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134U -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134U
KR19990025134U KR2019970037641U KR19970037641U KR19990025134U KR 19990025134 U KR19990025134 U KR 19990025134U KR 2019970037641 U KR2019970037641 U KR 2019970037641U KR 19970037641 U KR19970037641 U KR 19970037641U KR 19990025134 U KR19990025134 U KR 199900251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afer
roller
moving
reac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민
Original Assignee
구본준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Priority to KR2019970037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134U/ko
Publication of KR199900251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134U/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는 반응챔버와, 상기 반응챔버 내를 움직이며 웨이퍼를 운반하는 운반벨트와, 상기 운반벨트의 전단부에 설치하여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운반벨트의 네 모서리에 설치하여 벨트의 위치를 인식하는 광센서와, 상기 롤러축 양단에 설치하여 광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롤러의 회전축을 움직이므로 벨트의 틀어짐을 조정하는 유압수단으로 구성되어, 벨트의 틀어짐 조정을 위해 따로 작업할 필요가 없으며, 작업시간을 단축시켜서 장비의 가동률을 향상시키고, 항상 벨트의 상태가 안정되어 있어, 웨이퍼에 증착되는 필름의 막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웨이퍼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
본 고안은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벨트의 틀어짐 조정을 위해 따로 작업할 필요가 없으며, 작업시간을 단축시켜서 장비의 가동률을 향상시키고, 항상 벨트의 상태가 안정되어 있어, 웨이퍼의 증착되는 필름의 막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웨이퍼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웨이퍼 벨트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퍼를 운반하는 운반벨트(1)와, 상기 운반벨트(1)를 구동하는 롤러(2)와, 반응챔버(4)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의한 벨트 틀어짐에 대한 조정시 장비의 덮개를 떼어내고, 벨트(1)가 2사이클 정도 회전하는 동안 벨트정면에서 육안을 관찰하면서 벨트가 반응챔버(4)의 측면과 접촉하는지를 관찰한다. 벨트(1)의 틀어짐이 관찰되면 수작업으로 롤러(2)의 축을 느슨하게 하고, 롤러(2)의 축을 전후방으로 밀거나 당겨서 벨트(1)의 틀어짐을 조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육안으로 관찰하기 때문에 벨트(1)의 틀어짐을 조정하는 것이 정확하지 않고, 모든 것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 지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작업이 까다롭다. 그리고 벨트(1)의 틀어짐 조정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비를 사용하게 되면, 웨이퍼에 증착되는 필름의 막질이 나빠져서 웨이퍼의 수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벨트의 틀어짐 조정을 위해 따로 작업할 필요가 없으며, 작업시간을 단축시켜서 장비의 가동률을 향상시키고, 항상 벨트의 상태가 안정되어 있어, 웨이퍼에 증착되는 필름의 막질을 향상시킬수 있으며, 웨이퍼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웨이퍼의 벨트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웨이퍼의 벨트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웨이퍼의 벨트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a 내지 도 9b는 본 고안에 의한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동작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반벨트 2 : 롤러
4 : 반응챔버 5 : 광센서
6 : 롤러지지대 7 : 유압기암
8 : 유압기 9 : 컨트롤러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반응챔버와, 상기 반응챔버 내를 움직이며 웨이퍼를 운반하는 운반벨트와, 상기 운반벨트의 전단부에 설치하여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운반벨트의 네 모서리에 설치하여 벨트의 위치를 인식하는 광센서와, 상기 롤러축 양단에 설치하며 광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롤러의 회전축을 움직이므로 벨트의 틀어짐을 조정하는 유압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6a 내지 도 9b는 본 고안에 의한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동작도를 각각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는 반응챔버(4)와, 상기 반응챔버(4) 내를 움직이며 웨이퍼를 운반하는 운반벨트(1)와, 상기 운반벨트(1)의 전단부에 설치하여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2)와, 상기 운반벨트(1)의 네 모서리에 설치하여 벨트의 위치를 인식하는 광센서(5)와, 상기 롤러(2)축 양단에 설치하며 광센서(5)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롤러(2)의 회전축을 움직이므로 벨트의 틀어짐을 조정하는 유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압수단은 롤러(2)축 양단에 설치한 롤러축 지지대(6)와, 상기 롤러축 지지대(6)에 각각 설치한 유압기용 아암(7)와, 상기 아암(7)을 구동하는 유압기(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벨트(1)의 네 모서리부에 위치한 광센서(5)에 의해 벨트(1)의 위치가 인식되며, 벨트(1)가 반응챔버(4)의 측벽과 가까이 접근하거나 접촉하게 되면, 상기 광센서(5)가 컨트롤러(9)에 벨트 위치에 대한 정보를 보내고, 컨트롤러(9)는 유압기(8)에 명령을 내려서 롤러(2)의 축을 움직임으로써 벨트(1)의 틀어짐을 조정하게 된다.
본 고안의 동작을 좀더 상술하면, 도 6a와 같이 운반벨트(1)가 좌측으로 붙으면, 광센서(5)에 의해 벨트의 위치를 인식한 후, 컨트롤러(9)를 통해 유압기(8)에 신호를 보내게 되면, 좌측 유압기(8a)에서는 좌측 유압기암(7a)을 밀게 되고, 우측 유압기(8b)에서는 우측 유압기암(7b)을 잡아당기게 되어 롤러(2)의 회전축을 오른쪽으로 경사지게 함으로, 도 6b와 같이, 벨트(1)를 오른쪽으로 미끄러지도록 하여 정위치에 오도록 한다. 도 7a는 운반벨트(1)가 우측으로 붙은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동작은 운반벨트가 좌측으로 붙은 경우의 반대로 동작함을 알 수 있다.
도 8a는 운반벨트(1)가 좌측으로 기울어진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도 운반벨트가 좌측으로 붙은 경우와 같이 왼쪽 유압기(8a)의 유압기암(7a)은 밀고, 오른쪽 유압기(8b)의 유압기암(7b)은 당기도록 신호를 전달하여, 기울어진 운반벨트(1)를 도 8b와 같이 정위치에 오도록 한다.
도 9a는 운반벨트(1)가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운반벨트가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운반벨트를 조절하는 것과 반대로 동작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는 반응챔버와, 상기 반응챔버 내를 움직이며 웨이퍼를 운반하는 운반벨트와, 상기 운반벨트의 전단부에 설치하여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운반벨트의 네 모서리에 설치하여 벨트의 위치를 인식하는 광센서와, 상기 롤러축 양단에 설치하며 광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롤러의 회전축을 움직이므로 벨트의 틀어짐을 조정하는 유압수단으로 구성되어, 벨트의 틀어짐 조정을 위해 따로 작업할 필요가 없으며, 작업시간을 단축시켜서 장비의 가동률을 향상시키고, 항상 벨트의 상태가 안정되어 있어, 웨이퍼에 증착되는 필름의 막질을 향상시킬수 있으며, 웨이퍼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반응챔버와, 상기 반응챔버 내를 움직이며 웨이퍼를 운반하는 운반벨트와, 상기 운반벨트의 전단부에 설치하여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운반벨트의 네 모서리에 설치하여 벨트의 위치를 인식하는 광센서와, 상기 롤러축 양단에 설치하며 광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롤러의 회전축을 움직이므로 벨트의 틀어짐을 조정하는 유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수단을 롤러축 양단에 설치한 롤러축 지지대와, 상기 롤러축 지지대와 각각 설치한 유압기용 아암과, 상기 아암을 구동하는 유압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
KR2019970037641U 1997-12-16 1997-12-16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 KR199900251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641U KR19990025134U (ko) 1997-12-16 1997-12-16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641U KR19990025134U (ko) 1997-12-16 1997-12-16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134U true KR19990025134U (ko) 1999-07-05

Family

ID=6969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641U KR19990025134U (ko) 1997-12-16 1997-12-16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13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357A (ko) *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케이씨텍 기판 처리 장치
KR20200045638A (ko) *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케이씨텍 기판 처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357A (ko) *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케이씨텍 기판 처리 장치
KR20200045638A (ko) *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케이씨텍 기판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12139B2 (ja) ずれ重ねられた枚葉紙流を枚葉紙処理機械に搬送するための枚葉紙搬送装置
US5152390A (en) Automatic chip separating and feeding apparatus
AU485840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rectional drilling of holes
FR2563157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reglage d'un courant d'encre pour presse d'impression
CA1301138C (en) Paper splicing device
KR19990025134U (ko) 웨이퍼 운반벨트 조정장치
AU714197B2 (en) Printing system for sectional circular container
EP1510876A3 (en) Drive speed control for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85288B1 (ko) 라벨 자동 절단장치
AU1774588A (en) Method for excavating hole and apparatus therefor
EP1180484A3 (de) Feinausrichtstation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selben
JP2005111564A (ja) 板状要素を機械加工するワーキングステーション
KR101816089B1 (ko)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방법
JP3738150B2 (ja) 媒体処理装置
KR101309350B1 (ko) 코일로 권취하기 위한 스트립 권취장치 및 스트립 권취방법
KR20020094209A (ko) 기판 이송 장치용 기판 감지 장치
JP2009091040A (ja) バーコード印字装置
KR100407791B1 (ko) 금박 인쇄장치
JP3389122B2 (ja) スパークプラグ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0493184B1 (ko) 캐리어테이프 피더
JPH08300298A (ja) 用紙打抜装置
KR960013628B1 (ko) 칩 자동분리 공급장치
ATE139965T1 (de) Vorrichtung zum etikettentransport
KR200295668Y1 (ko) 슬라브의 버르제거장치
JP2007050985A (ja) 連続用紙処理装置および運転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