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990A -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자동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자동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990A
KR19990026990A KR1019970049322A KR19970049322A KR19990026990A KR 19990026990 A KR19990026990 A KR 19990026990A KR 1019970049322 A KR1019970049322 A KR 1019970049322A KR 19970049322 A KR19970049322 A KR 19970049322A KR 19990026990 A KR19990026990 A KR 19990026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power
battery
data signa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공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9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990A/ko
Publication of KR19990026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990A/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자동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명등스위치(10a)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접속 및 단락의 접속변환을 하는 조명등릴레이(10b)와, 이 조명등릴레이(10b)의 접속으로 전원스위치(30)의 온(on)/오프(off)와 상관없이 배터리(40)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하는 조명등(10)이 구비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10)으로 공급되는 배터리(40)의 전원의 접속 변환을 하는 전원차단릴레이(58)와, 상기 조명등(10)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전류데이타신호(I)를 출력하는 전류계(52)와, 상기 전원스위치(30)가 오프(off)되면 작동되어 타임데이타신호(T)를 출력하는 타이머(54)와, 상기 전류계(52)의 전류데이타신호(I)가 기설정된 기준전류 이하로 되거나 상기 타이머(54)의 타임데이타신호(T)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이상이 되면 상기 전원차단릴레이(58)가 오프되도록 작동되는 전원차단신호(RC)를 출력하는 제어부(56)를 포함하는 자동차단부(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자동 차단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자동차의 운행을 중단하고 주차시키는 경우에 운전자의 과실로 키 박스에서 시동 키를 탈거하여 전원스위치(30)를 오프시키면서 조명등스위치(10a)를 온(on)상태로 두더라도 배터리(40)의 불필요한 방전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자동 차단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자동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등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접속 및 단락의 접속변환을 하는 조명등릴레이와, 이 조명등릴레이의 접속으로 전원스위치의 온(on)/오프(off)와 상관없이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하는 조명등이 구비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으로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원의 접속 변환을 하는 전원차단릴레이와, 상기 조명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전류데이타신호를 출력하는 전류계와, 상기 전원스위치가 오프되면 작동되어 타임데이타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와, 상기 전류계의 전류데이타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전류 이하로 되거나 상기 타이머의 타임데이타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이상이 되면 상기 전원차단릴레이가 오프되도록 작동되는 전원차단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단부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자동 차단 장치를 둠으로써, 운전자가 자동차의 운행을 중단하고 주차시키는 경우에 운전자의 과실로 키 박스에서 시동 키를 탈거하여 전원스위치를 오프시키면서 조명등스위치를 온상태로 두더라도 배터리의 불필요한 방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의 운행에 도움을 주고자 여러 가지 장치가 장착되는데, 이중 다수의 조명등도 운전에 편리성 및 안전운행을 위해 자동차의 내부 및 외부에 장착되어 있어 운전자가 전면에 설치된 각각의 스위치를 온/오프 함으로서 점등 및 점멸되고 있다. 즉, 운전자의 야간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전조등, 자동차의 돌발적인 상황에서 사고예방을 위해 점등하는 비상등, 자동차의 좌우폭을 점등하는 차폭등, 뒷자동차의 안정된 거리확보를 위해 점등되는 후미등 및 자동차내를 조명하는 실내등이 운행조건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용되고 있는데 여기서 일반적으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조명등의 구성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4)로부터 일정한 DC전원을 인가받아 접속 및 단락 동작하는 조명등릴레이(1b)와, 이 조명등릴레이(1b)의 접속으로 DC전원의 입력받아 점등되는 조명등(1)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조명등릴레이(1b)에는 운전자가 선택적으로 조명등(1)을 온/오프를 하기위한 조명등스위치(1a)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조명등 점등 및 소등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운전자는 안전운전 및 필요성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조명등스위치(1a)를 온하게 된다. 그러면 이 조명등스위치(1a)의 온 신호에 따라 조명등릴레이(1b)의 접점은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4)의 DC전원을 인가받은 조명등(1)은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를 조명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키 박스의 시동 키의 회동에 따라서 스위칭되는 전원스위치(3)의 온(on)/오프(off)와 무관하게 조명등스위치(1a)의 온(on)/오프(off) 상태에 따라서 조명등릴레이(1b)를 통하여 조명등(1)과 배터리(4) 사이의 전원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따르면 운전자가 부주위로 자동차의 차폭등이나 미등을 온 상태로 두고서 주차시켜 놓고 장시간 자동차을 운행하지 않음으로써 배터리의 충전없이 배터리의 방전작용만이 생겨서 결국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로 인해 자동차을 이용해 급한 업무를 수행하고자 할 때 원하는 시간에 운행하지 못할 뿐 만 아니라 자동차의 배터리를 재충전 또는 교환시키기 위해 정비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자동차의 운행을 중단하고 주차시키는 경우에 운전자의 과실로 키 박스에서 시동 키를 탈거하여 전원스위치를 오프시키면서 조명등스위치를 온상태로 두더라도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값이 기준이하가 되거나 일정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는 배터리의 불필요한 방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등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접속 및 단락의 접속변환을 하는 조명등릴레이와, 이 조명등릴레이의 접속으로 전원스위치의 온(on)/오프(off)와 상관없이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하는 조명등이 구비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으로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원의 접속 변환을 하는 전원차단릴레이와, 상기 조명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전류데이타신호를 출력하는 전류계와, 상기 전원스위치가 오프되면 작동되어 타임데이타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와, 상기 전류계의 전류데이타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전류 이하로 되거나 상기 타이머의 타임데이타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이상이 되면 상기 전원차단릴레이가 오프되도록 작동되는 전원차단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단부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자동 차단수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조명등의 점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자동 차단 장치를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조명등 10a: 조명등스위치
10b: 조명등릴레이 20: 점화플러그
30: 전원스위치 40: 배터리
50: 자동차단부 52: 전류계
54: 타이머 56: 제어부
58: 전원차단릴레이 I : 전류데이타신호
T : 타임데이타신호 RC: 전원차단신호
본 발명의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자동 차단 장치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선택적으로 조명등(10)의 점등을 온/오프를 하기위한 조명등스위치(10a)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접속 및 단락의 접속변환을 하는 조명등릴레이(10b)와, 이 조명등릴레이(10b)의 접속으로 전원스위치(30)의 온(on)/오프(off)와 상관없이 배터리(40)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하는 조명등(10)이 구비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10)으로 공급되는 배터리(40)의 전원의 접속 변환을 하는 전원차단릴레이(58)와, 상기 조명등(10)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전류데이타신호(I)를 출력하는 전류계(52)와, 상기 전원스위치(30)가 오프(off)되면 작동되어 타임데이타신호(T)를 출력하는 타이머(54)와, 상기 전류계(52)의 전류데이타신호(I)가 기설정된 기준전류 이하로 되거나 상기 타이머(54)의 타임데이타신호(T)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이상이 되면 상기 전원차단릴레이(58)가 오프되도록 작동되는 전원차단신호(RC)를 출력하는 제어부(56)를 포함하는 자동차단부(50)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운전자는 주행조건에 맞도록 미등, 전조등 및 실내등을 배터리(40)로부터 DC전원을 입력받아 점등하도록 스위칭동작을 하는데, 예를들어 운전자가 조명등스위치(10a)를 온(on)시키면 조명등릴레이(10b)가 활성화되므로 배터리(40)에서 출력되는 일정한 전원은 조명등릴레이(10b)를 통해 조명등(10)에 인가된다.
이때 전원스위치(30)가 온(on) 상태인 통상의 자동차 주행 모드의 경우에는 자동차단부(50)의 타이머(54)가 작동되지 않고 또한 부하에 의한 배터리 방전과 더불어서 엔진의 점화플러그(20)에도 전원이 공급되어서 엔진의 시동이 계속됨으로써 발전기(도시 않됨)에 의한 충전이 함께 이루어져서 배터리(40)로부터의 전류값이 기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제어부(56)가 전원차단릴레이(58)를 오프시키는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결국 이러한 경우에는 배터리(40) 전원이 조명등릴레이(10b)를 통하여 조명등(10)에 인가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그런데, 한편 운전자가 조명등스위치(10a)를 온(on)시킨 상태에서 조명등(10)을 소등시키는 오프(off)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서 하차한 경우 즉, 상기 배터리(40)의 방전이 일어나고 있는 상태에서 자동차을 주차하고자 키 박스에서 시동 키를 뽑고 하차하게 되면, 전류계(52)에 의한 전류데이타신호(I)가 기설정된 기준전류 이하로 되거나 타이머(54)에 의한 타임데이타신호(T)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이상이 되어서 제어부(56)는 전원차단신호(RC)를 전원차단릴레이(58)에 출력하고, 이에 따라서 전원차단릴레이(58)가 오프됨으로써 배터리(40)에서 조명등(10)으로 공급되는 DC전원은 차단되어 불필요한 배터리(40)의 방전을 자동적으로 막을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한 실시예로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명등(10)을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비상등을 제외한 모든 램프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조명등스위치(10a)를 오프(off)시키는 소등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서 자동차을 주차하고자 키 박스에서 시동 키를 뽑고 하차하게 되면, 상기 배터리(40)의 방전 만이 계속하여 일어나고 있는 상태에서 전류계(52)에 의한 전류데이타신호(I)가 기설정된 기준전류 이하로 되거나 타이머(54)에 의한 타임데이타신호(T)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이상이 되어서 전원차단릴레이(58)가 오프됨으로써 배터리(40)에서 조명등(10)으로 공급되는 DC전원은 자동적으로 차단되어 운전자가 미등이나 기타 조명등(10)의 조명등스위치(10a)를 온(on)시켜둔 채로 장시간 자동차을 운행하지 않을 경우 발생되는 배터리(40)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조명등스위치(10a)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접속 및 단락의 접속변환을 하는 조명등릴레이(10b)와, 이 조명등릴레이(10b)의 접속으로 전원스위치(30)의 온(on)/오프(off)와 상관없이 배터리(40)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하는 조명등(10)이 구비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10)으로 공급되는 배터리(40)의 전원의 접속 변환을 하는 전원차단릴레이(58)와, 상기 조명등(10)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전류데이타신호(I)를 출력하는 전류계(52)와, 상기 전원스위치(30)가 오프(off)되면 작동되어 타임데이타신호(T)를 출력하는 타이머(54)와, 상기 전류계(52)의 전류데이타신호(I)가 기설정된 기준전류 이하로 되거나 상기 타이머(54)의 타임데이타신호(T)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이상이 되면 상기 전원차단릴레이(58)가 오프되도록 작동되는 전원차단신호(RC)를 출력하는 제어부(56)를 포함하는 자동차단부(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자동 차단 장치.
KR1019970049322A 1997-09-27 1997-09-27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자동 차단 장치 KR19990026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322A KR19990026990A (ko) 1997-09-27 1997-09-27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자동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322A KR19990026990A (ko) 1997-09-27 1997-09-27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자동 차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990A true KR19990026990A (ko) 1999-04-15

Family

ID=6604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322A KR19990026990A (ko) 1997-09-27 1997-09-27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자동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9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1653A (ko) * 1997-12-19 1999-07-05 정몽규 바테리 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860219B1 (ko) * 2006-09-29 2008-09-24 류성걸 자동차 시동확보를 위한 축전지 과도 방전 방지방법 및과도 방전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1653A (ko) * 1997-12-19 1999-07-05 정몽규 바테리 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860219B1 (ko) * 2006-09-29 2008-09-24 류성걸 자동차 시동확보를 위한 축전지 과도 방전 방지방법 및과도 방전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6990A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자동 차단 장치
CA2297884A1 (en) Daytime running light circuit
KR200221786Y1 (ko) 자동차 자동 소등 장치
KR0120840B1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200193992Y1 (ko)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0137875Y1 (ko) 자동차의 안개등 점등제어장치
KR0182471B1 (ko) 자동차의 배터리방전 차단장치
KR19980018278U (ko) 배터리방전 방지장치
KR19980023659A (ko) 방전 및 원터치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안개등램프 회로
KR100208828B1 (ko) 헤드라이트 자동 소등장치
KR0166285B1 (ko) 전조등 제어회로
KR20050006450A (ko) 차량용 전원 차단시스템
KR19990010567U (ko)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
JP2522091Y2 (ja) 自動二輪車のデーライトシステム
KR19980029106A (ko) 자동차의 전기장치 자동꺼짐장치
KR19980035510A (ko) 차량의 배터리 방전방지용 절전장치
KR19980048231A (ko) 자동차의 라이트 전원장치
KR970001116Y1 (ko)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점멸장치
KR200152839Y1 (ko) 자동차의 방전밧데리 충전용 점프케이블장치
KR19980034245U (ko) 차량의 헤드램프 자동 소등장치
KR19980073711A (ko) 자동차 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KR19980050907U (ko) 야간 주차등
KR19980053885A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19990027278U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KR19980053544A (ko) 헤드라이트 오동작 자동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