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501A - 리드각 0°형 밀링커터 - Google Patents

리드각 0°형 밀링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501A
KR19990025501A KR1019970047162A KR19970047162A KR19990025501A KR 19990025501 A KR19990025501 A KR 19990025501A KR 1019970047162 A KR1019970047162 A KR 1019970047162A KR 19970047162 A KR19970047162 A KR 19970047162A KR 19990025501 A KR19990025501 A KR 19990025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inclination angle
milling cutter
cutting edge
cutting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호
박창규
Original Assignee
최효병
대한중석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효병, 대한중석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효병
Priority to KR1019970047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501A/ko
Publication of KR19990025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50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23C5/205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characterised by chip-breakers of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06Face-milling cutters, i.e. having only or primarily a substantially flat cut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4Overall shape
    • B23C2200/0455Squ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8Angles
    • B23C2200/281Negative rake ang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칩(Chip) 절단 기계가공용 밀링커터(또는 앤드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삭날부에 4개소의 절삭날을 형성하여 절삭 인서트의 4개소의 절삭날부가 모두 주절삭날부와 부절삭날부로 사용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커터몸체(1)의 원통형 선단부를 4개의 주절삭날부(21a)와 부절삭날부(21b) 및 경사면이 있는 정사각형의 절삭인서트(21)를 복수개 배열 고정하고 상기 각 절삭인서트가 축방향 경사각(A)과 반경방향 경사각(B)을 가지도록 하며, 상기 절삭인서트의 경사면에 절삭날을 따라 변화하는 경사각(D)을 반경방향 경사각(B)보다 크게 형성하여 실질적인 유효방향 경사각(B')이 형성되게 한 리드각 0°형 밀링커터이다.

Description

리드각 0°형 밀링커터
본 발명은 칩(Chip) 절단 기계가공용 밀링커터(또는 앤드밀)에 관한 것으로, 특히 4개의 주절삭날부를 가진 절삭인서트를 사용하여서 되는 리드각 0°형 밀링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축선에 직각인 평면과 축선에 평행인 측면을 절삭하는 절삭공구로는 리드각 0°형의 정면 밀링커터나 앤드밀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류의 절삭공구는 원통형 몸체부에 다수의 절삭인서트(Insert)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리드각 0°형의 정면 밀링커터로써 도 1과 같이 커터몸체(1)의 단면에 대하여 삼각형의 형상을 가진 복수개의 절삭인서트(2)를 앤빌(Anvil)(3)과 웨지(Wedge)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고, 도 2와 같이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하고 있는 복수개의 절삭인서트(11)를 볼트(12)에 의해 고정시킨 밀링커터도 알려져 있다.
도 1과 같이 밀링커터는 원통형으로된 공구본체의 선단 외주부에 칩포켓이 형성되고 인서트 부착시트에 스로우어웨이 절삭인서트(2)가 분해결합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삼각형의 절삭인서트(2)는 두께가 일정한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삭인서트(2)는 한쪽의 주절삭날부(2a)와 또 한쪽의 부절삭날부(2b)가 형성되어 하나의 절삭인서트에 3개의 주절삭날부와 부절삭날부가 구성되며, 상기 절삭날부중 어느 하나의 부위가 파손되면 절삭인서트를 회전시켜 다른 절삭날부위를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하나의 절삭인서트를 3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와 같은 밀링커터는 도 1의 밀링커터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상의 공구본체의 선단 외주부에 평행사변형의 스로우어웨이 절삭인서트(11)가 볼트(12)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평행사변형의 절삭인서트(11)는 4개(4변)의 절삭날중에서 2개소만을 주절삭날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평행사변형 절삭인서트(11)의 폭이 넓은 쪽에는 주절삭날부(11a)가 형성되고, 다른쪽(폭이 좁은쪽)에는 부절삭날부(1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절삭인서트(11)는 주절삭날부와 부절삭날부가 각각 2개소이기 때문에 어떤 한 부위가 파손되면 절삭인서트를 회전시켜 다른 절삭날 부위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리드각 0°형의 밀링커터에서 삼각형 절삭인서트(2) 또는 평행사변형 절삭인서트(11)를 사용하는 이유는 절삭인서트에 적절한 부절삭날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밀링커터에 적절한 부절삭날부가 형성되어야 가공물의 매끄러운 표면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밀링커터에 정사각형의 절삭인서트를 적용하는 경우 부절삭날부를 형성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리드각 0°형의 밀링커터에서 현재까지 정사각형의 절삭인서트가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정사각형 절삭인서트를 리드각 0°형의 정면 밀링커터에 적용하여 부절삭날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절삭인서트의 축방향 경사각과 반경방향 경사각을 적절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리드각이 0°인 절삭인서트에 부절삭날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절삭인서트의 축방향 경사각을 정(+)각으로 설정하고 반경방향 경사각을 음(-)각으로 설정하여야 하는데, 반경방향 경사각이 음(-)각으로 설정되는 경우 칩포켓의 배후두께(도 3의 t)가 증가하여 공구의 강성은 증가하지만 절삭날에 가해지는 절삭저항이 증가하여 공구의 절삭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절삭시 소요동력의 증가나 절삭날의 결손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드각 0°형의 밀링커터에 정사각형의 절삭인서트를 부착하여 절삭인서트의 4개의 절삭날부를 모두 주절삭날부와 부절삭날부로 사용할 수 있는 리드각 0°형 밀링커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커터몸체의 원통형 선단부에 4개의 주절삭날부와 부절삭날부 및 경사면이 있는 절삭인서트를 복수개 배열고정하고 상기 각 절삭인서트가 축방향 경사각과 반경방향 경사각을 가지도록된 리드각 0°형 밀링커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삼각형 절삭인서트를 사용한 밀링커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평행사변형 절삭인서트를 사용한 밀링커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링커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절삭인서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절삭인서트의 일부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밀링커터의 정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밀링커터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밀링커터의 부인선부각과 리드각을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도 8의 E부분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터몸체 21 : 절삭인서트
21a: 주절삭부 21b: 부절삭부
A : 축방향 경사각 B : 반경방향 경사각
B': 유효반경방향 경사각 D : 경사각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밀링커터에 사시도로서, 커터몸체(1)에 커터를 회전구동기구에 연결하기 위한 일체형의 원통형 고정부(1a)가 형성되어 있다.
커터몸체(1)에는 절삭인서트(21)를 장착하기 위한 팁시트(22)가 제공되고 각 절삭인서트의 사이에는 칩포켓(23)이 설치된다.
커터몸체(1)에 형성된 다수의 팁시트(22)들은 몸체의 지름과 소정의 피치(Pitch)에 따라 변화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몸체의 외부지름 80㎜에 5개의 팁시트(22)를 갖는 밀링커터를 예시하였다.
때때로 진동방지를 위해서는 팁시트(22)들이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절삭인서트(21)는 체결나사(25)를 나사구멍(24)으로 체결함에 따라 팁시트(22)에 고정된다.
도 4는 커터몸체(1)의 팁시트(22)부에 고정되는 정사각형 절삭인서트(21)의 사시도로서 절삭인서트에는 4개의 주절삭날부(21a)와 4개의 부절삭날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인서트(21)는 축방향으로 경사각(A)을 가지며, 반경방향으로도 경사각(B)을 갖는다.
상기 절삭인서트의 축방향 경삭각(A)이 5°미만이면 부절삭날부의 여유각이 증가로 인해 인성이 약하게 되고 10°를 초과하면 부절삭날부의 여유각의 감소로 인해 부절삭날부의 마모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절삭인서트의 반경방향 경사각(B)이 음(-)의 방향으로 5°미만이면 적절한 부절삭날부(21b)의 각도(C)(도 9참조)가 형성되지 않고 반대로 음(-)의 방향으로 20°를 초과하면 주절삭날부의 여유각이 증가함에 따라 주절삭날부의 인성이 극히 저하되어 양호한 절삭성을 얻기가 힘들다.
따라서, 절삭인서트(21)의 축방향 경사각(A)을 5°∼ 10°로 설정하였고, 반경방향 경사각(B)은 -5°∼ -20°사이로 설정하였다.
절삭인서트(21)의 경사면에는 절삭력의 감소를 위해 도 5와 같이 절삭날을 따라 변화하는 경사각(D)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각(D)은 절삭인서트의 반경방향 경사각(B)보다는 크게 설정하였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인서트(21)는 상,하면이 평행한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절삭날부(21a)의 각도(C)는 커터몸체(1)의 수평면에 대해 0.4°∼ 1.2°가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는 절삭인서트(21)의 축방향 정(+) 경사각(A)과 반경방향 음(-) 경사각(B) 관계에서 부절삭날부의 각도(C)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한편, 종래의 밀링커터에서는 축방향 경사각과 반경방향 경사각이 정(+)각인 것이 절삭성에 있어서 유리하지만, 본 발명은 반경방향 경사각(B)을 음(-)각으로 설정하여도 절삭날의 경사면에 절삭날을 따라 형성되는 경사각(D)으로 인해 도 10과 같이 실질적인 반경방향 경사각, 즉 유효반경방향 경사각(B')이 정(+)각 방향으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정사각형의 절삭인서트를 리드각 0°형의 밀링커터 또는 앤드밀에 적용하여 높은 절삭성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유효반경방향 경사각(B')은 절삭인서트의 인선강도를 고려할 때 인선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절삭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0°∼ 20°로 설정하였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리드각 0°인 밀링커터에 정사각형 절삭인서트를 부착하여 높은 절삭력을 얻을 수 있고, 따라서 절삭인서트에 4개소의 절삭날을 모두 주절삭날부와 부절삭날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커터몸체(1)의 원통형 선단부에 4개의 주절삭날부(21a)와 부절삭날부(21b) 및 경사면이 있는 정사각형의 절삭인서트(21)를 복수개 배열 고정하고 상기 각 절삭인서트가 축방향 경사각(A)과 반경방향 경사각(B)을 가지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각 0°형 밀링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인서트의 축방향 경사각이 5°∼ 10°이고 반경방향 경사각이 -5°∼ -20°인 리드각 0°형 밀링커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인서트의 경사면에 절삭날을 따라 변화하는 경사각(D)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각 반경방향이 경사각(B)보다 크게 형성되어 실질적인 유효반경방향 경사각(B')이 0°∼ 20°로 설정된 리드각 0°형 밀링커터.
KR1019970047162A 1997-09-12 1997-09-12 리드각 0°형 밀링커터 KR19990025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162A KR19990025501A (ko) 1997-09-12 1997-09-12 리드각 0°형 밀링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162A KR19990025501A (ko) 1997-09-12 1997-09-12 리드각 0°형 밀링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501A true KR19990025501A (ko) 1999-04-06

Family

ID=66043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162A KR19990025501A (ko) 1997-09-12 1997-09-12 리드각 0°형 밀링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5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7998A (zh) * 2021-07-22 2021-10-08 哈尔滨理工大学 一种提高动平衡的不等齿面铣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7998A (zh) * 2021-07-22 2021-10-08 哈尔滨理工大学 一种提高动平衡的不等齿面铣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960B1 (ko) 인덱서블 밀링 인써트
CA2105432C (en) A cutting insert for a milling cutter
EP1791671B1 (en) A milling tool, a cutting insert for milling tool as well as a solid milling tool
KR100398300B1 (ko) 절삭삽입체
CN108472751B (zh) 切削刀片及可转位刀片式切削工具
JP2850893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US7168895B2 (en) Indexable cutting insert
WO2007142224A1 (ja) 切削工具及び切削インサート
EP0620071A1 (en) Improved cutting tool and insert therefor
US7168896B2 (en) Cutting tool with replaceable cutting inserts
JP4056020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エンドミル
JP2004160606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切削工具
JP3369197B2 (ja) 回転切削工具
JPH11138324A (ja) ミーリングカッタ
JP3118956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3402187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KR19990025501A (ko) 리드각 0°형 밀링커터
JPH031137Y2 (ko)
JPH0357382Y2 (ko)
JPH067856Y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3518315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該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を装着したスローアウェイ式穴明け工具
JPH11291102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該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を装着した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JPH11156624A (ja) スローアウェイ式ボールエンドミル
JP3539210B2 (ja) ヘッド交換式切削工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584176Y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