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856A - 리프터를 이용한 가공품 자동 정량수납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터를 이용한 가공품 자동 정량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856A
KR19990025856A KR1019970047683A KR19970047683A KR19990025856A KR 19990025856 A KR19990025856 A KR 19990025856A KR 1019970047683 A KR1019970047683 A KR 1019970047683A KR 19970047683 A KR19970047683 A KR 19970047683A KR 19990025856 A KR19990025856 A KR 19990025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forklift
bin
lifte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0939B1 (ko
Inventor
강옥원
Original Assignee
강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옥원 filed Critical 강옥원
Priority to KR1019970047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939B1/ko
Publication of KR19990025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5L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5/00Driving working spindles or 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0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품가공기계장치에서 연속적으로 자동공급되는 단품 가공품을 일정한 수량씩 보관박스에 자동으로 수납시키기 위한 리프터를 이용한 가공품 자동 정량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브레이크모터의 출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의 감속스프로켓으로 부터 감속된 동력을 전달받는 상부 구동스프로켓이 축설된 구동축에 축설된 두 개의 연동스프로켓과 하부측 가이드로울러에 연설되는 승강용 체인의 양단이 연결되어 승강이동되는 포크리프트와, 상기 포크리프트에 얹혀진 상태로 승강운반되는 운반대차와, 상기 포크리프트의 하강작동을 박스의 높이만큼씩 단계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장치가 장착된 리프터장치 및 상기 리프터장치의 수직대 상단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며, 상기 운반대차의 수직간과 대향하는 위치에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앵글가이드와, 다단으로 적층된 빈박스의 최하단측 빈박스 및 그 상측 빈박스를 붙잡아주는 하부받침구 및 상부압지구를 전,후진시키는 하부 및 상부 실린더가 형성되어 있는 빈박스 적재기를 구비하여서 상기 빈박스 적재기에 다층으로 적층,수납된 빈박스를 하나씩 낙하시킴과 동시 상기 포크리프트가 운반대차를 빈박스의 높이만큼씩 단계적으로 하강시키면서 가공품이 정해진 수량만 빈박스에 자동으로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리프터를 이용한 가공품 자동 정량수납장치
본 발명은 단품가공기계장치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단품 가공품을 일정한 수량씩 보관박스에 자동으로 수납시키기 위한 리프터를 이용한 가공품 자동 정량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가공업체에서는 각종 산업용 기계장치의 조립부품 등을 가공기계장치 예를들어, 바이브레이터 등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면서 보관박스에 일정량씩 담아주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 작업자는 비어있는 빈박스를 하나씩 배출슈트로 운반하여 배출되는 가공품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일정량의 가공품이 담긴 실박스를 보관창고 또는 후 공정라인으로 운반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같이 작업자가 직접 빈박스를 바이브레이터의 배출슈트로 운반하고 또 가공품이 정량담긴 실박스를 운반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허리를 굽혔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어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며, 특히 가공품이 금속제일 경우 실박스는 그 중량이 상당히 무겁기 때문에 작업자로 하여금 많은 힘이 소요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자가 무거운 실박스를 들고 내릴 때 허리에 무리를 주게 되어 디스크 등의 직업병이 발병될 우려와 함께 안전사고의 발생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힘든 작업을 기피하게 되는 사례가 많아 금속가공업체에서는 인력수급에 많은 애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 가공품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단품가공기계장치에서 배출되는 가공품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빈박스가 다단으로 적층되는 빈박스 적재기가 마련된 운반대차를 리프터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빈박스를 배출슈트측으로 하나씩 낙하시켜 가공품이 정량씩 수납되게 함과 동시 가공품이 정량씩 수납된 실박스를 리프터가 단계적으로 하강시키도록 하는 수단과, 이같은 수단으로 가공품이 정량씩 담긴 실박스가 운반대차에 차례차례 다단으로 적층되게 한 다음 이를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는 운반대차를 리프터에서 끌어낸 다음 보관창고 또는 후 공정라인으로 운송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가공품의 수납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하게 함과 아울러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또한 이와같은 작업성의 편리함을 부여하므로서 작업자로 하여금 능동적으로 작업에 임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부가적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브레이크모터의 출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의 감속스프로켓으로 부터 감속된 동력을 전달받는 상부 구동스프로켓이 축설된 구동축에 축설된 두 개의 연동스프로켓과 하부측 가이드로울러에 연설되는 승강용 체인의 양단이 연결되어 승강이동되는 포크리프트와;
상기 포크리프트에 얹혀진 상태로 승강운반되는 운반대차와;
상기 포크리프트의 하강작동을 박스의 높이만큼씩 단계적으로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장치가 장착된 리프터장치와; 및
상기 리프터장치의 수직대 상단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며, 상기 운반대차의 수직간과 대향하는 위치에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앵글가이드와, 다단으로 적층된 최하단측 빈박스와 그 바로 위에 있는 빈박스를 붙잡아주는 하부받침구 및 상부압지구를 전,후진시키는 하부 및 상부 실린더를 구비하고 있는 빈박스 적재기;
로 구성하여서 상기 빈박스 적재기에 다단으로 적층,수납된 빈박스를 하나씩 낙하시킴과 동시 상기 포크리프트가 운반대차를 빈박스의 높이만큼씩 단계적으로 하강시켜 빈박스에 가공품이 정해진 수량만큼씩 자동으로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빈박스 적재기는 리프터장치의 수직대 상단에 고정된 고정부재의 부착볼트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에 조절장공을 형성하여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과, 하부 및 상부 실린더의 피스톤에 부착된 하부받침구 및 상부압지구 각각은 그 양측에 착설된 가이드봉들이 볼부시에 끼워진채 수평상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운반대차에 빈박스를 하나씩 단계적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운반대차를 실은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빈박스 적재기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운반대차를 하강시킨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프터장치 2 : 포크리프트
3 : 감속기 4 : 브레이크모터
5 : 콘트롤장치 6 : 빈박스 적재기
7 : 운반대차 8a,8b : 빈박스 및 실박스
11 : 좌대 12 : 수직대
13 : 구동축 14 : 구동스프로켓
15 : 연동스프로켓 16 : 가이드로울러
17 : 승강용 체인 18 : 고정부재
19 : 부착볼트 21 : 승강로울러
22 : 수직고정대 31 : 감속스프로켓
32 : 체인 61 : 부착부재
62 : 조절장공 63 : 앵글가이드
64 : 상부실린더 65 : 하부실린더
641 : 상부압지구 651 : 하부받침구
642,652 : 볼부시 643,653 : 가이드봉
71 : 수직부분 P : 가공품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운반대차를 실은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빈박스 적재기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운반대차를 하강시킨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리프터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리프터장치(1)는 바닥에 고정되는 좌대(11)와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수직대(12)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직대는 ㄷ자 형강으로 구성되어 포크리프트(2)의 승강로울러(21)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포크리프트(2)의 승강로울러(21)는 수직대(12)의 안쪽에 설치되는 수직고정판(22) 양측 상,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대(12)의 ㄷ자 형강의 홈속에 삽입된채 승강작동을 안내받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리프터장치(1) 이면측에는 그 상방에서 부터 감속기(3)와 브레이크모터(4) 및 콘트롤장치(5)가 설치되며, 상기 감속기(3)는 브레이크모터(4)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전달받은 동력을 적당히 감속시킨 다음 감속스프로켓(31)으로 상기 포크리프트(2)를 승강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감속기(3)의 감속스프로켓(31)은 수직대(12)의 상단에 설치된 구동축(13)의 일단에 고정된 구동스프로켓(14)과 체인(32)으로 연설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구동축(13)의 중간부분에는 두 개의 연동스프로켓(15)이 균형있게 축설되어 있고, 또 상기 수직대(12)의 하부측에 설치된 두 개의 가이드로울러(16)와 상기 연동스프로켓(15) 각각에는 승강용 체인(17)을 연설하는데, 상기 승강용 체인(17)의 양단은 포크리프트(2)의 수직고정판(22) 상,하단에 고정시키므로서 연동스프로켓(15)의 정·역회전에 따라서 포크리프트(2)가 상,하로 이동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콘트롤장치(5)는 가공품(P)을 하나씩 연속해서 배출하는 단품가공기계장치(도시 없음)의 배출슈트(S)에서 배출되는 가공품(P)을 카운트하는 카운트센서(도시 생략)의 신호를 받아 포크리프트(2)의 승강작동을 제어하는 기능과 상기 포크리프트(2)가 최상측으로의 이동 또는 최하측으로의 이동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도시 생략)의 신호를 받아 단품가동기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 및 브레이크모터(4)의 정·역회전과 회전수를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갖는 제어회로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리프터장치(1)의 수직대(12) 상단에 고정부착된 고정부재(18)에는 빈박스 적재기(6)가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착설되는데, 상기 빈박스 적재기(6)는 배출슈트(S)의 높이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빈박스 적재기(6)는 포크리프트(2)에 실리는 운반대차(7)와 다단으로 적층되는 빈박스(8a)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하부가 완전 개방된 직사각형 틀체로 구성되며, 상기 빈박스 적재기(6)의 양측에 형성된 부착부재(61)의 상,하측에 두 개의 조절장공(62)을 뚫어 상기 수직대(12) 양측 상단의 고정부재(18)에 고정되어 있는 부착볼트(19)에 대하여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빈박스 적재기(6)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운반대차(7)의 수직부분(71)과 마주하는 곳에는 단면이 ㄴ자형으로 된 두 개의 앵글가이드(63)가 수직으로 길게 설치되며, 또 상기 앵글가이드(63)의 상단은 외향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빈박스(8a)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빈박스 적재기(6)의 양측에는 두쌍의 상,하부 실린더(64)(65)가 배치되는데, 상기 한쌍의 상부실린더(64)의 피스톤에는 상부압지구(641)가 수평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또 하부실린더(65)의 피스톤에도 하부받침구(651)가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한 상부압지구(641) 및 하부받침구(651) 양측에는 빈박스 적재기(6)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볼부시(642)(652)에 삽입된채 부드럽게 수평안내되는 가이드봉(643)(653)들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에서 하부받침구(651)은 빈박스 적재기(6)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최하단측 빈박스(8a)의 바닥부분을 받쳐 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부압지구(641)는 최하단측 바로 위에 있는 빈박스 양측을 붙잡아 주거나 또는 상측 플랜지가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면 만족한 구성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원리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리프터장치(1)의 포크리프트(2)를 바닥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포크리프트(2) 위에 빈 운반대차(7)를 올려 놓고 포크리프트(2)를 상승시키는데, 상기 운반대차(7)가 기 설정된 위치까지 상승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콘트롤장치(5)에 신호를 보내어 브레이크모터(4)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하며, 이같은 상태에서 빈박스(8a)를 빈박스 적재기(6) 내부에 차례로 삽입하는데, 이때 빈박스 적재기(6)의 상부실린더(64)의 피스톤은 몰입된 상태가 되게 하여 상부압지구(641)는 양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하는 한편, 하부실린더(65)의 피스톤은 출현작동한 상태로서 하부받침구(651)가 빈박스(8a) 바닥을 받쳐주는 상태가 되게 하므로서 여러개의 빈박스(8a)들이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가 되게 한 다음 상부실린더(64)의 피스톤을 출현작동시켜 상부압지구(641)가 최하층 바로 위에 적층된 빈박스를 붙잡고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작동은 작업자가 콘트롤장치(5)의 기능선택버튼을 조작하므로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콘트롤장치(5)의 시작버튼을 온조작하게 되면 빈박스 적재기(6)의 하부실린더(65)가 먼저 작동하여 하부받침구(651)를 양측으로 후퇴작동시켜 최하층에 있는 빈박스(8a)를 놓아주게 되어 빈박스는 운반대차(7) 위에 낙하하게 되며, 이어서 하부실린더(65)는 원위치로 작동하게 되면 상부실린더(64)가 작동하여 상부압지구(641)를 양측으로 후퇴작동하여 붙잡고 있던 빈박스를 놓아주게 되면 빈박스 적재기(6)에 투입된 빈박스(8a)들은 네모서리부분이 운반대차(7)의 수직부분(71)과 앵글가이드(63)의 안내를 받으며 밑으로 떨어지면서 하부받침구(651)에 받쳐지게 되며, 이같은 상태가 되면 상부실린더(64)의 피스톤이 출현작동을 하여 상부압지구(641)가 밑에서 두 번째 빈박스(8a)를 붙잡아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준비작동이 완료되면 단품가공기계장치가 작동을 개시하여 배출슈트(S)를 통해 하나씩 자동으로 연속해서 배출되는 가공품(P)은 카운트센서에 의해 카운트되면서 빈박스(8a)에 수납되는 한편, 운반대차(7)상기와 같이 빈박스(8a)에 가공품(P)이 낙하하여 정해진 수량이 수납되는 동안에는 리프터장치(1)의 브레이크모터(4)는 콘트롤장치(5)의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포크리프트(2)를 천천히 하강시켜 상기 포크리프터(2)에 실린 운반대차(7)가 빈박스(8a) 하나의 높이만큼 하강한 상태가 되게 하므로서 가공품(S)을 수납하고 있는 빈박스(8a)와 배출슈트(S)와의 사이에 또하나의 빈박스가 놓일 공간을 미리 확보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가공품(P)을 정해진 수량을 카운트하면서 수납하는 작동과 포크리프트(2)가 빈박스(8a)의 높이만큼 단계적으로 하강하는 작동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유는, 단품가공기계를 정지시키지 않고 계속 작동시켜 가공품(P)을 연속적으로 가공하면서 배출시킬 수 있게 하므로서 가공품(P)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배출슈트(S)로 부터 배출되는 가공품(P)을 받아주는 빈박스(8a)가 다음의 빈박스가 놓일 공간을 확보한 상태로 하강한 상태가 되고, 또 정해진 수량이 수납된 상태가 되면 카운트센서의 신호를 감지한 콘트롤장치(5)가 빈박스 적재기(6)의 하부실린더(65)를 작동시켜 하부받침구(651)가 최하단의 빈박스(8a)를 놓아주도록 하면 그 빈박스는 밑으로 낙하하여 가공품(P)이 정량 수납된 실박스(8b) 위에 떨어져 적층되어 배출슈트(S)에서 배출되는 가공품(P)을 받아주게 되는데, 이와같이 빈박스 적재기(6)에서 빈박스(8a)가 떨어지는 시간은 배출슈트(S)에서 가공품(P)이 연속해서 배출되는 짧은 시간안에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가공품(P)을 빈박스에 연속해서 받아 줄 수 있는 것이며, 한편 빈박스 적재기(6)에서 빈박스가 낙하하는 순간에는 배출슈트(S)가 뒤로 후퇴한 다음 떨어진 빈박스가 앞서 가공품(P)을 받아주고 있던 실박스(8b : 가공품이 정량 수납된 것) 위에 정확하게 적층된 상태가 되면 원위치로 전진작동을 하도록 구성하므로서 가공품(P)이 빈박스(8a)에 안전하게 낙하,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빈박스 적재기(6)에 다단으로 적층되어 있던 다수의 빈박스들 중 최하단의 것을 낙하시킨 다음에는 곧바로 하부실린더(65)가 재작동하여 하부받침구(651)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되며, 이어서 상부실린더(64)가 작동하여 상부압지구(641)를 후퇴시키게 되면 다단으로 적층되어 있는 빈박스들 모두는 함께 밑으로 이동하게 되어 최하단층에 있는 빈박스는 다시 하부받침구(651)에 받쳐지게 되는 것이며, 이후 상부실린더(64)가 다시 작동하여 상부압지구(641)가 원상태로 복귀하여 밑에서 두 번째에 위치하게 되는 빈박스를 붙잡고 다음 작동을 대기하고 있게 된다.
이같이 운반대차(7)에 차례로 적층되면서 정해진 수량을 받아주는 작동과 새로운 빈박스를 받아 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포크리프트(2)의 단계적인 하강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또 새로운 빈박스가 낙하되는 순간에는 배출슈트(S)가 뒤로 후퇴하였다가 재차 전진작동하는 일련의 유기적인 작동은 설정된 순서대로 이루어지며, 또한 그와같은 유기적인 작동은 빈박스 적재기(6)에 투입된 여러개의 빈박스(8a)가 전부 소진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포크리프트(2)의 단계적 하강작동에 의하여 운반대차(7)가 바닥까지 하강한 상태가 되면 상기 빈박스 적재기(6)는 비어있는 상태가 되는 반면에 상기 운반대차(7)에는 가공품(P)들이 정량씩 담겨진 다수개의 실박스(8b)가 다단으로 적층되어 있게 되므로서 작업자는 운반대차(7)를 포크리프트(2)에서 이동시키는 간편한 수단으로 많은 량의 가공품들을 보관창고 또는 후 공정라인으로 이송하므로서 가공품의 이송작업이 간편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공품이 정량씩 담긴 운반대차를 이송한 후에는 다시 빈 운반대차(7)를 포크리프트(2)에 올려 놓고 포크리프트(2)를 설정된 위치까지 상승이동시키고, 또 다수개의 빈박스(8a)를 빈박스 적재기(6)에 투입한 후 전술한 방법으로 빈박스를 하나씩 낙하시키면서 가공품(P)을 담아주는 작업을 반복하므로서 가공품의 박스수납작업을 보다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서 가공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빈박스 적재기(6)의 상,하부실린더(64)(65)의 피스톤에 부착된 상부압지구(641)와 하부받침구(651) 각각은 그 양측에 부착된 가이드봉(643)(653)들이 볼부시(642)(652)에 조립되어 있으므로서 전,후진작동이 부드럽게 슬라이딩 작동을 하게 되므로서 빈박스(8a)를 붙잡고 놓아주는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 상기 빈박스 적재기(6)는 그 양측에 있는 부착부재(61)에 형성된 조절장공(62)을 이용하여 빈박스 적재기(6)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서 리프터장치(1) 자체의 규격이나 가공품을 가공하는 단품가공기계장치의 규격 등 작업조건에 알맞는 높이로 빈박스 적재기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가공품(P)을 받아주는 빈박스(8a)가 실려있는 운반대차(7)를 단계적으로 하강작동시켜 주는 리프터장치(1)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콘트롤장치(5)에 의하여 정·역회전 및 회전작동회수가 제어되는 브레이크모터(4)에 출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3)의 감속스프로켓(31)의 감속된 출력이 체인(32)에 의하여 구동스프로켓(14)에 전달되므로서 구동축(13)이 감속회전하게 되며, 상기 구동축(13)에 축설된 두 개의 연동스프로켓(15)에 연설된 승강용 체인(17)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서 포크리프트(2)를 승강작동시키게 되는데, 상기 포크리프트(2)가 상승이동된 상태에서는 연동스프로켓(15)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같은 상태에서는 승강용 체인(17)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서 포크리프트(2)의 승강로울러(21)가 리프터장치(1)의 수직대(12)를 타고 하강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상기한 포크리프트(2)가 기 설정된 거리만큼 하강이동한 상태에 이르면 콘트롤장치(5)가 브레이크모터(4)를 제어하여 가동을 정지시키게 되므로서 포크리프트(2) 자체는 정해진 거리만큼만 하강한 후 멈추게 되고, 이와같은 하강이동작동을 반복 되풀이하므로서 운반대차(7)가 단계적으로 하강함과 동시 빈박스(8a)는 하나씩 낙하,적층되면서 가공품(P)이 정해진 수량만큼씩 수납저장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포크리프트(2)가 바닥까지 완전히 하강한 상태가 되면 운반대차(7)에는 가공품(P)이 정량씩 담긴 상태로 적층된 다수개의 실박스(8b)는 운반대차(7)를 끌고가는 간편한 작업으로 원하는 위치 즉, 보관창고 또는 후 공정라인으로 운반이동되는 것이며, 이후 작업자는 빈 운반대차(7)를 포크리프트(2) 위에 올려 놓고 포크리프트(2)를 정해진 높이까지 상승이동시키므로서 가공품(P)의 수납작업을 반복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리프터장치의 포크리프트 위에 운반대차를 올려 놓고 정해진 높이로 상승이동시키고, 이어서 빈박스 적재기에 다수개의 빈박스를 투입,적층시킨 다음 콘트롤장치의 작동버튼을 온조작하는 간편한 동작으로 빈박스가 하나씩 운반대차 위에 낙하하여 가공품을 받아 줄 수 있도록 하는 작동과 가공품이 정해진 수량으로 담기는 동안 포크리프트가 일정거리로 단계적으로 하강하는 다음의 빈박스가 놓일 공간을 미리 확보케 하는 작동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단품가공기계장치를 정지시키지 않고 연속해서 작동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어 생산량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은 효과는 종래 작업자의 인력으로 가공품을 수납하는 것에 비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인력의 낭비를 줄이고 유효인력을 타업무에 활용할 수 있어 인력절감효과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작업자 개개인에게 작업의 편리성을 주어 작업능률향상을 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제공하는 실용적이고도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브레이크모터의 출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의 감속스프로켓으로 부터 감속된 동력을 전달받는 상부 구동스프로켓이 축설된 구동축에 축설된 두 개의 연동스프로켓과 하부측 가이드로울러에 연설되는 승강용 체인의 양단이 연결되어 승강이동되는 포크리프트와;
    상기 포크리프트에 얹혀진 상태로 승강운반되는 운반대차와;
    상기 포크리프트의 하강작동을 박스의 높이만큼씩 단계적으로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장치가 장착된 리프터장치와; 및
    상기 리프터장치의 수직대 상단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며, 상기 운반대차의 수직간과 대향하는 위치에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앵글가이드와, 다단으로 적층된 최하단측 빈박스와 그 바로 위에 있는 빈박스를 붙잡아주는 하부받침구 및 상부압지구를 전,후진시키는 하부 및 상부 실린더를 구비하고 있는 빈박스 적재기;
    로 구성하여서 상기 빈박스 적재기에 다단으로 적층,수납된 빈박스를 하나씩 낙하시킴과 동시 상기 포크리프트가 운반대차를 빈박스의 높이만큼씩 단계적으로 하강시켜 빈박스에 가공품이 정해진 수량만큼씩 자동으로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터를 이용한 가공품 자동 정량수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빈박스 적재기는 리프터장치의 수직대 상단에 고정된 고정부재의 부착볼트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에 조절장공을 형성하여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과, 하부 및 상부 실린더의 피스톤에 부착된 하부받침구 및 상부압지구 각각은 그 양측에 착설된 가이드봉들이 볼부시에 끼워진채 수평상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운반대차에 빈박스를 하나씩 단계적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터를 이용한 가공품 자동 정량수납장치.
KR1019970047683A 1997-09-19 1997-09-19 리프터를 이용한 가공품 자동 정량수납장치 KR100240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683A KR100240939B1 (ko) 1997-09-19 1997-09-19 리프터를 이용한 가공품 자동 정량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683A KR100240939B1 (ko) 1997-09-19 1997-09-19 리프터를 이용한 가공품 자동 정량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856A true KR19990025856A (ko) 1999-04-06
KR100240939B1 KR100240939B1 (ko) 2000-01-15

Family

ID=19521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683A KR100240939B1 (ko) 1997-09-19 1997-09-19 리프터를 이용한 가공품 자동 정량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9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4050A (zh) * 2017-08-09 2019-02-26 广东兴发铝业有限公司 一种铝型材生产的叠空框输送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028B1 (ko) 2018-11-23 2020-09-04 화천기공 주식회사 가공소재 보관 및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4050A (zh) * 2017-08-09 2019-02-26 广东兴发铝业有限公司 一种铝型材生产的叠空框输送机构
CN109384050B (zh) * 2017-08-09 2024-04-12 广东兴发铝业有限公司 一种铝型材生产的叠空框输送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0939B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06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cking up packaged sheet
KR101140814B1 (ko) 물류 자동화 창고
CN114803532B (zh) 袋装货物重力拆垛机
FI117862B (fi) Järjestelmä ja menetelmä varastoinnissa käytetyn kasetin käsittelyyn siirtolaitteen avulla
KR100240939B1 (ko) 리프터를 이용한 가공품 자동 정량수납장치
CN111003518B (zh) 一种拆垛和码垛机
CN211768039U (zh) 仓储系统
KR101905488B1 (ko) 팔레트 보관 및 공급 장치
KR20150002139U (ko) 컨베이어가 구비된 고소작업대
CN212864004U (zh) 液压自动码垛机
JP3082651B2 (ja) パレット移載装置
JPS60247422A (ja) 板金の加工ラインシステム
CN220265106U (zh) 一种便捷货物高层提升设备
JP3612806B2 (ja) 巻取ロール縦積みパレタイザ及びパレットへの巻取ロール縦積み方法
CN212387253U (zh) 连续提升机
CN214568749U (zh) 一种整形机
JPH0558407A (ja) ピツキングロボツト
KR102325111B1 (ko)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
CN217708768U (zh) 一种堆垛机用载货台
CN219689257U (zh) 超长超重型材库固定式巷道堆垛机
JP2014114110A (ja) パレット供給装置
CN219546129U (zh) 儿童家具生产用立库式托盘码垛装置
CN214826315U (zh) 搬运装置及仓储系统
CN214934244U (zh) 自动装砖机
JP2726182B2 (ja) 物品の保管・搬送用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