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616U -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연료 역류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연료 역류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616U
KR19990028616U KR2019970041252U KR19970041252U KR19990028616U KR 19990028616 U KR19990028616 U KR 19990028616U KR 2019970041252 U KR2019970041252 U KR 2019970041252U KR 19970041252 U KR19970041252 U KR 19970041252U KR 19990028616 U KR19990028616 U KR 199900286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iller neck
fuel tank
fuel filler
backflow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1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8616U/ko
Publication of KR199900286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616U/ko

Links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연료 역류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연료 탱크에 연료를 주입할 때의 연료 역류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를 규정용량 이상으로 주입할 때 연료가 연료 필러 넥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연료 탱크 본체(1)에 호스(2)를 연결하여 상기 호스(2)에 연료 필러 넥(3)을 연결함과 동시에 연료 필러 넥(3)의 입구에 리테이너(4)를 설치하여 선단에 진공센서(6)가 설치된 주유건(5)에 의하여 연료를 주입토록 하고, 상기 연료 필러 넥(3)에 상기 연료 필러 넥(3)보다 그 단면적인 작은 바이패스 도관(11)을 일단은 연료 필러 넥(3)의 하방에 선단은 주유건(5)의 진공센서(6) 위치부위에 개구되게 연결하고, 상기 바이패스 도관(11)에 선단측으로 열리는 첵크 밸브(12)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연료 역류 방지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연료 역류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연료 탱크에 연료를 주입할 때의 연료 역류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용 연료 탱크는 연료 탱크 본체에 호스를 연결하여 상기 호스에 연료 필러 넥을 연결하고, 연료 탱크 본체와 연료 필러 넥 사이에 레벨링 튜브를 연결하여 상기 튜브의 하을 연료 탱크 본체의 팽창공간의 규정용량 유면 부위에 개구되게 하거나, 연료 탱크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팽창공간과 증발가스 제어장치의 캐니스터 사이에 증발가스 공급관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증발가스 공급관의 연료 탱크 본체 연결위치에 벤트 밸브를 설치하며, 주유기의 주유건에는 진공센서를 설치하여 주유건을 연료 필러 넥에 삽입하고 연료 탱크 본체에 연료를 주입할 때 증발가스는 레벨링 튜브를 순환하거나 벤트 밸브의 개방에 의하여 증발가스가 캐니스터 측으로 이송되어 연료 탱크 본체의 압력을 감소시키면서 연료를 주입하고 있다.
한편 장거리 주행시 등에는 연료를 규정용량 이상으로 주입하는 경유가 많은 바, 이때 연료가 규정용량 이상으로 주입되면 레벨링 튜브의 하단이 유면에 의하여 폐쇄되거나 벤트 밸브가 폐쇄되면 증발가스가 배출되지 못하므로 연료 탱크 본체의 내부압력이 증가하고, 연료 탱크 본체의 내부압력이 증가되면 연료가 연료 필러 넥으로 역류하여 상기 역류된 연료가 진공센서를 "오프"시키므로서 주유가 중단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료를 규정용량 이상으로 주입하여 연료가 연료 필러 넥으로 역류되어 주유를 중단할 때 증가된 내부 압력과 역류 압력의 관성에 의하여 연료 필러 넥으로 넘치게 되어 하우징 주위 등을 오염시켜 보디의 도막을 손상시키거나 에너지를 낭비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연료를 규정용량 이상으로 주입할 때 연료가 연료 필러 넥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연료 역류 방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연료 탱크 본체에 연결된 연료 필러 넥에 상기 연료 필러 넥보다 그 단면적이 작은 바이패스 도관을 일단은 하방에 선단은 주유건의 진공센서 위치부위에 개구되게 연결하고, 상기 바이패스 도관에 선단 측으로 열리는 첵크 밸브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 탱크 본체3 : 연료 필러 넥
5 : 주유건6 : 진공센서
11 : 바이패스 도관12 : 첵크 밸브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 탱크 본체(1)에 호스(2)를 연결하여 상기 호스(2)에 연료 필러 넥(3)을 연결함과 동시에 연료 필러 넥(3)의 입구에 리테이너(4)를 설치하여 선단에 진공센서(6)가 설치된 주유건(5)에 의하여 연료를 주입토록 하고, 상기 연료 필러 넥(3)에 상기 연료 필러 넥(3)보다 그 단면적인 작은 바이패스 도관(11)을 일단은 연료 필러 넥(3)의 하방에 선단은 주유건(5)의 진공센서(6) 위치부위에 개구되게 연결하고, 상기 바이패스 도관(11)에 선단측으로 열리는 첵크 밸브(12)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연료를 규정이상으로 주입할 때 바이패스 도관(11)의 첵크 밸브(12) 상부는 연로가 채워지고, 레벨링 튜브 또는 벤트 밸브가 폐쇄되어 증발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면 연료 탱크 본체(1)의 내부 압력이 증가되어 그 내부 압력이 연료를 연료 필러 넥(3) 측으로 역류시킬 때 상기 내부 압력 및 역류 압력의 관성력은 연료 필러 넥(3)보다 바이패스 도관(11) 측으로 먼저 전달되고 첵크 밸브(12)를 개방하면서 첵크 밸브(12)의 상부에 채워진 연료를 진공센서(6) 측으로 분사시키므로서 주유건(5)의 주유를 중단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료 탱크 본체(1)의 내부 압력 및 역류 압력의 관성력이 연료 필러 넥(3)을 통하여 진공센서(6)를 "오프"시키기 전에 그 압력의 일부를 연료 필러 넥(3)보다 그 단면적이 작은 바이패스 도관(11)에서 연료 필러 넥(3) 측보다 그 유속을 증가시키고 그 속도에너지를 이용하여 첵크 밸브(12) 상부에 채워진 연료를 진공센서(6)에 분사시키므로서 주유가 중단되고, 주유가 중단됨에 따라 연료 필러 넥(3) 측으로 역류되는 연료는 그 압력이 감소되기 때문에 연료 필러 넥(3)에서의 연료의 역류가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연료 탱크 본체에 연료를 규정용량 이상으로 주입할 때 연료 필러 넥에 설치된 바이패스 도관으로 역류 압력의 일부를 전달하여 그 압력에 의하여 첵크 밸브 상부에 채워진 연류를 연료 필러 넥으로 역류되는 연료보다 먼저 진공센서에 분사시켜 진공센서를 "오프"시키므로서 주유를 중단하고 연료 필러 넥 측으로 역류하는 연료의 압력을 감쇠하였기 때문에 연료가 역류되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고, 연료의 역류를 양호하게 방지하면 연료 필러 넥 하우징 주위의 오염과 보디의 도막 손상을 방지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연료 탱크 본체에 연결된 연료 필러 넥에 상기 연료 필러 넥보다 그 단면적이 작은 바이패스 도관을 일단은 하방에 선단은 주유건의 진공센서 위치부위에 개구되게 연결하고, 상기 바이패스 도관에 선단 측으로 열리는 첵크 밸브를 설치하여서 된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연료 역류 방지구조.
KR2019970041252U 1997-12-27 1997-12-27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연료 역류 방지구조 KR199900286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252U KR19990028616U (ko) 1997-12-27 1997-12-27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연료 역류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252U KR19990028616U (ko) 1997-12-27 1997-12-27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연료 역류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616U true KR19990028616U (ko) 1999-07-15

Family

ID=6968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252U KR19990028616U (ko) 1997-12-27 1997-12-27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연료 역류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861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36204B (zh) 贮箱组件
KR100694340B1 (ko) 연료 탱크
US5205330A (en) Air breather system for fuel tank
JP2005335691A (ja) 給油時の蒸気回収装置
US6805106B2 (en) Fuel-injection system
KR970000409Y1 (ko) 자동차용 연료 역류 방지장치
US6491030B2 (en) Ventilation device for a fuel tank
JP2016534286A (ja) ユニバーサル遮断弁
JP3175165B2 (ja) インレットパイプ構造
US6834642B2 (en) Fuel vapor processing apparatus
JPS62113878A (ja) 燃料を燃料タンクから内燃機関へ供給する燃料供給装置
KR19990028616U (ko)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연료 역류 방지구조
US6367520B1 (en) Fuel filler inlet for motor vehicles
KR200221354Y1 (ko)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연료 역류 방지 구조
KR100707759B1 (ko) 가압 펌프를 지닌 고압 유체 용기 구조
US6726185B1 (en) Rollover valve for carburetor float bowls
KR100398521B1 (ko) 디젤차량용 연료주입구조
JPH02286865A (ja) 車両用燃料供給装置
KR200142102Y1 (ko) 연료탱크의 밸브장치
KR20130059983A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역류방지구조
JPH0537012Y2 (ko)
JPS5911811Y2 (ja) 自動車用ウインドウォッシャ装置
KR100251212B1 (ko) 연료 탱크의 벤트 밸브 설치 구조
US20050139261A1 (en) Valve
JPH06278481A (ja) 車両用燃料タン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