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464A - 더빙장치 - Google Patents

더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464A
KR19990023464A KR1019980032246A KR19980032246A KR19990023464A KR 19990023464 A KR19990023464 A KR 19990023464A KR 1019980032246 A KR1019980032246 A KR 1019980032246A KR 19980032246 A KR19980032246 A KR 19980032246A KR 19990023464 A KR19990023464 A KR 19990023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udio
recording
information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4439B1 (ko
Inventor
히라쿠 이노우에
에리코 오사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23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exhibiting advertisements, announcements, pictures or the lik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Indicating means, e.g. sticker, bar co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11B2220/2558CD-XA format, i.e. eXtended architecture extension of the CD-ROM standar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38Visual features other than those contained in record tracks or represented by sprocket holes the visual signals being auxiliary signals
    • G11B23/40Identifying or analogous means applied to or incorporated in the record carrier and not intended for visual display simultaneously with the playing-back of the record carrier, e.g. label, leader, photograp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 센터로부터 분산되거나 더빙 시스템에 설치된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동안 곡의 가사, 타이틀, 화상을 포함하는 정보가 인쇄되는 더빙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더빙 장치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정보 센터에 또는 더빙 장치에 설치된 대량 저장 매체로부터의 어떤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더빙하는 더빙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기록 매체에 더빙된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부를 갖는 더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략 64mm의 직경을 갖고 카트리지 내에 수납된 기록/재생 가능한 디스크 기록 매체인 미니 디스크(상표)라고 하는 광자기 디스크가 알려져 있다.
이 광자기 디스크는 오디오 압축으로서 ATRAC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스테레오로 약 74분 기록할 수 있다.
광자기 디스크는 소형이고 따라서 운반하기 편리하므로, 실외에서 이용하기 쉽다. 또한, 컴팩트 디스크(상표)라고하는 일반적인 오디오 디스크와는 달리, 이 광자기 디스크는 기록 가능하고, 따라서 오디오 데이터를 복제할 수 있다.
대략 5 대 1의 압축비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광자기 디스크에 기록하기 위해, 압축 오디오 데이터가 서버에 변화하지 않고 저장되는 오디오 서버 시스템이 가능하고, 이에의해 복호기와 부호기를 사용하지 않고 고객의 컴퓨터에 적합한 광디스크에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Down load)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오디오 서버 시스템에서는, 압축을 풀지 않고 압축 데이터가 기록되므로, 이 오디오 서버 시스템에 필요한 기록시간은 다시 압축하기 전에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을 푸는 다른 오디오 서버 시스템보다 더 짧다.
상기 오디오 서버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가져온 광자기 디스크를 이 오디오 시스템에 장전한다. 사용자는 오디오 데이터로서 서버에 기록된 것들 중에서 한곡 이상의 원하는 곡을 선택하여 이 선택한 것을 광자기 디스크에 더빙하고, 이에의해 CD(Compact Disc) 등의 패키지 매체와는 다른 곡의 새로운 판매 형태를 실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CD등의 패키지 매체는 곡 컨텐트(Content)에 부가하여 가사 카드, 비평가에 의한 라이너 노트, 표시 사진, 프로듀서의 말을 포함하는 부가가치를 갖고 팔린다.
그런데,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서버로부터 고객에게 분산되는 시스템은 상기 부가가치 없이 곡 컨텐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만 한다. 따라서, 상기 오디오 시스템은 일반적인 패키지 매체에 비해, 컨텐트 제공에서 사용자를 만족시키는데 있어서 부족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적인 패키지 매체보다 우수하거나 같은 부가 가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더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실시된 더빙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제 1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광자기 디스크상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3b, 3c 및 3d는 상기 광자기 디스크상의 클러스터 형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광자기 디스크상의 제어 영역인 U-TOC 섹터 0에 대응하는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광자기 디스크상의 제어 영역인 U-TOC상의 1슬롯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광자기 디스크상의 제어 영역인 U-TOC상의 트랙 모드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광자기 디스크상의 제어 영역인 U-TOC상의 슬롯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광자기 디스크상의 제어 영역인 U-TOC 섹터 1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광자기 디스크상의 제어 영역인 U-TOC 섹터 2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광자기 디스크상의 제어 영역인 U-TOC 섹터 4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기록부(20)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a는 상기 제 1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오디오 송신부(10)와 기록부(20) 사이의 접속의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b는 오디오 송신부(10)로부터 기록부(20)에 송신된 압축 오디오 데이터(ATRAC)와 기록부(20)로부터 오디오 송신부(10)에 송신된 요구신호(Data Req) 사이의 기록부측의 처리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2c는 오디오 송신부(10)로부터 기록부(20)에 송신된 명령 신호(Command)와 기록부(20)로부터 오디오 송신부(10)로 송신된 승인 신호(ACK) 사이에 기록부측의 처리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3은 제 1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록부(20)에서 행해지는 더빙 처리의 순서도이다.
도 14a는 제 1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서버에 저장된 곡의 제어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b는 제 1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광자기 디스크에 기록된 곡 프로그램의 제어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오디오 송신부(10)에서 기록부(20)에 송신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5b는 기록부(20)에서 오디오 송신부(10)에 송신되는 요구신호(Data Req)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5c는 오디오 송신부(10)에서 기록부(20)에 송신되는 명령신호(Command)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5d는 기록부(20)에서 오디오 송신부(10)에 송신되는 승인 신호(ACK)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5e는 기록부측의 처리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6a는 오디오 송신부(10)에서 기록부(20)에 송신되는 명령신호(Command)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6b는 기록부(20)에서 오디오 송신부(10)에 송신되는 승인 신호(ACK)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6c는 기록부측의 처리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6d는 광디스크(D)에 형성된 제어정보(TOC)의 컨텐트(Content)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a는 오디오 송신부(10)에서 기록부(20)에 송신되는 명령신호(Command)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7b는 기록부(20)에서 오디오 송신부(10)에 송신되는 승인 신호(ACK)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7c는 기록부측의 처리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7d는 광디스크(D)에 형성된 제어정보(TOC)의 컨텐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a는 오디오 송신부(10)에서 기록부(20)에 송신되는 명령신호(Command)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8b는 기록부(20)에서 오디오 송신부(10)에 송신되는 승인 신호(ACK)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8c는 기록장치측의 처리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8d는 광디스크(D)상에 형성된 제어정보(TOC)의 컨텐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광디스크(D)에 기록된 컨텐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는 오디오 송신부(10)에서 기록부(20)에 공급된 ATRAC 데이터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0b는 기록부(20)에서 오디오 송신부(10)에 공급되는 요구 신호(Data Req)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0c는 오디오 송신부(10)에서 재생부(41)에 공급된 ATRAC 데이터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0d는 재생부(41)에 의해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0e는 재생부(41)에서 공급되는 요구신호(Data Req)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1a는 기록부(20)가 복수의 ATRAC 데이터를 기록할 때 기록부(20)에 공급되는 ATRAC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b는 기록부(20)가 복수의 ATRAC 데이터를 기록할 때 재생부(41)에 의해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오디오 송신부(10)에서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3은 재생부(41)에서의 모니터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4a는 기록부(20)에 공급되는 압축 오디오 신호인 ATRAC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4b는 재생부(41)에 의해 재생되는 오디오를 모니터한 출력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관련 정보의 특정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2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인쇄 동작에 따른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크 카트리지 및 수납 케이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8a는 제 1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실시된 오디오 더빙 시스템에 인쇄된 라벨이 부착되는 수납 케이스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8b는 제 1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실시된 오디오 더빙 시스템에 인쇄된 라벨이 부착되는 수납 케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9는 제 1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실시된 오디오 더빙 시스템에 인쇄되고 카트리지에 부착되는 라벨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0a는 제 1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실시된 오디오 더빙 시스템에 인쇄되는 가사 카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0b는 제 1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실시된 오디오 더빙 시스템에 인쇄되는 표지카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2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실시된 오디오 더빙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오디오 더빙 시스템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인쇄한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오디오 더빙 시스템 2. 접속케이블
10. 오디오 송신부 11. 주 제어기
12. 서버 13. 조작 패널
14. 인디케이터 20. 기록부
32. 시스템 제어기 41. 재생부
44. 통신용 인터페이스 45. 광디스크 드라이브
46. 관련 정보 재생부 47. 프린터
48. 표시 모니터 49. 스피커
50. 촬영사진부 51. 화상편집부
52. 업로드 시스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그 한 관점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압축 오디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로부터 선택된 원하는 오디오 프로그램을 기록매체에 더빙하는 오디오 더빙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 오디오 더빙 시스템은 메모리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프로그램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공급된 오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관련정보를 인쇄하는 인쇄수단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은 첨부 도면과 연관하여 기재된 설명을 참고하므로써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예에 의해 더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다음은 미니 디스크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성된 오디오 더빙 시스템을 이하에 나타난 순서로 설명하고, 이 오디오 더빙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 1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실시된다.
1. 오디오 더빙 시스템의 구성
2. 미니 디스크의 클러스터 형식
3. U-TOC
4. 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식
5. TOC 정보 송신 방법
6. 오디오 데이터 및 TOC 정보 더빙 동작
7. 오디오 더빙시의 모니터 작동
8. 관련 정보의 인쇄출력
9.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인쇄 출력
1. 오디오 더빙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 1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실시된 오디오 더빙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오디오 더빙작동을 실행하는 기본 부분으로서 오디오 송신부(10)와 기록부(20)를 갖는다. 오디오 송신부(10)는 주 제어기(11), 서버(12), 조작 패널(13) 및 인디케이터(14)를 갖는다. 기록부(20)는 오디오 데이터를 휴대용 기록매체인 디스크(D)에 기록한다. 오디오 송신부(10)와 기록부(20)는 접속케이블(2)로 서로 연결된다.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오디오 송신부(10)의 서버(12)에 오디오 데이터를 미리 저장한다. 사용자는 서버(12)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하나의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를 예를 들면 사용자의 디스크(D)에 기록한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이른바 컴팩트 디스크나 오디오 테이프 등의 기록 매체에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식으로 컨텐트(예를 들면 음악)를 분산하지 않고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가 소유한 기록매체(디스크(D))에 기록하므로써 컨텐트를 분산한다. 예를 들면,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유료 또는 무료로 사용자에게 곡 컨텐트를 제공하기 위해 역 또는 상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또한 예를 들면 컨텐트 관리를 행하기 위해 음악 스튜디오에 설치될 수도 있다.
먼저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의 서버(12)는 오디오 데이터로서 각각 몇분이 걸리는 여러곡과 같은 곡 컨텐트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최신 히트 순위의 톱 100곡이 저장된다. 각각의 곡 컨텐트는 상기 ATRAC에 의거하여 압축 데이터로서 기록된다.
인디케이터(14)를 통해 사용자는 오디오 더빙 시스템(1)에 의해 제공될 컨텐트를 조사하고, 만약 원하는 컨텐트를 찾으면, 조작 패널(13)을 조작하여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선택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디스크(D)를 기록부(20)에 장전하고 기록작동을 시작하도록 조작 패널(13)에 조작을 행한다.
사용자가 기록 시작 조작을 완료하면, 오디오 송신부(10)의 주 제어기(11)는 서버(12)로부터 선택된 컨텐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부(20)에 공급한다. 기록부(20)는 오디오 송신부(10)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스크(D)의 비어있는 영역에 기록한다. 그리고나서, 원하는 컨텐트의 오디오 데이터가 디스크(D)에 기록될 때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컨텐트 공급 조작을 완료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크(D)는 미니 디스크 방식의 디스크이고 5 대 1의 비로 압축된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오디오 데이터가 디스크에 기록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서버(12)에 저장된 ATRAC 오디오 데이터는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을 푸는데 필요한 부호화와 복호화를 할 필요없이 압축한 채로 서버(12)로부터 디스크(D)에 더빙될 수 있다. 이것은 압축을 풀면서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에 비해 오디오 데이터 기록을 위한 시간을 단축시킨다.
도시된 바와같이,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재생부(41), 관련정보 재생부(46), 통신용 인터페이스(44), 광디스크 드라이브(45)를 더 포함한다. 재생부(41)는 복호기(42)와 재생 처리기(43)를 갖는다. 관련정보 재생부(46)는 프린터(47), 표시 모니터(48), 스피커(49)를 갖는다.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오디오 데이터를 디스크(D)에 더빙하고, 동시에 재생부(41), 관련정보 재생부(46), 통신용 인터페이스(44), 광디스크 드라이브(45)를 사용하여 다른 다양한 작동을 행한다. 예를 들면, 디스크(D)에 기록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재생부(41)에 의해 재생되어 스피커 또는 헤드폰에 출력되고 기록될 오디오 데이터의 관련정보는 관련정보 재생부(46)로부터 출력된다. 이 경우에, 오디오 송신부(10)로부터의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일부분은 복호기(42)에 의해 복호화되고, 이에의해 사용자는 더빙될 음악을 검토(또는 모니터)한다.
재생부(41)에서, 복호기(42)는 주 제어기(11)에서 공급된 ATRAC 데이터를 압축해제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결과의 오디오 데이터는 복호기(42)에서 재생 처리기(43)로 공급된다. 재생처리기(43)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와 증폭 처리를 행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재생 처리기(43)에 의해 생성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 또는 헤드폰에 공급되어 오디오 신호로서 출력된다. 재생부(41)는 오디오 데이터를 더빙하는 사용자에 대한 모니터 음성 신호로서의 음성 출력을 가능하게 한다.
통신용 인터페이스(44)는 예를 들면 모뎀 또는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회선용 터미널 아답터이다. 주 제어기(11)는 통신용 인터페이스(44)를 통해 WWW(World Wide Web)사이트로부터 영상정보, 음성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광디스크 드라이브(45)는 비디오 CD, CD-ROM, 또는 DVD 등의 광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이다. 주 제어기(11)는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45)에 의해 예를 들면 CD-ROM에 기록된 영상정보, 음성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관련 정보 재생부(46)의 프린터(47)는 주 제어기(11)로부터 공급된 영상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를 인쇄한다. 표시 모니터(48)는 주 제어기(11)로부터 공급된 영상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 모니터(48)는 오디오 송신부(10)의 인디케이터(14)가 되어도 됨을 주의한다. 스피커(49)는 주 제어기(11)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정보를 출력한다. 스피커(49)는 재생부(41)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헤드폰이어도 됨을 주의한다.
서버(12)는 상기한 바와같이 복수의 컨텐트의 ATRAC 데이터를 저장한다. 서버(12)는 또한 ATRAC 데이터 부분의 목록을 각 컨텐트에 마다 저장하여서 이 부분이 재생부(41)에 공급되어 기록될 때 모니터될 수도 있다.
서버(12)는 또한 각 컨텐트에 대해 컨텐트의 크리에이터(creator)의 사진과 음악의 영상을 저장한다. 서버(12)는 또한 예를 들면 각 컨텐트의 가사와 크리에이터의 이력 등의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한다. 만약 상기 크리에이터 사진 또는 동영상이 비디오 CD 또는 인터넷 홈 페이지에 저장되면, 서버(12)는 또한 상기 비디오 CD의 챕터 번호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저장한다. 즉, 주 제어기(11)는 관련정보로서의 각 컨텐트에 대해 영상정보와 문자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인쇄, 표시 또는 음성의 형태로 관련 정보 재생부로부터 영상과 텍스트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트랙을 디스크(D)에 기록하기 위해, 주 제어기(11)는 ATRAC 데이터를 서버(12)로부터 기록부(20)에 공급할 때 ATRAC 데이터의 소정 부분을 재생부(41)에 공급한다. 이것은 기록부(20)가 ATRAC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안 기록되고 있는 곡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게 해준다. 그런데, ATRAC 데이터는 대략 5 대 1로 압축되므로, 전체 음악을 기록하면서 재생하려고 하면 시간적으로 모든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다. 즉, 예를 들면 5분동안 연주되는 한 곡은 대략 기록에 1분 걸려서, 1분만이 모니터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주 제어기(11)는 기록되는 ATRAC 데이터의 일부분을 추출하고 이 추출된 부분을 재생부(41)에 공급한다.
재생부(41)에 공급되는 ATRAC 데이터는 한 곡의 예를 들면 모두부분, 요약부, 경과부, 또는 종료부분 등의 추출부분이다. 이 추출부분은 미리 서버(12)에 설정된다. 또한, 기록되는 ATRAC 데이터와 직접 관련되지 않은 데이터가 출력을 위해 재생부(41)에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는 기록되는 곡의 크리에이터에 의해 연주된 또다른 곡을 포함한다.
도 1에서, 서버(12)는 오디오 송신부(10)에 설치된다. 또한, 서버(12)는 예를 들면 멀리 위치한 정보 센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주 제어기(11), 인디케이터(14), 조작 패널(13), 기록부(20)는 하나의 수납부에 설치되어 ISDN 또는 전화선에 의해 멀리 있는 서버(12)와 통신하게 한다.
2. 미니 디스크의 클러스터 형식
다음은 데이터의 기록과 재생이 모두 될 수 있는 광자기 디스크를 설명하는데, 이 광자기 디스크는 오디오 더빙 시스템(1)에서 사용하기 위해 기록매체(디스크(D))로서 미니 디스크(상표)라고 하는 형식으로 특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크(D)로서 사용하기 위한 미니 디스크라고 하는 광자기 디스크는 카트리지에 수납된 직경이 64mm인 기록매체이다. 이 광자기 디스크는 오디오 압축으로서 오디오용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가 사용될 때 대략 74분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ATRAC에 의해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스크(D)에 기록하여, 서버(12)에 저장된 컨텐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미리 ATRAC에 의해 압축하고 이와같이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기와 부호기를 사용하지 않고 광디스크(D)에 바로 기록한다(이하, ATRAC에 의해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ATRAC 데이터라 한다). 결과적으로, 오디오 더빙 시스템(1)으로부터 기록부(20)로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하는 접속케이블(2)은 ATRAC 데이터를 전송한다. 접속케이블(2)은 또한 제어명령과 후술하는 디스크(D)의 TOC 정보 등의 명령 데이터(Command)를 송신한다.
다음은 오디오 더빙 시스템(1)에서 사용하기 위한 디스크(D)(또는 미니 디스크)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형식을 설명한다. 디스크(D)에 기록된 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클러스터 단위로 제어된다. 디스크(D)에는, 데이터가 이 클러스터의 정수배로 기입된다. 1클러스터에 기록된 ATRAC 데이터가 재생될 때, 대략 2.04초의 오디오 신호 결과가 재생된다.
1클러스터는 3연결섹터, 1서브 데이터 섹터, 32메인 섹터(ATRAC 데이터와 TOC 정보 기록용)를 포함하여 총 36섹터로 구성된다. 1섹터는 2352바이트의 데이터로 구성됨을 주의한다.
연결 섹터는 에러정정처리가 ACIRC(Advanced Cross-Interleaved Reed-Solomon Code)에 의거한 것이므로 클러스터내에서 에러정정처리의 인터리브가 완료되도록 할당된 섹터이다. 즉, 연결섹터는 데이터가 클러스터 단위로 재기입될 수 있는 에러정정처리에서 인터리브를 고려하여 제공된 디스카드(discard) 섹터이다. 서브 데이터 섹터는 보존 영역을 제공한다.
디스크(D)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운드 그룹이라고 하는 단위로 424바이트의 ATRAC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 사운드 그룹에서, 212바이트의 데이터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우채널 각각에 할당된다. 이 사운드 그룹 단위의 압축 데이터가 압축 해제되면, 좌우채널의 512 샘플과 동일한 데이터가 얻어진다. 이 512샘플의 데이터는 2048바이트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512샘플×16비트×2채널/8 = 2048바이트이다. 이 11사운드 그룹은 도 3b 및 3c에 도시된 바와같이 2섹터로 구성된다.
3. U-TOC
디스크(D)의 기록영역은 ATRAC 데이터가 기록된 프로그램 영역과, 이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가 기록된 U-TOC(User Table of Contents)와, 리드인(Lead-in)영역인 P-TOC(Pre-mastered Table of Contents)로 구분된다.
디스크(D)에서는, 실제 오디오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고 제어정보인 U-TOC정보를 재기입하기만 하므로써 특정곡이 삭제되거나 편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 총 5곡이 기록된 디스크(D)로부터 세 번째 곡이 삭제되어야 한다면, 세 번째 곡은 기록가능 영역으로서 세 번째 곡의 시작 주소 및 종료 주소의 기록된 슬롯을 제어하므로써 재생할 수 없게 된다. 다시말해, ATRAC 데이터를 디스크(D)에 기록하기 위해, 이 U-TOC정보는 동시에 재기입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U-TOC를 설명한다. 오디오 데이터가 디스크(D)에 기록되는 단위는 이하 트랙이라 함을 주의한다. 트랙은 예를 들면 곡의 단위이고 상기 오디오 더빙 시스템(1)에 의해 제공되는 곡 컨텐트에 해당한다.
디스크(D)상의 U-TOC는 U-TOC 섹터 0에서 U-TOC섹터 31까지 32섹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섹터들 중에서, 섹터 0 내지 섹터 4는 이미 설명되었다. U-TOC 섹터 0, 1, 2, 4를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4는 U-TOC 섹터 0에 기록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편의를 위해, U-TOC 섹터 0에 기록된 데이터를 1바이트 슬롯으로 분할한다. 각 슬롯은 도 4의 수직축을 따른 값(x) 0 내지 587과 수평축을 따른 슬롯 번호(y) 1 내지 4 로 식별된다(x = 행, y = 번호). 이것은 U-TOC 섹터 1 이하에 적용된다.
U-TOC 섹터 0은 12바이트의 헤더 데이터로 기록되고, 그 다음으로 슬롯(행 3, 번호1)으로부터 시작하여 3바이트내에 TOC 섹터 0의 주소 정보를 나타내는 Cluster H, Cluster L, Sector가 따른다. 미니 디스크 형식을 나타내는 식별 부호 Mode는 슬롯(행 3, 번호 4)에 기록된다. 슬롯(행 7, 번호 1)으로부터 시작하여, 이 디스크(D)의 제조자를 나타내는 Maker code, 디스크(D)의 모델을 나타내는 Model code, 디스크(D)의 제 1트랙의 트랙번호를 나타내는 First TNO, 최종 트랙의 트랙 번호를 나타내는 Last TNO가 기록된다. 슬롯(행 8, 번호 4)에는, 섹터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Used Sectors가 기록된다. 슬롯(행 10, 번호 4)에는, 디스크(D)의 일련 번호를 나타내는 Disc Serial No가 기록된다.
슬롯(행 11, 번호 1)에서부터 시작하여, 디스크 ID번호를 나타내는 Disc ID, 디스크(D)에 발생된 결함의 주소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주소가 기록된 슬롯을 지시하는 포인터인 P-DFA(Pointer for Defect Area ; 결함 영역용 포인터), 슬롯 사용상태를 지시하는 포인터인 P-EMPTY(Pointer for Empty slot ; 비어있는 슬롯용 포인터), 기록가능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주소가 기록된 슬롯을 지시하는 포인터인 P-FRA(Pointer for Free Area ; 비어있는 영역용 포인터)가 기록된다. 다음으로, 디스크(D)에 기록된 각 트랙의 시작 주소가 기록된 슬롯을 지시하는 포인터 P-TNOn가 슬롯(행 75, 번호 4)까지 포함하여 기록된다. 이 포인터에서, n은 정수 1 내지 255이고 각 트랙의 번호를 나타낸다. 트랙 제어 포인터(P-TNOn)로, P-TNO0 내지 P-TNO255가 제공되고, 이것은 255트랙까지 디스크(D)에 기록되도록 한다.
슬롯(행 78, 번호 1)으로부터 시작하여, 각 트랙의 시작 주소, 각 트랙의 종료 주소, 연결정보(link-P), 트랙모드가 8바이트에 기록되어 1테이블이 된다. U-TOC 섹터 0는 이 시작 주소와 종료 주소가 기록된 255×4×2슬롯(255테이블)을 갖는다. 각 테이블에는, 대응하는 포인터에 의해 지시된 트랙의 시작 및 종료 주소가 기록된다. 상기 포인터(P-DFA, P-EMPTY, P-FRA)에 기록된 값들은 각각 255슬롯 중 하나를 나타낸다.
각 슬롯의 시작 및 종료 주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3바이트 = 24비트의 데이터로 표현된다. 이 시작 및 종료 주소는 첫 번째 14비트에는 클러스터 주소로, 그 다음 6비트에는 섹터 주소로, 마지막 4비트에는 사운드 그룹 주소로 구성된다.
트랙 모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1바이트 = 8비트의 데이터로 표현된다. 이 트랙 모드는 비트 1에 기록 보호 정보, 비트 2에 복제 보호 정보, 비트 3에 생성정보, 비트 4에 오디오 정보, 비트 5와 6에 삭제 저장정보, 비트 7에 모노 또는 스테레오 정보, 비트 8에 강조정보가 기록된다. 즉, 이 트랙모드는 각 트랙에 고유한 관련정보를 저장한다.
연결정보(P-Link)는 만약 동일 트랙이 연속적인 데이터 스트림으로 디스크(D)에 기록되지 않으면, 즉 동일 트랙이 분리된 식으로 디스크(D)의 기록 영역에 기록되면, 그 시작 주소로부터 그 다음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지시하는 포인터이다. 예를 들면, 만약 1트랙을 재생할 때, 슬롯(행 586, 번호 1)의 테이블의 시작 주소로부터 기록된 데이터가 슬롯(행 78, 번호 1)으로부터 테이블에 표시된 종료 주소 다음에 재생되어야 하면, 슬롯(행 80, 번호 4)의 연결정보(Link-P)는 슬롯(행 586, 번호 1)을 지시한다.
즉, 디스크(D)에, 데이터가 항상 연속적인 형태로 또는 연속적인 데이터 스트림으로 기록될 필요는 없다. 연속적인 데이터 열이 분리된 방식으로 기록될 수도 있다. 분리 기록은 또한 이 연결정보(P-Link)에 의해 데이터의 연속성을 지시한다. 재생시에, 판독 데이터를 메모리에 일단 저장하여 메모리에의 기입 속도가 메모리로부터의 판독속도보다 빠르면 중단없이 연속적인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기록된 프로그램 보다 짧은 데이터가 기록 데이터에 겹쳐서 쓰여지면, 초과 부분은 삭제될 필요가 없고, 효율적인 기록을 위해 기록 가능 영역(P-FRA)으로서 지정될 수 있다.
다음은 도 7을 참고로, 포인터(P-FRA)의 일예를 사용하여 기록가능 영역인 분리 영역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만약 U-TOC0의 기록 가능영역을 제어하는 슬롯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P-FRA)에 예를 들면 03h가 기록되면, 이 03h에 대응하는 슬롯으로의 접근이 가장 먼저 이루어진다. 03h는 슬롯(행 82, 번호 1)으로부터 8바이트의 영역(테이블)을 지시함을 주의한다.
포인터의 값은 이 값을 사용하여 소정의 연산을 행하므로써 특정 슬롯을 지시한다. 즉, 포인터 값을 P로 놓으면, 바이트 위치는 304 + P×8로 지시된다. 따라서, 상기 03h는 304 + 3×8이고, 이것은 슬롯(행 82, 번호 1)의 바이트 위치(82×4 = 328)와 동일하다. 각 포인터와 각 연결정보는 이런 형태의 슬롯을 나타낸다.
슬롯(03h)에 기록된 시작 주소 및 종료 주소는 디스크에 기록된 트랙의 한 부분의 시작 주소 및 종료 주소를 지시한다. 슬롯(03h)에 기록된 연결정보는 그 다음의 슬롯 번호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18h가 기록된다.
슬롯(03h)의 연결정보에 의해 지시된 슬롯(18h)의 시작 주소 및 종료 주소에 의해 규정된 범위는 기록가능 영역으로 판단된다. 또한, 슬롯(18h)의 연결정보에 지시된 슬롯(1Fh) 다음으로, 슬롯(1Fh)의 시작 주소 및 종료 주소에 의해 규정된 범위는 기록가능 영역으로 판단된다. 또한, 슬롯(1Fh)의 연결정보에 기재된 슬롯(2Bh) 다음으로, 슬롯(1Fh)의 시작 주소 및 종료 주소에 의해 규정된 범위는 기록가능 영역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슬롯은 연결정보가 (00h)가 될 때까지 연결정보에 기록된 슬롯 주소를 따르므로써 슬롯이 계속된다.
따라서, 포인터(P-FRA)에 의해 지시된 슬롯으로부터 시작하여, 슬롯들은 연결정보가 0(= 00h)이 될 때까지 계속되어, 이에의해 디스크에 분산적으로 기록된 비어있는 영역들로서의 부분들을 메모리상에서 연결한다. 상기 설명에서, 포인터(P-FRA)는 일예로 사용된다. 포인터(P-DFA, F-EMPTY, P-TNO0 내지 P-TNO255)가 또한 분산적으로 기록된 부분들을 연결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포인터(P-TNO0 내지 P-TNO255)의 경우에, 1트랙을 구성하는 디스크에 분산적으로 기록된 부분들은 메모리에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U-TOC 섹터 1에 기록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U-TOC 섹터 1에서는,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트랙의 타이틀과 디스크 전체의 타이틀이 관리된다. 광디스크(D) 전체의 타이틀은 기록된 트랙이 음성 데이터이면, 앨범 타이틀 및 크리에이터명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각 트랙의 타이틀은 곡명과 동일하다.
각 트랙의 문자 정보는 슬롯(행 12, 번호 2)으로부터 포인터(P-TNAn)(n은 2 내지 255)로 지시된 슬롯에 기록된다. 만약 너무 많은 문자가 있으면, 문자 정보는 연결정보를 사용하여 복수의 연결된 슬롯에 걸쳐 기록된다.
도 9는 U-TOC 섹터 2에 기록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U-TOC 섹터 2에서는,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각 프로그램의 기록일시가 상기 U-TOC 섹터 0와 동일한 방식으로 관리된다. 즉, 각 트랙의 기록일시 등이 슬롯(행 12, 번호 2)으로부터 포인터(P-TRDn)(n은 1 내지 255)에 의해 지시된 슬롯에 기록된다.
도 10은 U-TOC 섹터 4에 기록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U-TOC 섹터 4에서는,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각 트랙의 타이틀과 디스크 전체의 타이틀이 U-TOC 섹터 1에서와 같이 기록된다. 그런데, U-TOC 섹터 4는 폰트로서 한자, 유럽문자에 의거한 문자 정보용 기록 영역으로서 설정된다. 관리의 형태는 상기 U-TOC 섹터 1과 동일하다. 기록 문자의 형태를 지시하기 위해, char code가 슬롯(행 10, 번호 4)에 기록된다.
4. 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식
다음은 도 1에 도시된 기록부(2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 11을 참고로 오디오 더빙 시스템(1)에 의해 실행되는 더빙 작동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기록부(20)는 램(Random Access Memory)(22)을 제어하기 위해 음성 송신부(10)로부터 데이터가 공급되는 메모리 제어기(21)와,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복호화하는 부호기/복호기(23)와, 자기 헤드(25)를 구동하는 자기 헤드 구동부(24)와, 디스크(D)에 레이저광을 방사하고 이 반사광을 감지하는 광픽업(26)과, 광픽업(26)에 의해 감지된 반사광으로부터 포커스 에러 신호(FE)와, 트래킹 에러 신호(TE), 광자기 재생 신호(MO)를 재생하는 RF증폭기(27)와, 절대 주소를 복호화 하기 위해 RF증폭기(27)로부터의 푸쉬-풀 신호(PP)에 의거하여 광디스크의 안내홈에 형성된 그루브 워블(groove wobble)에 대응하는 신호를 재생하는 주소 복호기(28)와, 디스크(D)를 회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29)와, 디스크(D)의 방사방향으로 광픽업(26)을 구동하는 스레드 기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기록부(20)는 RF증폭기(27)로부터 공급된 포커스 에러 신호(FE)와 트래킹 에러 신호(TE)에 의거하여 포커스 서보, 트래킹 서보, 스레드 서보, 스핀들 서보를 제어하는 서보 회로(31)와 메모리 제어기(21), 부호기/복호기(23), 서보 회로(31)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기(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픽업(26)은 대물렌드를 통해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의 레이저광을 광디스크(D)에 방사한다. 광픽업(26)은 또한 포토디텍터에 의해 디스크(D)로부터 반사된 레이저광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전류를 RF증폭기(27)에 공급한다. 광픽업(26)으로부터 공급된 검출 전류에 의거하여, RF증폭기(27)는 포커스 에러 신호(FE), 트래킹 에러 신호(TE), 광자기 재생 신호(MO), 푸쉬-풀 신호(PP)를 생성한다. RF증폭기(27)는 생성된 포커스 에러 신호(FE)와 트래킹 에러 신호(TE)를 서보 회로(30)에, 생성된 푸쉬-풀 신호(PP)는 주소 복호기(28)에, 생성된 광자기 재생신호(MO)는 부호기/복호기(23)에 공급한다.
공급된 포커스 에러 신호(FE)와 트래킹 에러 신호(TE)에 의거하여, 서보 회로(31)는 광픽업(26)의 2축 기구를 통해 대물렌즈를 구동하여 광자기 디스크에 방사되는 레이저광에 트래킹 및 포커스 서보 제어를 행한다. 서보 회로(31)는 트래킹 에러 신호(TE)에 의거하여, 광픽업(26)이 디스크(D)의 방사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스레드 서보 제어를 행하기 위해 스레드 기구(30)를 구동한다. 서보회로(31)는 디스크의 회전을 검출하는 검출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된 스핀들 에러 신호에 의거하여, 스핀들 모터(29)를 구동하는 스핀들 서보제어를 행하여 디스크(D)를 일정 선속도(CLV)로 유지한다.
주소 복호기(28)는 광디스크(D)의 안내 홈에 형성된 워블링 그루브(Wobbling groove)에 대응하는 이른바 워블 신호(푸쉬-풀 신호(PP))로부터 주소 정보를 재생한다.
디스크(D)로부터 신호를 재생하는 처리로서, 부호기/복호기(23)는 RF증폭기(27)로부터 공급된 광자기 재생신호(MO)를 디지털화하고, EFM(Eight-to-Fourteen Modulation) 방식에 의거하여 디지털화된 신호를 복조하고, CIRC(Cross Interleaved Reed-Solomon Coding) 방식에 의거하여 복조 신호를 복호화한다. 부호기/복호기(23)는 디스크(D)에 신호를 기록하는 처리로서, CIRC방식에 의거한 에러정정부호를 메모리 제어기(21)로부터 공급된 기록 신호에 부가하고 이 결과의 신호를 EFM에 의거하여 변조하고, 이 결과의 변조된 신호를 자기헤드 구동회로(24)에 공급한다.
자기헤드 구동회로(24)는 부호기/복호기(23)로부터 공급된 기록신호에 의거하여 자기헤드(25)를 구동하고 신호 기록을 위해 디스크(D)에 변조 자기장을 인가한다. 신호 기록시에, 광픽업(26)은 고레벨 레이저 출력을 행하여 자기장 정보가 자기헤드(25)에 의해 디스크의 기록 면에 보존된다.
메모리 제어기(21)는 램(22)에 저장된 ATRAC 데이터를 제어한다. 더 구체적으로, 메모리 제어기(21)는 오디오 송신부(10)로부터 공급된 ATRAC 데이터를 램(22)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그리고나서 ATRAC 데이터를 부호기/복호기(23)에 공급한다. 시스템 제어기(32)는 기록부(20), 예를 들면 메모리 제어기(21), 부호기/복호기(23), 서보 회로(31)등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기(32)는 또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하는 오디오 송신부(10)에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회로를 제어한다.
이와같이 구성되어, 오디오 더빙 시스템의 기록부(20)는 오디오 송신부(10)로부터 공급된 ATRAC 데이터를 디스크(D)에 기록한다.
다음은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고로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의 오디오 송신부(10)와 기록부(20)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오디오 더빙 시스템(1)에서, 접속케이블(2)은 오디오 송신부(10)와 기록부(20) 사이에 설치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접속케이블(2)은 오디오 송신부(10)에서 기록부(20)로 ATRAC 데이터를 전송하는 ATRAC 선(2a)과 기록부(20)로부터 오디오 송신부(10)로 ATRAC 데이터 요구신호(Data Req)를 전송하는 Data Req 선(2b)으로 구성된다.
ATRAC 선(2a)을 통해서, 서버(12)에 저장된 컨텐트에 대응하는 ATRAC 데이터가 오디오 송신부(10)의 주 제어기(11)에서 기록부(20)의 메모리 제어기(21)로 전송된다. ATRAC 데이터는 기록부(20)의 램(22)의 크기에 의한 소정의 크기의 단위로 전송된다. Data Req 선(2b)을 통해서, 오디오 송신부(10)의 주 제어기(11)에 ATRAC 데이터를 요구하는 요구선(Data Req)이 기록부(20)의 시스템 제어기(32)로부터 전송된다. 즉, ATRAC 데이터는 소정의 크기의 단위로 전송되므로, 만약 램(22)에 이미 전송되어 기록된 ATRAC 데이터가 모두 디스크(D)에 기록되면, 기록부(20)는 다음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해 이 요구 신호(Data Req)를 오디오 송신부(10)에 공급한다.
이 ATRAC 데이터와 요구 신호(Data Req) 사이의 구체적인 관계가 도 12b의 타이밍 차트에 도시된다. 만약 기록부(20)의 기록상태가 정상이면, 기록부(20)는 먼저 시각(t11)에 요구신호(Data Req)를 오디오 송신부(10)에 공급한다. 요구신호(Data Req)를 수신하면, 오디오 송신부(10)는 시각(t12)에 소정양의 ATRAC 데이터를 기록부(20)에 공급하기 시작한다. 그리고나서, ATRAC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록부(20)는 시각(t13)에 요구신호(Data Req)의 공급을 중지한다.
만약 기록부(20)의 기록상태가 비정상이면, 시각(t14) 내지 시각(t15)에 도시된 바와같이 요구신호(Data Req)는 기록부(20)에서 오디오 송신부(10)에 공급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ATRAC 데이터는 오디오 송신부(10)에서 기록부(20)에 공급되지 않는다. 만약 소정의 시간내에 요구신호(Data Req)가 기록부(20)로부터 공급되지 않으면 오디오 송신부(10)는 기록처리를 중단함을 주의한다.
만약 기록부(20)가 요구신호(Data Req)를 공급하고 시각(t16) 내지 시각(t17)에 도시된 바와같이 소정의 시간내에 오디오 송신부(10)로부터 ATRAC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으면, 기록부(20)는 예를 들어, 기록중지상태와 같은 대기상태에 놓이고, ATRAC 데이터를 기다린다. 그리고나서, ATRAC 데이터가 수신되면, 기록부(20)는 시각(t17)에 도시된 바와같이 데이터의 기입을 시작한다. 만약 기입대기 상태가 소정의 시간동안 계속되면,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어떤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처리를 중단한다.
따라서, 오디오 더빙 시스템(1)에서, 기록부(20)는 오디오 송신부(10)에 ATRAC 데이터에 대한 요구신호(Data Req)를 공급하고 오디오 송신부(10)는 요구된 ATRAC 데이터를 기록부(20)에 보내고, 이에의해 신뢰성있는 ATRAC 데이터 기록을 제공한다.
5. TOC 정보 전송 방식
도 12a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제어 명령 등의 명령 데이터와 TOC 정보를 오디오 송신부(10)에서 기록부(20)에 전송하는 명령선(2c)과 기록부(20)에서 오디오 송신부(10)에 공급되는 명령 데이터에 대한 승인 신호(ACK)를 전송하는 ACK선(2d)을 갖는다.
명령선(2c)은 오디오 송신부(10)의 주 제어기(11)에 의해 생성된 TOC 정보와 각 컨텐트의 ATRAC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등의 명령 데이터를 기록부(20)의 시스템 제어기(32)에 전송한다. ACK선(2d)은 명령 데이터에 의거하여 기록부(20)가 처리를 종료할 때 처리의 종료를 나타내는 승인 신호(ACK)를 기록부(20)의 시스템 제어기(32)로부터 오디오 송신부(10)의 주 제어기(11)에 전송한다.
명령 데이터와 승인 신호(ACK) 사이의 구체적인 관계는 도 12c의 타이밍 차트에 도시된다. 먼저, 오디오 송신부(10)는 시각(t21)에 기록부(20)로 소정의 명령 데이터를 공급한다. 명령 데이터가 공급되면, 기록부(20)는 공급된 명령 데이터에 의거한 처리를 시각(t22)에 행한다. 명령 데이터에 의거한 처리가 종료할 때, 기록부(20)는 시각(t23)에 오디오 송신부(10)에 승인 신호(ACK)를 공급한다. 그리고나서, 이 승인 신호(ACK)가 공급되면, 오디오 송신부(10)는 시각(t24)에 기록부(20)에 리셋 명령을 공급한다. 리셋 명령이 공급되면, 기록부(20)는 시각(t25)에 승인 신호(ACK)의 공급을 중지한다.
명령 데이터가 공급되었더라도, 승인 신호(ACK)가 소정 시간동안 기록부(20)로부터 공급되지 않으면 오디오 송신부(10)는 처리를 중단하고, 약간의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명령선(2c)을 통해 오디오 송신부(10)로부터 기록부(20)에 공급되는 명령 데이터는 이하 표 1에 도시된다.
명령명 명령 데이터 기 능
SETUP 1 기록부(20)를 기록중지 상태에 놓는다
START 2 기록 시작
STOP 3 처리 종료
TOC0info 4 TOC 섹터 0 정보(트랙 크기, 트랙 모드)
TNO 5 트랙번호 지정
ACK-RESET 8 ACK 리셋
ALRIGHT 0b 기록상태 확인
Title 83 타이틀 정보
셋업 명령(SETUP)은 기록부(20)를 기록 대기 상태, 즉 기록중지 상태에 놓는다. 이 셋업 명령(SETUP)이 공급되면, 기록부(20)는 기록 중지 상태에 놓인다. 셋업 명령(SETUP)은 구체적으로 1바이트의 1 데이터로 주어진다.
시작 명령(START)은 ATRAC 데이터의 기록 시작을 지시한다. 시작 명령(START)이 공급되면, 기록부(20)는 ATRAC 데이터를 디스크(D)에 기록하기 시작한다. 시작 명령(START)은 구체적으로 1바이트의 2 데이터로 주어진다.
정지 명령(STOP)은 또다른 명령에 의거하여 기록부(20)에 의해 행해진 처리의 종료를 지시한다. 정지 명령(STOP)이 공급되면, 기록부(20)는 예를 들면 시작 명령(START)에 의해 시작된 기록 처리를 정지한다. 정지 명령(STOP)은 구체적으로 1바이트의 3 데이터로 주어진다.
TOC0 정보 명령(TOC0info)은 디스크(D)의 TOC 섹터 0에 정보의 기록을 지시한다. TOC0 정보 명령(TOC0info)과 이 명령 다음으로 트랙 크기 및 트랙 모드 정보가 공급되면, 기록부(20)는 트랙 크기로부터 기록되는 ATRAC 데이터의 시작 및 종료 주소를 얻고 TOC 데이터를 U-TOC 섹터 0에 기록한다.
본래, U-TOC 섹터 0의 정보는 실행된 기록 작동에 의거하여 기록부(20)에 의해 생성되고 이와같이 생성된 정보는 디스크(D)에 기록된다. 그런데, 만약 복수의 컨텐트의 ATRAC 데이터가 예를 들면 오디오 송신부(10)로부터 공급되면, 복수의 컨텐트 중 하나의 데이터는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기록부에 공급된다. 따라서, 기록부(20)는 TOC 섹터 0의 트랙 정보를 정확하게 생성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각 컨텐트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스트림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 크기와 트랙 모드가 TOC0 정보 명령(TOC0info)으로서 오디오 송신부(10)로부터 공급된다. TOC0 정보 명령(TOC0info)에 의해 지시된 정보에 의거하여, 기록부(20)는 U-TOC 섹터 0의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크(D)에 기록한다. TOC0 정보 명령(TOC0info)은 구체적으로 1바이트의 4 데이터로 주어진다.
트랙 번호 명령(TNO)은 기록된 ATRAC 데이터의 트랙 번호를 지시한다. 트랙 번호 명령(TNO)과 이 명령 다음으로 트랙 번호가 공급되면, 기록부(20)는 예를 들면 그 다음의 타이틀 명령에 대한 처리를 상기 트랙번호에 대해 행한다. 트랙 번호 명령(TNO)은 구체적으로 1바이트의 5 데이터로 주어진다.
리셋 명령(ACK-RESET)은 기록부(20)로부터 공급된 승인 신호(ACK)를 리셋한다. 리셋 명령(ACK-RESET)이 공급되면, 기록부(20)는 승인 신호(ACK)의 공급을 중지한다. 리셋 명령(ACK-RESET)은 구체적으로 1바이트의 8 데이터로 주어진다.
기록상태 조사 명령(ALRIGHT)은 기록부(20)의 기록 상태를 조사한다. 기록상태 조사 명령(ALRIGHT)이 공급될 때, 기록부(20)는 기록이 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있으면 승인 신호(ACK)를 오디오 송신부(10)에 공급한다. 기록상태 조사 명령(ALRIGHT)은 구체적으로 1바이트의 0b 데이터로 주어진다.
타이틀 명령(Title)은 디스크(D)의 U-TOC 섹터 1 내지 4에 기록될 타이틀 정보를 준다. 타이틀 명령(Title)과 이 명령 다음으로 문자열 정보 및 문자 데이터가 공급되면, 기록부(20)는 디스크(D)의 U-TOC 섹터 상의 트랙에 대응하는 타이틀 정보를 기록한다. 타이틀 명령(Title)은 구체적으로 1바이트의 83 데이터로 주어진다.
6. 오디오 데이터 및 TOC 정보 더빙 동작
다음은 도 13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고로 오디오 더빙 시스템(1)에 의한 더빙 처리를 설명한다.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서버(12)로부터 디스크(D)에 기록될 하나 이상의 컨텐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디스크(D)를 기록부(20)에 장전하는 등의 초기 셋업 동작이 완료되면 도 13에 도시된 스텝(F101)에서부터의 처리를 시작한다.
스텝(F101)에서,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사용자에게 인디케이터(14)를 통해 에러 조사가 행해졌는지를 묻는다. 사용자가 조작 패널(13)을 통해을 통해 응답하면, 처리는 스텝(F102)으로 진행한다. 에러조사는 후술한다.
스텝(F102)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명령선(2c)을 통해 기록부(20)에 셋업 명령(SETUP)을 공급한다. 오디오 송신부(10)로부터 셋업 명령을 수신하면, 기록부(20)는 디스크(D)의 기록상태를 기록 중지 상태로 설정하고 ACK선(2d)을 통해 오디오 송신부(10)에 승인 신호(ACK)를 공급한다. 스텝(F103)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승인 신호(ACK)가 기록부(20)로부터 공급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만약 승인 신호(ACK)가 공급된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F105)으로 진행한다. 만약 승인 신호(ACK)가 기록부(20)로부터 공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F104)으로 진행한다. 스텝(F104)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어떤 문제로 인해 기록부(20)가 디스크(D)에 기록하는 것이 방해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인디케이터(14)에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F105)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시작 명령(START)을 명령선(2c)을 통해 기록부(20)에 공급한다. 시작 명령(START)이 공급되면, 기록부(20)는 Data Req 선(2b)을 통해 오디오 송신부(10)에 요구신호(Data Req)를 공급한다. 요구신호(Data Req)가 공급되면, 오디오 송신부(10)는 소정의 크기의 데이터를 기록부(20)에 공급한다. ATRAC 데이터가 공급되면, 기록부(20)는 디스크(D)의 비어있는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만약 복수의 트랙 즉 복수의 컨텐트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면, 오디오 송신부(10)는 ATRAC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기록부(20)에 공급함을 주의한다. 기록부(20)는 디스크의 U-TOC 정보를 예를 들면 외부 메모리에 미리 저장하여, 만약 디스크(D)에의 기록이 실패하면 디스크(D) 상태는 기록 이전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ATRAC 데이터의 기록이 스텝(F105)에서 시작되면, 처리는 스텝(F106)으로 진행한다. 스텝(F106)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기록부(20)의 기록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명령선(2c)을 통해 기록상태 조사 명령(ALRIGHT)을 공급한다. 승인 신호(ACK)가 기록부(20)에서 오디오 송신부(10)로 공급되고 기록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F107)으로 진행한다. 스텝(F107)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기록이 종료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기록이 종료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스텝(F106)으로 되돌아가 오디오 송신부(10)는 기록이 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는지를 조사한다. 즉, 스텝(F106)과 (F107)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기록이 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는지와 기록이 종료하였는지를 조사한다.
만약 기록부(20)에 의한 기록이 비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F106)에서 스텝(F104)으로 진행한다. 이때에, 디스크(D)를 기록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U-TOC 정보는 디스크(D)에 기입된다.
만약 기록이 기록부(20)에 의해 정상적으로 행해진 것으로 판단되어 기록이 종료하면, 처리는 스텝(F107)에서 스텝(F108)으로 진행한다. 스텝(F108)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명령선(2c)을 통해 정지 명령(STOP)을 기록부(20)에 공급한다. 정지 명령(STOP)이 공급되면, 기록부(20)는 ATRAC 데이터 기록 처리를 종료한다. 정지 명령(STOP)이 스텝(F108)에서 공급되면, 처리는 스텝(F109)으로 진행한다.
스텝(F109)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트랙 번호 명령(TNO), TOC0 정보 명령(TOC0info), 트랙 크기 정보, 타이틀 명령(Title), 타이틀의 문자수, 문자 데이터 등의 필요한 TOC 정보를 공급한다.
상기 TOC 정보가 오디오 송신부(10)로부터 공급되면, 기록부(20)는 공급된 TOC 정보에 의거하여 디스크(D)의 U-TOC 섹터 0 내지 섹터 4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U-TOC 섹터 0에 기록된 각 트랙의 시작 및 종료 주소는 TOC0 정보 명령(TOC0info)다음에 공급될 트랙 크기 정보에 의거하여 생성된다. 즉, ATRAC 데이터는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공급되므로, 이 데이터 스트림은 TOC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각 트랙에 대해 데이터 크기로 분할된다.
필요한 TOC 정보가 스텝(F109)에서 공급되면, 처리는 스텝(F110)으로 진행한다. 스텝(F110)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에러조사가 스텝(F101)에서 행해지도록 사용자가 설정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에러조사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F111)으로 진행한다. 만약 에러 조사가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F113)으로 진행한다.
만약 에러 조사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으면, 오디오 송신부(10)는 스텝(F111)에서 에러 조사 명령을 명령선(2c)을 통해 기록부(20)에 공급한다. 에러조사 명령이 공급되면, 기록부(20)는 에러에 대해 기록된 데이터를 조사하기 위해 기록된 ATRAC 데이터를 판독한다. 기록부(20)에 의한 에러 조사가 시작되면, 오디오 송신부(10)는 스텝(F112)에서 에러조사가 종료할 때까지 대기한다. 에러조사가 종료하게 되면, 처리는 스텝(F113)으로 진행한다.
스텝(F113)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기록의 결과를 인디케이터(14)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만약 에러 조사가 기록 데이터의 에러를 지시하면, 에러 메시지가 표시된다. 만약 에러가 기록 데이터에서 발견되면,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기록 이전의 TOC 정보가 디스크(D)에 기록되어 디스크(D)는 더빙 동작 전의 상태로 복귀함을 주의한다. 이 기록 결과가 스텝(F113)에서 표시되면,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상기 일련의 더빙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스텝(F101)에서 스텝(F113)까지의 처리를 행하고, 이에 의해 ATRAC 데이터를 디스크(D)에 신뢰성 있게 기록한다. 스텝(F101) 내지 스텝(F113)의 처리에서, 필요한 TOC 정보는 ATRAC 데이터가 기록된 후에 기록부(20)에 공급됨을 주의한다. TOC 정보는 또한 오디오 송신부(10)가 기록부(20)에 ATRAC 데이터를 공급하기 전에 공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스텝(F109)의 처리는 셋업 동작이 완료한 후 시작 명령(START)이 공급되기 전에, 다시말해 스텝(F103)과 스텝(F105) 사이에 행해진다. TOC 정보는 ATRAC 데이터가 디스크(D)에 기록된 후에 기록되므로, 기록부(20)는 미리 공급된 TOC 정보를 외부 메모리 등에 저장하여야함을 주의한다.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또한 오디오 송신부(10)가 기록부(20)에 ATRAC 데이터를 공급하는 동안 TOC 정보를 공급할 수도 있다. 즉, ATRAC 데이터와 명령을 공급하는 데이터선은 ATRAC 데이터선(2a)과 명령선(2c)으로 구성되므로, 스텝(F106)과 (F107)의 처리와 스텝(F109)의 처리는 동시에 행해질 수 있다. 이 동시 처리는 상기 일련의 더빙 동작에 대해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단축한다. 이 경우에도 또한, 기록부(20)는 외부 메모리에 미리 TOC 정보를 저장하여야 하고 모든 ATRAC 데이터를 기록한 후에 TOC 정보를 디스크(D)에 기록하여야 함을 주의한다.
스텝(F101) 내지 (F113)의 처리에서, 복수의 컨텐트에 대응하는 ATRAC 데이터는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처리되고 TOC 정보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오디오 송신부(10)에서 기록부(20)로 분리하여 공급한다. 또한, 오디오 더빙 시스템(1)에서, 만약 복수의 컨텐트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더라도, 하나의 컨텐트에 대응하는 ATRAC 데이터가 디스크(D)에 기록되고 다음으로 기록된 데이터의 ATRAC 데이터가 생성되어 기록되고 그리고나서 그 다음 컨텐트에 대응하는 ATRAC 데이터가 기록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처리는 각 컨텐트에 대해 스텝(F105) 내지 스텝(F109)까지의 처리 동작이 반복되는 루프를 형성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다음은 타이밍 차트 및 다른 도면을 참고로 디스크(D)에 2곡의 컨텐트의 기록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서버(12)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같이, 타이틀이 Bye-bye이고, 트랙모드(trmd)가 a6이고, 트랙크기가 0002.00.00인 제 1컨텐트과, 타이틀이 Hello이고, 트랙모드(trmd)가 a6이고, 트랙크기가 0010.2f.0a인 제 2컨텐트와, 타이틀이 Morning이고, 트랙모드(trmd)가 86이고, 트랙크기가 0020.1e.00인 제 3컨텐트 등의 많은 컨텐트들을 저장한다.
한편, 사용자가 갖고 있는 디스크(D)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같이, 타이틀이 Emotion이고, 트랙모드(trmd)가 e6이고, 트랙크기가 0011.05.02인 제 1트랙과, 타이틀 이 Dream이고, 트랙모드(trmd)가 e6이고, 트랙크기가 0022.1f.0a인 제 2트랙의 2곡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는 디스크(D)를 기록부(20)에 장전하고, 서버(12)에 저장된 제 2 및 제 3의 컨텐트를 선택하여 더빙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서버(12)에 저장된 제 2컨텐트(타이틀 Hello를 갖는 ATRAC 데이터)와 제 3컨텐트(타이틀 Morning을 갖는 ATRAC 데이터)를 디스크(D)에 기록하기 위해,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처리 동작을 행한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ATRAC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오디오 송신부(10)와 기록부(20) 사이에 전송되는 명령 데이터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먼저 오디오 송신부(10)는 도 15c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각(t31)에 기록부(20)에 셋업 명령(SETUP)을 공급한다. 셋업 명령(SETUP)이 공급되면, 기록부(20)는 도 15e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각(t32)에 기록 중지 상태를 설정하고, 동시에 도 15d에 도시된 바와같이 승인 신호(ACK)를 오디오 송신부(10)에 공급한다. 승인 신호(ACK)가 공급되면, 오디오 송신부(10)는 도 15c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승인 신호(ACK)를 리셋하는 리셋 명령(ACK-RESET) 8을 기록부(20)에 공급한다.
오디오 송신부(10)는 도 15c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각(t33)에 기록부(20)에 시작 명령(START) 2을 공급한다. 이 시작 명령(START)의 공급은 상기 스텝(F105)의 처리에 대응한다. 시작 명령(START)이 공급되면, 기록부(20)는 시각(t34)에서부터 기록 동작을 시작하고, 동시에 승인 신호(ACK)와 요구신호(Data Req)를 오디오 송신부(10)에 공급한다.
시각(t34)에 수신된 요구신호(Data Req)에 의거하여, 오디오 송신부(10)는 소정의 크기 단위의 ATRAC 데이터, 즉 서버(12)에 저장된 제 2컨텐트(타이틀 Hello를 갖는 ATRAC 데이터)와 제 3컨텐트(타이틀 Morning을 갖는 ATRAC 데이터)를 기록부(20)에 공급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소정의 크기의 단위로 ATRAC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해, 오디오 송신부(10)는 시각(t35), (t36), (t37), (t38)에 공급된 요구신호(Data Req)에 의거하여 기록부(20)에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오디오 송신부(10)는 기록부(20)의 기록 상태가 정상인지를 조사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기록상태 조사 명령(ALRIGHT)을 공급한다. 이 기록상태 조사 명령(ALRIGHT)에 의한 기록상태의 조사는 상기 스텝(F106)의 처리에 대응한다. 만약 기록상태 조사 명령(ALRIGHT)에 응답하여 승인 신호(ACK)가 기록부(20)로부터 공급되면, 오디오 송신부(10)는 기록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면, 오디오 송신부(10)는 이 승인 신호(ACK)를 리셋하기 위해 기록부(20)에 리셋 명령(ACK-RESET) 8을 공급한다.
만약 오디오 송신부(10)가 ATRAC 데이터가 모두 기록부(20)에 공급된 것으로 판단하면, 오디오 송신부(10)는 도 15c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각(t39)에 기록부(20)에 정지 명령(STOP) 3을 공급한다. 이 정지 명령의 공급은 상기 스텝(F108)의 처리에 대응한다. 정지 명령(STOP)이 공급되고 공급된 ATRAC 데이터가 모두 디스크(D)에 기록되면,기록부(20)는 시각(t40)에 기록 처리를 종료하고, 동시에 승인 신호(ACK)를 오디오 송신부(10)에 공급한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상기 스텝(F110)에서 오디오 송신부(10)로부터 기록부(20)에 공급되는 TOC0 정보 명령(TOC0info)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구체적으로, 도 16a 내지 도 16c는 오디오 송신부(10)에서 기록부(20)에 공급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고 도 16d는 각 시각에 디스크(D)의 U-TOC 섹터 0의 기록 상태를 나타낸다.
어떤 TOC0 정보 명령(TOC0info)도 공급되지 않을 때, 디스크(D)의 U-TOC 섹터 0는 시각(t51)에 이미 기록된 (타이틀이 각각 Emotion과 Dream인)제 1 및 제 2트랙의 시작 및 종료 주소와 트랙 모드를 기록한다.
시각(t52)에, 오디오 송신부(10)는 더빙된 하나 이상의 컨텐트로서 제 1컨텐트의 트랙모드 및 트랙 크기를 공급한다. 즉, 오디오 송신부(10)는 TOC0 정보 명령(TOC0info) 4와 함께, 타이틀이 Hello이 ATRAC 데이터의 컨텐트 번호(제 1더빙 트랙을 나타내는 1), 도 14a에 도시된 바와같은 이 컨텐트의 트랙 모드 a6, 이 컨텐트의 트랙 크기 0010. 2F. 0a를 공급한다.
더빙된 컨텐트 중 제 1컨텐트(이 경우에, 서버(12)에 저장된 제 2컨텐트의 타이틀이 Hello인 ATRAC 데이터)의 트랙 모드 및 트랙 크기가 공급되면, 기록부(20)는 공급된 정보에 의거하여 U-TOC 섹터 0의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크(D)에 기록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시각(t53)에, 디스크(D)의 U-TOC 섹터 0는 제 1더빙된 컨텐트의 트랙 모드와 시작 및 종료 주소를 기록한다. 두 트랙이 디스크(D)에 이미 기록되어 있으므로, 제 1의 더빙된 컨텐트는 U-TOC 섹터 0에 제 3트랙으로서 관리됨을 주의한다.
상기 U-TOC 처리를 행한 후에, 기록부(20)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같이, 예를 들면 시각(t53)에 승인 신호(ACK)를 출력한다. 승인 신호(ACK)를 수신하면, 오디오 송신부(10)는 승인 신호(ACK)를 리셋하기 위해 리셋 명령(ACK-RESET) 8을 기록부(20)에 공급한다.
시각(t53)다음으로, 오디오 송신부(10)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2더빙된 컨텐트의 트랙 모드 및 트랙 크기를 공급한다. 즉, 오디오 송신부(10)는 TOC0 정보 명령(TOC0info) 8과 함께, 타이틀이 Morning인 ATRAC 데이터의 컨텐트 번호(제 2더빙 트랙을 나타내는 2)와, 이 컨텐트의 트랙 모드 86과, 이 컨텐트의 트랙 크기 0020. 1e. 00를 공급한다.
제 2더빙 컨텐트의 트랙 모드와 트랙 크기가 공급되면, 기록부(20)는 공급된 정보에 의거하여 U-TOC 섹터 0의 정보를 생성하고 디스크(D)에 기록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시각(t54)에, 제 2컨텐트에 대한 트랙모드와 시작 및 종료 주소가 디스크(D)의 U-TOC 섹터 0에 기록된다. 이와같이 더빙된 제 2컨텐트는 디스크(D)상에서 제 4트랙으로 관리된다.
그리고나서 오디오 송신부(10)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각(t55)에 정지 명령(STOP)을 공급한다. 정지 명령(STOP)이 공급되면, 기록부(20)는 미리 공급된 TOC0 정보 명령(TOC0info) 4에 대응하는 처리가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 2더빙 컨텐트에 대응하는 종료 주소 다음으로 어떤 데이터도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나머지 데이터를 삭제한다.
따라서, 시각(t56)에, 이미 기록된 제 1 및 제 2트랙과 Hello의 타이틀과 Morning의 타이틀을 갖는 트랙의 U-TOC0의 데이터가 디스크(D)의 U-TOC 섹터 0에서 관리된다.
도 17a 내지 도 17d와 도 18a 내지 도 18d는 상기 스텝(F109)에서 오디오 송신부(10)로부터 기록부(20)로 공급되는 타이틀 정보 등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구체적으로, 도 17a 내지 도 17c와 도 18a 내지 도 18c는 오디오 송신부(10)에서 기록부(20)로 공급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는 반면, 도 17d와 도 18d는 각 시각마다 디스크(D)의 U-TOC 섹터 1과 U-TOC 섹터 4의 기록 상태를 나타낸다.
도 17d에 도시된 바와같이, 어떤 타이틀 명령(Title)도 공급되지 않을 때 이미 기록된 제 1 및 제 2트랙의 타이틀만이 시각(t61)에 디스크(D)의 U-TOC 섹터1 과 U-TOC 섹터 4에 기록된다.
오디오 송신부(10)는 시각(t62)에 더빙된 컨텐트으로서 제 1컨텐트의 타이틀을 공급한다. 즉, 오디오 송신부(10)는 타이틀 명령(Title)과 함께, ATRAC 데이터의 컨텐트 번호, 공급된 문자수, 이 컨텐트의 타이틀 Hello의 문자 데이터를 공급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17a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디오 송신부(10)는 더빙된 컨텐트 중 제 1컨텐트를 기록부(20)에 알리기 위해 트랙 번호 명령(TNO) 5 다음의 트랙 번호 1를 전송한다. 기록부(20)가 도 17b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랙 번호 명령(TNO)에 대한 처리를 행하고 승인 신호(ACK)를 공급하면, 오디오 송신부(10)는 승인 신호(ACK)를 리셋하기 위해 리셋 명령(ACK-RESET) 8을 공급하고, 그리고나서 시각(t63)에, 타이틀 명령(Title) 83과 함께 문자수 및 문자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한다. 더빙 컨텐트로서 제 1컨텐트의 타이틀이 공급될 때, 기록부(20)는 디스크(D)에 기록처리를 행하기 위해 공급된 정보에 의거하여 U-TOC 섹터 1과 U-TOC 섹터 4의 정보를 생성한다.
만약 타이틀 문자수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면, 처리는 여러회 행해짐을 주의한다. 즉, 4문자의 데이터만이 한번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도 17a에 도시된 문자수가 4인 것으로서 4문자 Hell이 시각(t63)에 공급되고 그리고나서 나머지 문자 o가 시각(t64)에 문자수가 1인 것으로서 공급된다. 따라서, 시각(t65)에는, 제 1더빙 컨텐트(디스크(D) 상의 제 3트랙)에 대응하는 타이틀이 디스크(D)의 U-TOC 섹터 1에 기록된다. 만약 한자 또는 유럽 문자로된 타이틀 정보가 상기 전송 방식으로 공급되면, 기록부(20)는 이 정보에 의거하여 U-TOC 섹터 4의 기록을 행함을 주의한다.
기록부(20)가 제 1컨텐트와 관련된 타이틀 정보의 처리를 완료하면, 기록부(20)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같이 예를 들면 시각(t65)에 승인 신호(ACK)를 공급한다. 오디오 송신부(10)는 승인 신호(ACK)를 리셋하기 위해 리셋 명령(ACK-RESET) 8을 공급하고, 도 18a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각(t66)에, 제 2컨텐트의 타이틀을 공급한다. 즉, 오디오 송신부(10)는 트랙 번호 명령(TNO) 5 다음의 ATRAC 데이터의 컨텐트 번호로서 트랙 번호 2를 전송하여, 기록부(20)에 더빙된 컨텐트들 중 제 2컨텐트의 정보를 알린다. 기록부(20)가 트랙 번호 명령(TNO)에 대한 처리를 행하고 도 18b에 도시된 바와같이 승인 신호(ACK)를 공급하면, 오디오 송신부(10)는 이 승인 신호(ACK)를 리셋하기 위해 리셋 명령(ACK-RESET) 8을 공급하고 타이틀 명령(Title) 83과 함께 문자수 및 문자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한다. 이 경우에, 문자열은 4문자를 초과하는 Morning이므로, 이 문자열은 Morn과 ing의 두 부분으로 전송된다.
제 2더빙 컨텐트의 타이틀이 이와같이 공급될 때, 기록부(20)는 공급된 정보에 의거하여 U-TOC 섹터 1(몇몇 경우에, 섹터 1과 4)의 정보를 생성하고 디스크(D)에 기록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제 2더빙 컨텐트(디스크(D)상의 제 4트랙)에 대응하는 타이틀은 시각(t67)에 디스크(D)의 U-TOC 섹터 1에 기록된다. 그리고나서, 기록부(20)가 타이틀 기록처리를 완료할 때, 오디오 송신부(10)는 시각(t68)에 정지 명령(STOP) 3을 기록부(20)에 공급하여 도 18a에 도시된 바와같이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일련의 처리 동작을 행하므로써,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디스크(D)에 더빙된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U-TOC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즉, 도 19에 도시된 바와같이, 광디스크(D)는 이미 기록된 타이틀 Emotion인 제 1트랙과 타이틀 Dream인 제 2트랙과 함께, 서버로부터 더빙된 타이틀 Hello의 제 3트랙과 타이틀 Morning인 제 4트랙의 TOC 정보 및 ATRAC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오디오 더빙 시스템(1)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ATRAC 데이터와 함께 각 트랙의 트랙 크기를 전송하고, 이 트랙 크기에 의거하여, 기록부(20)는 각 트랙의 시작 및 종료 주소를 디스크(D)에 기록하기 위해 디스크(D)에 기록된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한다. 결과적으로,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트랙을 디스크(D)에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 또한, 기록부(20)는 송신 데이터 스트림에 의한 1트랙으로서 ATRAC 데이터를 디스크(D)에 기록할 수 있고 이 1트랙의 데이터 스트림을 구분하므로써 각 트랙의 시작 및 종료 주소를 기록할 수 있어서, 디스크(D) 효율을 높일 수 있다.
7. 오디오 더빙시의 모니터작동
다음은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의 오디오 송신부(10)와 재생부(41)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도 20a 내지 도 20e는 오디오 송신부(10)로부터 기록부(20)로 공급되는 ATRAC 데이터의 트랙 시작 부분이 재생부(41)에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같이, 오디오 송신부(10)는 기록부(20)로부터 수신된 요구신호(Data Req)에 의거하여 소정의 크기 단위로 ATRAC 데이터를 기록부(20)에 공급한다. 따라서, 만약 예를 들면 1 내지 16블록으로 구분된 ATRAC 데이터가 기록부(20)에 공급되어야 한다면 오디오 송신부(10)는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바와같이 요구신호(Data Req)에 의거하여 블록 단위로 ATRAC 데이터를 공급한다.
오디오 송신부(10)는 도 20e에 도시된 바와같이 재생부(41)로부터 수신된 요구신호(Data Req)에 의거하여 재생부(41)에 소정의 크기의 단위로 ATRAC 데이터를 공급한다. 이때에, 재생부(41)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수신된 ATRAC 데이터에 복호화 및 재생 작동을 행하고, 오디오 송신부(10)에 그 다음의 요구신호(Data Req)를 공급한다. 따라서, 재생부(41)가 요구신호(Data Req)를 공급하는 간격은 데이터 압축비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만약 데이터 압축비가 4 대 1이면, 도 20c 내지 도 20e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간격은 기록부(20)가 요구신호(Data Req)를 공급하는 간격(도 20b참조)의 4배이다.
오디오 송신부(10)는, 재생부(41)로부터 공급된 요구신호(Data Req)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도 20c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록부(20)에 공급되는 선두 부분인 제 1 블록 내지 제 4 블록의 ATRAC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때에, 오디오 송신부(10)는 재생부(41)에 공급될 ATRAC 데이터를 미리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여 재생부(41)로부터 공급되는 요구신호(Data Req)에 의해 요구될 때 재생부(41)에 저장된 데이터를 공급할 수도 있음을 주의한다.
도 21a 및 도 21b는 기록부(20)가 복수의 ATRAC 데이터를 디스크(D)에 기록하면 오디오 송신부(10)로부터 재생부(41)에 공급되는 ATRAC 데이터를 나타낸다. 1트랙의 경우라면, 재생부(41)에 공급되는 ATRAC 데이터는 도 20d에 도시된 바와같다. 복수의 트랙의 데이터 스트림에서, 재생부(41)에 공급되는 ATRAC 데이터는 도 21b에 도시된 바와같다.
상기한 바와같이,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복수의 트랙의 ATRAC 데이터를 1스트림으로 공급한다. 예를 들면, 만약 3트랙이 디스크(D)에 기록되면, 오디오 송신부(10)는 도 21a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트랙 내지 제 3트랙(더빙 트랙은 더빙되도록 선택된 컨텐트를 말한다)을 기록부(20)에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제 1더빙 트랙을 송신하는 동안 오디오 송신부(10)는 제 21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더빙 트랙의 선두 부분의 ATRAC 데이터를 재생부(41)에 공급한다. 그리고나서, 제 2더빙 트랙의 송신이 시작할 때, 오디오 송신부(10)는 제 2더빙 트랙의 선두 부분의 ATRAC 데이터를 재생부(41)에 공급한다. 제 3더빙 트랙의 송신이 시작할 때, 오디오 송신부(10)는 트랙의 송신이 종료할 때까지 제 2더빙 트랙의 선두 부분의 ATRAC 데이터를 재생부(41)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도 20과 도 21에 도시된 바와같이, 재생부(41)에는 대략 1/4의 ATRAC 데이터가 각 더빙 트랙마다 공급되고, 이것은 기록부(20)에 더빙되는 트랙(컨텐트)에 대한 모니터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도 22와 도 23은 하나 이상의 트랙의 ATRAC 데이터가 디스크(D)에 더빙을 위해 오디오 송신부(10)에서 기록부(20)에 공급될 때 오디오 송신부(10)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2는 기록부(20)로의 ATRAC 데이터의 송신을 나타내고 도 23은 재생부(41)로의 ATRAC 데이터의 송신을 나타낸다. 기록작동이 시작할 때, 오디오 송신부(10)는 도 22에 도시된 스텝(F201) 내지 (F207)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F201)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기록부(20)에 공급되는 트랙(더빙 트랙)의 트랙 번호(이하 기록 트랙 번호(WTn)라 한다)를 사용자에 의해 최초로 선택된 트랙에 설정한다. 기록 트랙 번호(WTn)가 설정되면, 처리는 스텝(F202)으로 진행한다.
스텝(F202)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압축 기록 주소(WAn)를 기록되는 트랙,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트랙의 시작 주소에 설정한다. 서버(12)의 주소로서 압축 기록 주소(WAn)가 설정되면, 처리는 스텝(F203)으로 진행한다.
스텝(F203)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기록부(20)로부터의 요구신호(Data Req)에 대해 조사하고 요구신호(Data Req)가 공급될 때까지 이 스텝(F203)에서 대기한다. 요구신호(Data Req)가 공급되면, 처리는 스텝(F204)으로 진행한다.
스텝(F204)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압축 기록 주소(WAn)에 의해 지시된 블록의 ATRAC 데이터를 기록부(20)에 공급한다. 그리고나서, 오디오 송신부(10)는 압축 기록 주소(WAn)를 다음 블록의 주소로 증가시키고, 이때에 처리는 스텝(F205)으로 진행한다.
스텝(F205)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압축 기록 주소(WAn)가 현재 송신되는 더빙 트랙의 종료 주소보다 큰 지를 판단한다. 즉, 오디오 송신부(10)는 이 더빙 트랙의 모든 블록이 기록부(20)에 송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기록처리를 종료한다. 만약 압축 기록 주소(WAn)가 기록되는 트랙의 종료 주소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스텝(F203) 이하의 처리 동작이 반복된다. 만약 압축 기록 주소(WAn)가 이 더빙 트랙의 종료 주소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F206)으로 진행한다.
스텝(F206)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현재 기록 트랙 번호(WTn)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컨텐트(더빙 트랙) 중 최종 컨텐트의 트랙 번호인지를 판단한다. 즉, 오디오 송신부(10)는 더빙되는 모든 트랙이 기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기록 트랙 번호(WTn)가 더빙되는 최종 컨텐트의 트랙 번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스텝(F207)에서, 기록 트랙 번호(WTn)가 갱신된다. 즉, 이미 송신된 더빙 트랙 이후에 공급되는 더빙 트랙의 트랙 번호는 기록 트랙 번호(WTn)에 대입된다. 그리고나서, 스텝(F202) 이하의 처리 동작이 반복된다. 만약 스텝(F206)에서, 기록 트랙 번호(WTn)가 더빙되는 최종 트랙의 트랙 번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ATRAC 데이터가 모든 더빙 트랙에 대해 송신된 것을 나타내어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만약 ATRAC 데이터를 기록부(20)에 공급하는 동안 ATRAC 데이터가 재생처리를 행하기 위해 재생부(41)에 공급되면, 오디오 송신부(10)는 도 22에 도시된 처리와 동시에 스텝(F301) 내지 (F306)의 처리 동작을 행한다.
스텝(F301)에서, 기록처리가 시작할 때, 오디오 송신부(10)는 재생부(41)에 공급되는 트랙번호(이하 재생 트랙 번호(RTn)라 한다)를 더빙 트랙으로서 기록부(20)에 기록되는 트랙의 트랙번호에 설정한다. 재생 트랙 번호(RTn)가 설정되면, 처리는 스텝(F302)으로 진행한다.
스텝(F302)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압축 재생 주소(RAn)를 기록되는 트랙, 즉 스텝(F301)에서 설정된 트랙의 시작 주소에 설정한다. 압축 재생 주소(RAn)가 설정되면, 처리는 스텝(F303)으로 진행한다. 그리고나서, 스텝(F303)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기록되는 트랙이 변화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즉, 오디오 송신부(10)는 스텝(F207)의 처리가 갱신되고 다음 더빙 트랙의 ATRAC 데이터의 기록부(20)로의 송신이 시작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기록 작동으로서의 트랙 변화가 있으면, 스텝(F301) 이하의 처리 작동이 반복된다. 만약 어떤 트랙의 변화도 발견되지 않으면, 처리는 스텝(F304)으로 진행한다.
스텝(F304)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기록이 종료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즉, 오디오 송신부(10)는 스텝(F201)에서 (F207)까지의 처리 동작이 종료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기록이 종료한 것으로 판단되면, 재생처리가 종료한다. 만약 기록이 종료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F305)으로 진행한다.
스텝(F305)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재생부(41)로부터 요구신호(Data Req)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어떤 요구신호(Data Req)도 없으면, 처리는 스텝(F303)으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트랙변화가 발생하였는지나, 기록이 종료하였는지와, 또는 요구신호(Data Req)가 종료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즉, 오디오 송신부(10)는 스텝(F303), (F304), (F305)에서 대기한다. 만약 재생부(41)로부터 요구신호(Data Req)가 있으면, 처리는 스텝(F306)으로 진행한다.
스텝(F306)에서, 오디오 송신부(10)는 압축 재생 주소(RAn)의 블록의 ATRAC 데이터를 재생부(41)에 송신한다. 그리고나서, 오디오 송신부(10)는 압축 재생 주소(RAn)를 그 다음 블록의 주소로 증가시킨다. 처리는 스텝(F303)의 처리 동작을 반복하기 위해 스텝(F303)으로 되돌아 간다.
상기한 바와같이, 오디오 더빙 시스템(1)에서는, 기록부(20)가 ATRAC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안, 재생부(41)는 기록부(20)에 기록된 압축 ATRAC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압축해제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트랙을 디스크(D)에 기록할 때, 사용자는 기록되는 해당 트랙의 오디오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오디오 더빙 시스템(1)에서, ATRAC 데이터의 기록부(20)로의 송신과 ATRAC 데이터의 재생부(41)로의 송신은 오디오 송신부(10)에 의해 독립하여 행해진다. 따라서, 만약 사용자가 예를 들면 제 1더빙 트랙이 기록되고 있는 동안 다음 더빙 트랙을 재생하기를 원한다면, 사용자는 조작 패널(13)을 조작하므로써 제 1더빙 트랙의 재생을 뛰어넘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입력에 의거하여,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스텝(F303)의 처리를 갱신하여 소정의 트랙의 모니터 재생을 뛰어넘도록 스텝(F303)의 처리를 갱신한다. 스텝(F301)에서 재생 트랙 번호(RTn)의 설정을 변경하므로써, 예를 들면 이미 기록된 트랙에 대한 모니터 신호가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더빙 시스템(1)에서, 복수의 트랙의 ATRAC 데이터를 디스크(D)에 기록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기록되는 트랙들 중 어느 하나가 재생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e 및 도 21a 및 도 21b를 참고로, 각 트랙의 선두 부분이 모니터 출력을 위해 재생부(41)에 공급되는 예를 설명하였다. 모니터 출력에 대한 부분은 반드시 선두 부분일 필요는 없다. 다른 부분들도 모니터를 위해 출력될 수 있다. 도 24a와 도 24b는 오디오 송신부(10)에서 기록부(20)로 공급되는 ATRAC 데이터 중 트랙의 임의의 부분이 재생부(41)로 공급되는 예를 나타낸다.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을 사용하여 컨텐트를 제공하는 몇몇 컨텐트 제공자(즉 음악 제공자)들은 사용자가 컨텐트를 디스크(D)에 기록하는 동안 재생되는 부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컨텐트 제공자는 곡의 선두부분, 클라이막스, 후반부분을 재생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상기 경우에, 기록부(20)에 공급되는 ATRAC 데이터 중에서, 도 24a에 도시된 바와같이 소정부분의 주소를 설정한다. 재생부(41)는 공급된 ATRAC 데이터를 도 2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재생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버(12)는 각 저장된 트랙(컨텐트)에 대해 각 트랙에 재생된 유닛(M1, M2 등)의 수와 이 유닛의 주소를 트랙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한다. 오디오 송신부(10)의 주 제어기(11)는 이 트랙 데이터 테이블을 참고하여 재생부(41)에 ATRAC 데이터를 공급한다.
디스크(D)에 트랙 1을 기록하기 위해, 오디오 송신부(10)는 도 25에 도시된 트랙 데이터 테이블을 참고하여 재생부(41)에 주소 0 내지 30을 먼저 공급하고, 그리고나서 주소 200 내지 240을 재생부(41)에 공급하고, 최종적으로 주소 370 내지 400을 재생부(41)에 공급한다. 따라서, 재생부(41)는 도 24b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유닛을 모니터를 위해 재생되는 부분으로서 설정하면, 도 23의 스텝(F306)에서의 재생 주소(RAn)의 갱신이 행해져서 유닛의 부분들이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송신된다. 즉, 오디오 송신부(10)는 도 25에 도시된 트랙 데이터를 참고하여 해당 트랙에 설정된 주소를 얻는다. 얻어진 주소에 의거하여, 오디오 송신부(10)는 스텝(F306)에서 재생 주소(RAn)를 갱신하고, 동시에 ATRAC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송신한다.
오디오 더빙 시스템(1)에서, 다른 트랙의 주소들은 이 트랙을 재생하기 위해 트랙 데이터 테이블에 입력될 수도 있음을 주의한다. 예를 들면, 기록된 곡과 동일한 크리에이터에 의해 연주된 다른 곡이 재생될 수도 있다. 트랙 데이터 테이블은 또한 사용자가 재생되는 부분을 선택하도록 인디케이터(14)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ATRAC 데이터를 재생할 수도 있다.
8. 관련 정보의 인쇄 출력
오디오 더빙 시스템(1)에서, 디스크(D)에 기록된 ATRAC 데이터는 상기한 바와같이 모니터를 위해 재생부(41)에 의해 재생될 수도 있다. 또한, 재생부(41)에 의해 재생하는 대신에, 예를 들면 정지화상, 동화상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은 디스크(D)에 기록되는 ATRAC 데이터의 관련 정보로서 관련 정보 재생부(46)에 의해 재생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서버(12)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같이 압축 데이터로서 트랙 데이터 테이블에 나열된 각 트랙에 대응하는 예를 들면 크리에이터(연주자, 작사가, 작곡가 등)의 사진과 이미지 화상 등을 저장한다.
서버는 또한 가사 및 각 트랙의 크리에이터의 이력을 나타내는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한다.
만약 예를 들면 상기 크리에이터 사진 및 동 화상 등이 비디오 CD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저장되면, 서버(12)는 비디오 CD의 챕터 번호와 URL주소를 저장한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트랙을 디스크(D)에 기록하기 위해, 오디오 송신부(10)의 주 제어기(11)는 ATRAC 데이터가 서버(12)로부터 판독되고 기록부(20)에 기록될 때 도 25에 도시된 관련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응 트랙의 테이블에 나타난 정보의 컨텐트를 관련 정보 재생부(46)에 공급한다.
만약 비트맵 데이터와 압축 데이터로서 화상 데이터가 있으면, 오디오 송신부(10)의 주 제어기(11)는 서버(12)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파일을 얻어서 이 파일을 관련 정보 재생부(46)의 프린터(47) 또는 표시 모니터(48)에 공급한다. 화상 데이터가 공급되면, 관련 정보 재생부(46)의 프린터(47)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조작에 따라 종이에 화상 데이터를 인쇄한다. 프린터(47)에 의해 행해지는 인쇄작동의 구체적인 예는 이하에 설명할 것이다. 한편, 화상 데이터가 공급되면, 관련 정보 재생부(46)의 표시 모니터(48)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조작 등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만약 텍스트 데이터가 있으면, 오디오 송신부(10)의 주 제어기(11)는 서버(12)로부터 텍스트 데이터의 파일을 얻어서 이 파일을 관련 정보 재생부(46)의 프린터(47) 또는 표시 모니터(48)에 공급한다. 텍스트 데이터가 공급될 때, 관련 정보 재생부(46)의 프린터(47)는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조작 등에 의해 종이에 텍스트 데이터를 인쇄한다. 한편, 텍스트 데이터가 공급될 때, 관련 정보 재생부(46)의 표시 모니터(48)는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조작 등에 의해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한다.
만약 비디오 CD 또는 DVD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챕터 번호가 있으면, 관련 정보 재생부(46)의 주 제어기(11)는 예를 들면 광디스크 드라이브(45)로부터 그 챕터 번호를 갖는 영상 데이터를 얻어서 이 영상 데이터를 관련 정보 재생부(46)의 프린터(47), 표시 모니터(48), 스피커(49)에 공급한다. 영상 데이터가 공급될 때, 관련 정보 재생부(46)의 표시 모니터(48) 등은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조작 등에 따른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을 출력한다.
만약 WWW 서버 주소인 URL이 있으면, 오디오 송신부(10)의 주 제어기(11)는 통신용 인터페이스(44)를 통해 예를 들면 해당 인터넷 홈 페이지 등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얻어서 이 얻어진 관련 정보를 관련 정보 재생부(46)의 프린터(47), 표시 모니터(48), 스피커(49) 등에 공급한다. WWW서버 정보가 공급될 때, 관련 정보 재생부(46)의 프린터(47)와 표시 모니터(48) 등은 동화상, 정지화상, 음성, 문자 정보 등을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ATRAC 데이터를 디스크(D)에 기록하는 동안, 서버(12)에 저장된 화상,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 또는 CD-ROM과 비디오 CD등의 다른 기록매체 또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등의 전송매체로부터 관련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ATRAC 데이터를 디스크(D)에 기록하는 동안,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선택된 노래를 하는 크리에이터의 영상 또는 메시지를 표시 모니터(48)상에 표시하거나 노래의 가사나 크리에이터의 프로필을 프린터(47)를 통해 인쇄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CD 또는 DVD용 광디스크 드라이브(45)가 제공되므로,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예를 들면 크리에이터 프로모션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통신용 인터페이스(44)에 의해 전송매체를 통해 크리에이터 정보를 공급할 수 있다.
재생부(41), 표시 모니터(48), 또는 스피커(49)의 출력은 사용자가 디스크(D)에 컨텐트를 더빙하는 동안에만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반면, 프린터(47)로부터 출력된 인쇄 출력은 더빙된 디스크(D)와 함께 사용자가 받을 수 있어서, 디스크(D)에 더빙된 컨텐트의 부가물로서 인쇄 출력에 부가가치가 부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 인쇄출력은 음악 등의 컨텐트가 제공되는 형태에 가치를 부가한다.
도 26은 관련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주 제어기(11)에 의해 처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디스크(D)에 컨텐트를 더빙하는 동안, 사용자는 원하는 관련 정보를 인쇄하여 그 인쇄 출력을 얻기 위해 인디케이터(14)에 표시된 지시에 따라 조작 패널(13)을 조작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련정보를 지정하므로써 인쇄를 지시하면, 처리는 스텝(F401)에서 스텝(F402)으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주 제어기(11)는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조작을 수신한다. 그리고나서 스텝(F403)에서, 주 제어기(11)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고 프린터(47)에 전송하여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관련정보가 인쇄된다. 스텝(F404)에서, 주 제어기(11)는 생성된 인왜 데이터에 따라 프린터(47)에 인쇄 명령을 보낸다. 이 명령에 의거하여 프린터(47)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여,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관련 정보를 종이 카드 또는 라벨의 형태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인쇄 출력은 사용자에 의해 인쇄 출력 선택을 하지 못하도록 각 컨텐트에 대해 미리 정해질 수도 있다.
상기 인쇄 출력은 예를 들면 인쇄 컨텐트와 인쇄 종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관련정보원은 서버(12)에 저장된 상기 테이블, 광디스크 드라이브(45)에 의해 재생되는 광디스크, 또는 통신용 인터페이스(45)를 통해 접속되는 인터넷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조작 패널(13)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또한 관련 정보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관련 정보가 제공되는 형태의 주요 유형은 비트맵 데이터 등의 이미지 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 등의 문자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 데이터들의 컨텐트는, 예를 들어 컨텐트로서의 곡의 타이틀 및 가사, 앨범 타이틀, 크리에이터명, 작사자/작곡자/편곡자/프로듀서명(제작 크레디트), 크리에이터의 이력과 메시지, 곡과 앨범의 해설, 크리에이터 등의 사진, 곡의 이미지 영상, 앨범의 커버 영상만큼 다양하다.
다음으로 이하에 나타낸 형태의 상기 관련 정보의 인쇄 출력을 설명한다.
(a) 미니 디스크용 라벨 인쇄
(b) 가사 카드 또는 커버 카드 인쇄
(c) 비디오 CD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 인쇄
(d) 인터넷 정보 인쇄
(a) 미니 디스크용 라벨 인쇄
본 실시예의 디스크(D)로서 사용된 미니 디스크의 외형도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같다. 기록과 재생이 행해지는 광자기 디스크(D)는 카트리지(72)내에 장착되고 사용자에 의해 꺼내어 질 수 없다. 기록 또는 재생시에, 셔터(73)는 기록/재생장치에 의해 슬라이드되어 디스크(D)가 노출되고, 여기에 광학 헤드 또는 자기 헤드는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한다. 카트리지(72)는 케이스(80)에 수납될 수 있다. 카트리지(72)는 저장 또는 수송을 위해 케이스(80)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크(D)에 기록된 곡 등의 컨텐트는 사용자에 의해 금방 보여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카트리지(72)와 케이스(80)는 사용자에 의해 곡명 등의 정보가 쓰여진 리벨을 사용자가 부착할 수 있는 외부 영역을 갖는다. 즉, 카트리지(72)는 그 측면을 따라 긴 라벨 부착 영역(75)과 상측의 셔터(73)에 걸리지 않는 범위내에 또다른 라벨 부착 영역(74)을 갖는다. 도 28a와 도 28b는 케이스(80)의 상면 및 하면을 나타낸다. 도 28b에 도시된 케이스(80)의 상면은 예를 들면 투명 수지로 형성되는 반면, 도 28a에 도시된 하면은 불투명 수지로 이루어진다. 하면의 대부분은 라벨 부착 영역(81)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이 라벨 부착 영역(74, 75, 81)은 사용자가 타이틀이 기입된 라벨을 라벨 부착 영역(74)에, 기록된 곡명 및 다른 정보가 기입된 라벨을 라벨 부착 영역(75, 81)에 편리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디스크(D)에 더빙이 행해질 때 관련 정보를 사용하여 라벨 부착 영역(74, 75, 81)에 부착가능한 라벨을 인쇄에 의해 생성하고 생성된 라벨을 사용자를 위해 제공한다.
예를 들면, 도 29에 도시된 바와같은 라벨 마운트(mount)(90)가 인쇄지로서 프린터(47)에 제공된다. 라벨 마운트(90)는 라벨 마운트부(94)에 각각 라벨 부착 영역(74, 75, 81)에 적합한 크기를 갖는 라벨(92, 93, 91)을 갖는다.
도 26의 스텝(F402)에서 수신된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조작에 의하여, 주 제어기(11)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라벨 인쇄를 지정하고 인쇄될 라벨에 대한 특정 이미지 및 텍스트 데이터를 선택한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나서, 주 제어기(11)는 예를 들면 도 29에 도시된 바와같은 라벨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29의 경우에, 주 제어기(11)는 라벨(92)로서 타이틀용 텍스트 데이터와 크리에이터명을, 라벨(93)로서 크리에이터 사진 등의 화상 데이터와 더빙된 곡명용 텍스트 데이터를, 라벨(91)로서 크리에이터 사진용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데이터는 프린터(47)로 공급되어 도시된 문자와 화상이 인쇄된 라벨이 부착된 라벨 마운트(90)를 생성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 조작 또는 소정의 정보에 의해, 도 29에 도시된 바와같은 미니 디스크 라벨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사용자는 기록부(20)에 의해 더빙된 디스크(D)를 위한 이 라벨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미니 디스크와 같은 소형 디스크상에서, 라벨 부착 영역(74, 75, 81)은 이에 비례하여 작아지고, 따라서 사용자는 이 라벨상에 이 라벨만으로 문자를 기입하는 것이 쉽지 않다. 결과적으로, 사용자 지정 화상 및 상기 실시된 방식에 의한 텍스트가 기입된 라벨을 생성하는 기능은 매우 높은 부가가치를 제공한다.
(b) 가사 카드 또는 커버 카드 인쇄
프린터(47)에 의한 인쇄 출력은 또한 스티커 라벨이 아니라 일반적인 종이에 행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관련 정보로서의 문자 또는 화상이 사용자에 지정으로서 또는 자동 방식으로 인쇄된 소정의 크기의 인쇄 종이가 마련된다. 도 30a는 더빙 트랙에 해당하는 인쇄된 가사 카드의 예를 나타낸다. 도 30b는 더빙 트랙에 해당하는 크리에이터 사진과 이미지 화상이 인쇄된 커버 카드의 일예를 나타낸다.
관련 정보를 일반 용지에 인쇄할 때, 그 크기는 도 29에 도시된 라벨에서처럼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사, 메시지, 또는 해설 등의 많은 문자에 의해 표현되는 정보가 인쇄될 수 있다. 확실히, 다른 다양한 정보도 인쇄 용지에 인쇄될 수 있다. 인쇄 용지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므로, 다량의 각종 정보가 한번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인쇄 용지는 미니 디스크의 카트리지(72)를 따라 케이스(80)에 맞는 크기로 접혀질 수도 있다.
(c) 비디오 CD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 인쇄
상기한 바와같이, 주 제어기(11)는 서버(12)에 저장된 트랙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더빙하는 동안 광디스크 드라이브(45)가 관련 정보를 재생하도록 하고, 이에의해 더빙되는 트랙과 관련된 비디오/오디오 정보를 표시 모니터(48)와 스피커(49)에 의해 출력한다. 이때에, 사용자는 예를 들면 원하는 영상을 선택하기 위해 조작 패널(13)을 통해 광디스크 드라이브(45)가 탐색, 느린 재생 및 중지 작동을 행하도록 한다. 그리고나서, 주 제어기(11)는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인쇄될 인쇄 데이터로서 프린터(47)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이 구성으로, 더빙되는 곡의 프로모션 영상이 광디스크 드라이브(45)에 의해 재생될 때, 사용자는 더빙된 곡과 함께 원하는 화면의 화상을 얻는다.
(d) 인터넷 정보 인쇄
또한, 주 제어기(11)는 서버(12)에 저장된 트랙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더빙되는 곡과 관련된 인터넷 홈 페이지에 접속하여, 사용자에게 예를 들면 곡 및 이 곡의 크리에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같이 얻어진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표시 모니터(48)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주 제어기(11)는 인쇄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영상 데이터와 문자 데이터를 인쇄 데이터로서 프린터(47)에 공급한다. 이 구성으로 사용자는 더빙된 곡과 함께 예를 들면 더빙된 곡과 이 곡의 크리에이터와 관련된 더 방대하고 최신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다양한 형태의 인쇄 출력이 실용적이다. 다른 형태의 출력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은 컨텐트 단위(즉, 곡의 단위로)로 더빙을 행할 수 있어서, 만약 여러명의 크리에이터에 의한 곡이 더빙되도록 된다면, 인쇄될 앨범 타이틀은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없다. 이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첫 번째 곡의 타이틀이 앨범 타이틀로서 사용되거나 앨범 타이틀용 문자열이 조작 패널(13)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기록된 곡목을 리스트(List)로 인쇄할 때, 더빙 트랙의 타이틀은 간단하게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만약 한 곡 이상의 곡이 새로운 트랙이 더빙되기 전에 디스크(D)에 기록된다면, 이미 기록된 트랙의 타이틀은 새로운 트랙이 더빙된 후에 인쇄 리스트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록부(20)에 디스크(D)의 TOC 정보를 요구하는 주 제어기(11)에 의해 새로운 트랙이 더빙되기 전에 이미 기록된 트랙의 타이틀이 수신될 수도 있다.
9.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인쇄 출력
다음은 상기 오디오 더빙 시스템(1)에 기능들을 추가하므로써 얻어진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1에 도시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부가하여 촬영사진부(50), 화상편집부(51), 업로드 시스템(52)을 갖는다.
업로드 시스템(52)은 예를 들면 곡 제공자가 서버(12)에 저장된 컨텐트로서 ATRAC 데이터와 주소 테이블을 수록할 수 있도록 한다. 곡 제공자는 새로운 곡과 그 관련정보를 서버(12)에 업로드 하고, 이에의해 그 다음으로 사용자가 업로드된 곡을 더빙하고 관련 정보를 인쇄할 수 있도록 한다.
업로드 시스템(52)은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이에의해 특정 곡 제공자에게 한정되지 않는 자유 정보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마추어 뮤지션들은 자작곡을 미니 디스크에 수록하고, 그들의 음악을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을 통해 방출하기 위해 업로드 시스템(52)을 사용하여 그들의 음악을 로드한다. 기록부(20)에 장전된 디스크(D)에 기록된 ATRAC 데이터와 TOC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기록부(20)가 업로드 시스템 기능을 하도록 함을 주의한다.
촬영사진부(50)는 특히 프린터(47)에 의한 인쇄 내용에 다양성을 준다. 촬영사진부(50)는 예를 들면 CCD 카메라를 갖고 예를 들면 오디오 더빙 시스템(1)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사진을 찍는데 사용된다. 촬영사진부(50)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편집부(51)에 의해 편집된다. 주 제어기(11)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는 또한 화상편집부(51)에 입력되어 예를 들면 사진 화상으로 합성된다. 화상편집부(51)에 의해 편집된 화상 데이터는 인쇄될 인쇄 데이터로서 프린터(47)에 공급된다.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면 인디케이터(14) 상의 안내 표시를 보면서 조작 패널(13)을 통해 배경 화상을 선택하여 촬영사진부(50)부가 선택된 배경화상에서 사용자의 사진을 찍도록 한다.
예를 들면, 주 제어기(11)는 인디케이터(14)에 더빙되는 곡의 관련정보로서 몇 개의 화상을 배경 화상으로서 표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한다. 선택이 행해지면, 주 제어기(11)는 사용자에게 사진 촬영을 지시하고 사용자를 촬영한다. 이 결과의 화상 데이터는 화상편집부(51)에 전송된다. 주 제어기(11)는 선택된 배경 화상으로서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편집부(51)에 전송한다. 화상편집부(51)는 사용자의 촬영화상과 배경화상을 합성하고 이 결과의 합성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47)에 전송한다.
프린터(47)는 합성 화상 데이터를 인쇄한다. 만약 사용자가 배경 화상으로서 더빙되는 곡의 크리에이터의 사진을 선택하면, 사용자와 크리에이터를 함께 담은 화상이 도 32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쇄된다. 이 화상 데이터는 또한 마운트에 배열된 라벨에 인쇄되어 사용자가 더 즐길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인쇄 출력의 몇몇 예들을 설명하였다. 사용자가 더빙되는 곡에 대한 관련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인쇄 출력이외의 형태들은 이디스크 자체를 이용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인쇄되는 대상으로서 설명된 화상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는 디스크(D)의 U-TOC 섹터의 소정의 섹터에 기록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TOC 섹터로서 미사용 섹터는 문자 데이터 또는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으로서 할당된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미니 디스크 재생장치에 의해 기록된 문자 데이터 또는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예를 들면 표시모니터 상에 문자 데이터 또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의 프린터를 통해 인쇄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오디오 데이터가 광디스크에 기록되는 예들을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비디오 데이터의 기록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미니 디스크와 같은 광자기 디스크 이외의 어떤 다른 랜덤 액세스 기록매체도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더빙 동작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로서의 정보가 제공될 때, 더빙되는 컨텐트에 대한 관련 정보도 또한 사용자가 얻을 수 있도록 인쇄될 수 있다. 이 새로운 구성으로 더 높은 부가가치의 형태를 제공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관련 정보는 각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여 저장 수단에 저장될 수도 있고, 또다른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고, 또는 통신용 네트워크로부터 얻어질 수도 있다. 이 새로운 구성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가사 카드, 이미지 화상, 사진, 크리에이터 프로필, 크리에이터 메시지, 작곡가/작사가 및 프로듀서의 크레디트 등의 다양한 관련정보가 인쇄되는 정보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에의해 정보 제공자와 사용자 모두를 위한 형태를 제공하여 매우 유용한 정보를 실현한다.
또한, 촬영된 정보를 인쇄 정보로서 이용하므로써 사용자와 더빙된 곡의 크리에이터 모두가 인쇄된 것 등의 사용자 마음에 드는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라벨이 인쇄 용지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타이틀 라벨, 크리에이터명 라벨 등이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는 미니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상에 적절한 라벨 부착 영역에 부착되어, 사용자를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상기 설명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부가 청구항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압축 오디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로부터 선택된 오디오 프로그램을 더빙하는 오디오 더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프로그램을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공급된 오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관련정보를 인쇄하는 인쇄수단과,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더빙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더빙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상기 관련정보를 기록하는 제 2기록매체와,
    상기 제 2기록매체를 재생하고, 상기 수신수단에 접속되는 재생수단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더빙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상기 관련 정보는 통신용 네트워크를 통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더빙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된 화상 정보와 상기 오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상기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편집 동작을 행하는 화상 편집 수단과,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상 편집 수단에 의해 편집된 화상 정보는 상기 인쇄 수단에 의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더빙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상기 관련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기록매체에 더빙되는 상기 오디오 프로그램의 타이틀 정보와 상기 기록매체에 더빙되는 상기 오디오 프로그램의 크리에이터(creator)에 대한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더빙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편집 수단에 의해 편집된 상기 화상 정보가 상기 인쇄수단에 의해 인쇄되는 용지는 라벨을 벗길 수 있도록 된 마운트(mount)와 적어도 일측이 인쇄가능한 라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더빙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상기 기록매체의 케이스의 라벨 부착 영역에 맞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더빙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상기 기록매체의 라벨 부착 영역에 맞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더빙 시스템.
KR1019980032246A 1997-08-08 1998-08-07 더빙장치 KR100574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14748 1997-08-08
JP9214748A JPH1166823A (ja) 1997-08-08 1997-08-08 オーディオダビング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464A true KR19990023464A (ko) 1999-03-25
KR100574439B1 KR100574439B1 (ko) 2006-11-30

Family

ID=1666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246A KR100574439B1 (ko) 1997-08-08 1998-08-07 더빙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388766B1 (ko)
EP (1) EP0896334B1 (ko)
JP (1) JPH1166823A (ko)
KR (1) KR100574439B1 (ko)
CN (1) CN1150540C (ko)
MY (1) MY121285A (ko)
SG (1) SG72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5548A (ja) * 1997-05-29 1999-02-16 Sony Corp オーディオデータの記録方法、記録装置、伝送方法
JPH1166823A (ja) * 1997-08-08 1999-03-09 Sony Corp オーディオダビングシステム
JPH1166824A (ja) * 1997-08-15 1999-03-09 Sony Corp オーディオサーバシステム
WO2001002183A1 (fr) * 1999-07-05 2001-01-11 Sony Corporation Systeme et procede d'impression de donnees, et support d'enregistrement
JP2001043603A (ja) * 1999-07-29 2001-02-16 Pioneer Electronic Corp 音楽機器
JP4269122B2 (ja) * 1999-10-20 2009-05-2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US6983314B1 (en) 1999-10-26 2006-01-03 Sony Corporation Recording mechanism for recording information specified from an external source using capacity information
JP2001195825A (ja) 1999-10-29 2001-07-19 Sony Corp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2001184785A (ja) * 1999-12-24 2001-07-06 Sony Corp ダビング装置
DE10001216A1 (de) * 2000-01-14 2001-08-30 Am Huelse Regina Schulte Verfahren zum Aufbringen von reproduzierbaren Daten
US7190475B2 (en) 2000-03-16 2007-03-13 Nikon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a print and apparatus
JP2001283470A (ja) * 2000-03-31 2001-10-12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システム及び情報記録方法
JP4304888B2 (ja) * 2000-09-04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
US7050376B2 (en) 2000-09-19 2006-05-23 Lg Electronics Inc. Optical disc player and method for reproducing thereof
JP2002216419A (ja) * 2001-01-19 2002-08-02 Sony Corp ダビング装置
JP3932810B2 (ja) * 2001-02-16 2007-06-2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
US7383321B2 (en) 2002-07-09 2008-06-03 Moyer Alan L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between a remote printer and a server
NL1018459C2 (nl) * 2001-07-04 2003-01-08 Fountain Tech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zenden van informatiedragers.
JP2005174397A (ja) * 2003-12-08 2005-06-30 Ricoh Co Ltd 情報記録装置と情報記録方法とプログラム
KR100694084B1 (ko) * 2005-01-21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 방법, 인쇄 제어 방법, 인쇄 장치 및 멀티미디어제공 장치
CN100396091C (zh) * 2006-04-03 2008-06-18 北京和声创景音频技术有限公司 影视剧配音系统及其配音制作方法
JP2010186473A (ja) * 2010-02-02 2010-08-2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9798511B2 (en) * 2014-10-29 2017-10-24 Mediatek Inc. Audio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data transmit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6552A (en) 1984-09-20 1993-06-01 Go-Video, Inc. Video cassette recorder having dual decks for selective simultaneous functions
JPH0650876Y2 (ja) * 1987-03-31 1994-12-21 三洋電機株式会社 光学式オーディオディスク
US4939674A (en) * 1988-04-22 1990-07-03 Engineered Data Products, Inc. Label generation apparatus
JP2701364B2 (ja) 1988-09-22 1998-01-21 ソニー株式会社 Pcmオーディオデータ記録再生装置
US5355302A (en) * 1990-06-15 1994-10-11 Arachnid, Inc. System for managing a plurality of computer jukeboxes
AU663554B2 (en) * 1991-11-22 1995-10-12 Engineered Data Products, Inc. Unique label generation apparatus for entity
EP0574657B1 (en) * 1992-03-11 2000-11-15 Chinon Industries Inc. Label printing apparatus and wordprocessor
JP3358627B2 (ja) * 1992-10-16 2002-12-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
JP2879756B2 (ja) * 1993-12-02 1999-04-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US6463205B1 (en) * 1994-03-31 2002-10-08 Sentimental Journeys, Inc. Personalized video story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JPH0851588A (ja) 1994-08-03 1996-02-20 Sony Corp オーディオビデオ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5793980A (en) * 1994-11-30 1998-08-11 Realnetworks, Inc. Audio-on-demand communication system
US5978551A (en) * 1995-02-28 1999-11-02 Sony Corporation Picture data printing apparatus and print picture data generating apparatus
US5592596A (en) * 1995-06-08 1997-01-07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printing of storage media labels
JPH10505455A (ja) * 1995-06-29 1998-05-26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ラベルの付されたデジタルディスクを調製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5633839A (en) * 1996-02-16 1997-05-27 Alexander; Gregory Music vending machine capable of recording a customer's music selections onto a compact disc
WO1999003102A1 (fr) * 1997-07-08 1999-01-21 Seiko Epson Corporation Appareil a imprimer des etiquettes
JPH1166823A (ja) * 1997-08-08 1999-03-09 Sony Corp オーディオダビング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1034A (zh) 1999-03-17
SG72850A1 (en) 2000-05-23
US20020060811A1 (en) 2002-05-23
CN1150540C (zh) 2004-05-19
EP0896334A2 (en) 1999-02-10
MY121285A (en) 2006-01-28
JPH1166823A (ja) 1999-03-09
EP0896334A3 (en) 2003-11-12
EP0896334B1 (en) 2013-01-09
KR100574439B1 (ko) 2006-11-30
US6388766B1 (en) 2002-05-14
US6529290B2 (en) 200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439B1 (ko) 더빙장치
KR100609503B1 (ko)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KR100570741B1 (ko) 분산시스템, 분산방법,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
KR100643871B1 (ko) 기록 장치
JP424449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US7141732B2 (en) Storing apparatus and storing method for music data
FR2768844A1 (fr) Systeme de duplication, son appareil de commande et procede de commande de duplication
WO2002075741A1 (fr) Gestionnaire de donnees
KR100583760B1 (ko) 기록매체에압축오디오데이터를기록하는방법과장치및압축오디오데이터를송신하는방법
EP0907180A2 (en) Digital signal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thereof,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for use therewith, remote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dubbing system for use therewith
KR100474377B1 (ko) 기록매체에압축음성데이터를기록하는방법과장치및압축음성데이터를전송하는방법
JP2000149386A (ja) 再生装置
JP3921783B2 (ja) オーディオダビング装置
US6345017B1 (en)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suppressing mechanical noise during access of sub data and main data
JP200809781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リントデータ生成方法
JPH09185863A (ja) ディスク装置
CN101055745B (zh) 用于在记录介质上记录压缩音频数据的方法和装置
JP476608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552425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509706B1 (ko) 송신방법 및 송신시스템
JP2004158120A (ja) 録音・再生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
JP2005166131A (ja) 再生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WO2004072976A1 (ja) デジタルデータの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