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396A - 올드햄 커플링으로 케이스에 조립된 건반덮개를 갖는 건반악기 - Google Patents

올드햄 커플링으로 케이스에 조립된 건반덮개를 갖는 건반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396A
KR19990023396A KR1019980031949A KR19980031949A KR19990023396A KR 19990023396 A KR19990023396 A KR 19990023396A KR 1019980031949 A KR1019980031949 A KR 1019980031949A KR 19980031949 A KR19980031949 A KR 19980031949A KR 19990023396 A KR19990023396 A KR 19990023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over
key
case
keyboard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3869B1 (ko
Inventor
사토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시마 세이스케
Publication of KR19990023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8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02C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직립형 피아노는 상측 실(sill)(10f)에 힌지되어 있고 한쌍의 적응성 커플링(13)을 통해 측암(10b)에 접속된 건반덮개(12)을 포함하며, 적응성 커플링 각각은 측암 내에 매설된 회전댐퍼(13b) 및 건반덮개의 회전축(AX1)과 회전댐퍼의 회전축(AX2)간 오정렬을 흡수하도록 건반덮개와 회전댐퍼 간에 접속된 올드햄(Oldham) 커플링(13a/13c/13q)을 갖는다.

Description

올드햄 커플링으로 케이스에 조립된 건반덮개를 갖는 건반악기
이 발명은 피아노와 같은 건반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쌍의 커플링으로 케이스에 조립된 건반덮개(fall-board)를 갖는 건반악기에 관한 것이다.
건반은 건반악기의 없어서는 안될 요소로서 고정 케이스 내에 수용된다. 건반덮개는 고정 케이스에 조립되어, 바람직하지 않은 손상으로부터 건반을 보호한다. 건반덮개는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간에 회전할 수 있으며, 고정 케이스와 건반덮개 사이에 적합한 커플링이 제공되어 있다. 열린 위치에서 건반덮개는 건반을 연주자에게 노출시켜 연주자가 건반을 손가락으로 타게 한다. 반면, 건반덮개가 닫힌 위치로 바뀔 때, 건반은 건반덮개로 덮혀, 바람직하지 않은 충돌로 건반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는다.
여러 가지 커플링이 제안되어 있다. 전형적인 예는 일본 실용신안 공고 번호 5-48238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도 1은 이에 개시된 종래의 회전댐퍼를 예시한 것이다. 한쌍의 회전댐퍼(1)가 건반덮개(2)와 한쌍의 측암(3) 사이에 제공되어 있지만, 종래의 회전댐퍼(1) 하나만을 건반덮개(2)의 일부 및 관련된 측암(3)과 함께 도 1에 도시하였다.
종래의 회전댐퍼는 오일댐퍼(1a) 및 접속기(1b)로 분류된다. 오일댐퍼(1a)는 오일로 채워진 실린더(1c) 및 이 실린더(1c)에 삽입된 회전부재(1d)를 포함한다. 실린더(1c)는 측암(3)에 매설되고, 판(1e)으로 측암(3)에 고정된다. 따라서, 실린더(1c)는 측암(3)에 대해 고정된다. 회전부재(1d)는 실린더(1c)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고, 오일은 회전부재(1d)의 회전운동에 대해 점성저항을 제공한다. 입방형 돌기(1f)는 회전부재(1d)의 상면 상에 형성된다. 반면, 접속기(1b)는 건반덮개(2)의 측면에 부착되고, 슬릿(1g)은 돌기(1h) 사이에 형성된다.
건반덮개(2)를 측암(3)에 조립할 때, 조립자(erector)는 슬릿(1g)을 건반덮개(2)의 양측 상의 입방형 돌기(1f)에 정렬시키고 입방형 돌기(1f)를 관련 슬릿(1g)에 각각 삽입한다. 건반덮개(2)는 측암(3)에 의해서 회전댐퍼(1d)를 통해 공급되고, 회전댐퍼(1)에 의해서 건반덮개는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간에 회전된다.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간 이동에 대한 점성저항이 약하므로, 연주자는 건반덮개를 열린 위치로 쉽게 회전시킨다. 건반덮개가 열린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 회전댐퍼(1)는 점성저항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건반덮개가 키 슬립(key slip)에 충돌로부터 방지하도록 연주자를 돕는다.
종래의 회전댐퍼는 제조자가 종래의 회전댐퍼의 회전축을 건반덮개의 회전축에 쉽게 정렬시킬 수 있어 그랜드 피아노의 건반덮개에 적합하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댐퍼를 직립형 피아노에서 사용하기는 곤란하다. 즉, 직립형 피아노의 건반덮개는 보통 상측 실(sill)에 힌지되어 있고, 따라서 힌지는 건반덮개만큼 길다. 열린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의 이동에 대한 댐핑 효과를 위해 종래의 회전댐퍼를 건반덮개의 측면과 측암 사이에 삽입한다면, 힌지의 회전축을 회전댐퍼의 회전축에 정밀하게 정렬시켜야 한다. 축이 축들으로부터 벗어나면, 건반덮개는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간 회전운동 동안 회전부재(1d)에 휨모멘트가 가해져, 종래의 회전부재가 파손된다. 만약 그렇게 되지 않으면, 피아노 케이스가 파손된다. 직립형 피아노의 건반덮개가 힌지없이 한쌍의 종래의 회전댐퍼에 의해서 지지된다면, 회전부재(1d)에 심한 휨모멘트가 전혀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직립형 피아노의 건반덮개는 그랜드 피아노의 건반덮개만큼 단단하지 않다. 건반덮개가 힌지되어 있지 않으면, 건반덮개는 경년 열화에 기인하여 하향 변형되어, 외양이 나빠진다. 이것은 직립형 피아노에 있어서 힌지는 반드시 필요한 것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종래의 회전댐퍼를 사용하기 어렵다.
종래의 회전댐퍼에 본연의 또 다른 문제는 오정렬 여유가 무시할 정도로 없다는 것이다. 회전부재(1d) 및 접속기(1b)는 작은 돌기 및 좁은 슬릿(1g)에 의해서 결합된다. 이것은 덮개부재의 회전축이 종래의 회전댐퍼(1)의 회전축에 확실하게 정렬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요구조건은 조립자가 경사지게 살짝 미는 것 없이 무거운 건반덮개를 정렬위치에서 유지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힘든 조립작업이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조립자가 건반덮개를 피아노 케이스에 조립할 때, 조립을 위해서 적합한 지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지그를 사용할 수 있다 할지라도, 건반덮개의 회전축과 회전댐퍼의 회전축간 정확한 정렬은 조립자에게 어려운 작업을 요구한다. 따라서, 작은 여유 하에서 조립작업은 조립자에게 힘겹다.
일본 특허 공개번호 제63-55592에 개시된 또 다른 종래의 회전댐퍼는 한쌍의 기어를 갖는다. 기어는 회전부재 및 접속기의 돌기에 각각 접속되어, 서로 맞물린다. 한쌍의 기어에 의해서 접속기, 즉 건반덮개는 회전부재 주위로 회전하게 되고, 한쌍의 기어는 건반덮개의 회전축과 회전부재의 회전축간 어긋남을 흡수한다. 그러나, 한쌍의 기어는 극히 작은 어긋남을 흡수할 뿐이다. 즉, 조립을 위한 여유가 극히 작아, 조립작업이 조립자에게 여전히 힘들다. 따라서, 일본 특허 공개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회전댐퍼는 제작비용과 조립작업의 어려움으로 직립형 피아노에 할용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경제적인 적응성 커플링에 의해서 건반덮개를 케이스에 접속시킨 건반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회전댐퍼를 분해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피아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직립형 피아노에서 사용된 적응성 커플링을 분해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건반덮개에 부착된 적응성 커플링의 필수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건반덮개와 측암 사이에 삽입된 적응성 커플링을 도시한 부분절단 평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적응성 커플링 내에 포함된 회전댐퍼를 형성하는 실린더와 회전부재간 상대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피아노 케이스 구조물 10b : 축암
11 : 건반 12 : 건반덮개
13 : 커플링 13a : 소켓부재
13b : 회전댐퍼 13c : 유동 컴 부재
13d : 돌기부 13e : 고리부
13h : 원형홈 13j : 돌기
13k : 채널 13m : 실린더
13n : 회전부재 13q : 판형상 돌기
14 : 힌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경제적인 적응성 커플링으로서 올드햄(Oldham)의 커플링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라서, 개구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개구에 노출되는 건반, 상기 건반을 연주자에게 노출시키는 열린 위치와 상기 건반을 덮기 위한 닫힌 위치간에 변경되는 건반덮개 조립체, 상기 건반덮개 조립체 및 상기 케이스 중 하나에 부착되고, 상기 열린 위치에서 상기 닫힌 위치로 상기 건반덮개 조립체의 회전운동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는 한쌍의 회전댐퍼, 및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건반덮개 중 다른 하나와 상기 한쌍의 회전댐퍼 사이에 접속된 한쌍의 올드햄(Oldham) 커플링을 적응성 커플링을 포함하는 건반악기가 제공된다.
건반악기의 특징 및 잇점은 첨부한 도면에 관련하여 취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의 도 2, 도 3 및 도 4에서, 본 발명을 실현하는 직립형 피아노는 크게 피아노 케이스 구조물(10), 피아노 케이스 구조물(10) 내에 수용된 건반(11), 피아노 케이스 내부에 신장되어 있는 복수 세트의 스트링(도시생략), 키 액션 기구(도시생략) 및 피아노 케이스 구조물(10)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스트링 세트를 타격하기 위해 건반(11)에 기능적으로 접속된 해머 조립체(도시생략) 및 피아노 케이스 구조물에 회전할 수 있게 접속된 건반덮개(12)를 포함한다. 건반덮개(12)는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간에 이동된다. 닫힌 위치에서 건반덮개(12)는 거의 수평이며, 건반(11)을 덮고 있다. 건반덮개(12)는 120도에서 130도 접어져 열린 위치에 도달한다. 열린 위치에서 건반덮개(1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주자에게 건반(11)을 노출시킨다. 건반(11), 키 액션 기구, 해머 조립체 및 스트링은 이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잘 알려진 것이고, 이에 대한 설명은 다음에 하지 않겠다. 다음 설명에서, 전방(front)이라는 용어는 건반(11)을 손가락으로 타는 연주자에게 가까운 위치를 의미한다.
피아노 케이스 구조물(10)은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측판(10a), 상기 측판(10a)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각각 돌출한 두 개의 측암(10b), 측암(10b) 사이에 횡방향으로 확장해 있는 키 베드(key bed; 10c), 키 베드 상에 횡방향으로 확장해 있는 키 슬립(10d) 및 두 개의 키 블록(10e)을 포함한다. 건반(11)은 키 베드(10c) 상에 장착되고, 키 슬립(10d)는 건반(11) 앞에 제공된다. 키 블록(10e)은 건반(11)과 측암(10b) 사이에 키 베드(10c) 상에 제공된다.
피아노 케이스 구조물(10)은 키 정지 레일(도시생략), 상측 실(10f)(도 3 참조), 상측 전면판(10g), 하측 전면판(110h) 및 상판(10j)을 더 포함한다. 키 정지 레일(도시생략)은 건반(11)의 뒷부분을 덮으며, 상측 실(10f)로 이어진다. 이하 설명되겠지만, 건반덮개(12)는 상측 실(10f)에 힌지된다. 상측 전면판(10f)은 상측 실(10f) 위에서 측판(10a) 사이에 확장하여 있고, 하부 전면판(10h)은 키 베드(10c) 아래에서 측판(10a)의 상측면 사이에 확장하여 있다. 상판(10j)은 측판(10a) 사이에 확장해 있고, 상측 개구를 닫는다. 피아노 케이스에 등 기둥, 소리판 및 기타 다른 판들이 더욱 포함되어 있지만, 이들을 도 1에 도시하지 않았다.
직립형 피아노는 측암(10b)과 건반덮개(12) 사이에 제공된 한쌍의 적응성 커플링(13)(도 3 참조) 및 상측 실(10f)과 건반덮개(12) 사이에 접속된 힌지(14)를 더 포함한다. 힌지(14)는 건반덮개(12)에 회전축(AX1)을 제공하며, 따라서 건반덮개(12)는 회전축(AX1) 주위로 회전한다. 적응성 커플링(13)은 일종의 올드햄 커플링으로서 건반덮개(12)에 큰 정렬 여유를 제공한다.
건반덮개(12) 및 상측 실(10f)의 일부는 절단되어, 건반덮개(12)의 측면(12b)과 상측 실(10f)의 측면(10fa)의 일부가 들어가 있다. 적응성 커플링(13)은 들어간 측면(12b/10fa)과 측암(10b) 사이에 부착된다.
이 경우, 상측 실(10f)를 제외하고 피아노 케이스 구조물(10)은 케이스로서 작용하며, 건반덮개(12), 상측 실(10f) 및 힌지(14) 전체는 건반덮개 조립체를 구성한다.
적응성 커플링(13)은 소켓부재(13a), 회전댐퍼(13b) 및 유동 컴(cum) 부재(13c)로 나누어진다. 유동 컴 부재(13c)는 소켓부재(13a) 및 회전댐퍼(13b)와 맞물려, 회전축(AX1)과 회전댐퍼(13b)의 회전축(AX2)간 오정렬을 흡수한다. 따라서, 올드햄 커플링(13)으로 조립작업이 쉬워진다.
소켓부재(13a)는 돌기부(13d)와 고리부(13e)를 갖는다. 한쌍의 구멍(13f)은 돌기부(13d) 내에 형성되고, 돌기부(13d)는 들어간 측면(12a)에 스크류(13ga) 및 너트(13gb)에 의해 고정된다. 고리부(13e)는 원형홈(13h)을 형성하며, 원형홈(13h)의 중심축(AX3)은 회전축(AX1)에 정렬되어 있다. 유동 컴 부재(13c)는 원형홈(13h) 내에 미끄러져 수용된다. 한쌍의 돌기(13j)는 고리부(13e)의 내면으로부터 원형홈(13h)으로 안쪽으로 돌출해 있고, 돌기(13j)는 180도 간격으로 있다. 고리부(13e)의 일부는 채널(13k)을 형성하도록 절단되어 있다.
실린더(13m) 및 회전부재(13n)는 회전댐퍼(13b)를 형성한다. 실린더(13m)는 축암(10b) 내에 매설되고, 이에 스크류(13p)에 의해 고정된다. 회전부재(13n)는 회전축(AX2)을 가지며, 회전축(AX2)은 회전축(AX1)과 정렬된다. 판형상 돌기(13q)는 회전부재(13n)의 단부 표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그 두께는 채널(13k)의 폭보다 작다. 이 때문에, 판형상 돌기(13q)는 채널(13k)을 통과할 수 있다. 고리부(13e)가 얇을 때, 채널(13k)은 고리부(13e) 내에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유동 컴 부재(13c)는 디스크 형상이며, 그 직경은 원형홈(13h)보다 작다. 한쌍의 홈(13ra)은 유동 컴 부재(13c)의 일 측면 내에 형성되며, 그루브(13rb)(도 5 참조)는 유동 컴 부재(13c)의 타측 표면 내에 형성된다. 홈(13ra)간 방향은 그루브(13rb)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며, 홈(13ra)간 방향 및 길이방향은 유동 컴 부재(13c)의 회전축(AX4)을 가로지른다. 홈(13ra)의 바닥 표면과 유동 컴 부재(13c)의 원주간 거리는 돌기(13j)의 상면과 고리부(13e)의 내면간 거리보다 커서, 돌기(13j)는 유동 컴 부재(13c)가 홈(13ra) 내에서 방사상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그루브(13rb)는 도 3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판형상 돌기(13q)는 홈(13rb)에 느슨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이유로, 회전축(AX1)이 회전축(AX2)에 오정렬될지라도, 유동 컴 부재(13c)는 건반덮개(12)가 회전할 동안 오정렬을 흡수한다.
회전댐퍼(13b)를 도 6a 내지 도 6c에 상세히 도시하였다. 회전부재(13n)는 전반적으로 부채꼴인 부채꼴 그루브(13s)를 가지며, 대체로 부채꼴인 그루브(13s)는 회전축(AX2)을 따라 확장한다. 부채꼴 그루브(13s)의 바닥면(13t)은 둥굴다. 격벽(13u)은 실린더(13m)의 내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해 있고, 회전부재(13n)는 격벽(13u)이 부채꼴 그루부(13s)를 두 개의 챔버(13v/13w)로 분할하도록 실린더(13m)의 안쪽 공간에 삽입된다. 구멍(13xa)은 격벽(13u) 내에 형성되며, 체크밸브(13y)는 격벽(13x)에 부착된다. 격벽(13u)은 바닥면(13t)으로부터 약각 떨어져 있고, 격벽(13u)과 바닥면(13t) 사이에 드로틀(13xb)이 형성되어 있다. 부채꼴 그루브(13s) 및 따라서 두 개의 챔버(13v/13w)는 댐핑오일과 같은 압축할 수 없는 유체(13z)로 채워지고, 실린더(13m) 및 회전부재(13n)는 챔버(13v/13w) 내의 댐핑오일(13z)을 밀폐한다.
드로틀(13xb)에 의해서 댐핑오일(13x)은 두 개의 챔버(13v 및 13w) 사이를 양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그러나, 체크밸브(13y)는 챔버(13w)에서 챔버(13v)로 흐르는 댐핑오일(13z)로부터 구멍(13xa)를 차단하여, 댐핑오일(13z)은 챔버(13v)에서 챔버(13w)로 구멍(13xa)를 통해서만 흐른다. 이러한 이유로, 댐핑오일(13z)이 챔버(13w)에서 챔버(13v)로 흐를 때, 댐핑오일(13z)은 드로틀(13xb)을 통해서만 흘러, 큰 점성저항을 받는다. 반면, 실린더(13m) 및 회전부재(13n)가 도 6a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회전될 동안, 체크밸브(13y)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13xa)을 개방하여, 댐핑오일(13z)이 구멍(13xa)을 통해 흐른다. 구멍(13xa)은 댐핑오일에 대한 무시할 만한 점성저항을 제공하여, 실린더(13m) 및 회전부재(13n)는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 위치로 원할하게 변경된다. 챔버(13v)의 용적은 도 6a에 도시한 상태 위치에서 최대로 되고, 도 6c에 도시한 상대 위치에서 최소로 된다. 반면, 챔버(13w)는 도 6c에 도시한 상대 위치에서 최대로 되고, 도 6a에 도시한 상대 위치에서 최소로 된다. 최소용적은 대략 제로이다. 따라서, 회전댐퍼(13b)는 회전방향에 따라 점성저항을 변화시킨다. 이 경우, 회전댐퍼(13b)는 건반덮개(13)가 열린 위치에서 닫힌 위위로 회전할 동안 큰 저항을 제공하며, 닫힌 위치에서 열린 위치로 회전할 동안에는 무시할 만한 저항을 제공한다.
건반덮개(12)는 다음과 같이 하여 피아노 케이스 구조물(10)에 조립된다. 먼저, 힌지(14)를 상측 실(10f)의 전방면 및 건반덮개(12)의 뒷면에 접속한다. 이에 따라 상측 실(10f)에 힌지된 건반덮개(12)는 건반덮개 조립체가 된다.
이어서, 회전부재(13b)와 소켓부재(13a)를 측암(10b) 및 들어간 측면(12a/10fa)에 각각 부착한다. 원통형 홈(10ba)은 측암(10b) 내에 이미 형성되어 있으며(도 5 참조), 회전댐퍼(13b)는 원통형 홈(10ba) 내에 각각 원할하게 수용된다. 회전댐퍼(13b)는 측암(10b)에 각각 나사체결된다. 반면, 들어간 측면(10fa/12a)은 측홈(12b)을 이루며, 소켓부재(13a)는 측홈(12b)에 각각 삽입된다. 스크류(13ga) 및 너트(13gb)는 소켓부재(13a)를 덮개부재(12)에 고정시킨다. 너트(13gb)는 축(AX3)이 축(AX1)에 정렬된 적합한 위치에 이미 배치되어 있어, 너트(13gb)는 정렬 마크로서 작용한다. 가정에서 건반덮개 조립체를 피아노 케이스 구조물(10)로부터 해체할지라도, 조립자는 스크류(13ga) 및 너트(13gb)를 사용하여, 건반덮개 조립체를 피아노 케이스 구조물에 쉽게 정렬시킨다.
다음에, 유동 컴 부재(13c)는 원형홈(13h)에 각각 삽입되어 돌기(13j)는 홈(13ra)에 맞물리게 된다. 조립자는 판형상 돌기(13q)가 수직하게 되도록 회전부재(13n)을 돌린다. 조립자는 건반덮개(12)를 수직하게 유지하고 건반덮개 조립체를 밑으로 이동시켜, 판형상 돌기(13q)가 채널(13k)을 통해 그루브(10rb)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다.
조립후에, 피아니스트는 직립형 피아노를 조율할 것이므로 연주자는 건반덮개(12)가 닫힌 위치에서 열린 위치로 회전하도록 건반덮개(12)의 전방부를 들어올린다. 건반덮개(12)가 회전될 동안, 댐핑오일(13z)은 강제적으로 챔버(13v)에서 다른 챔버(13w)로 흐르게 된다. 댐핑오일(13z)은 체크밸브(13y)를 가압하여, 체크밸브(13y)는 격벽(13u)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이유로, 회전부재(13n)는 적은 점성저항으로 이동되어, 연주자는 건반덮개(12)를 열린 위치로 쉽게 이동시킨다.
연주자는 건반(11)을 손가락으로 타, 직립형 피아노를 조율한다. 직립형 피아노를 연주한 후에, 연주자는 건반덮개(12)의 전방부를 끌어내려 건반덮개(12)는 열린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 회전한다. 건반덮개(12)가 열린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 회전하는 동안, 댐핑오일(13z)은 강제적으로 챔버(13w)에서 다른 챔버(13v)로 흐르게 된다. 체크밸브(13y)는 격벽(13u)에 대해 가압되어, 구멍(13xa)을 닫는다. 이러한 이유로, 댐핑오일(13z)은 좁은 드로틀(13xb)를 흘러, 회전부재(13n), 따라서 건반덮개(12)에 큰 점성저항을 제공한다. 점성저항은 너무 커서 건반덮개(12)는 키 슬립(10d)에 대한 충돌없이 닫힌 위치에 부드럽게 도달한다.
전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적응성 커플링(13)은 건반덮개 조립체의 회전축(AX1)과 회전부재(13n)의 회전축간에 큰 여유를 제공하여, 조립작업이 쉬워진다. 회전축(AX1)이 회전댐퍼의 회전축으로부터 이탈되어도, 회전댐퍼(13b)나 건반덮개 조립체 어느 것도 파손되지 않는다.
올드햄 커플링(13a/13c/13q)는 전체적으로 한쌍의 기어보다 조립비용이 극적으로 감소되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따라서, 적응성 커플링(13)은 직립형 피아노의 제조비용을 심하게 증가시키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적응성 커플링(13)은 돌기(13j/13q)와 홈/그루브(13ra/13rb)간 상태 이동을 통해 오정렬을 흡수하므로 조립자는 건반덮개(12)를 피아노 케이스 구조물(10)에 쉽게 조립한다. 특히, 너트(13gb)는 축(AX1)이 축(AX3)에 정렬된 위치에서 건반덮개(12)의 들어간 측면에 매설된다. 이러한 이유로, 조립자는 심한 오정렬없이 소켓부재를 건반덮개(12)에 부착할 수 있다. 오정렬이 발생할지라도, 올드햄 커플링(13a/13c/13q)은 오정렬을 흡수한다. 올드햄 커플링은 돌기를 홈/그루브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조립되므로, 조립자는 가정에서 건반덮개(12)를 피아노 케이스 구조물(10)에 쉽게 조립한다. 피아노 케이스로부터 건반덮개(12)의 분리 역시 쉽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를 도시 및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이 행해질 수 있음을 이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돌기(13j)는 단일 바(bar)로 대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동 컴 부재(13c)는 복수의 홈(13ra) 대신 단일 그루브를 갖는다. 홈/그루브(13ra/13rb)는 소켓부재(13a) 및 회전부재(13n)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는 유동 컴 부재(13c) 내에 형성된다.
건반덮개가 가볍다면, 챔버(13v/13w)는 댐핑오일 대신 공기로 채워질 수 있다.
유동 컴 부재(13c)가 나오지 못하도록, 유동 컴 부재(13c)를 원형홈(13h)에 삽입한 후 적합한 스토퍼나 덮개판을 소켓부재(13a)에 부착할 수 있다.
적응성 커플링(13)은 자동연주 피아노, 약음 피아노 혹은 전기 건반악기에 사용될 수 있다.
회전댐퍼(13b) 및 올드햄 커플링은 건반덮개 및 피아노 케이스에 각각 에 부착될 수 있다.

Claims (5)

  1. 개구를 갖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개구에 노출되는 건반(11),
    상기 건반(11)을 연주자에게 노출시키는 열린 위치와 상기 건반(11)을 덮기 위한 닫힌 위치 사이에 변경되는 건반덮개 조립체(12),
    상기 건반덮개 조립체 및 상기 케이스 중 하나에 부착되고, 상기 열린 위치에서 상기 닫힌 위치로 상기 건반덮개 조립체의 회전운동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는 한쌍의 회전댐퍼, 및
    상기 케이스(10) 및 상기 건반덮개(12) 중 다른 하나와 상기 한쌍의 회전댐퍼 사이에 접속된 커플링
    을 포함하는 건반악기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상기 건반덮개 조립체(12)와, 상기 건반덮개 조립체 및 상기 케이스 중 상기 다른 하나간 오정렬을 흡수하기 위한 한쌍의 올드햄(Oldham) 커플링(13a/13c/13q)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올드햄 커플링은 상기 건반덮개(12)의 제2 회전축(AX1)에 정렬된 제1 회전축(AX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올드햄 커플링 각각은
    상기 건반덮개 조립체(12) 및 상기 케이스(10) 중 상기 다른 하나에 부착되고, 슬라이더(13j) 및 이 슬라이더가 이동되게 하기 위한 안내공간(13ra) 중 하나가 형성된 제1 부재(13a),
    관련 회전댐퍼(13b)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부재(13a)의 상기 슬라이더(13j) 및 상기 안내공간(13ra) 중 상기 하나에 수직하게 배열된 것으로 상기 슬라이더(13q) 및 상기 안내공간(13rb) 중 하나가 형성된 제2 부재(13q), 및
    상기 제1 부재(13a)와 상기 제2 부재(13q) 간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1 부재(13a)에 관련된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더(13j) 및 상기 안내공간(13ra) 중 다른 하나, 및 상기 제2 부재(13q)에 관련된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더(13q) 및 상기 안내 공간(13rb)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된 유동부재(13c)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13a)는 상기 건반덮개 조립체(12)에 부착되고, 상기 제2 부재(13q)는 상기 관련된 회전댐퍼(13b)의 회전부재(13n)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13a)는 상기 건반덮개(12)에 부착된 돌기부(13d), 및 상기 슬라이더(13j) 및 상기 공간(13ra) 중 상기한 하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건반덮개 조립체(12)의 제1 회전축(AX1)이 상기 유동부재(13c)의 제2 회전축(AX4)에 정렬되도록 상기 돌기부(13d)로부터 돌출한 맞물림부(13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KR1019980031949A 1997-08-06 1998-08-06 올드햄 커플링으로 케이스에 조립된 건반덮개를 갖는 건반악기 KR100273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1880 1997-08-06
JP97-211880 1997-08-06
JP21188097 1997-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396A true KR19990023396A (ko) 1999-03-25
KR100273869B1 KR100273869B1 (ko) 2001-01-15

Family

ID=1661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949A KR100273869B1 (ko) 1997-08-06 1998-08-06 올드햄 커플링으로 케이스에 조립된 건반덮개를 갖는 건반악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42702A (ko)
EP (1) EP0901117B1 (ko)
KR (1) KR100273869B1 (ko)
CN (1) CN1122958C (ko)
DE (1) DE69830551T2 (ko)
TW (1) TW3921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482B1 (ko) * 1999-11-16 2006-12-15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건반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0590B2 (ja) * 1998-10-26 2009-11-25 トックベアリング株式会社 回転ダンパ
JP2001337671A (ja) * 2000-05-29 2001-12-07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鍵盤楽器の大屋根前開閉装置
KR100439421B1 (ko) * 2000-11-23 2004-07-09 김흥기 도어 힌지 유니트
JP4783982B2 (ja) 2001-01-15 2011-09-28 ヤマハ株式会社 楽器用譜面板の取付構造
CN100399417C (zh) * 2001-03-28 2008-07-02 雅马哈株式会社 键盘设备
US6686521B2 (en) * 2001-03-30 2004-02-03 Yamaha Corporation Keyboard instrument
KR100414520B1 (ko) * 2001-05-07 2004-01-07 세원정밀주식회사 회전식 오일 댐퍼
JP3835538B2 (ja) * 2002-03-22 2006-10-18 ヤマハ株式会社 消音ピアノのハンマーシャンクストッパ装置
CN100432478C (zh) * 2005-10-12 2008-11-12 拓基轴承株式会社 使用了旋转阻尼器的缓冲装置
WO2009108437A1 (en) 2008-02-27 2009-09-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CN101471066B (zh) * 2008-04-18 2013-07-17 广州珠江钢琴集团股份有限公司 钢琴、钢琴合页结构
CN101471065B (zh) * 2008-04-18 2011-08-10 广州珠江钢琴集团有限公司 钢琴、钢琴合页结构
US8148620B2 (en) * 2009-04-24 2012-04-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and use thereof in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541673B2 (en) 2009-04-24 2013-09-24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for pianos having acoustic and silent modes
KR101295605B1 (ko) * 2011-01-20 2013-08-13 세원정밀주식회사 피아노
US8476511B1 (en) * 2012-01-19 2013-07-02 Marlene Stenuf Device and method to secure a piano fallboard
JP6384117B2 (ja) * 2014-05-09 2018-09-05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鍵盤蓋の軸支構造
CN104757903A (zh) * 2015-04-10 2015-07-08 宁波一扬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马桶盖缓落铰链
JP7046672B2 (ja) * 2018-03-28 2022-04-04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ピアノの長尺部品の取付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5592A (ja) * 1986-08-25 1988-03-10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JP2601580B2 (ja) * 1991-08-20 1997-04-16 株式会社ピーエフユー 可撓性プリント基板の両面実装方法
JP2955813B2 (ja) * 1994-01-21 1999-10-04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オイルダンパを用いた鍵盤蓋開閉装置
JPH08115077A (ja) * 1994-10-13 1996-05-07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鍵盤蓋の安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482B1 (ko) * 1999-11-16 2006-12-15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건반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30551D1 (de) 2005-07-21
EP0901117B1 (en) 2005-06-15
KR100273869B1 (ko) 2001-01-15
CN1222721A (zh) 1999-07-14
US5942702A (en) 1999-08-24
EP0901117A2 (en) 1999-03-10
DE69830551T2 (de) 2006-05-11
EP0901117A3 (en) 2001-09-26
CN1122958C (zh) 2003-10-01
TW392141B (en) 200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3396A (ko) 올드햄 커플링으로 케이스에 조립된 건반덮개를 갖는 건반악기
KR100850839B1 (ko) 건반덮개가 적소에 위치된 건반 악기 및 건반덮개용 회전커넥터
JP4370590B2 (ja) 回転ダンパ
WO2005095742A1 (ja) ダンパー付きヒンジ
US5837911A (en) Rotary damper for generating damping force variable in dependence on angular position of fall board of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W202007344A (zh) 阻尼鉸鏈及使用此阻尼鉸鏈的西式馬桶
EP1246161B1 (en) Keyboard instrument
KR20040014236A (ko) 피벗 작용 댐퍼
KR100200561B1 (ko) 건반악기용 댐퍼
JP2707053B2 (ja) ダンパ内蔵ヒンジ
JP4746176B2 (ja) 引き戸用反発防止装置
JP4038371B2 (ja) パネル体の連結装置及び折戸装置
KR20010098436A (ko) 건반악기
JP3019193B2 (ja) ダンパ機構
JP2007085469A (ja) ヒンジ機構
JP2006077897A (ja) ダンパ付きヒンジ装置
KR100458501B1 (ko) 로터리형 댐퍼
JPH0651582U (ja) ダンパー装置
JPH11119768A (ja) 鍵盤楽器の鍵盤蓋開閉装置
JPH0728354Y2 (ja) 鎌 錠
JP3358980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20010046610A (ko) 도어용 댐퍼장치
KR200147925Y1 (ko) 연료주입구의 개폐도어 회동장치
JP3358981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910005983Y1 (ko) 스프링이 내설된 도어 댐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