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614B1 -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 - Google Patents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5614B1 KR101865614B1 KR1020130040131A KR20130040131A KR101865614B1 KR 101865614 B1 KR101865614 B1 KR 101865614B1 KR 1020130040131 A KR1020130040131 A KR 1020130040131A KR 20130040131 A KR20130040131 A KR 20130040131A KR 101865614 B1 KR101865614 B1 KR 1018656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grip
- rotation
- gripper
- rot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23—Grippers, e.g. suction or magnet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는, 소정의 자재(예: 기판)을 생산하는 단일의 독립 설비인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 해당 생산 공정에 대한 수행 및 특정 시점에 자재에 대한 회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일의 자재 생산 설비(예: 단일의 기판 생산 설비)만을 통해서도 자재의 다면에 대한 부품 실장 등의 작업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자재 생산 공정을 위해 소요되는 설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정 라인을 축소하는 것과 공정 시작에서 공정 종료까지 소요되는 공정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자재(예: 기판)을 생산하는 단일의 독립 설비인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 해당 생산 공정에 대한 수행 및 특정 시점에 자재를 회전하기 위한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대량 생산을 위한 자동화 공정은 컨베이어 벨트 상에 작업 대상물을 올려놓고 이를 이송시키면서 작업(예를 들어, 부품의 삽입, 검사 또는 라벨 부착 등)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작업 대상물이 기판(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인 경우 대체로 기판에 대한 양면 작업을 필요로 하며, 종래에는 작업자가 생산라인의 옆에서 일일이 기판을 뒤집어 주면서 기판 후면에 대한 작업을 하였으나, 이는 작업 시간이 길어지게 하여 생산 효율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기판을 자동으로 반전시켜 다음 작업을 연속적으로 하기 위한 기판 반전 장치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기판 반전 장치는 공정 라인 상에서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거나 디스펜싱을 수행하는 2대의 기판 생산 설비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양면용 기판을 반전하는 구조이다.
즉, 2대의 기판 생산 설비 중 제1 기판 생산 설비에 의해 양면용 기판의 상면에 대한 부품 실장 등의 작업을 완료한 후 공정 라인으로 해당 양면용 기판이 이동하게 되고, 이후 공정 라인 상에 연속하여 위치하고 있는 기판 반전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양면용 기판을 180˚ 반전하여 재차 공정 라인으로 이동하게 하며, 공정 라인 상에 기판 반전 장치 이후로 연속하여 위치하고 있는 제2 기판 생산 설비를 통해 해당 양면용 기판의 하면에 대한 부품 실장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의 기판 반전 장치는 2대의 기판 생산 설비를 구축하여야만 양면용 기판에 대한 생산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기판 생산 공정을 위해 소요되는 설비 비용이 증가하고, 생산 공정을 위한 라인 길이 또한 길어지는 바 기판 생산을 위한 작업 공간이 전술된 각종 설비를 모두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확보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기판 생산 공정에 소요되는 공정 속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자재(예: 기판)을 생산하는 단일의 독립 설비인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 해당 생산 공정에 대한 수행 및 특정 시점에 자재를 회전하기 위한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에 이미 구축되어 있는 자재 생산 설비에 대해서도,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 해당 생산 공정에 대한 수행 및 특정 시점에 자재에 대한 회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는,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 자재의 일면에 대한 생산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자재에 대한 회전을 위한 특정 시점이 도래할 시, 상기 자재의 회전으로 인한 상기 자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그립 또는 상기 자재의 회전 후 그립 해제를 하는 그립퍼부, 상기 자재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수용하는 회전구동 풀리부 및 상기 그립퍼부 및 상기 회전구동 풀리부를 지지하며, 상기 동력을 상기 그립퍼부에 전달하여 상기 자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는 상기 자재 생산 설비 내의 컨베이어 레일과 장착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구동 풀리부는 상기 자재의 회전을 특정 각도로 수행하며, 상기 특정 각도의 변경 시 변경된 특정 각도로 상기 자재의 회전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립퍼부는 상기 자재의 회전을 위한 회전작업 영역으로 상기 자재가 진입할 경우, 상기 회전작업 영역에 위치하도록 하기 자재를 탑재하기 위한 전 후 이동을 더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그립퍼부의 구동을 위한 별도 동력을 상기 그립퍼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구조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자재(예: 기판)을 생산하는 단일의 독립 설비인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 해당 생산 공정에 대한 수행 및 특정 시점에 자재에 대한 회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단일의 자재 생산 설비(예: 단일의 기판 생산 설비)만을 통해서도 자재의 다면에 대한 부품 실장 등의 작업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자재 생산 공정을 위해 소요되는 설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정 라인을 축소하는 것과 공정 시작에서 공정 종료까지 소요되는 공정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재 회전 장치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구동 풀리부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부의 일부분에 대한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부에 대한 다른 부분에 대한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하우징부의 단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부의 배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그립퍼부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드립퍼부의 단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그립퍼부의 단면을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재 회전 장치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구동 풀리부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부의 일부분에 대한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부에 대한 다른 부분에 대한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하우징부의 단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부의 배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그립퍼부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드립퍼부의 단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그립퍼부의 단면을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시스템은 소정의 자재를 생산하는 단일의 독립 설비인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 자재에 대해 행해지는 해당 생산 공정에 대한 수행과 함께 자재 생산 설비 내로 자재가 진입한 특정 시점에 자재를 회전하는 공정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춘다.
즉, 전술된 자재 회전 시스템은 자재 생산 설비 내에 회전부, 컨베이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이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전술된 자재가 기판인 경우를 일례로 하여 상술하고자 하며, 이에 따라 자재 생산 설비 또한 기판 생산 설비인 것으로 명명하여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먼저, 전술된 회전부는 본 발명의 회전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이는 양면용 기판을 기판의 상면에서 기판의 하면으로 반전하거나, 기판의 하면에서 기판의 상면으로 반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회전 장치(100)는 재질의 특성 및 재질에 대해 수행하기 위한 작업 특성을 고려하여 재질을 180˚ 반전하는 것이 아닌 특정 각도로 회전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 장치(100)는 기판 생산 설비 내에서 부품 실장 및 디스펜싱과 같은 기판 생산 설비 고유의 생산 공정이 수행되는 도중에 함께 회전 기능을 수행하여야 하는바, 기판 생산 설비 고유의 생산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기판 생산 설비 내의 내부 구조와 상응하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회전 장치(100)는 기판 생산 설비 내의 컨베이어부에 장착될 뿐만 아니라, 이외 다른 종류의 자재 생산 설비에도 용이하게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모듈로서, 특정 규격에 한정적으로 구현되는 형태가 아닌 범용으로 장착 가능한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장치(100)는 이미 구축된 기판 생산 설비 내의 컨베이어부에 추가로 장착되거나, 필요에 따라 컨베이어부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회전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동 풀리부(110), 하우징부(120) 및 그립퍼부(130)를 포함하는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회전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체적인 형태의 일실시 예로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할 때, 회전구동 풀리부(110)는 기판을 회전하기 위한 특정 시점이 도래할 시, 외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은 후 제공받은 동력을 기판의 회전에 적용할 수 있다.
회전구동 풀리부(11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벨트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 다른 예로 기어 맞물리 구조 또는 CAM 구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전구동 풀리부(110)에 자체 구동원이 직접 연결되는 구조로도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회전 장치(100)의 하우징은 회전구동 풀리부(110) 및 그립퍼부(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회전구동 풀리부(11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그립퍼부(130)에 전달하여 최종적으로 기판의 정확한 회전을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회전 장치(100)의 하우징은 그립퍼부(130)의 전 후진을 위한 구동력을 그립퍼부(130)에 전달하여 최종적으로 기판의 정확한 전진 또는 후진을 지지하는 구조 또한 갖출 수 있다.
여기서, 그립퍼부(130)의 전진 또는 후진을 위한 구동력은 공기 또는 유체를 통한 압력 전달을 통해 구현되거나, 압력 전달 구조 및 스프링 배치를 통해 그립퍼부(130)의 전진 또는 후진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그립퍼부(130)의 전진 또는 후진을 위한 구동력이 공기 또는 유체를 통한 압력 전달을 통해 구현되는 경우, 구동력이 제공되는 압력 전달 경로 상에 압력을 증가함에 따라 압력 전달 경로 상에 위치되어 있는 가이드 샤프트를 외부로 밀어내어 그립퍼부(130)의 전진 이동을 구현하고, 구동력이 제공되는 압력 전달 경로 상에 압력을 감소시킴에 따라 압력 전달 경로 상에 위치되어 있는 가이드 샤프트를 내부로 끌어들여 그립퍼부(130)의 후진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그립퍼부(130)의 전진 또는 후진을 위한 구동력이 공기 또는 유체를 통한 압력 전달 구조 및 스프링 배치가 결합 된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구동력이 제공되는 압력 전달 경로 상에 압력을 증가함에 따라 압력 전달 경로 상에 위치되어 있는 가이드 샤프트를 외부로 밀어내어 그립퍼부(130)의 전진 이동을 구현하고, 이후 상기 가이드 샤프트를 다시 내부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압력 전달 경로 상에 제공되던 압력을 중단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끝단에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의 반발력 작용에 의해 상기 가이드 샤프트를 하우징 내부로 이동시켜 그립퍼부(130)의 후진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그립퍼부(130)의 전진 또는 후진을 위한 구동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 및 스프링력을 사용한 구조 외에 별도의 구동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4, 도 5,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회전 장치(100)의 하우징은 그립퍼부(130)의 전진 또는 후진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조를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립퍼부(130)의 그립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 또는 유체의 압력을 그립퍼부(130)로 제공하기 위한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 장치(100)의 하우징은 그립퍼부(130)의 회전을 지지하면서 그립퍼부(130)의 전진 또는 후진을 지지하기 위한 제1 하우징부(120), 및 그립퍼부(130)의 전진 또는 후진을 위한 제1 압력 전달 경로와 그립퍼부(130)의 그립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압력 전달 경로에 각각 압력을 제공하는 제2 하우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장치(100)의 하우징 내부에는 가이드 샤프트 및 그립퍼 압력 공급 샤프트와 연결되어 있는 중앙 회전체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상기 중앙 회전체의 회전 중에도 그립퍼부(130)의 전진 또는 후진이 수행되거나 그립퍼부(130)의 그립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중앙 회전체 주위에 회전용 씰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퍼부(130)는 기판을 회전하는 과정에서 기판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회전 장치(100) 내에 적어도 하나로 구비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립퍼부(130)는 회전 장치(100)의 하우징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압력 전달 경로로부터 압력을 제공받아 전진 또는 후진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회전 장치(100)의 하우징에 구비되어 있는 제2 압력 전달 경로로부터 압력을 제공받아 그립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립퍼부(130)가 압력을 통해 이동하거나 동작하는 방식 외에, 별도의 전기적 또는 기계적인 구동 엑츄에이터를 통해 이동하거나 동작하는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립퍼부(130)의 내부 구조를 압력 전달 방식으로 이루어진 일례를 통해 살펴보면, 제2 압력 전달 경로로부터 전달되는 공기 또는 유체의 압력은 내부 중앙 관으로 유입됨에 따라, 내부 중앙 관으로 유입된 압력이 제1 실린더 로드 및 제2 실린더 로드를 외부로 밀어내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전술된 제1 실린더 로드 및 제2 실린더 로드는 내부 중앙 관으로 유입되는 압력이 차단되거나 감소할 경우, 제1 실린더 로드 및 제2 실린더 로드의 안쪽 끝단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하여 제1 실린더 로드 및 제2 실린더 로드를 내부로 끌어드리는 구조가 가능하다.
그립퍼부(130)의 상단 그립 샤프트와 하단 그립 샤프트를 동시에 안정적으로 이동시켜 기판에 대한 그립을 고정하거나, 기판에 대한 그립을 해제할 수 있도록 렉-피니언 구조가 채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컨베이어부는 프레임, 폭 조절 유닛, 레인 및 디스펜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펜싱 유닛은 기판 생산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세부 공정 유닛들을 모두 일컫는 것으로서, 컨베이어부에 앞서 설명한 회전 장치(100)가 장착될 경우 회전 장치(100) 또한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디스펜싱 유닛은 벨트 이송 유닛, 스톱퍼 유닛, 회전 유닛(즉, 전술한 회전 장치(100)를 일컫음), 크램프 유닛, 센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 생상 장치 내 레인은 단일 레인 또는 다수개의 레인들로 구축 가능하다.
예컨대, 2개의 레인, 즉 전면 레인 및 후면 레인으로 구분될 경우, 각 레인 상에서 기판 생산 공정이 이루어질 것인 바, 전면 레인과 상응하는 디스펜싱 유닛 및 후면 레인과 상응하는 디스펜싱 유닛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 조절 유닛은 기판의 크기에 따라 각 레인을 이루는 고정 레인 파트 및 이송 레인 파트 간의 프레임 폭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이송 레인 파트를 위 정해진 프레임 폭으로 이동하기 위해 이송 가이드 유닛, 모터, 풀리 및 벨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추고 있다. 이외 각종 I/O 보드, 솔레노이드 벨브, 센서 엠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벨트 이송 유닛은 구동자, 풀리 및 벨트를 포함하며, 기판 생산 공정 중에 기판의 추가 진입 또는 반출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스톱퍼 유닛은 기판의 실장 또는 디스펜싱을 위한 작업 영역에 기판을 정지키거나, 기판의 회전을 위한 작업 영역에 기판을 정지시킨다.
크램프 유닛은 기판을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역할을 하며, Back Up Table과 연동하여 기판 상면이 기판 크램프 커버 하면에 닿을 때까지 상승하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프레임이라 함은 컨베이어부를 이루기 위한 기본 구조를 갖출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기판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기판 이동 안내 가이드 형성 또는 유닛을 구비하며, 이와 같은 프레임 지지 구조를 통해 각종 I/O 보드 및 압력 유닛 등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레인은 고정 레인 파트 및 이송 레인 파트로 구분 가능하다.
여기서, 고정 레인 파트에는 기판의 인입 및 인출을 감지하는 기판 센서, 기판을 반송을 위한 벨트 및 모터, 기판의 이동 안내를 위한 기판 이동 가이드 유닛, 기판을 정해진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퍼 유닛, 기판의 회전을 위한 회전 유닛, 고정 레인 파트 및 이송 레인 파트 간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판에 대한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기판을 고정하고 해당 작업의 완료 후 기판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크램프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송 레인 파트에는 전술한 고정 레인 파트와 상응하는 배치로 구성되며, 고정 레인 파트와 이송 레인 파트 간의 폭 조절을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양 레인 파트 간의 이송 안내 가이드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는 기판이 기판 생산 장치 내로 진입된 이후 기판 상면에 대한 부품의 실장 또는 디스펜싱을 수행한 후 기판 후면에도 부품의 실장 또는 디스펜싱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를 위하여 기판을 고정하던 크램프를 해제하고, 기판 회전을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해진 위치로 기판을 이동하는 제어를 한다.
또한, 제어부는 기판의 반송 이후 기판을 회전하기 위해, 기판에 대한 그립 처리 후 첫 번째로 컨베이어부의 양 레인 간의 폭을 조절하고, 이후 두 번째 양 레인 간의 폭이 조절이 완료되면 두 번째로 앞서 설명한 회전 장치(100)를 이용하여 기판 회전을 수행하는 제어를 한다.
아울러, 제어부는 기판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신호를 토대로 기판 생산 장치 내로 추가 인입되는 기판의 위치를 판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는 기판 생상 장치 내에서 기판에 대한 실장 또는 디스펜싱의 작업을 수행한 후 기판의 회전을 수행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시 이에 대한 공정 처리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기판 생산 장치 내에서 기판에 대한 생산 공정 수행 및 기판 회전 공정을 수행하는 도중에도 지속적으로 기판 생산 장치 내로 작업 전 기판이 인입될 수 있음에 따라, 추가 인입되는 기판의 위치가 기 정해진 공정 속도로 현 작업 중인 기판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경우에는 추가 인입되는 기판에 대한 처리에 에러 발생이 초래될 것을 감안하여 현 작업 중인 기판의 회전 공정에 대한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기판 생산 장치 내 단일 레인 상에서 기판의 상면에 대한 실장 및 디스펜싱 작업을 완료한 후 회전 장치(100)를 이용하여 기판 회전을 수행한 다음, 이후 기판의 후면에 대한 실장 및 디스펜싱 작업을 완료하여 양면 모두에 작업 완료된 기판을 인출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된 제어 방식은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 가능하다.
일례로, 기판 생산 장치 내 2개의 작업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제1 작업 영역에 기판이 통과할 시 기판 상면에 대한 실장 및 디스펜싱 작업이 수행되고, 이후 제1 작업 영역을 거친 기판 회전 영역에 위치한 회전 장치(100)를 이용하여 기판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후 제2 작업 영역에 기판이 통과할 시 기판 후면에 대한 실장 및 디스펜싱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판 생산 장치 내 1개의 작업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작업 영역에 기판이 통과할 시 기판 상면에 실장 및 디스펜싱 작업을 수행한 후 전술된 작업 영역 이후에 위치한 기판 회전 영역에서 기판 회전이 이루어지고, 기판을 전술된 작업 영역으로 역 이동시켜서 전술된 작업 영역에서 재차 기판 후면에 대한 실장 및 디스펜싱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재차 기판 회전 영역을 경유하게 되는 기판에 대해 재차 기판 회전을 실행함에 따라 기판 생산 장치 내로 인입될 당시의 기판 배열 방향(즉, 기판이 상면으로 놓여진 상태)으로 기판을 인출하거나, 필요에 따라 재차 기판 회전 영역을 경유하게 되는 기판에 대해서는 재차 기판 회전을 수행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기판 생산 장치 내에서의 기판 회전 방법은 기판 생산 장치 내로 인입되어 기판 상면에 대한 부품 실장 또는 디스펜싱이 완료된 후 기판을 회전할지 여부에 대한 판정을 한다.
전술된 단계의 판정 결과, 기판 회전이 요구되는 경우 기판을 고정하고 있던 크램프를 해제하고, 기판을 회전하기 위한 정 위치로 기판을 이동한다.
전술된 단계에서, 기판을 회전하기 위한 정 위치가 레일 상에서의 기판 이동 방향의 역 방향인 경우, 기판을 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기판이 회전을 위한 정 위치에 놓여졌으면 회전 장치(100)를 이용하여 기판을 그립하고, 해당 레일 상의 고정 레일 파트와 이송 레일 파트 간의 폭을 정해진 폭 만큼 확정한다.
이후, 고정 레일 파크와 이송 레일 파트 간의 폭 확장을 통해 기판 회전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면, 재차 회전 장치(100)를 이용하여 기판에 대한 회전을 수행한다.
전술된 단계가 완료되면, 고정 레일 파크와 이송 레일 파트 간에 확장된 폭을 원 위치로 복귀한 후, 회전 장치(100)를 통한 기판에 대한 그립을 해제한다.
이후, 회전된 기판을 실장 또는 디스펜싱을 위한 작업 영역으로 위치 이동시키며, 작업 영역으로 기판이 이동하게 되는 시점에 기판에 대한 크램프 설정을 하여 기판에 대한 작업을 준비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자재(예: 기판)을 생산하는 단일의 독립 설비인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 해당 생산 공정에 대한 수행 및 특정 시점에 자재를 회전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
110: 회전구동 풀리부
120: 하우징부
130: 그립퍼부
110: 회전구동 풀리부
120: 하우징부
130: 그립퍼부
Claims (5)
-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 자재의 일면에 대한 생산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자재에 대한 회전을 위한 특정 시점이 도래할 시, 상기 자재의 회전으로 인한 상기 자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그립 또는 상기 자재의 회전 후 그립 해제를 하는 그립퍼부;
상기 자재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수용하는 회전구동 풀리부;
상기 그립퍼부 및 상기 회전구동 풀리부를 지지하며, 상기 동력을 상기 그립퍼부에 전달하여 상기 자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자재 생산 설비 내의 컨베이어 레일과 장착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그립퍼부는 수평 방향의 아암과 상기 아암의 양단에 한쌍의 그립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그립구조 각각은 상부 그립과 하부 그립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그립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부 그립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자재를 그립하는데,
상기 한쌍의 그립구조 각각은 상기 상부 그립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 가압 수단과, 상기 하부 그립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 가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압 수단이 상기 상부 그립을 가압하는 방향 및 지점과, 상기 제2 가압 수단이 상기 하부 그립을 가압하는 방향 및 지점은 선대칭 형상을 갖는,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 풀리부는 상기 자재의 회전을 특정 각도로 수행하며, 상기 특정 각도의 변경 시 변경된 특정 각도로 상기 자재의 회전을 수행하는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부는 상기 자재의 회전을 위한 회전작업 영역으로 상기 자재가 진입할 경우, 상기 회전작업 영역에 위치하도록 하기 자재를 탑재하기 위한 전 후 이동을 더 수행하는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그립퍼부의 구동을 위한 별도 동력을 상기 그립퍼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구조를 더 포함하는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0131A KR101865614B1 (ko) | 2013-04-11 | 2013-04-11 |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 |
CN201310611543.2A CN104097933B (zh) | 2013-04-11 | 2013-11-26 | 在物料生产设备内把物料加以旋转的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0131A KR101865614B1 (ko) | 2013-04-11 | 2013-04-11 |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3208A KR20140123208A (ko) | 2014-10-22 |
KR101865614B1 true KR101865614B1 (ko) | 2018-06-08 |
Family
ID=51993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40131A KR101865614B1 (ko) | 2013-04-11 | 2013-04-11 |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5614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75129A (en) * | 1987-09-17 | 1989-03-20 | Taiho Seiki Kk | Work carry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45534A (ko) * | 2005-10-27 | 2007-05-02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반전 기능이 구비된 액정 표시 장치용 리페어 장비 및 이의기판 반전 방법 |
KR100754831B1 (ko) | 2007-02-15 | 2007-09-04 | 주식회사 은일 | 인쇄회로기판 반전장치 |
KR101287027B1 (ko) * | 2011-09-26 | 2013-07-17 | (주)코윈테크 | 자동창고용 파렛트 전환장치 |
-
2013
- 2013-04-11 KR KR1020130040131A patent/KR1018656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75129A (en) * | 1987-09-17 | 1989-03-20 | Taiho Seiki Kk | Work carry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3208A (ko) | 2014-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58311B2 (en) | Method and device for machining large sized plates in a numerical control workstation | |
KR101465283B1 (ko) | 중앙정치장치 | |
KR100754831B1 (ko) | 인쇄회로기판 반전장치 | |
JP2009208080A (ja) | ワーク搬送装置 | |
CN108033234A (zh) | 一种板材的自动传输装置 | |
KR101877836B1 (ko) |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 | |
CN212628628U (zh) | 一种机器内置式翻板机构 | |
KR101816089B1 (ko) |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방법 | |
JP4648257B2 (ja) | 被搬送部材の搬送装置及び電子部品の実装装置 | |
KR101865614B1 (ko) |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 | |
JP2603055B2 (ja) | 山形鋼自動搬入移送設備 | |
KR100974864B1 (ko) | 플라즈마 컷팅 장치로 컷팅 대상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 공급장치 | |
KR101665868B1 (ko) | 2열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합금형 장치 | |
CN114952316A (zh) | 双线型单向器输出轴加工线 | |
CN209583029U (zh) | 一种生产设备及其输送线定位机构 | |
JP2009039727A (ja) | 多工程プレス機のワーク搬送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KR101489847B1 (ko) | 일축 다헤드 로봇 | |
CN203765244U (zh) | 双转式夹具结构和多工件型插装设备 | |
JPS6230055B2 (ko) | ||
KR100397976B1 (ko) | 블랭크 가이드 롤러의 자동 위치 제어장치 | |
CN208644558U (zh) | 电磁铁用非标部件自动传送设备 | |
CN113857799B (zh) | 自动组装装置 | |
KR100994782B1 (ko) | 플라즈마 컷팅 자동화 설비 | |
KR20090110538A (ko) | 냉매관 이송장치 | |
JP4047555B2 (ja) | 加工生産ラインにおけるワーク姿勢変換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