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051A -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지닌 포토그래픽용 필름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지닌 포토그래픽용 필름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051A
KR19990026051A KR1019970048003A KR19970048003A KR19990026051A KR 19990026051 A KR19990026051 A KR 19990026051A KR 1019970048003 A KR1019970048003 A KR 1019970048003A KR 19970048003 A KR19970048003 A KR 19970048003A KR 19990026051 A KR19990026051 A KR 19990026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coating
photographic
coat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김정락
틸레 디이터
임대우
바이트 윌프레드
로스 크리스토프
Original Assignee
한형수
주식회사 새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형수, 주식회사 새한 filed Critical 한형수
Priority to KR1019970048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051A/ko
Publication of KR19990026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051A/ko

Links

Landscapes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진용 또는 인쇄용 등의 포토그래픽용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제품에 비해 대전방지성과 접착성이 향상된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영구대전방지층을 포토그래픽 필름에 형성시킴에 있어 그 코팅액으로 특정 구조의 이온성 폴리머 및 실란계 화합물을 함유한 코팅액을 사용하여 영구대전방지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서,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토그래픽 필름은 대전방지성과 접착성이 특히 우수하여 사진용 또는 인쇄용으로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지닌 포토그래픽용 필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사진용 또는 인쇄용 등의 포토그래픽(PHOTOGRAPHIC)용 필름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적어도 필름의 한 면에 접착력이 우수하고 영구적인 대전방지성능을 지닌 영구대전방지층(PERMANENT ANTISTATIC LAYER
)이 코팅되어 있어서 특히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포토그래픽용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포토그래픽용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합성필름은 전기절연성이 높기 때문에 정전기의 발생이 쉽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특히, 염화은(SILVER HALIDE) 등의 감광층이 빛을 흡수하여 반응하는 포토그래픽 공정 중에 발생하는 정전기는 먼지나 이물질의 흡착, 인쇄의 불균일, 접착성의 저하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거나, 최종 포토그래픽 제품에서 초점이 잘 안맞는 등 품질 불량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포토그래픽용 필름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 중에는 소위 대전방지층(ANTISTATIC LAYER)을 포토그래픽 필름에 코팅하는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4,225,665에서는 술폰산기가 있는 스티렌과 카르복시기가 있는 모노머(MONOMER)의 코폴리머의 나트륨염으로서 수용성인 것과, 카르복시기가 있는 소수성(HYDROPHOBIC)의 고분자 물질 및 가교제(HARDENER)로써 수용성의 다관능성 아지리딘(AZIRIDINE) 등의 혼합물을 대전방지층의 코팅포뮬레이션(COATING FORMULATION)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미국 특허 제 4,701,403에서는 술폰산기가 있는 스티렌과 카르복시기가 있는 모노머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코폴리머의 나트륨염으로서 수용성인 것과 카르복시기가 있는 소수성의 고분자물질 등의 혼합물을 먼저 코팅하고 건조한 후, 그 위에 수용성의 다관능성 아지리딘을 코팅함으로써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전자와 같이 대전방지층을 코팅하는 경우 충분한 대전방지효과와 균일한 코팅표면을 얻는 것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후자와 같이 다관능성 아지리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코팅액의 제조공정 중이나 약간의 열에도 쉽게 가교되어 코팅성이 나쁘게 되어 코팅표면이 불균일한 문제점이 상존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코팅표면이 균일하고 대전방지효과와 접착성이 우수한 대전방지층을 코팅한 포토그래픽용 필름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토그래픽용 필름의 구성을 나타낸 일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포토그래픽용 필름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필름기재
2: 베이스 코팅
3: 젤라틴 서브층
4: 대전방지층
5: 감광제층
6: 보호층
7: 안티헐레이션층
본 발명은 필름기재의 양면에 코로나(CORONA)와 같은 전기적인 처리를 하거나 수용성의 아크릴계 폴리머와 비닐리덴 클로라이드(VINYLIDENE CHLORIDE)계 수지가 주성분으로 된 수용성 혼합액을 코팅하여 베이스 코팅층을 형성시킨 다음 적어도 한 면에 아크릴계 폴리머 또는 젤라틴과 하기 화학식 1과 같은 구조의 이온성 폴리머(IONIC POLYMER) 및 가교제로써 하기 화학식 2, 3과 같은 구조의 실란계 화합물의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코팅액을 도포하여 영구대전방지층을 형성시킨 후 감광층 등을 형성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그래픽용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R은 수소, 카르복실산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며,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며, R2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x, y는 1 또는 2이상의 정수이며, Z는 -페닐-SO3-G+, -알킬-NH-CH2-SO3 -G+, -CO-X-(CH2)m -N+(R5)3D-또는이며, 이 경우 G는 나트륨, 리튬, 칼륨, 칼슘 또는 마그네슘 이며, m은 2∼4의 정수이며, R5는 수소,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며, D는 OH, Cl 또는 Br 임.
( R2O )3- Si - ( CH2)n- A
상기식에서, R3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n은 1∼5의 정수이며, A는 -Cl, -SH, -NH2또는임.
( R3O )4- Si
상기식에서 R4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 임.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필름기재로는 인쇄용이나 사진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광학적 성질을 갖춘 합성고분자 필름이나 셀룰로오스 유도체 필름과 같이 천연물질을 개질한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트리아세테이트셀룰로오스(TAC)가 특히 포토그래픽용으로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필름기재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하거나 또는 아크릴계 폴리머와 비닐리덴클로라이드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수용성 혼합액을 코팅 처리함에 의해 소수성인 필름과 친수성인 젤라틴층 또는 대전방지층과의 접착성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이 때 사용되는 비닐리덴클로라이드계 수지는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가 있는 화합물과의 코폴리머가 좋으나 적어도 비닐리덴클로라이드 성분이 70%이상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혼합액의 pH는 대략 5∼10 정도가 좋으며, 고형분의 함량은 특정범위로 제한되지는 않지만 대략 1∼10 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작업성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부인 대전방지충은 필름에 정전기가 발생하여 먼지를 끌어들이거나 스파크를 야기시키는 등의 공정 중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는 적층부로써, 이를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코팅액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아크릴계 폴리머 또는 젤라틴, 화학식 1과 같은 구조의 이온성 폴리머, 화학식 2와 화학식 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물로 된 실란계 가교제, 물 및 기타 첨가제로 구성되는데, 이 때 코팅액의 pH는 대략 8∼11 범위로 하는 것이 좋으며, 고형분의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대략 0.5∼10 중량% 범위로 하는 것이 작업성면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학식 2, 3의 실란계 가교제는 단독으로 첨가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가교액(HARDNER SOLUTION)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투명성이나 평활성면에서 보다 효과적이다. 이러한 가교액의 조제법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메탄올이나 에탄올 등의 알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0∼100 중량부 및 염산, 질산, 황산, 초산과 같은 산 성분 1∼20 중량부를 혼합한 희석액에 화학식 2의 화합물과 화학식 3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 이상 혼합한 실란계 가교제를 5∼100 중량부를 첨가하여 대략 30℃이하의 온도에서 수시간 교반함에 의해 본 발명에 적합한 가교액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대전방지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코팅액에 사용가능한 첨가제로는 pH조절이나 코팅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산, 알칼리, 알콜 또는 습윤제(WETTING AGENT), 계면활성제 등이 선택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조성으로 된 코팅액을 사용하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대전방지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부로 하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도1과 같이 필름기재(1)의 일면에 대전방지층(4)을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코로나 처리 또는 베이스 코팅층(2)위에 대전방지층(4)을 형성시키고 안티헐레이션층(ANTIHALATION LAYER)(7)을 형성시키며, 그 반대면에는 코로나 처리 또는 베이스 코팅층(2)위에 젤라틴 서브층(3), 감광제층(5) 및 보호층(6)을 형성시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포토그래픽용 필름이 제조되며, 도2와 같이 필름기재(1)의 양면에 대전방지층을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일면은 전자와 같이 대전방지층(4)위에 안티헐레이션층(7)을 형성시키고 그 반대편에는 젤라틴서브층(3) 대신에 대전방지층(4)을 형성시키고 그 위에 감광제층(5) 및 보호층(6)을 형성시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포토그래픽용 필름이 제조된다.
상기의 안티헐레이션층(7)은 영구대전방지층을 보호하고 대전방지효과를 그대로 유지시켜 주며 필름의 컬(CURL)현상을 방지하여 양면의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층으로서, 이러한 코팅액의 바인더는 주로 젤라틴 또는 아크릴 수지가 사용되고 여기에 염료나 매팅제(MATTING AGENT)가 선택적으로 함유된다.
또한, 영구대전방지층(4)과 반대의 층에 형성되는 젤라틴 서브층(GELATINE SUBBING LAYER)(3)은 필름기재(1)와 감광제층(5)이 빛과 반응시 안정적인 광반응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층으로서, 이를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코팅액은 통상적으로 친수성의 젤라틴을 바인더로 하고 여기에 가교제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대전방지층에 사용되는 화학식 2, 3의 구조를 지닌 실란계 화합물과 물이나 알콜 등의 용매로 구성된 용액을 사용한다.
그리고, 감광제층(5)은. 포토그래픽용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염화은-젤라틴계 감광액(GELATINO-SILVER HALIDE PHOTOSENSITIVE EMULSION)을 사용하여 형성시키며, 또 이러한 감광제층(5)을 보호하기 위해 매팅제가 함유되어 있는 코팅액을 사용하여 보호층(PROTECTING LAYER)(6)을 형성시킨다.
안티헐레이션층(7)이나 보호층(6)의 코팅액에 사용되는 매팅제는 안티헐레이션층(7) 또는 보호층(6)에 러프니스(ROUGHNESS)를 제공하여 필름끼리의 점착현상과 스크래치(SCRATCH)를 방지하고, 고속의 자동인쇄 공정에 적용시 필름에 요구되는 충분한 마찰계수를 부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매팅제로는 물에 불용성이고 입경이 대략 5 미크론 이하인 유기 입자 또는 무기 입자들이 사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유기 매팅제로는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투명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비드(BEAD)가 있으며, 무기 매팅제로는 알루미나, 실리카,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마그네슘, 산화게르마늄 등의 무기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여기에서 제조한 필름의 각종 물성 평가는 다음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실시예 1)
100미크론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비닐리덴클로라이드계 코폴리머(VINYLIDENECHLORIDE COPOLYMER)로써 비닐리덴클로라이드 모노머(MO
-NOMER) 성분이 70%이고 아크릴산 모노머 등과의 공중합체인 고형분 55%의 솔베이(SOLVAY)상의 IXAN WA50 20CC와 롬 앤 하스(ROHM HASS)사의 아크릴계 수지의 44% 수용액인 RHOPLEX EMULSION EXP-3208 20cc 및 와 코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습윤제(WETTING AGENT) 3.0cc 및 증류수(DISTILLED WATER) 1000cc를 혼합하고 pH를 6.0으로 조절하였다. 이 코팅액을 젖은 상태의 두께(WET THICKNESS)가 20미크론이 되게 기재필름 양면에 코팅하고 110℃에서 1분간 건조하였다. 이 위에 영구대전방지층(PERMANENT ANTISTATIC LAYER)으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암모늄염(AMMONIUM SALT OF ETHYLACRYLATE)과 아크릴산의 코폴리머인 인듀러(INDULOR)사의 INDUNAL ECR71 10g과 롬 앤 하스사의 아크릴계 수지의 44% 수용액인 RHOPLEX EMULSION EXP-3208 6cc 및 가교제로 트리에톡시프로필티올실란(TRIETHOXYL PROPYL THIOL SILANE)인 휼스(HULS)사의 DYNASYLAN 3201을 에탄올에 20% 용해한 액 15cc와 증류수 150cc 및 메탄올 100cc를 혼합하고 0.1N NaOH 수용액으로 pH를 9.3으로 맞춘 코팅액을 코팅하고 105℃에서 60초간 건조하였다. 이 때 코팅액의 젖은 상태의 두께(WET THICKNESS)는 25미크론이었다. 그리고 영구대전방지층의 반대면에 젤라틴서브층(GELATINE SUBBING LAYER)으로 친수성의 젤라틴 5g과 가교제로 트리에톡시프로필티올실란인 휼스사의 DYNASYLANE 3201을 에탄올에 20% 용해한 액 7cc 및 증류수 100cc 그리고 메탄올 200cc를 혼합하고 0.1N NaOH 수용액으로 pH를 9.6으로 맞추어 코팅하고 105℃에서 60초간 건조하였다. 이 때 코팅액의 젖은 상태의 두께(WET THICKNESS)는 25미크론이 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영구대전방지층 위에는 안티헐레이션층을, 젤라틴서브층 위에는 염화은-젤라틴계의 감광층 및 보호층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형성시켜 포토그래픽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영구대전방지층에 사용하는 가교제액(HARDER SOLUTION)으로 메탄올 100g에 물 50g을 넣고 0.2N-질산 수용액을 15g 넣어 30분간 교반하여 얻어진 혼합물에 트리에톡시프로필티올실란인 휼스사의 DYNASYLAN 3201을 30g 첨가하여 얻어진 가교제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포토그래픽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베이스 코팅층을 형성시키지 않고 필름기재에 2.5 킬로와트 세기로 코로나 처리를 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포토그래픽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영구대전방지층에 사용하는 가교제액으로 트리에톡시프로필티올실란인 휼스사의 DYNASYLANE 3201 및 트리메톡시실란(TRIMETHOXY SILANE)을 동일한 양으로 에탄올에 20% 용해한 가교제액 15cc를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포토그래픽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영구대전방지층의 코팅액 조성물에 젤라틴 2g을 첨가한 코팅액을 사용하여 영구대전방지층을 형성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포토그래픽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영구대전방지층(PERMANENT ANTISTATIC LAYER)으로 분자량이 20,000이고 고형분농도(SOLID CONTENT)가 25%인 술폰화스티렌(SULFONATED STYRENE)이 75몰%이고 말레산무수물(MALEIC ANHYDRIDE)이 25몰%로 구성된 공중합체의 나트륨염(SODIUM SALT)인 내쇼날스타치사(NATIONAL STARCH AND CHEMICAL COMPANY)의 VERSA TL-4 50cc와 롬 앤 하스(ROHM HASS)사의 아크릴계 수지의 44%의 수용액인 PHOPLEX EMULSION EXP-3208 5cc와 가교제로 트리에톡시프로필티올실란인 휼스(HULS)사의 DYNASYLAN 3201을 에탄올에 20% 용해한 가교제액 10cc 및 증류수 200cc를 혼합하고 0.1N NaOH 수용액으로 pH를 9로 맞춘 코팅액을 코팅하고 105℃에서 60초간 건조하여 영구대전방지층을 형성시키고, 젤라틴서브층(GELATINE SUBBING LAYER)으로 친수성의 젤라틴 5g과 가교제로 트리에톡시프로필티올실란인 휼스사의 DYNASYLAN 3201에 에탄올 20% 용해한 가교제액 6cc 및 증류수 50cc 그리고 메탄올 250cc를 혼합하고 0.1N NaOH 수용액으로 pH를 10으로 맞추어 코팅하고 105℃에서 60초간 건조하여 젤라틴 서브층을 형성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포토그래픽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영구대전방지층 및 서브층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코팅액에 첨가되는 트리에톡시프로필티올실란액 대신에 아지리딘(AZIRIDINE)계 화합물인 지브론(SYBRON)사의 PFAZ-322을 영구대전방지층 코팅액에 4cc, 젤라틴 서브층 코팅액 3cc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포토그래픽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베이스코팅층을 형성시키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포토그래픽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에 6에서 베이스코팅층을 형성시키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포토크래픽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에에서 얻어진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면저항(Ω) 접착력(%)
실시예 1실시예 2실시예 3실시예 4실시예 5실시예 6비교예 1비교예 2비교예 3 2.5 × 1091.0 × 10108.4 × 1095.4 × 1081.8 × 10103.9 × 10121.7 × 1091.3 × 10102.1 × 1010 10010090881001008500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도 확인되듯이 본 발명에 따라 포토그래픽용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기존의 필름에 비해 대전방지성이 우수함은 물론 접착력이 월둥한 성능을 지니는 등의 유용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필름기재(1)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행하거나 또는 수용성의 아크릴계 폴리머와 비닐리덴 클로라이드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수용성 혼합액을 코팅하여 베이스 코팅층(2)을 형성시킨 후, 필름의 일면에는 영구대전방지층(4)과 안티헐레이션층(7)을 형성시키고 또 다른 면에는 젤라틴서브층(3), 감광제층(5) 및 보호층(6)을 형성시켜 포토그래픽을 필름을 제조함에 있어서, 영구대전방지층(4)을 형성시키는 코팅액으로 아크릴계 폴리머 또는 젤라틴 중에서 선택된 물질과 하기 화학식1과 같은 구조의 이온성 폴리머 및 가교제로써 하기 화학식 2, 3과 같은 구조의 실란계 화합물의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코팅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그래픽용 필름의 제조방법.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은 수소, 카르복실산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며,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며, R2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x, y는 1 또는 2이상의 정수이며, Z는 -페닐-SO3-G+, -알킬-NH-CH2-SO3 -G+, -CO-X-(CH2)m -N+(R5)3D-또는 5
    (화학식 2)
    ( R2O )3- Si - ( CH2)n- A
    상기식에서, R3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n은 1∼5의 정수이며, A는 -Cl, -SH, -NH2또는임.
    (화학식 3)
    ( R3O )4- Si
    상기식에서 R4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 임.
  2. 필름기재(1)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행하거나 또는 수용성의 아크릴계 폴리머와 비닐리덴 클로라이드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수용성 혼합액을 코팅하여 베이스 코팅층(2)을 형성시킨 후, 필름의 일면에는 영구대전방지층(4)과 안티헐레이션층(7)을 형성시키고 또 다른 면에는 영구대전방지층(4), 감광제층(5) 및 보호층(6)을 형성시켜 포토그래픽용 필름을 제조함에 있어서, 영구대전방지층(4)을 형성시키는 코팅액으로 아크릴계 폴리머 또는 젤라틴 중에서 선택된 물질과 상기 화학식1과 같은 구조의 음이온성 폴리머 및 가교제로써 상기 화학식 2, 3과 같은 구조의 실란계 화합물의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코팅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그래픽용 필름의 제조방법
  3.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영구대전방지층(4)을 형성시키는 코팅액의 pH는 8∼11 범위에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그래픽용 필름의 제조방법
  4.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영구대전방지층(4)을 형성시키는 코팅액의 고형분 농도는 0.5∼10 중량% 범위에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그래픽용 필름의 제조방법
  5.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감광제층(5)은 염화은-젤라틴계 감광액을 사용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그래픽용 필름의 제조방법
KR1019970048003A 1997-09-22 1997-09-22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지닌 포토그래픽용 필름의제조방법 KR19990026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003A KR19990026051A (ko) 1997-09-22 1997-09-22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지닌 포토그래픽용 필름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003A KR19990026051A (ko) 1997-09-22 1997-09-22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지닌 포토그래픽용 필름의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051A true KR19990026051A (ko) 1999-04-15

Family

ID=6604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003A KR19990026051A (ko) 1997-09-22 1997-09-22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지닌 포토그래픽용 필름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0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5695B2 (ja) 保護オーバーコート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写真要素
JPH04501324A (ja) 帯電防止層及びバリヤー層からなる写真支持体材料
EP0030352B1 (en) Unsubbed organic film coated with an opaque antistatic backing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3055696B2 (ja) 保護オーバーコート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写真要素
US5318878A (en) Cross-linked conductive polymers and antistat layers employing the same
US4916011A (en) Element having improved antistatic layer
US4859570A (en) Photosensitive element having improved antistatic layer
JPS6354474A (ja) 導電性塗布組成物
JPS62280287A (ja) 帯電防止層を担持するシ−トまたはウエブ
JP2823206B2 (ja) 感光性写真材料
JPH07305032A (ja) 写真感光材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上の下引き層用のコーティング組成物
US4863801A (en) Surface treatment of pet film
US5126405A (en) Cross-linked conductive polymers and antistat coatings employing the same
JP2725887B2 (ja) 改善された特性を持つ静電防止ハレーション防止裏打ち層
KR19990026051A (ko)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지닌 포토그래픽용 필름의제조방법
KR100229347B1 (ko)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지닌 포토그래픽용 필름의제조방법
CA1337512C (en) Chemical mat film and photosensitive film using same
AU595460B2 (en) Element having improved antistatic layer
JPH11174625A (ja) フォトグラフィック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NL1007190C2 (nl)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fotografische film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fotografische film met uitstekend antistatisch vermogen.
NL1007367C2 (nl) Werkwijze voor de vervaardiging van fotografische film met een uitstekend antistatisch vermogen.
KR19990066308A (ko) 포토그래픽용 필름의 제조방법
JPH11143022A (ja) 帯電防止性を有するフォトグラフィック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4274233A (ja) 帯電防止フィルムベースおよび該帯電防止フィルムベースからなる写真材料
KR19990054801A (ko)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