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410A -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410A
KR19990028410A KR1019970709726A KR19970709726A KR19990028410A KR 19990028410 A KR19990028410 A KR 19990028410A KR 1019970709726 A KR1019970709726 A KR 1019970709726A KR 19970709726 A KR19970709726 A KR 19970709726A KR 19990028410 A KR19990028410 A KR 19990028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iston
arm
voltage
rod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9093B1 (ko
Inventor
시게루 시노하라
다카이유키 무토
미쓰루 아라이
Original Assignee
안자키 사토루
고마쓰 세사쿠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자키 사토루, 고마쓰 세사쿠쇼(주) filed Critical 안자키 사토루
Publication of KR19990028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7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compacting-typ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9/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 B25D9/14Control devices for the reciprocating piston
    • B25D9/145Control devices for the reciprocating piston for hydraulically actuated hammers having an accumulat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03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ctuators, e.g. speed, floating function
    • E02F9/22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ctuators, e.g. speed, floating function for generating actuator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hovels (AREA)

Abstract

차체(4)에 붐(5)을 상하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해당 붐에 아암(7)을 상하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해당 아암에 버킷(10)을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붐, 아암 및 버킷을 붐 실린더(6), 아암 실린더(8) 및 버킷 실린더(11)로 각각 구동하도록 하여, 상기 아암에 진동 발생 장치(13)를 설치하고, 해당 진동 발생 장치에 전압구(19), 치즐(58) 또는 항타구를 교환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붐 실린더, 아암 실린더 및 버킷 실린더가 적게 한개의 신장실과 축소실을 연통하여 탱크(78)에 연통하든가 또는 차단하는 부용 밸브(84)를 설치하여, 전압 작업시는 상기 부용 밸브를 개방 밸브하고, 파쇄 작업시 및 항타 작업시는 상기 부용 밸브를 폐쇄 밸브하도록 한 작업 기계이다.

Description

작업 기계
상하 수도관이나 가스관 등의 관을 도로에 매설하는 토목 공사인 경우에는, 우선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도로의 아스팔트층 또는 콘크리트 층을 파쇄하고, 그 후에 홈을 굴착하여, 그 홈에 관을 부설한 다음에 토사를 메우고, 그 메운 토사를 전압한 후에 그 위에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를 부설하고 있다.
상기의 토목 공사에 이용하는 작업 기계로서는, 주행체를 구비한 차체에 붐을 상하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붐에 아암을 상하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그 아암에 버킷을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파워 셔블이 알려지고 있다.
이 파워 셔블은, 홈의 굴착, 홈의 메우기 작업에는 적합하지만, 아스팔트층, 콘크리트층의 파쇄 등의 파쇄 작업을 효율있게 할 수 없다.
그리고, 이 파워 셔블의 아암에 진동 발생 장치를 설치하고, 그 진동 발생 장치에 치즐을 설치하여 유압 작동식 파쇄기(브레이커)를 구성하여, 그 유압 작동식 파쇄기에 의해서 파쇄 작업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유압 작동식 파쇄기는, 진동 발생 장치의 피스톤으로 치즐을 타격하여 진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파쇄 작업전용으로 되어, 예를들면 전압판을 이용한 전압 작업에는 이용할 수 없다.
또한, 상술한 파워 셔블의 버킷을 이용하여 전압 작업을 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에는 붐, 아암을 상하 요동시켜서 버킷을 상하 운동시키기 때문에, 그 조작이 대단히 번거롭거나, 버킷의 상하 운동 속도가 느리고 전압 작업 효율이 악화될 뿐만아니라, 전압판의 자세를 붐, 아암으로 제어하는 작업성이 나쁘다.
그리고, 예를들면 일본 실용공고평6-21923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워 셔블의 아암으로, 선단에 전압판를 구비한 피스톤을 유압에 의해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압 작동식 전압기를 설치하여, 그 전압판에 의해 토사를 전압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압 작동식 전압기로 전압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붐 실린더, 아암 실린더로 붐, 아암을 각각 하방으로 요동하여 유압 작동식 전압기의 전압판을 지면에 가압하고, 그 상태에서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켜 전압판을 상하 운동시키어 전압하게 되는, 즉 유압력만으로 피스톤을 눌러 내림으로써 전압 하게 되기 때문에, 큰 전압력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이러한 유압 작동식 전압기는 유압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피스톤의 선단부에 직접 전압판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압 작업 전용으로 되어, 예를들면 치즐 등을 사용한 파쇄 작업에는 이용할 수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전압 작업에 있어서, 큰 전압력이 얻어지는 동시에 전압 효율도 높아지고, 또한 파쇄 작업이나 항타 작업에의 변경이 용이하도록 한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워 셔블 등의 아암에 설치한 진동 발생 장치를 사용하여 전압 작업이나 파쇄 작업등을 하는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또한,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발명을 특정하는 것을 의도할만한 것이 아니라, 단지 설명 및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 기계의 제 1 실시 예의 전체 정면도.
도 2는 상기 제 1 실시 예의 전압구를 장착한 상태의 진동 발생 장치의 제 1 예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4는 도 2의 IV-IV 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진동 발생 장치의 스프링 부착부의 제 1 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2의 VI-VI 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치즐을 장착한 상태의 도 2에 나타내는 진동 발생 장치의 단면도.
도 8은 스프링 부착부의 제 2 예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스프링 부착부의 탈착용 링의 평면도.
도 10은 진동 발생 장치의 로드 본체의 긴 오목부 부근의 횡단면도.
도 11은 진동 발생 장치의 원리적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진동 발생 장치의 원리적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은 상기 제 1 실시 예의 유압 회로도.
도 14는 상기 제 1 실시 예에 의한 전압 동작의 설명도.
도 15는 전압 동작시의 본체 및 전압판의 변위와, 전압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표.
도 16은 진동 발생 장치의 제 2 예의 종단면도.
도 17은 진동 발생 장치의 제 3 예의 원리적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8은 스프링 부착부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는 스프링 부착부의 제 4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스프링 부착부의 제 5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은 스프링 부착부에 상당하는 실린더 부착부의 제 6 예의 단면도.
도 22는 피스톤에 로드 본체를 추종시키는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 기계의 제 2 실시 예의 전체 정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 기계의 제 3 실시 예의 전체 정면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작업 기계는,
차체에 붐을 상하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해당 붐에 아암을 상하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해당 아암에 버킷을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붐, 상기 아암 및 버킷을 붐 실린더, 아암 실린더 및 버킷 실린더로 각각 구동하도록 하여, 상기 아암에 진동 발생 장치를 설치하여, 해당 진동 발생 장치에 전압구, 치즐 또는 항타구를 교환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붐 실린더, 아암 실린더 및 버킷 실린더가 적은 하나의 신장실과 축소실을 연통하여 탱크에 연통하든가 또는 차단하는 부용 밸브를 설치하여, 전압 작업시는 상기 부용 밸브를 개방하고, 파쇄 작업시 및 항타 작업시는 상기 부용 밸브를 폐쇄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압 작업할 때에, 진동 발생 장치의 본체와 버킷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중량, 또는 진동 발생 장치의 본체와 버킷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와 아암의 중량, 또는 진동 발생 장치의 본체와 버킷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와 아암과 붐의 중량을 전압력으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압력을 크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진동 발생 장치의 본체에 전압구를 설치하면 전압 작업을 할 수 있고, 치즐을 설치하면 파쇄 작업을 할 수 있고, 항타구를 설치하면 항타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1대의 작업 기계로 전압 작업과 파쇄 작업과 항타 작업을 할 수 있고, 그것들의 변경도 용이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아암에 연결한 버킷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를 링크 기구를 통해 상기 버킷에 연결하여, 해당 링크 기구를 진동 발생 장치의 본체와 해당 본체와 상기 아암을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에 의해서 구성하여도 좋고, 상기 진동 발생 장치의 본체를 상기 아암의 내부에 설치하여, 해당 본체를 통해 버킷을 상기 아암에 설치하여도 좋고, 상기 진동 발생 장치의 본체를 버킷 대신에 상기 아암의 선단부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의 본체에 피스톤 구멍과 가이드 구멍을 연속하여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에 피스톤을 유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도록 하여 끼워 넣고, 상기 가이드 구멍에 전압구의 로드 본체, 상기 치즐 또는 항타구의 기단을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여, 상기 피스톤에 상기 로드 본체를 추종하여 이동시키는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에 상기 로드 본체를 추종하여 이동시키는 기구가, 상기 로드 본체를 상기 피스톤측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 또는 상기 로드 본체를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 팽팽하게 걸린 실린더 장치, 또는 상기 로드 본체와 상기 피스톤의 단부를 연결하는 가요성의 통형상 본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의 장착은,
상기 스프링을 상기 로드 본체에 설치한 스프링 받침부와 상기 로드 본체에 활주 가능하게 끼워 넣고 또한 상기 본체에 걸거나 벗김이 가능한 스프링 받침과의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상기 스프링 받침을 상기 본체에 걸거나 벗기도록 행하여도 좋고, 상기 스프링을 상기 로드 본체에 설치한 스프링 받침부와 상기 로드 본체에 활주 가능하게 끼워 넣고 또한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한 가이드 링과의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로드 본체의 상기 가이드 링으로부터 외측의 위치에 탈착링을 끼워 맞추고 상기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링을 상기 본체에 장착하여, 그후 상기 탈착 링을 상기 로드 본체로부터 이탈되도록 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하 단부측에 구성된 상부 수압실과 하부 수압실을 가지며, 상기 상부 수압실을 전환 밸브와 스로틀을 통해 탱크에 접속하고,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해, 상기 가이드 구멍에 전압구의 로드 본체를 삽입하였을 때는 상기 상부 수압실을 상기 스로틀을 통해 탱크에 연결하고, 그것 이외일 때는 탱크로부터 차단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상부 수압실측에 보조 수압실을 설치하여, 상기 보조 수압실도 상기 전환 밸브와 상기 스로틀을 통해 탱크에 접속하고,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해, 상기 가이드 구멍에 전압구의 로드 본체를 삽입하였을 때 상기 보조 수압실을 상기 스로틀을 통해 탱크에 연통하고, 그것 이외일 때는 탱크에 직접 연통하도록 하여도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적합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적합 실시 예에 의한 작업 기계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파워 셔블의 전체구조)
도 1은 제 1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체(1)를 구비한 하부 차체(2)에 상부 차체(3)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체(4)를 구성하고 있다. 그 상부 차체(3)에 붐(5)이 상하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붐 실린더(6)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 붐(5)에 아암(7)이 상하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아암 실린더(8)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이 완부(9)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그 아암(7)의 선단부에 버킷(10)이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킷 실린더(11)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진동 장치(13)의 본체(14)가 제 1 ·제 2 링크(15, 16)로 아암(7)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아암(7)의 기단부에 버킷 실린더(11)의 일단이 설치되고, 그 버킷 실린더(11)의 피스톤 로드(12)의 타단이 진동 발생 장치(13)의 본체(14)에 연결되어, 본체(14)가 제 3 링크(17)로 버킷(10)에 연결되어 있고, 본체(14)는 버킷 실린더(11)와 버킷(10)을 연결하는 링크 기구(18)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 발생 장치(13)의 본체(14)에는 전압구(19)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들이 전압기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나중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버킷 실린더(1l)의 신장실(1la)과 축소실(11b)을 연통하여 탱크에 연통하든가 또는 차단하는 부용 밸브(84)를 설치하고, 전압 작업할 때에 버킷 실린더(11)를 뜨는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버킷의 동작)
버킷 실린더(11)의 피스톤 로드(12)를 늘리면, 버킷(10)이 도 2에 나타내는 것 같이 링크 기구(18)와 반대측에 있어서 상방으로 회전 토사를 떠올리는 자세가 된다. 이 자세가 됨으로써, 버킷(10)은 전압구(19)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그 전압구(19)는 링크 기구(18)보다도 떨어진 위치로 되어 링크 기구(18)로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버킷(10)을 설치한채로 전압구(19)에 의해서 전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버킷 실린더(11)의 피스톤 로드(12)를 단축하면, 버킷(10)이 링크 기구(18)측을 향하여 회동하여 굴착개시 자세로 된다. 이때 전압구(19)와 버킷(10)이 간섭하기 때문에, 전압구(19)를 본체(14)로부터 떼어 놓는다.
또한, 버킷 실린더(11)의 피스톤 로드(12)의 추진력은, 본체(14), 제 3 링크(17)를 통해 버킷(10)에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그 추진력 전체를 버킷(10)의 굴착력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즉, 본체(14)가 링크 기구(18)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피스톤 로드(12)와 패킷(10)은 강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추진력 전달의 로스가 없다.
이것에 의해, 종래 예와 비교하여 굴착력을 크게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의 구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4)는 상부 본체(20)와 해당 상부 본체(20)의 하단부에 끼워 붙인 하부 본체(21)와 해당 상부 본체(20)의 상단부에 끼워 붙인 캡체(22)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본체(20)에는 피스톤 구멍(23)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하부 본체(21)에는 가이드 구멍(24)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캡체(22)에는 구멍(25)이 형성되어 있고, 해당 구멍(25)과 피스톤 구멍(23)과 가이드 구멍(24)이 동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구멍(23)에는 피스톤(30)이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부 수압실(31)과 하부 수압실(32)과 드레인 포트(33)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30)의 상단부는 캡체(22)의 구멍(25)에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30)의 하방 이동 속도를 올리기 위해서, 구멍(25)내의 실(34)에 질소가스 등을 봉입하여 그 압력으로 피스톤(30)이 하방으로 누르든가, 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으로 피스톤(30)을 하방으로 누르게 하여도 된다.
상기 가이드 구멍(24)에는 로드 본체(35)의 상단부가 상하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그 로드 본체(35) 상단부의 측면으로 형성된 긴쪽 방향의 긴 오목부(36)에 하부 본체(21)로 직교하도록 결합된 핀(37)이 관통함으로써, 로드 본체(35)를 그 중심축의 주위에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로드 본체(35)의 하단부는 하부 본체(2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그 돌출단부에 전압판(38)이 설치되어 전압구(19)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진동 발생 장치(13)와 전압구(19)로 유압 작동식의 전압기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로드 본체(35)는 탄성부재 예를들면 스프링(40)으로 상방으로 눌리어 상단면(35a)이 피스톤(30)의 하단면(30a)에 상시 접촉하고 있고, 피스톤(30)이 상하 운동하면 로드 본체(35)가 피스톤(30)에 추종하여 상하 운동하고, 그것에 의하여 전압판(38)을 상하 운동시키어 지면을 전압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40)을 설치하지 않으면, 로드 본체(35)는 자중(自重)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피스톤(30)이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로드 본체(35)의 상단면(35a)과 피스톤(30)의 하단면(30a)이 떨어지고, 전압판(38)이 지면에 접한 대로의 상태로 피스톤(30)이 상하 운동하기 때문에, 전압판(38)을 상하 운동시켜서 지면을 전압할 수 없다.
다음에, 상기 스프링(40)의 부착 구조의 제 1 예를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본체(21)의 하단면에는 상부 플랜지(41)와 하부 플랜지(42)를 갖는 통본체(43)가 그 상부 플랜지(41)를 볼트(44)로 조여 붙임으로써 설치된다. 그리고,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통본체(43)의 하부 플랜지(42)는 상호 180도 회전 대칭 위치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직선형상 외면(45, 45)과 해당 직선형상 외면(45)으로부터 90도 회전한 위치에 있으며 또한 서로 180도 회전 대칭 위치에 위치하는 한 쌍의 원호형상 외면(46, 46)을 갖는 외면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그 각 원호형상 외면(46)의 상면에는 걸어 맞춤 오목부(4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 본체(35) 거의 중앙부에는 링형상의 스프링 받침부(48)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 받침부(48)는 로드 본체(35)와 일체 형성하여도 좋고, 별체 형성하여 볼트, 핀 등으로 로드 본체(35)에 설치하여도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 본체(35)의 하단부에는 소직경 통(50)과 그 상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대직경 통(52)으로 구성되는 통형상의 스프링 받침(49)이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스프링 받침(49)은 소직경 통(50)의 하단부 내면에 링형상 돌기(51)가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그 대직경 통(52)의 상단부 내면에는 상호 180도 회전 대칭 위치에 위치하는 한 쌍의 걸어 맞춤 볼록부(53)가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그 걸어 맞춤 볼록부(53)가 통본체(43)의 하부 플랜지(42)의 걸어 맞춤 오목부(47)에 결합하여 스프링 받침(49)이 통본체(43)에 회전하지 않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그 링형상 돌기(51)와 스프링 받침부(48)와의 사이에 상기 스프링(40)이 배치되어 있고, 해당 스프링(40)의 탄력에 의해 로드 본체(15)를 밀어 올린다.
다음에, 로드 본체(35)를 하부체(21)에 삽입하는 작업을 설명한다.
우선, 로드 본체(35)로부터 전압판(38)을 떼어낸 상태로 스프링 받침(49)을 로드 본체(35)의 하단부에 삽입하고, 그 링크형상 돌기(51)와 스프링 받침부(48)와의 사이에 스프링(40)을 배치한다.
다음에, 로드 본체(35)의 상단부를 하부 본체(21)의 가이드 구멍(24)에 삽입한 상태로 핀(37)을 긴 오목부(36)에 관통하도록 하여 하부 본체(21)에 맞물리어 로드 본체(35)의 회전 정지를 한다. 계속해서, 스프링 받침(49) 한 쌍의 걸어 맞춤 돌출부(53)를 하부 플랜지(42) 한 쌍의 직선형상 외면(45)에 상대하도록 위치를 맞추고, 스프링 받침(49)을 스프링(40)을 압축하면서 상방으로 이동시키어 한 쌍의 걸어 맞춤 볼록부(53)가 하부 플랜지(42)로부터 상방이 되도록 한다.
그 상태로 스프링 받침(49)을 중심축의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어 한 쌍의 걸어 맞춤 볼록부(53)를 한 쌍의 걸어 맞춤 오목부(47)와 위치를 맞추고, 이 상태에서 스프링 받침(49)으로부터 손을 떼면, 스프링(40)의 탄력으로 스프링 받침(49)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한 쌍의 걸어 맞춤 볼록부(53)가 한 쌍의 걸어 맞춤 오목부(47)에 각각 결합하여, 통본체(43)와 스프링 받침(49)이 연결된다.
또한, 로드 본체(35)를 뽑아 내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반대의 작업을 행하면 좋다.
또한, 상기 로드 본체(35)와 전압판(38)은 도 2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되어 있다. 즉, 전압판(38)에는 한 쌍의 돌기부(54)가 설치되고, 그 한 쌍의 돌기부(54) 사이에 로드 본체(35)의 선단부(35a)가 돌입되어, 이들에 핀(55)을 관통시킴으로써 로드 본체(35)와 전압판(38)이 연결된다. 또한, 그 로드 본체(35)의 선단부(35a)의 양단면에 한 쌍의 리테이너(56)가 각각 스프링(57)의 탄력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와 같기 때문에, 전압판(38)은 로드 본체(35)에 대하여 요동 가능 상태로 되지 않고, 어느 정도 이상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처음으로 로드 본체(35)에 대하여 요동하게 되고, 따라서 전압시에 전압판(38)이 전압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토목 작업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진동 발생 장치(13)의 본체(14)로부터 로드 본체(35)를 떼어낸 상태로, 버킷(10)에 의해서 홈 굴착 작업과 메우기 작업을 한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 발생 장치(13)의 본체(14)에 로드 본체(35)를 설치하여, 상부 수압실(31)과 하부 수압실(32)에의 압유의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피스톤(30)을 상하 운동시키어, 로드 본체(35)와 함께 전압판(38)을 상하 운동시키어 전압 작업을 행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 발생 장치(13)의 본체(14)에 의하여 로드 본체(35)를 뽑아 낸 후에 하부 본체(21)의 가이드 구멍(24)에 치즐(58)의 기단부를 삽입하여 핀(37)으로 회전 정지를 하면, 치즐(58)이 자중으로 하방으로 이동하여 그 상단면이 피스톤(30)의 하단면(30a)과 분리하여, 이 상태로 피스톤(30)을 상하 운동시키는 것으로 치즐(58)의 기단부를 타격하여 파쇄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작업 기계를 통상의 치즐식 브레이커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치즐(58)의 상단부는 로드 본체(35)의 상단부와 동일형상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해당 상단부의 측면에는 핀(37)이 관통하는 노치 오목부(59)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작업 기계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대의 작업 기계에 의해 패킷 작업, 전압 작업 및 파쇄 작업을 할 수 있고, 전압 작업에서 파쇄 작업으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전압구(19)와 치즐(58)을 교환하는것 만으로 종료되기 때문에, 작업의 변경이 매우 간단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 1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상의 스프링 받침(49)을 상하 운동 및 회전시키는 것으로 스프링(40)을 상부 본체(21)에 간단히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전압구(19)의 로드 본체(35)를 본체(14)로 간단하면서 단시간에 착탈할 수 있어, 교환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스프링(40)을 설치하지 않으면, 로드 본체(35)는 자중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피스톤(30)이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로드 본체(35)의 상단면(35a)과 피스톤(30)의 하단면(30a)이 분리되고, 전압판(38)은 지면에 접한 그 상태로 피스톤(30)이 상하 운동하기 때문에, 로드 본체(35)를 피스톤(30)으로 타격함으로써 전압판(38)을 진동시키어 전압하게 된다.
이 때문에, 피스톤(30)에 의한 로드 본체(85)의 타격에 의해 타격 음(音), 열(熱), 변형 및 마찰 등에 의한 타격 로스가 생기고, 피스톤(30)의 운동 에너지를 전압판(38)에 충분히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전압 효율이 악화되고, 타격음이 발생하여 소음이 커지고, 게다가 전압판(38)을 부정지(不整地)로 이동하면 경사로 부정지 전압이 어려워지고, 전압판을 수평으로 이동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연속 전압이 곤란해진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작업 기계는, 이들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전압구(19)의 로드 본체(35)는 스프링(40)에 의해 밀어 올려지고 피스톤(30)의 하단면(30a)에 상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전압 작업시에 피스톤(30)의 상하 운동에 추종하여 전압판(38)이 상하 운동하고, 전압판(38)에 의하여 전압면을 두들기면서 전압 하기 때문에, 피스톤(30) 및 전압구(19)의 운전 에너지가 지면에 직접 작용하여 전압 효율이 우수하게 된다. 더우기, 전압판(38)을 지면으로부터 띄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지면이 부정지인 경우라도 전압이 용이하게 될 수 있을 뿐더러, 전압판(38)이 지면에 접하기도 하고 뜨기도 하니까 전압판(38)의 수평 이동이 용이하고 연속 전압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피스톤(30)이 로드 본체(35)를 타격하지 않기 때문에 타격음이 발생하지 않고 소음이 감소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치즐(58)을 설치한 경우에는 통상의 브레이커로서 효율 있게 파쇄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스프링(40)의 부착 구조인 경우, 로드 본체(35)를 탈착할 때에 로드 본체(35)를 들어 올리는 힘뿐만 아니라, 스프링(40)을 압축시키는 힘이 필요하고, 큰 조작력이 필요하게 되지만, 아래와 같은 스프링(40)의 부착 구조(제 2 예)로 하면, 필요한 조작력이 작아서 종료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 본체(35)의 하부 본체(21)의 가이드 구멍(24)에의 삽입전에 스프링(40)은 미리 로드 본체(35)에 맞붙여진 상태로 되어 있다. 즉, 로드 본체(35)의 하단부에 스냅 링(107)이 끼워 붙여지고, 그 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도 9에 나타낸 탈착용 링(108)과 가이드 링(109)이 끼워 맞추어지고, 해당 가이드 링(109)과 스프링 받침부(48)와의 사이에 스프링(40)이 세트 길이로 압축된 상태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본체(21)의 하단부에 가이드링(109)이 맞물리게 되어 있고, 양자의 경계부에 빠짐 방지 핀(110, 110)을 삽입함으로써 가이드링(109)의 하부 본체(21)의 하단부로부터 빠짐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40)을 맞붙인 상태의 로드 본체(35)를 하부 본체(21)의 가이드 구멍(24)에 삽입한 후, 하부 본체(21)의 하단부와 가이드링(109)의 경계부에 빠짐 방지 핀(110, l10)을 삽입하고, 마지막으로 탈착용 링(108)을 빼내면, 로드 본체(35)의 하부 본체(21)에의 장착이 완료된다. 그때, 로드 본체(35)를 들어 올리는 만큼 양호하기 때문에, 필요한 조작력이 작고 종료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로드 본체(35)의 상단부의 측면으로 형성한 긴 쪽방향의 긴 오목부(36)에 하부 본체(21)와 직교하도록 결합된 핀(37)이 관통함으로써, 로드 본체(35)를 그 중심축의 주위에 자유 회전하지 않도록 한 구조인 경우, 불정지를 전압할 때에 전압판(38)에 발생하는 회전 토오크에 의해 로드 본체(35)에 축회전력이 발생하여 긴 오목부(36)의 양측 각부의 어느 것인가 핀(37)의 외주면에 과대한 힘으로 가압되어, 그 반력이 하부 본체(21)로부터 핀(37)에 작용하게 되고, 그 결과 핀(37)이 회전하지 않게 되어 로드 본체(35)가 핀(37)에 대하여 미끄러짐으로써 양자의 마모가 진행되고, 혹은 그래도 핀(37)이 회전하면 해당 핀(37)이 하부 본체(21)로부터 큰 반력을 받으면서 해당 하부 본체(21)에 대하여 미끄러짐으로써 양자의 마모가 진행되고, 로드 본체(35) 및 핀(37)이 조기에 손상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로드 본체(35)와 핀(37)과의 사이의 마찰력이 크게 되면, 로드 본체(35)의 왕복 운동시에 회전 저항이 과대하게 되고, 스프링(40)의 하중만으로는 로드 본체(35)가 피스톤(30)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없게 되어, 그 결과 로드 본체(35)가 난동하여 전압 작업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하기와 같은 구조로 하면, 이것들의 문제는 해결된다.
도 10은 그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하부 본체(21)에는 로드 본체(35)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로 구멍(21a)이 형성되어, 해당 가로 구멍(21)에 일단으로 차양 모양으로 붙은 플러그(111)가 나사형으로 장착된 지축(112)이 삽입되어, 해당 지축(112)의 타단에는 빠짐 방지용 링 핀(113)이 관통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지축(112)의 중앙 소직경부에는 롤러(11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해당 롤러(114)의 외주면이 로드 본체(35)의 긴 오목부(36)의 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축(112)의 축심부에는 윤활용 구멍(112a)이 형성되고, 해당 윤활용 구멍(112a)에 충전되어 해당 윤활용 구멍(112a)의 단부에 나사형으로 장착된 플러그(115)로 빠짐 방지된 윤활유가 작은 구멍(112b)을 통해 지축(112)의 중앙 소직경부와 롤러(114)와의 사이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114)의 양단측에 있어서 지축(112)의 링핀(113)측과 플러그(111)의 안쪽에 각각 오일실(116)과 그것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링(117)이 끼워 붙여있고, 지축(112)의 일단과 플러그(111)와의 사이에는 0-링크(118)가 끼워 붙여있다. 또한, 가로 구멍(21a)의 내주면의 로드 본체(35)와 반대측 부분에는 도피용 노치(21b)가 행해지고, 이것에 의해 롤러(114)의 외주면이 가로 구멍(21)의 내주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구성에 의하면, 피스톤(30)의 왕복 운동에 의해 로드 본체(35)가 왕복 운동하면, 롤러(114)도 로드 본체(35)의 왕복 운동에 의해 왕복 회전한다.
이때, 예를들면 전압판(38)에 회전 토오크가 발생하여 로드 본체(35)에 축회전력이 발생하여 긴 오목부(36)의 양측 각부의 어느 하나의 핀(37) 외주면에 과대한 힘으로 가압되어도, 가로 구멍(21a) 내주면의 로드 본체(35)와 반대측의 부분에는 도피용 노치(21b)가 행해지고, 이것에 의해 롤러(114)의 외주면이 가로 구멍(21)의 내주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114)는 로드 본체(35)의 왕복 운동에 추종하여 가능하게 회전한다. 따라서, 가로 구멍(21) 내주면의 마모가 생기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롤러(114) 및 로드 본체(35)의 마모도 현저하게 경감되고, 그 때문에 이것들 부품의 수명이 신장되고, 메인 티넌스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롤러(114)가 로드 본체(35)의 왕복 운동에 추종하여 가능하게 회전함으로써, 로드 본체(35)와 핀(37)과의 사이의 마찰력이 작아지고, 로드 본체(35)의 왕복 운동시의 회전 저항이 작아지기 때문에, 스프링(40)의 하중만으로 로드 본체(35)가 피스톤(30)의 움직임에 충분히 추종할 수 있게 되어, 그 결과 로드 본체(35)가 난동하지 않고, 전압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진동 발생 장치(13)의 제 1 예의 원리적 구조를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구멍(23)에 활주 가능하게 삽입된 피톤(30)에 대직경부(30a)와 그 상하에 위치하는 소직경 로드부(30c) 및 대직경 로드부(30b)를 설치하여, 상부 수압실(31)의 수압 면적을 크게, 하부 수압실(32)의 수압 면적을 작게 하고 있다. 또한, 상부 본체(20)에 설치한 스풀 구멍(60)에 스풀(61)을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어 전환 밸브(62)를 구성한다. 상기 스풀 구멍(60)에는 펌프 포트(63)와 주 포트(64)와 탱크 포트(65)가 형성되어, 스풀(61)의 양 단측에는 제 1 압력실(66) 및 제 2 압력실(6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풀(61)은 펌프 포트(63)와 주 포트(64)와 탱크 포트(65)를 연통·차단하는 것이며, 대직경의 제 1 압력실(66)내의 압유로 제 1 위치에 눌리어 주 포트(64)와 탱크 포트(65)를 연통하면서 펌프 포트(63)와 주 포트(6)의 사이를 차단하여, 소직경의 제 2 압력실(67)내의 압유로 제 2 위치에 눌리어 펌프 포트(63)와 주 포트(64)를 연통하면서 주 포트(64)와 탱크 포트(65)를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탱크 포트(65)는 피스톤 구멍(23)으로 형성된 드레인 포트(33)에 상시 연통하고, 제 1 압력실(66)은 피스톤 구멍(23)으로 형성된 보조 포트(68)에 연통하고, 그 보조 포트(68)는 피스톤(30)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전환용 피스톤(69)으로 드레인포트(33)와 제 1 포트(70)에 연통·차단되도록 되어 있고, 이들이 서보 밸브(71)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주 포트(64)는 제 2 포트(72)에 연통하고, 또한 제 1 포트(70)와 펌프 포트(63)에 유압 펌프(73)의 토출 압유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풀 구멍(60)에 부 포트(74)가 형성되고, 피스톤 구멍(23)에는 제 1, 제 2 연통 포트(75, 76)가 각각 형성되고, 스풀(61)에는 축 구멍(77)이 형성되어 있고, 펌프 포트(63)에 유입한 압유가 축 구멍(77)으로 부 포트(74)에 흘러, 그 부 포트(74)로부터 제 1 연통 포트(75) 및 보조 포트(68)를 거쳐서 제 1 압력실(66)에 흐르도록 되어 있다.
이 진동 발생 장치를 선도적으로 표현하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어, 전환 밸브(62)가 4 포트 2 위치 밸브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 밸브(62)가 제 2 위치(B)일 때에, 부 포트(74)가 탱크 포트(65)에 연통한다.
다음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피스톤(30)이 도 11에 나타내는 중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 1 연통 포트(75)와 보조 포트(68)가 연통하고, 펌프 포트(63)의 압유가 축 구멍(77), 부 포트(74), 제 1 연통 포트(75) 및 보조 포트(68)로부터 제 1 압력실(66)에 공급되고 스풀(61)은 제 1 위치(A)로 되어, 상부 수압실(31)의 압유가 제 2 포트(72), 주 포트(64) 및 탱크 포트(65)로부터 드레인 포트(33)에 유출하기 때문에, 피스톤(30)은 하부 수압실(32)의 압유로 상방(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된다.
피스톤(30)이 상방의 스트로크 앤드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 1 연통 포트(75)가 차단되고, 보조 포트(68)가 드레인 포트(33)에 연통하기 때문에, 제 1 압력실(66) 내의 압유가 탱크(78)에 유출하여 스풀(61)이 제 2 압력실(67)내의 압유로 제 2 위치(B)가 되고, 그 결과 펌프 포트(63)의 압유가 주 포트(64), 제 2 포트(72)로부터 상부 수압실(31)에 유입하기 때문에 피스톤(30)은 하방으로 이동한다.
피스톤(30)이 하방의 스트로크 앤드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 1 포트(70)와 제 2 연통 포트(76)가 연통하여 보조 포트(68)로부터 제 1 압력실(66)에 압유가 유입하여, 그 결과 스풀(61)이 제 1 위치(A)가 되기 때문에, 피스톤(30)은 상방으로 이동하여, 이후의 동작을 반복한다.
다음에, 상기 제 1 실시 예에 있어서의 각 실린더와 진동 발생 장치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 회로를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펌프(73)의 토출로(73a)에는 붐 밸브(80), 아암 밸브(81), 버킷 밸브(82) 및 진동 발생 장치용의 전환 밸브(83)가 설치되어 있고, 붐 밸브(80), 아암 밸브(81) 및 버킷 밸브(82)는 도시하지 않은 유압 파일럿 밸브로부터의 파일럿 압유로 중립 위치(B), 신장 위치(c) 및 축소 위치(d)로 각각 전환되고, 전환 밸브(83)는 그 솔레노이드(83a)에 통전하는 것으로 차단 위치(f)에서 연통위치(g)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버킷 실린더(11)의 신장실(11a)과 축소실(11b)을 탱크에 연통하는 부용 밸브(84)가 설치되고, 이 버킷 부용 밸브(84)는 통상은 차단 위치(h)에 있지만, 솔레노이드(84a)에 통전되면 부 위치(i)가 되어, 이 솔레노이드(84a)에의 통전은 상기 전환 밸브(83a)의 솔레노이드(83a)와 같이 컨트롤러(85)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컨트롤러(85)는 제 1 조작부재(86)로부터 진동 발생 장치 기동 신호가 입력되면 전환 밸브(83a)의 솔레노이드(83a)에 통전하여, 제 2 조작부재(87)로부터 전압 신호가 입력되면 부용 밸브(84)의 솔레노이드(84a)에 통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조작부재(86)로부터 진동 발생 장치 기동 신호를 컨트롤러(85)에 입력하여, 제 2 조작부재(87)로부터 전압 신호를 컨트롤러(85)에 입력하면, 전환 밸브(83)가 연통 위치(g)로 되어 진동 발생 장치(13)에 압유가 공급되어 피스톤(3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 운동하는 동시에, 부용 밸브(84)가 부위치(i)로 되어 버킷 실린더(11)가 뜨는 상태로 되어 외력에 의해서 신축하기 때문에, 진동 발생 장치(13)의 본체(14)도 외력에 의해서 상하 운동한다.
이 상태에서의 전압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14a와 같이 버킷 실린더(11)가 외력으로 신축하기 때문에 진동 발생 장치(13)의 중량으로 신장 작동하여 전압판(38)이 지면(D)에 접한다.
그리고, 상부 수압실(31)과 하부 수압실(32)에 압유가 공급되어 그것들의 수압 면적차에 의해 피스톤(30)이 하방으로 이동하고자 하지만, 로드 본체(35) 및 전압판(38)이 지면(D)에 접촉하고 있슴으로써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본체(14)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버킷 실린더(11)는 축소 작동한다.
다음에, 피스톤(30)이 상방의 스트로크 앤드 위치로 되면,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수압실(31)이 탱크(78)에 연통하여, 하부 수압실(32)에만 압유가 공급되기 때문에, 피스톤(30)이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본체(14)(버킷 실린더(11)의 피스톤 로드(12)를 포함한다)는 갑자기 정지하지 않고 관성력으로 약간 상승하고, 그것에 따라서 피스톤(30)이 상승하여, 스프링(40)을 통해 로드 본체(35) 및 전압판(38)이 상승하여, 전압판(38)이 지면(D)으로부터 떨어진다. 이것과 동시에, 관성의 작은 피스톤(30), 로드 본체(35) 및 전압판(38)이 하부 수압실(32)의 압유로 또한 상승하기 때문에,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압판(38)이 지면(D)으로부터 상당히 떨어진다.
다음에, 상술한 피스톤(30), 로드 본체(35) 및 전압판(38)이 상승중에 본체(14)의 상승을 정지하여 하강을 개시하고, 또한 피스톤(30) 로드 본체(35) 및 전압판(38)의 상승이 정지한 후에 상부 수압실(31)에도 압유가 공급되기 때문에, 도 1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성의 작은 피스톤(30)이 하강하여 전압판(38)이 지면(D)에 접한다.
이때, 본체(14)는 관성으로 약간 하강한 후에 상승하기 때문에, 그 사이에 피스톤(30)이 상부 수압실(31)의 압유로 하방으로 이동하여, 전압판(38)이 지면(D)에 강하게 가압되어 전압을 행한다.
이상 동작을 도표로 나타내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이상과 같이 버킷 실린더(11)를 뜨는 상태로 하여 전압 동작를 행하게 하면, 본체(14) 및 버킷 실린더(11)의 피스톤 로드(12)와, 피스톤(30), 로드 본체(35) 및 전압판(38)이 상대적으로 상하 운동하기 때문에, 본체(14)와 버킷 실린더(11)의 피스톤 로드(12)의 중량에 의한 관성력을 전압력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따라서 전압력이 충분히 큰 것으로 된다. 또한, 붐 실린더(6) 또는 아암 실린더(8)를 뜨는 상태로 하면, 아암(7), 붐(5)의 중량 또한 아암(7)의 중량에 의한 관성력도 전압력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진동 발생 장치의 제 2 예를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 발생 장치(13)의 상부 수압실(31)을 스로틀(120)을 통해 탱크(78)에 접속하는 저압회로(121)를 설치하여, 해당 저압회로(121)를 연통·차단하는 전환 밸브(122)를 설치한다. 이 전환 밸브(122)는 스프링(123)으로 연통 위치(j)로 되어, 솔레노이드(124)에 통전하였을 때 차단 위치(k)가 되도록 되어 있다.
이 예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전압 작업을 할 때에는, 솔레노이드(124)에 통전하지 않고 전환 밸브(122)를 연통 위치(j)로 하고, 진동 발생 장치(13)의 상부 수압실(31)을 스로틀(120)을 거쳐서 탱크(78)에 연통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수압실(31)에 유입한 압유의 일부가 스로틀(120)을 거쳐서 탱크(78)에 유출하기 때문에, 상부 수압실(31)내의 압력은 급격히 상승하지 않고 서서히 상승한다. 즉,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30)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전압판(38)이 지면(D)에 접하였을 때에, 상부 수압실(31)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체(14) 및 피스톤 로드(12)가 급격히 상승하여 버킷 실린더(11)내의 압유 및 버킷 실린더를 통해 아암(7), 붐(5) 및 상부 차체(3)에 큰 쇼크 작용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기분이 향상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압구(19) 대신에 치즐(58)의 기단부를 장착하여 파쇄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124)에 통전하여 전환 밸브(122)를 차단 위치(k)로 한다. 그렇게 하면, 진동 발생 장치(13)의 상부 수압실(31)과 탱크(78)와의 사이가 차단되기 때문에, 상부 수압실(31)내의 압력이 고압으로 된다. 따라서, 피스톤(30)으로 치즐(58)의 기단부를 타격하는 힘이 커지기 때문에, 효율 있게 파쇄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전압 작업과 파쇄 작업을 효율있게 실시할 수 있는 진동 발생 장치의 제 3 예를 설명한다.
이것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본체(20)의 보조 수압실(12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보조 수압실(125)을 전환 밸브(126)로 전환 밸브(62)의 주 포트(64)와 탱크(78)에 전환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전환 밸브(126)는 제 1 위치(1)와 제 2 위치(m)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고, 전환 밸브(126)가 제 1 위치(1)로 할 때에는 보조 수압실(125)이 주 포트(64)에 연통하면서 스로틀(127)을 거쳐서 탱크(78)에 연통한다. 또한, 전환 밸브(126)가 제 2위치(m)로 할 때에는, 보조 수압실(125)과 주 포트(64)의 사이가 차단되면서 보조 수압실(125)과 탱크(78)가 직접 연통한다.
이 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압 작업을 할 때에 전환 밸브(126)를 제 1 위치(1)로 하면, 상부 수압실(31)과 보조 수압실(125)에 압유가 공급되는 동시에, 해당 상부 수압실(31)과 보조 수압실(125)이 스로틀(127)을 통해 탱크(78)에 연통한다. 따라서, 상부 수압실(31)과 보조 수압실(125)의 양방에 공급되는 압유로 피스톤(30)이 하방으로 눌러지기 때문에, 피스톤(30)을 하방으로 누르는 압력이 발생하는 수압 면적과 상방으로 누르는 압력이 발생하는 수압 면적과의 차가 커지고, 그 결과 피스톤(30)을 하방으로 누르는 힘 즉 전압력이 커진다. 더우기, 상부 수압실(31)과 보조 수압실(125)이 스로틀(127)을 통해 탱크(78)에 연통하고 있슴으로써, 상부 수압실(31)과 보조 수압실(125)내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상기 제 2 예와 같이 오퍼레이터의 기분이 향상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압구(19)의 대신에 치즐(58)을 장착하여 파쇄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전환 밸브(126)를 제 2 위치(m)로 하면, 보조 수압실(125)이 탱크(78)에 연통하여, 상부 수압실(31)에만 압유가 공급된다. 따라서, 피스톤(30)을 하방으로 누르는 압력을 발생하는 수압 면적이 작게 되기 때문에, 피스톤(30)의 이동 속도가 빠르게 된다. 더우기, 보조 수압실(125)에 압유가 공급되지 않는 만큼, 상부 수압실(31)에의 압유의 공급량이 증가하여 상부 수압실(31)내의 압력이 고압으로 되기 때문에, 피스톤(30)으로 치즐(58)의 기단부를 타격하는 힘이 커지고, 효율있는 파쇄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스프링(40)의 설치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그 제 3 예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받침(49)에 플랜지(90)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그 플랜지(90)를 하부 본체(21)의 하단면에 볼트(91)로 직접 체결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제 4 예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받침(49)의 상단부 내면에 암컷 나사부(92)를 형성하고, 해당 암컷나사부(92)를 하부 본체(21)의 하단부 외주면으로 형성한 수컷 나사부(93)에 나합하여, 스프링 받침(49)을 하부 본체(21)에 설치하는 것이다.
혹은, 제 5 예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본체(21)의 하단면에 복수의 브래킷(94)을 구비한 링(95)을 볼트 정지하고, 로드 본체(35)에 스프링 장착용 링(96)을 일체 또는 볼트 정지에 의해 설치하여, 이 링(96)과 각 브래킷(94)에 스프링(40)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여 로드 본체(35)를 상방으로 힘을 가하는 것이다.
이상의 각 예에서는 탄성부재를 스프링으로 하였지만, 탄성부재로서는 접시 스프링을 복수 조합한 것, 고무재료라든지, 탄력성을 갖는 수지재료 등을 사용하여도 좋고, 이것들의 경우에는 스프링과 동등하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로서는 가스 실린더, 에어 실린더, 축압(蓄壓) 기능을 갖는 유압 실린더 등의 신장 가압 또는 축소 가압된 실린더를 사용하여도 좋으며, 그 경우에는 도 21에 나타내는 제 6 예와 같이, 실린더(97)의 실린더 튜브(98)를 하부 본체(21)에 연결하여, 피스톤(99)을 로드 본체(35)에 연결하면 좋다.
다음에, 전압기에 필요한 피스톤(30)에 로드 본체(35)를 추종시키는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30)의 하단부에 돌기부(100)를 일체적으로 설치하여, 로드 본체(35)의 상단면을 돌기부(100)에 접촉하여 가요성 커플링(101)으로 양자를 연결한다.
상기 가요성 컵 링크(101)는 고무 등의 가요성 재료로 구성되는 통형상 본체(102)의 양단부를 돌기부(100)와 로드 본체(35) 상단부에 각각 맞물리어, 볼트(103)로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 가요성 커플링(101)은 유니버설 죠인트로 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본체(21)의 연결부와 대향한 위치에는 개구 창문부(104)가 형성되고, 상기 통형상 본체(102)의 연결·분리를 개구 창문부(104)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 개구 창문부(104)는 통상 커버(105)로 폐색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30)과 로드 본체(35)를 일체로서도 좋다.
이상 각 예에서는 진동 발생 장치(13)의 본체(14)를 링크 기구(18)의 일부로 하여 아암(7)에 설치하고 있지만, 도 23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제 2 실시 예와 같이 아암(7)의 내부에 설치하여도 좋으며, 도 24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제 3 실시 예와 같이 아암(7)의 선단부에 직접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의 경우에는, 도 23,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붐 실린더(6)의 신장실(6a)과 축소실(6b)을 연통하여 탱크에 연통하든가 또는 차단하는 상술한 부용 밸브(84)를 설치하고, 전압 작업할 때에는 해당 부용 밸브(84)를 개방 밸브하여 붐 실린더(6)를 뜨는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하면, 붐(5), 아암(7) 및 본체(14)의 중량을 전압력으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압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7)을 수직에 대하여 경사의 자세로 하여 전압하는 경우에는, 아암 실린더(8)의 신장실(8a)과 축소실(8b)을 연통하여 탱크에 연통하든가 또는 차단하는 부용 밸브(84)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하부 본체(21)의 가이드 구멍(24)에 항타구를 상술한 로드 본체(35)와 같이 삽입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압 작업할 때에, 본체(14)와 버킷 실린더(11)의 피스톤 로드의 중량, 또는 본체(14)와 버킷 실린더(11)의 피스톤 로드와 아암(7)의 중량, 또는 본체(14)와 버킷 실린더(11)의 피스톤 로드와 아암(7)과 붐(5)의 중량을 전압력으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압력을 크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 발생 장치(13) 본체(14)의 가이드 구멍(24)에 전압구(19)의 로드 본체(35)를 삽입하여 설치하면 전압 작업을 할 수 있고, 치즐(58)의 기단부를 삽입하여 설치하면 파쇄 작업을 할 수 있고, 항타구의 기단부를 삽입하여 설치하면 항타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1대의 작업 기계로 전압 작업과 파쇄 작업과 항타 작업을 할 수 있고, 그것들의 변경도 용이하다.
또한, 전압구(19)의 로드 본체(35)는 피스톤(30)과 일체가 되어 이동하기 때문에, 전압구(19)를 하향으로서 전압 작업 하는 경우에 전압구(19)가 피스톤(30)과 함께 상하 운동하여 전압판이 지면으로부터 뜨기도 하고 접기도 함으로써 전압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있는 전압을 할 수 있고, 부정지 전압, 연속 전압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개시한 실시 예에 관하며,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변경, 생략, 추가가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 범위에 기재된 요소에 의해서 규정되는 범위 및 그 균등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차체에 붐을 상하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해당 붐에 아암을 상하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해당 아암에 버킷을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붐, 아암 및 버킷을 붐 실린더, 아암 실린더 및 버킷 실린더로 각각 구동하도록 하여, 상기 아암에 진동 발생 장치를 설치하며, 해당 진동 발생 장치에 전압구, 치즐 또는 항타구를 교환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붐 실린더, 아암 실린더 및 버킷 실린더가 적게 한개의 신장실과 축소실을 연통하여 탱크에 연통하든가 또는 차단하는 부용 밸브를 설치하여, 전압 작업시는 상기 부용 밸브를 개방 밸브하고, 파쇄 작업시 및 항타 작업시는 상기 부용 밸브를 폐쇄 밸브하도록 한 작업 기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에 연결한 버킷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를 링크 기구를 통해 상기 버킷에 연결하고, 해당 링크 기구를 진동 발생 장치의 본체와 해당 본체와 상기 아암을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에 의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의 본체를 상기 아암의 내부에 설치하고, 해당 본체를 통해 버킷을 상기 아암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의 본체를 버킷의 대신에 상기 아암의 선단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의 본체에 피스톤 구멍과 가이드 구멍을 연속하여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 구멍에 피스톤을 유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도록 하여 삽입하고, 상기 가이드 구멍에 전압구의 로드 본체, 상기 치즐 또는 항타구의 기단을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여, 상기 피스톤에 상기 로드 본체를 추종하여 이동시키는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 상기 로드 본체를 추종하여 이동시키는 기구가, 상기 로드 본체를 상기 피스톤측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 상기 로드 본체를 추종하여 이동시키는 기구가, 상기 로드 본체를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 팽팽하게 걸린 실린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 상기 로드 본체를 추종하여 이동시키는 기구가, 상기 로드 본체와 상기 피스톤의 단부를 연결하는 가요성의 통형상 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을 상기 로드 본체에 설치한 스프링 받침부와 상기 로드 본체에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고 또한 상기 본체에 걸거나 벗김이 가능한 스프링 받침과의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상기 스프링 받침을 상기 본체에 걸거나 벗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을 상기 로드 본체에 설치한 스프링 받침부와 상기 로드 본체에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고 또한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한 가이드 링과의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로드 본체의 상기 가이드링으로부터 외측의 위치에 탈착 링을 맞물리게 하여 상기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링을 상기 본체에 장착하고, 그 후 상기 탈착 링을 상기 로드 본체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하 단부측에 구성된 상부 수압실과 하부 수압실을 가지며, 상기 상부 수압실을 전환 밸브와 스로틀을 통해 탱크에 접속하고,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해, 상기 가이드 구멍에 전압구의 로드 본체를 삽입하였을 때는 상기 상부 수압실을 상기 스로틀을 통해 탱크에 연통하고, 그것 이외일 때는 탱크로부터 차단하도록 한 것으르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압실측에 보조 수압실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 수압실도 상기 전환 밸브와 상기 스로틀을 통해 탱크에 접속하여,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해, 상기 가이드 구멍에 전압구의 로드 본체를 삽입하였을 때는 상기 보조 수압실을 상기 스로틀을 통해 탱크에 연통하고, 그것 이외일 때는 탱크에 직접 연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KR1019970709726A 1995-07-06 1996-07-05 작업기계 KR100429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71044 1995-07-06
JP17104495 1995-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410A true KR19990028410A (ko) 1999-04-15
KR100429093B1 KR100429093B1 (ko) 2004-07-30

Family

ID=15916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726A KR100429093B1 (ko) 1995-07-06 1996-07-05 작업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838554A4 (ko)
KR (1) KR100429093B1 (ko)
WO (1) WO1997002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4313A1 (de) * 1998-09-28 2000-04-06 Peitz Hermann Hydraulisches Gerät wie Bagger, Rad- oder Kompaktlader
FR2881764B1 (fr) * 2005-02-10 2007-03-16 Montabert Soc Par Actions Simp Appareil de damage destine a etre associe a un brise-roche
CN102720198B (zh) * 2012-05-25 2014-07-16 中冶交通工程技术有限公司 用于预制管桩的振动装置及预制管桩施工方法
CN104032789A (zh) * 2014-06-27 2014-09-10 国家电网公司 一种与挖掘机配套使用的土方夯实结构
US10384336B2 (en) 2016-04-12 2019-08-20 Caterpillar Inc. Hydraulic hamm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653U (ko) * 1986-07-10 1988-01-30
JPS6356705U (ko) * 1986-09-24 1988-04-15
JPH025410U (ko) * 1988-06-17 1990-01-16
JPH0644672Y2 (ja) * 1992-08-20 1994-11-16 株式会社ムサシノキカイ ドライラミネート装置
KR950008317Y1 (ko) * 1993-08-11 1995-10-06 주식회사 토탈산업 공기혼합방식에 의한 자동분사노즐장치
JPH07216864A (ja) * 1994-01-27 1995-08-15 Katsuyuki Hasegawa 転圧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転圧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9093B1 (ko) 2004-07-30
WO1997002385A1 (fr) 1997-01-23
EP0838554A4 (en) 1999-05-06
EP0838554A1 (en) 1998-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4962B2 (en) Hydraulic attachment
WO2016201590A1 (zh) 高频振动纵向铣挖头及具有该铣挖头的铣挖机和掘进机
JP2943081B2 (ja) 油圧式転圧装置
US20120292114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Lubricating Drill Shank of Rock Drilling Machine
KR19990028410A (ko) 작업 기계
KR101102660B1 (ko) 굴삭기용 항타발장치
US6105686A (en) Pressure accumulator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a hydraulically operated impact device, such as a breaking apparatus
JP2943080B2 (ja) 作業機械
KR20050030236A (ko) 틸트형 공/유압브레이커
CN204715441U (zh) 一种多功能挖掘机
JP2022106165A (ja) 掘削ロッド
CN105525638A (zh) 一种四自由度多连杆可控机构式反铲挖掘机
CN216240427U (zh) 一种大扭矩前趴式全液压旋挖钻机
CN220202827U (zh) 用于多路阀的机械操作机构和包含其的挖掘机
KR100783777B1 (ko) 오거 해머
CN215253114U (zh) 一种静压式碎岩设备
CN219080462U (zh) 一种土木水利施工用工具铲
CN221072773U (zh) 一种巷道修复机工作臂
RU2756995C1 (ru) Каналокопатель
CN110836093B (zh) 一种水利工程用水井挖掘设备
CN213775230U (zh) 低风压潜孔冲击器
KR200371651Y1 (ko) 틸트형 공/유압브레이커
SU1461841A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экскаватор дл образовани траншей под защитой тиксотропного раствора
RU2184811C1 (ru) Молот сваебойный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JP3668317B2 (ja) 締固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