 19980700221A KR 19990028919 A KR19990028919 A KR 19990028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intermediate transfer
liquid
image
c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미까쯔 나가세
다쯔로 쯔지모또
사또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히라이 가쯔히꼬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이 가쯔히꼬,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이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19990028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91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3/00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3/06Developing
    • G03G13/10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e.g. liquid suspens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12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in liquid developer mix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12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in liquid developer mixtures
    • G03G9/125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in liquid develop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liq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quid Develope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동점도의 10 ℃에서의 값과 50 ℃에서의 값의 차이가 4 cst 이하이며, 20 ℃에서의 동점도가 1.0 cst 내지 5 cst인, 적어도 수지 및 착색제로 이루어지는 착색 입자가 절연성 액체에 분산되어 있는 현상제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현상제는 온도 및 프로세스의 변동과 상관없이 안정하다.

Description

현상제
종래는 정전 잠상 담지체, 정전 기록지상의 잠상 전하를 토너 입자가 중화될때까지 충분히 현상하는 포화 현상법이 택해져 왔다. 이 방법은 현상제 중의 토너의 대전 특성을 관리하는 경우 안정한 현상 농도가 얻어져, 프린터의 온도 변화에 대하여도 커다란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포화 현상법의 경우에는 현상이 포화에 달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프린터의 인쇄 속도를 올릴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93-27386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롤러에 의한 현상기를 사용하여 현상 시간과 현상 속도의 균형을 맞춤으로써 포화에 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현상을 하여 인쇄 속도를 올리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프린터의 온도 변화에 의해 현상제의 현상 속도가 변화하여 현상 농도에 영향이 생긴다는 문제와, 인쇄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프로세스가 변동하여 현상 농도에 영향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온도 및 프로세스 변동에 대해 안정한 현상제가 요망되고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 및 프로세스의 변동에 의한 현상성이 차이가 적은 현상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이하의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적어도 수지 및 착색제로 이루어지는 착색 입자가 절연성 액체에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현상제에서, 현상제 동점도의 10 ℃에서의 값과 50 ℃에서의 값의 차이가 4 cst 이하이며, 20 ℃에서의 동점도가 1 cst 내지 5 cs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이다.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의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현상제는 안료 및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착색 입자가 절연성 액체에 0.1 내지 10 wt% 분산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wt% 분산된 것이다.
착색 입자의 분산량이 0.1 wt% 미만인 경우에는 인쇄 농도가 흐려진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10 wt%를 초과했을 경우에는 얼룩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현상제의 동점도에 대해서는 10 ℃에서의 값과 50 ℃에서의 값의 차이가 4 cst 이하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 cst 이하이다. 또한 20 ℃에서의 동점도에 대해서는 1 cst 내지 5 cst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cst 내지 4 cst이다.
여기에서, 20 ℃에서의 동점도가 1 cst 미만인 경우에는 정전 잠상 담지체상에서의 비화상부의 형상제의 제거를 기계적으로, 예를 들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에 의해 제거하고자 했을 경우, 점도가 낮기 때문에 제거 효율이 나쁘고 현상액이 비화상부에 남아 얼룩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5 cs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현상제 중의 착색 입자의 이동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현상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져 프린터의 인쇄 속도를 저하시킨다.
또한, 동점도의 10 ℃에서의 값과 50 ℃에서의 값의 차이가 4 cs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현상 롤러를 통하여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하는 바와 같은, 현상 시간과 현상 속도의 균형을 잡으면서 현상을 하는 화상 형성 방법에서는 현상성이 현상제 중의 토너 입자의 이동도에 의존한다. 이 이동도는 나아가서는 용제의 점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동점도의 온도 의존성은 현상 농도의 온도 의존성과 연결되어, 온도에 따라서 인쇄물의 인쇄 속도가 변화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현상제를 얻기 위해서는 절연성 액체로서 체적 고유 저항이 1014Ω·㎝ 이상의 탄화수소계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용제의 증류에서의 건조점이 28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70 ℃이하이며, 초류점이 180 ℃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증류에서의 초류점이 180 ℃ 미만인 경우에는 정전 잠상 담지체상의 정전 잠상에 현상 롤러를 통하여 현상제를 공급, 현상하여 얻어진 형상을 표면에 실리콘 고무층을 가진 중간 전사체와 접하면서 정전적으로 전사한 후, 그 중간 전사체상의 전사상을 피전사재상에 재전사하는 화상 형성 방법에서, 정전 잠상 담지체상에서 용제가 휘발됨으로써, 중간 전사체로의 전사시의 현상제 농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전사가 불안정해진다.
증류에서의 건조점이 280 ℃를 초과했을 경우에는 중간 전사체에서 종이로의 전사·정착시에는 용제를 휘발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사·정착에 요하는 에너지가 커져 장치 구성상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체적 고유 저항이 1014Ω·㎝ 미만인 것에서는 현상제 중의 토너의 전기영동이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잠상의 충분한 현상을 행할 수가 없다.
또한, 용제로서는 탄화수소계 용제 이외의 것에 대해서는 안전성, 화학적 안정성, 비용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탄화수소계 용제로서는 아이소파 L, M (엑손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JWS8947 (엣소 세끼유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아이소졸 400 (닛본 세끼유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NP-LC, NP-HCS, NP-SH (미쓰이 텍사코 케미칼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NAS-4 (닛본 유시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등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이소파-M, JWS-8947, 아이소졸 400, NP-LC, NP-HCS, NP-SH, NAS-4, 더욱 바람직하게는 JWS-8947, NP-HCS를 들 수 있다.
또 탄화수소계 용제 중의 노르말 파라핀량은 70 wt%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wt% 이상이다.
탄화수소계 용제 중의 노르말 파라핀량이 70 wt% 미만인 경우에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정전 잠상 담지체를 똑같이 대전하는 전자 사진법의 경우에, 방전 전극이 더러워지기 쉽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것은 코로나 방전에 의한 오존 발생의 문제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노르말 파라핀의 구성으로서 탄소수 12, 13, 14의 것이 80 wt%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wt%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12, 13, 14인 것이 80 wt% 미만인 경우에는 초류점과 건조점의 온도차가 벌어져 중간 전사체로의 전사의 안정성 및 종이로의 전사·정착성의 균형이 맞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탄화수소계 용제를 디메틸술폭시드로 추출한 추출액의 파장 260 내지 35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가 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수소계 용제를 디메틸술폭시드로 추출한 추출액의 파장 260 내지 35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가 0.1을 초과한 경우에는 코로나 방전 등의 영향에 의한다고 생각되는데, 오랜 작동 중에 용제가 착색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특히 칼라 프린터 등에 사용된 경우에는 색이 혼탁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추출 성분으로서 생각할 수 있는 방향족 성분이 이상한 냄새를 발생한다는 문제도 생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착색 입자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2.5 ㎛,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가 바람직하다.
중간 전사체를 사용한 화상 형성 방법에서는 정전 잠상 담지체에서 중간 전사체로의 토너 전사시에 정전 잠상 담지체상의 잠상이 정전 잠상 담자체와 중간 전사체가 접하고 있기 때문에 잠상에 압력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평균 입경이 0.1 ㎛ 미만인 경우에는 입자 사이에 존재하는 용제의 양이 증가하여 잠상의 강도가 전사시의 압력에 견딜 수 없어 인쇄 방향으로 꼬리를 끄는 것과 같은 도트 테일링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평균 입경이 2.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소에 대한 토너의 입경이 커져 인쇄물의 가는선 등에 화상의 거칠음이 발생한다.
착색 입자는 안료 또는 염료 및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데, 안료를 수지 중에 분산시킨 착색 입자가 바람직하다. 입자 중의 안료의 비율로서는 5 wt% 내지 30 wt%가 바람직하다.
안료가 5 wt% 미만인 경우에는 착색력이 부족하고, 30 w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지 성분이 적어지기 때문에 정착이 충분하지 않아, 인쇄물의 광택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수지로서는 알키드 수지, 스티렌 수지, 페놀 수지, 아크릴 수지, 스티렌-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로진 변성 페놀 수지, 로진 변성 말레인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는데, 로진 변성 말레인산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 염료로서는 일반적인 것이 사용되는데, 흑색계이면, 카본블랙 (시판품에서는 예를 들면 미쓰비시 가세이사 제품 #30, #40, #50, MA-7, 11, 100, 200 캐보트사 제품 MONARCH 800, 900, MOGUL L BLACK PEARLS 130REGAL 330, 400, 660 R 콜롬비아카본사 제품 Raven 1255, 1020, 1000 등) 외에 알칼리 블루 등을 카본블랙에 섞는 것도 가능하다.
황색계이면 C. I. 피그먼트 옐로우-1, 3, 4, 5, 6, 12, 13, 14, 15, 16, 17, 18, 24, 55, 65, 73, 74, 81, 83, 87, 93, 94, 95, 97, 98, 100, 101, 104, 108, 109, 110, 113, 116, 117, 120, 123, 128, 129, 133, 138, 139, 147, 151, 153, 154, 155, 156, 168, 169, 170, 171, 172, 173을 들 수 있으며, C. I. 피그먼트 옐로우-12, 13, 14, 17, 81, 95, 109, 15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홍색계이면 C. I. 피그먼트 레드-1, 2, 3, 4, 5, 6, 7, 8, 9, 10, 12, 14, 15, 17, 18, 22, 23, 31, 37, 38, 41, 42, 48:1, 48:2, 48:3, 48:4, 49:1, 49:2, 50:1, 52:1, 52:2, 53:1, 54, 57:1, 58:4, 60:1, 63:1, 63:2, 64:1, 65, 66, 67, 68, 81, 83, 88, 90, 90:1, 112, 114, 115, 122, 123, 133, 144, 146, 147, 149, 150, 151, 166, 168, 170, 171, 172, 174, 175, 176, 177, 178, 179, 185, 187, 188, 189, 190, 193, 194, 202, 208, 209, 214, 216, 220, 221, 224, 242, 243, 243:1, 245, 246, 247을 들 수 있으며, C. I. 피그먼트 레드-31, 48:3, 57:1, 81, 122가 바람직하다.
남색계이면 C. I. 피그먼트 블루-1, 2, 9, 14, 15, 16, 17:1, 19, 21, 22, 24, 25, 56, 60, 61, 63, 64를 들 수 있으며, C. I. 피그먼트 블루-15가 바람직하다.
그밖에 프탈로시아닌 그린, 오일 바이올렛, 메틸 오렌지, 메틸 바이올렛 등이 사용된다.
또한, 착색 입자는 안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연화점의 조정을 위하여 첨가하여도 좋다.
또한, 입자 중 입자 표면에 하전 제어제, 왁스 등을 하전 제어, 분산성 향상을 위하여 첨가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현상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수지 및 착색제를 2축 압출기, 혼련기 등으로 열을 가함으로써 용융 혼련하고, 이것을 조분쇄한 후 하전 제어제, 왁스 등의 첨가제와 함께 탄화수소계의 절연성 용제 중에서 볼밀, 진동밀, 아트라이터 등을 사용하여 분산함으로써 소정의 입자 입경, 입자 분포가 얻어지는 분산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평균 입자 입경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시마쯔 원심 침강식 입도 분포 측정기 SA-CP3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현상제, 용제의 점도 측정 방법으로서는 B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노르말 파라핀의 함유량 측정 방법으로서는 시료 1.0 g을 10 ml 메스플라스크로 정밀 칭량하고, 클로로포름(기시다 가가꾸 제품, 시약 특급)을 가하여 10 ml 용액을 만든다. 이 용액을 J & W사 제품의 DB-1 칼럼을 사용하여 가스크로 HP5890SⅡ (휴렛팩커드사 제품)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표본물질에 대응하는 피크의 피크 면적으로부터 노르말 파라핀의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탄화수소 용제를 디메틸술폭시드로 추출한 추출액의 파장 260 내지 35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의 측정 방법으로, 구체적으로는 탄화수소 용제 25 ml을 취하고, 흡수 스펙트럼용 디메틸술폭시드 5 ml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액의 파장 260 내지 350 nm의 자외선 흡광도를 자외선 흡수 측정 장치로 측정하였다.
이어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현상제는 정전 잠상 담지체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이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에 사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정전 잠상 담지체상의 정전 잠상에 현상 롤러를 통하여 액체 현상제를 공급, 현상하여 얻어진 형상을 표면에 실리콘 고무층을 가진 중간 전사체와 접하면서 정전적으로 전사한 후, 그 중간 잔사체상의 전사상을 피전사재상에 재전사하는 화상 형성 방법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도 및 프로세스에 대하여 안정한 현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전 잠상 담지체상의 정전 잠상에 현상 롤러를 통하여 수지 및 착색제로 이루어지는 착색 입자가 절연성 액체에 분산되어 있는 액체 현상제를 공급, 현상하여 얻어진 형상을 표면에 실리콘 고무층을 가진 중간 전사체와 접하면서 정전적으로 전사한 후, 그 중간 전사체상의 전사상을 피전사재상에 재전사하는 화상 형성 방법으로서, 이 액체 현상제를 정전 잠상 담지체상에서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절연성 액체를 제거함으로써 중간 전사체에 정전적으로 전사하기 전의 정전 잠상 담지체상의 액체 현상제의 고형분 농도가 10 내지 30 wt%를 갖도록 절연성 액체를 제거하는 화상 형성 방법에서, 이 액체 현상제의 동점도의 10 ℃에서의 값과 50 ℃에서의 값의 차이가 4 cs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액체 현상제의 동점도가 10 ℃에서의 값과 50 ℃에서의 값의 차이가 4 cst를 초과했을 경우에는 중간 전사체에 정전적으로 전사하기 전의 정전 잠상 담지체상의 액체 현상제의 고형분 농도가 10 내지 30 wt%의 범위에서 벗어남으로써 화상이 인쇄 방향으로 퍼지는 등의 화상 품질의 악화가 나타난다.
또한, 온도 및 프로세스에 대하여 안정한 현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전 잠상 담지체상의 정전 잠상에 현상 롤러를 통하여 액체 현상제를 공급, 현상하여 얻어진 형상을 표면에 실리콘 고무층을 가진 중간 전사체와 접하면서 정전적으로 전사한 후, 그 중간 전사체상의 피전사재상에 재전사하고, 그 후, 중간 전사체의 실리콘 고무층에 흡수, 또는 용매화된 용제를 제거하는 액체 제거 수단을 갖는 화상 형성 방법에서, 이 절연성 액체가 탄화수소계 용제이며, 그 증류에서의 건조점이 280 ℃ 이하이며, 초류점이 18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증류에서의 건조점이 280 ℃를 초과했을 경우에는 중간 전사체의 실리콘 고무층에 흡수 또는 용매화된 용제를 제거하는 것이 어려워져, 장치의 대형화 등이 필요해진다. 또한 실리콘 고무층에 용매가 축적되면 중간 전사체에서 종이의 박리력이 높아져 종이 걸림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전 잠상 담지체상의 정전 잠상에 현상 롤러를 통하여 액체 현상제를 공급, 현상하여 얻어진 형상을 중간 전사체와 접하면서 정전적으로 전사하는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이 중간 전사체상에서 풀 칼라상을 형성하고, 그 중간 전사체상의 풀 칼라상을 피전사재상에 재전사하는 화상 형성 방법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중간 전사체에 접한다는 것은 중간 전사체와 정전 잠상 담지체가 액체 현상제로 현상하지 않은 상태에서 2점 이상에서 접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실제로 액체 현상제로 현상하여 전사하는 과정에서는 중간 전사체와 정전 잠상 담지체는 토너상을 통하여 접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중간 전사체는 불소 고무 등의 내열성이 높은 고무에 접착층을 통하여 표면에 실리콘 고무층을 갖는 것, 천 위에 스폰지층, 고무층, 실리콘 고무층을 순차로 적층한 것 등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피전사재로서는 종이, 플라스틱 필름, 금속, 천, 판 등 통상 인쇄가 가능한 것이면 종류는 상관없다.
본 발명은, 복사기 또는 레이저 빔 프린터에 이용되는 현상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정전 잠상 담지체상의 정전 잠상에 현상 롤러를 통하여 현상제를 공급, 현상하여 얻어진 형상을 표면에 실리콘 고무층을 가진 중간 전사체와 접하면서 정전적으로 전사한 후, 그 중간 전사체상의 전사상을 피전사재상에 재전사하는 화상 형성 방법에 사용되는 현상제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로진 변성 말레인산 수지 (아라까와 가가꾸 제품 FGM-310, 산가 108, 연화점 120 ℃) 1540 g, 카본블랙 (MOGUL-L) 400 g, 폴리에틸렌글리콜 (PEG6000, 산요 가세이사 제품) 60 g을 믹서로 예비 혼합한 후,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였다 (공급량 2 ㎏/hr, 온도 100 ℃). 얻어진 용융 혼련물을 냉각한 후, 샘플 밀을 사용하여 입경 약 50 ㎛의 조분말로 만들었다. 이 조분말 200 g과 아크릴계 고분자형 하전 제어제 용액 110 g (미국 특허 제3900412호의 실시예 ? 중에서 기술된 방법에 의해 제작, 고형분 14 wt%), 카르바나 왁스 15 g 및 다음의 특성을 가진 석유 탄화수소계 용제 NP-HCS (미쓰이 텍사코 케미칼 제품: 체적 고유 저항 1016Ω·㎝ 이상, 초류점 220 ℃, 건조점 260 ℃, 노르말 파라핀량 98.7 wt%, 탄화수소 용제를 디메틸술폭시드로 추출한 추출액의 파장 260 내지 35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의 피크값 0.04 (파장 260 nm)) 1250 g을 혼합하여 진동 밀로 5시간 분쇄하여 평균 입자 입경 1.5 ㎛의 액체 토너가 얻어졌다. 이 원액을 고형분 농도 2 wt%가 되도록 용제 NP-HCS로 희석하여 현상제로 삼았다.
이 현상제는 20 ℃에서의 동점도 2.9 cst, 50 ℃와 10 ℃의 동점도의 차이 2.05 cst였다.
실온 20 ℃에서, Se 드럼을 감광체로 사용하고,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현상제로 감광체의 선속도 120 ㎜/sec에서 현상 롤러를 사용하여 현상하고, 이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상을 드럼상에 붙인 실리콘 고무를 최외각 표면층에서 갖는 중간 전사체상에 전사하고, 그 중간 전사체상의 토너상을 아트지에 20 ㎏의 선압을 주며, 압력 롤러의 온도 200 ℃에서 선속도 40 ㎜/sec의 속도로 전사했더니, 얼룩이 없는 인쇄 농도 1.31의 화상이 얻어졌다.
또한, 종이에 전사한 후 200 ℃의 금속 롤러를 중간 전사체와 접함으로써 실리콘 고무층에 흡수 또는 용매화된 용제를 제거하였다.
또한, 실온을 30 ℃로 올려 인쇄를 반복함으로써 감광체의 온도가 40 ℃가 된 상태에서 마찬가지로 인쇄를 했더니, 얼룩이 없는 인쇄 농도 1.41의 화상이 얻어졌다. 또한, 이러한 인쇄물을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조사했더니, 도트 테일링이 없으며, 30 ㎛의 가는선이 자연스럽고 거칠음이 없는 양호한 화상이 얻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온도에 의한 인쇄물의 커다란 변화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계속해서 200 매의 인쇄를 수행한 경우, 인쇄 농도의 변동도 0.2 이내로 억제되어 양호한 인쇄물을 재현성 좋게 얻을 수 있었고, 종이 걸림 등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현상제를 감광체상의 용제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퀴즈 롤러 및 대전기를 설치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인쇄를 수행하였다.
여기에서, 중간 전사체에 정잔적으로 전사하기 전의 정전 잠상 담지체상의 현상제의 고형분 농도를 인쇄 도중에 프린터를 정지시키고, 전사전의 감광체상에 있는 토너를 모아 그것의 고형분 농도를 건조 전후의 중량 변화로 측정했더니, 21.3 wt%였다.
이 결과, 얼룩이 없는 인쇄 농도 1.28의 화상이 얻어졌다. 또한, 이러한 인쇄물을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조사했더니, 도트 테일링이 없으며, 30 ㎛의 가는선이 자연스럽고 거칠음이 없는 양호한 화상이 얻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온도에 의한 인쇄물의 커다란 변화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계속해서 200 매의 인쇄를 수행한 경우, 인쇄 농도의 변동도 0.13 이내로 억제되어 양호한 인쇄물을 재현성 좋게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3>
카본블랙 대신에 C. I. 피그먼트 옐로우-13 (세이까파스트 옐로우 (Seikafast Yellow) 2600 다이니찌 세이까 제품) 400 g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액체 토너를 제조한 경우, 평균 입경 1.1 ㎛의 옐로우 토너가 얻어졌다.
카본블랙 대신에 C. I. 피그먼트 레드-57:1 (세이까파스트 카르민 (Carmine) 6B 1476 다이니찌 세이까 제품) 400 g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액체 토너를 제조한 경우, 평균 입경 1.4 ㎛의 마젠타 토너가 얻어졌다.
카본블랙 대신에 C. I. 피그먼트 블루-15 (크로모파인 블루 (Chromofine Blue) 5187 다이니찌 세이까 제품) 400 g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액체 토너를 제조한 경우, 평균 입경 0.8 ㎛의 시안 토너가 얻어졌다.
실온 20 ℃에서, Se 드럼을 감광체로 사용하고,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4색 현상제로 감광체의 선속도 120 ㎜/sec에서 현상 롤러를 사용하여 순차로 현상하고, 드럼상에 붙인 실리콘 고무를 최외각 표면층에서 갖는 중간 전사체상에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토너를 1색 마다 순차로 전사하여, 중간 전사체상에서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고, 그 풀 칼라 화상을 아트지에 20 ㎏의 선압을 주며, 압력 롤러 온도 200 ℃에서, 선속도 40 ㎜/sec의 속도로 전사하였다. 그 결과, 옐로우의 인쇄 농도 1.3, 마젠타의 인쇄 농도 1.3, 시안의 인쇄 농도 1.5, 블랙의 인쇄 농도 1.4로 농도가 높고, 얼룩이 없는 양호한 화상이 얻어졌다. 또한 500매를 연속 인쇄한 결과, 인쇄 농도의 변동도 0.2 이내로 억제되며, 겹치는 색도 양호하게 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로진 변성 말레인산 수지 (아라까와 가가꾸 제품 FGM-310, 산가 108, 연화점 120 ℃) 1540 g, 카본블랙 (MOGUL-L) 400 g, 폴리에틸렌글리콜 (PEG6000, 산요 가세이사 제품) 60 g을 믹서로 예비 혼합한 후,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였다 (공급량 2 ㎏/hr, 온도 100 ℃). 얻어진 용융 혼련물을 냉각한 후, 샘플 밀을 사용하여 입경 약 50 ㎛의 조분말로 만들었다. 이 조분말 200 g과 아크릴계 고분자형 하전 제어제 용액 110 g (미국 특허 제3900412호의 실시예 ? 중에서 기술된 방법에 의해 제조, 고형분 14 wt%), 카르나바 왁스 15 g 및 다음의 특성을 가진 석유 탄화수소계 용제 JWS8947 (엣소 세끼유 제품: 체적 고유 저항 1016Ω·㎝ 이상, 초류점 225 ℃, 건조점 242 ℃, 노르말 파라핀량 99.8 wt%, 노르말 파라핀 중의 탄소수 12, 13, 14의 비율 99.9 wt%, 탄화수소 용제를 디메틸술폭시드로 추출한 추출액의 파장 260 내지 35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의 피크값 0.03 (파장 260 nm)) 1250 g을 혼합하여 진동 밀로 5시간 분쇄하여 평균 입자 입경 1.5 ㎛의 액체 토너가 얻어졌다. 이 원액을 고형분 농도 2 wt%가 되도록 용제 JWS8947로 희석하여 현상제로 삼았다.
이 현상제는 20 ℃에서의 동점도 2.8 cst, 50 ℃와 10 ℃의 동점도의 차이 1.93 cst였다.
이 현상제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인쇄를 행한 결과, 얼룩이 없는 인쇄 속도 1.35의 화상이 얻어졌다.
또한, 실온을 30 ℃로 올려 인쇄를 반복함으로써 감광체의 온도가 40 ℃가 된 상태에서 마찬가지로 인쇄를 수행한 경우, 얼룩이 없는 인쇄 농도 1.42의 화상이 얻어졌다. 또한, 이러한 인쇄물을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조사했더니, 도트 테일링이 없으며, 30 ㎛의 가는선이 자연스럽고 거칠음이 없는 양호한 화상이 얻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온도에 의한 인쇄물의 커다란 변화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계속해서 200 매의 인쇄를 수행한 경우, 인쇄 농도의 변동도 0.16 이내로 억제되어 양호한 인쇄물이 재현성 좋게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NP-HCS 대신에 크리스톨 52 (엣소 세끼유사 제품)를 사용하여 액체 토너를 제조한 경우, 50 ℃와 10 ℃의 동점도의 차이 4.5 cst, 평균 입경 1.2 ㎛의 블랙 토너가 얻어졌다.
이 토너를 사용하여 압력 롤러의 선속도 10 ㎜/sec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인쇄한 경우, 실온 20 ℃에서 인쇄 농도 0.85의 화상이 얻어지고, 인쇄를 반복함으로써 감광체의 온도가 40 ℃가 된 상태에서 마찬가지로 인쇄한 경우, 인쇄 농도 1.23의 화상이 얻어져 온도에 의한 인쇄 속도의 의존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NP-HCS 대신에 라이톨 화이트 (위트코 (Witco)사 제품)를 사용하여 액체 토너를 제조한 경우, 20 ℃에서의 동점도 5.4 cst, 평균 입경 1.2 ㎛의 블랙 토너가 얻어졌다.
이 토너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인쇄한 경우, 실온 농도 20 ℃에서 인쇄 농도가 0.9로 실시예 1에 비해 낮았고, 실시예 1과 같은 인쇄 농도로 하기 위해서는 감광체의 선속도를 80 ㎜/sec까지 떨어뜨릴 필요가 있어 인쇄 속도가 저하되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NP-HCS 대신에 닛세끼 아이소졸 200 (닛본 세끼유 가가꾸사 제품)을 사용하여 액체 토너를 제조한 경우, 20 ℃에서의 동점도 0.73 cst, 평균 입경 2.0 ㎛의 블랙 토너가 얻어졌다.
이 토너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인쇄한 경우, 인쇄 농도 0.015를 나타내는 얼룩이 발생하여 양호한 인쇄물을 얻을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의 현상제는 온도 및 프로세스의 변동에 의한 현상성의 차이가 작기 때문에 안정한 인쇄물을 고속으로 얻을 수가 있다.

Claims (9)

  1. 적어도 수지 및 착색제로 이루어지는 착색 입자가 절연성 액체에 분산되어 있는 현상제로서, 현상제의 동점도의 10 ℃에서의 값과 50 ℃에서의 값의 차이가 4 cst 이하이며, 20 ℃에서의 동점도가 1 cst 이상 5 cs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수지 및 착색제로 이루어지는 착색 입자가 절연성 액체에 분산되어 있는 현상제로서, 상기 절연성 액체가 탄화수소계 용제이며, 그 증류시의 건조점이 280 ℃ 이하이며, 초류점이 18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액체가 탄화수소계 용제이며, 그 증류시의 건조점이 270 ℃ 이하이며, 초류점이 20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4.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액체가 탄화수소계 용제이며, 그 탄화수소계 용제중 노르말 파리핀의 양이 70 wt%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액체의 노르말 파라핀 성분 중, 80 wt% 이상이 탄소수 12, 13, 14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6.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액체가 탄화수소계 용제이며, 그 탄화수소계 용제를 디메틸술폭시드로 추출한 추출액의 파장 260 내지 35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가 0.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7.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정전 잠상 담지체상의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공급, 현상하여 얻어진 형상을 표면에 실리콘 고무층을 가진 중간 전사체와 접하면서 정전적으로 전사한 후, 그 중간 전사체상의 전사상을 피전사재상에 재전사하는 화상 형성 방법에 사용되는 현상제.
  8. 정전 잠상 담지체상의 정전 잠상에 액체 현상제를 공급, 현상하여 얻어진 형상을 표면에 실리콘 고무층을 가진 중간 전사체와 접하면서 정전적으로 전사한 후, 그 중간 전사체상의 전사상을 피전사재상에 재전사하는 화상 형성 방법이고, 상기 액체 현상제를 정전 잠상 담지체상에서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절연성 액체를 제거함으로써, 중간 전사체에 정전적으로 전사하기 전의 정전 잠상 담지체상의 액체 현상제의 고형분 농도가 10 내지 30 wt%를 갖도록 절연성 액체를 제거하는 화상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액체 현상제의 동점도의 10 ℃에서의 값과 50 ℃에서의 값의 차이가 4 cs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9. 정전 잠상 담지체상의 정전 잠상에 액체 현상제를 공급, 현상하여 얻어진 형상을 표면에 실리콘 고무층을 가진 중간 전사체와 접하면서 정전적으로 전사한 후, 그 중간 전사체상의 전사상을 피전사재상에 재전사하고, 그 후 중간 전사체의 실리콘 고무층에 흡수 또는 용매화된 용제를 제거하는 액체 제거 수단을 갖는 화상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절연성 액체가 탄화수소계 용제이며, 그 증류시의 건조점이 280 ℃ 이하이며, 초류점이 18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KR1019980700221A 1996-05-13 1996-05-13 현상제 KR199900289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6/001257 WO1997043697A1 (fr) 1996-05-13 1996-05-13 Developpateu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919A true KR19990028919A (ko) 1999-04-15

Family

ID=1415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221A KR19990028919A (ko) 1996-05-13 1996-05-13 현상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838731A1 (ko)
KR (1) KR19990028919A (ko)
WO (1) WO19970436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3504B2 (ja) 2010-05-27 2012-12-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液体現像剤及び湿式画像形成方法
JP5840038B2 (ja) * 2012-03-14 2016-01-06 花王株式会社 液体現像剤
WO2017033500A1 (ja) 2015-08-27 2017-03-02 花王株式会社 液体現像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063B2 (ja) * 1976-10-26 1985-04-17 オーリン ハント スペシャルティ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写真用混合液体ト−ナ−
JPH0219168U (ko) * 1988-07-25 1990-02-08
JPH05273865A (ja) * 1992-03-25 1993-10-22 Toray Ind Inc 電子写真プリンタ
JPH07175345A (ja) * 1993-02-03 1995-07-14 Toray Ind Inc 中間転写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7043697A1 (fr) 1997-11-20
EP0838731A1 (en) 1998-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318149A1 (en) Marking liquid
JP5003455B2 (ja) 湿式現像剤
US20040259015A1 (en) Recording liquid and image forming method using the recording liquid
US6692881B2 (en) Recording liquid and image forming method using the recording liquid
US6020103A (en) Liquid developer, method of producing the liquid developer and image formation using the same
EP0571452A1 (en) Liquid developer imaging system
US5116705A (en) Liquid color toner composition
US4526852A (en) Liquid develop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charge images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US4804601A (en) Electrophotographic and electrographic imaging processes
KR19990028919A (ko) 현상제
US4822710A (en) Liquid developer compositions
JP4878698B2 (ja) 記録材料、液体現像剤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方法
JPH08272153A (ja) 液体トナー
EP0278785B1 (en) Liquid developer compositions with high transfer efficiency
US5273854A (en) Liquid composition for developing electrophotograph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3005456A (ja) 静電荷像用液体現像剤、記録材料及び画像形成方法
JPH1138686A (ja) 液体現像剤
JP2003020423A (ja) 記録材料及び画像形成方法
JPH10133429A (ja) 液体現像剤
JPH0572818A (ja) 電子写真用液体現像剤及びその製造法
JPH11202563A (ja) 液体現像剤
JP2002258541A (ja) 静電荷像用液体現像剤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H09218542A (ja) 液体現像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H11190917A (ja) 液体現像剤
JPH10307426A (ja) 静電荷現像用ブラック現像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