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271A - 평면 회로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면 회로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271A
KR19990023271A KR1019980031139A KR19980031139A KR19990023271A KR 19990023271 A KR19990023271 A KR 19990023271A KR 1019980031139 A KR1019980031139 A KR 1019980031139A KR 19980031139 A KR19980031139 A KR 19980031139A KR 19990023271 A KR19990023271 A KR 19990023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ctuator
planar
circuit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8723B1 (ko
Inventor
가쯔또시 도조
신스께 구니시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모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2206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54173A/ja
Priority claimed from JP9362849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85848A/ja
Priority claimed from JP9362850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85849A/ja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모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19990023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7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3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nected with pivoting of printed circuits or like after insertion

Abstract

전기 커넥터(1, 41)는 평면 전기 회로(30, 43)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9, 46)을 형성하는 긴 유전체 하우징(3, 44)을 구비한다. 다수의 단자(2, 42)는 접촉부(6, 47)가 상기 슬롯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다. 금속제 작동기(4, 45)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단자의 접촉부에 대해 평면 전기 회로를 편의(bias)시키기 위한 가압판 부분(25, 62)을 구비한다. 긴 가요성 스트립 부분(22, 67)은 가압판 부분의 전방으로 이격되고 슬롯의 유입구(mouth)에 예비 회로 보유 수단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가압판 부분(25, 62)은 개방 영역(29, 60)에 의해 양 대향 단부에서 긴 스트립 부분(22, 67)으로부터 분리되어 긴 스트립 부분의 가요성과 가압판 부분의 가요성을 분리시킨다.

Description

평면 회로용 전기 커넥터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가요성 평면 회로와 같은 평면 전기 회로(flat electrical circuitry)를 상호 전기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가요성 평면 전기 회로는 회로의 한 면 또는 양 면 상에 측방향으로 이격된 전도체 스트립을 갖는 긴 가요성 유전체 평면 기층을 포함한다. 전도체는 회로의 한 면 또는 양 면 상의 얇은 가요성 보호층으로 덮일 수 있다. 보호층이 사용되면, 전도체가 제2 가요성 평면 회로, 인쇄 회로 기판 또는 결합 커넥터의 단자일 수도 있는 짝 결합 접속 장치의 전도체를 결합하도록 된 소정의 접촉 위치에서 아래에 있는 전도체를 노출시기기 위해 보호층에 절개부가 형성된다.
가요성 평면 회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등과 같은 평면 회로를 접속시키기에 특히 적합한 매우 다양한 무삽입력(zero insertion force) 전기 커넥터가 설계되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전기 커넥터는 평면 회로의 단부를 수납하는 긴 개구 또는 슬롯을 따라 이격되어 일반적으로 평행 어레이로 다수의 단자를 장착하는 하우징을 갖는다. 통상, 이들 커넥터는 단자의 탄성 접촉부에 대해 평면 회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등을 압박하기 위해 작동기를 사용한다.
이들 평면 회로 커넥터의 작동기는 하우징 내의 긴 개구 또는 슬롯 내로 평면 회로의 자유로운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위치와 작동기의 가압판 부분이 단자의 접촉부에 대해 회로를 편의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통상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압판은 단자의 접촉부에 대해 평면 회로의 노출된 전도체를 편의시킨다.
이들 커넥터는 비용, 크기, 작동성 및 신뢰성의 면에서 특히 중대한 문제점들을 갖는다. 전자 회로의 소형화가 지속되면서, 가능한 한 얇은 평면 회로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되었다. 평면 회로를 임시로 유지하기 위해 커넥터 상의 몇 가지 형태의 예비 회로 보유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 하우징 상에서 작동기의 위치들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작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몇몇 종류의 수단을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극히 작은 또는 소형화된 커넥터에서는 이러한 구조 또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점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여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 전기 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신규하고 개량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는 평면 전기 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형성한 긴 유전체 하우징을 포함한다. 다수의 단자는 접촉부가 슬롯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다. 금속제 작동기는 하우징에 장착되고 단자의 접촉부에 대해 평면 전기 회로를 편의시키기 위한 가압판 부분을 구비한다. 긴 가요성 스트립 부분은 가압판 부분의 전방으로 이격되고 슬롯의 유입구에 예비 회로 보유 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하우징의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가압판 부분은 개방 영역에 의해 양 대향 단부에서 긴 스트립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 긴 스트립 부분의 가요성과 가압판 부분의 가요성을 분리시킨다.
본 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 부분과 긴 스트립 부분 사이의 개방 영역은 긴 스트립 부분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슬롯에 의해 형성된다. 가요성 가압판 부분은 다수의 가요성 핑거(finger)를 구비한다. 각각의 핑거는 2개 단자의 2개 접촉부 정도를 덮기 위한 폭을 갖는다.
양호한 실시예의 긴 스트립 부분은 금속제 작동기의 U자형 부분의 한 쌍의 다리(leg) 사이의 횡단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다리의 후방 단부는 상기 작동기의 가압판 부분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다. 가압판 부분은 U자형 부분 내로 전방 돌출하며 전술한 개방 영역에 의해 상기 다리로부터 분리된다. 긴 스트립 부분은 작동기가 최종 보유 위치로 이동되기 전에 용이하게 후퇴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평면 회로의 용이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충분한 가요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 도면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평면 회로용 커넥터의 평면도.
도2는 도1의 선 2-2를 따른 확대 단면도.
도3은 도1의 커넥터의 정면도.
도4는 도1의 커넥터의 저면도.
도5는 도2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커넥터가 평면 회로를 예비 유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도5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작동기(actuator)가 평면 회로의 접속을 완료시키도록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도1의 우측 단부를 향해 본 확대 단부도.
도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평면 회로용 커넥터의 사시도.
도9는 도8의 선 9-9를 따른 확대 단면도로서 커넥터가 평면 회로를 접속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도8의 커넥터의 저면도.
도11은 도8의 커넥터의 정면도.
도12는 도8의 커넥터의 단부도로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작동기가 예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3은 작동기가 제거된 상태의 도8의 커넥터의 평면 사시도.
도14는 작동기가 제거된 상태의 도8의 커넥터의 저면 사시도.
도15는 도8의 커넥터의 작동기의 평면도.
도16은 작동기의 정면도.
도17은 작동기의 단부도.
도18은 도15의 선 18-18을 따른 단면도.
도19는 도9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작동기가 제1 위치에 있으며 평면 회로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0은 도18과 유사하나, 작동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41 : 전기 커넥터 2, 42 : 단자
3, 44 : 하우징 4, 45 : 작동기
5 : 고정 부재 6, 47 : 접촉부
9, 46 : 슬롯 22, 67 : 스트립 부분
25, 62 : 가압판 부분 또는 핑거
신규한 것으로 믿어지는 본 발명의 특징이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술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과 함께 본 발명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표시한다.
도면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1 내지 도7은 가요성 평면 회로, 인쇄 회로 기판 등과 같은 평면 전기 회로를 수납하거나 또는 접속시키기 위한 도면 부호 1로 표시된 전기 커넥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8 내지 도20은 평면 전기 회로를 수납하거나 또는 접속시키기 위한 도면 부호 41로 표시된 전기 커넥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다시 도1 내지 도7에서, 커넥터(1)는 하우징의 종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이격된 간격으로 평행 배치로 하우징 상에 장착된 다수의 단자(2)를 장착한 긴 유전체 하우징(3)을 포함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대체로 U자형 작동기(4)가 커넥터 내로 평면 전기 회로의 자유로운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위치와 단자에 대해 회로를 편의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하우징 상에 장착된다. 금속제 고정 부재(5)는 각 대향 단부에서 하우징(3) 내에 삽입 몰딩(insert-molded)된다.
도2 및 도5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단자(2)는 시트(sheet) 금속 재료로부터 스탬핑 성형되며, 단자(2)는 대향 단부들 중간에서 상승된 접촉 돌출부(6a)를 갖는 접촉부(6)를 포함한다. 접촉부는 일체형 경사 연결부(8)에 의해 수평 납땜 미부(7)에 연결된다. 단자는 하우징(3) 내에 삽입 몰딩되어, 접촉부(6)의 대향 단부들이 하우징에 의해 오버몰딩되도록 한다. 따라서, 접촉부의 적어도 대향 단부들은 하우징에 대한 이동에 대항하여 단단하게 되거나 고정된다. 평면 회로를 위한 대부분의 종래 기술의 커넥터에 있어서, 단자의 접촉부는 외팔보형이고 가요성이 있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은 접촉부의 휨 이동을 수용하기 위하여 크게 되거나 두껍게 제조되어야만 한다. 단자의 접촉부 전체 또는 대향 단부들이 하우징에 대한 이동에 대항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하우징에 대한 접촉부의 이동은 제거되거나 상당히 감소되어, 하우징이 얇아지도록 한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접촉부의 상하에 위치된 부분을 갖는 작동기를 제공함으로써, 단자 접촉부 아래에 있는 하우징의 부분은 얇을 수 있고 다소 가요성이 있으며, 평면 회로(30) 상의 전도체와 접촉부 사이의 양호한 전기 접속을 이루는 데 필요한 힘을 여전히 제공할 수 있다.
길이가 긴 유전체 하우징(3)은 플라스틱 재료 등으로 일체로 몰딩된 1편 구조체이다. 따라서, 하우징은 적당한 삽입 몰딩 공정에 의해 단자(2) 및 고정 부재(5)의 부분 둘레에서 오버몰딩될 수 있다. 하우징은 평면 회로(30)를 수용하도록 하우징의 상부/정면에서 슬롯(9)을 형성한 대체로 직사각형의 판 형상의 구성을 갖는다. 하우징은 작동기(4)가 상부에 용이하게 장착되게 하는 비교적 두꺼운 후방부(10)를 갖는다. 도2 및 도5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의 접촉부(6)는 대체로 슬롯(9)의 바닥(9a)과 대체로 높이가 동일하며, 단자의 납땜 미부(7)는 하우징의 하부면(3b)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어 하우징의 정면의 전방으로 약간 돌출한다. 단자(2)의 접촉부(6) 및 경사 연결부(8)는 접촉부(6)의 상부면이 슬롯(9)의 바닥(9a)에서 노출되고 접촉 돌출부(6a)가 슬롯 내로 돌출하는 상태로 하우징(3) 내에 매설된다.
또한, 유전체 하우징은 하우징의 대향 단부들에서 하우징의 폭을 연장시키고 하우징의 상부면(3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부 안내벽(11)을 갖는다. 하부 안내벽(13)은 하우징의 대향 단부들에서 하우징의 폭을 연장시키고 하우징의 하부면(3b)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며, 하부 안내벽에는 작동기(4)가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방향 리세스(recess, 18)가 형성된다. 도4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은 작동기의 대응하는 복수개의 안내 홈 또는 노치(19a) 내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안내 리브(rib, 19)를 갖는다.
각각의 고정 부재(5)는 시트 금속 재료로부터 스탬핑 성형되며, 복수개의 판 부분(5a)을 포함한다. 고정 부재의 일부분은 하우징(3)에 의해 오버몰딩되고, 판 부분(5a)은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적절한 장착 패드에 대해 납땜 등에 의해 접속하도록 노출된다. 따라서, 고정 부재(5)는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해 하우징을, 결국은 커넥터를 장착하는 기능을 한다. 도2, 도5 및 도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판 부분(5a)의 하부면은 단자(2)의 납땜 미부(7)의 하부면과 동일 평면 내에 있다. 고정 부재의 판 부분 및 단자의 납땜 미부는 인쇄 회로 기판에 동시에 납땜될 수 있다.
도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 부재(5)는 하우징(3)의 상부의 리세스(21) 내로 돌출하는 래치 탭(latch tab, 20)을 구비한다. 래치 탭은 상방으로 돌출한 정지부(20a)를 갖는다. 도4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 부재(5)는 하우징의 바닥으로부터 돌출한 제1 정지 견부(5b) 및 제2 정지 견부(5c)를 각각 구비한다.
작동기(4)는 스테인레스강 등의 시트 금속 재료로부터 대체로 U자형 형태로 스탬핑 성형되어 상부판(4a) 및 하부판(4b)이 형성된다. 예비 회로 보유 스트립(22)이 상부판(4a)의 전방에 배치된다. 예비 회로 보유 스트립(22)은 금속제 작동기(4)의 U자형 부분의 한 쌍의 다리(23)들 사이에서 횡단 부분을 형성한다. 다리(23)의 후방 단부는 도면 부호 24로 나타낸 지점에서 상부판(4a)의 후방 영역에 연결된다. 본질적으로, 상부판(4a)은 작동기의 가압판 부분을 형성하며, 슬롯(26)에 의해 분리된 복수개의 전방으로 돌출된 핑거(25)를 포함한다. 핑거는 이하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7)의 접촉 돌출부(6a)에 대항하여 평면 회로(30)를 편의시키는 데 사용된다. 각각의 핑거는 인접한 단자 쌍의 접촉 돌출부를 덮는 폭을 갖는다. 핑거들을 슬롯(26)에 의해 분리함으로써, 접촉 돌출부 상에 축적될 수 있는 어떠한 먼지도 사용 중에 슬롯 내측으로 제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1을 참조하면, 래치 탭(27)은 예비 회로 보유 스트립(22)의 각각의 전방 코너에 형성된다. 예비 회로 보유 스트립은 도2, 도5 및 도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기의 금속 재료를 다시 금속 재료 상으로 절첩함으로써 두께가 2배로 된 것이다.
도4를 참조하면, 가요성 래치 아암(28)은 작동기(4)의 바닥에서 작동기(4)의 각각의 단부에 마련된다. 각각의 래치 아암은 외측으로 돌출한 래치 훅(hook, 28a)으로 종료한다.
금속제 작동기(4)는 도2 및 도5에 도시된 제1 위치로부터 도6에 도시된 제2 위치로 하우징(3) 상에서 이동 가능하다. 제1 위치에서, 평면 회로(30)는 하우징의 슬롯(9) 내로 자유롭게 삽입된다. 제2 위치에서, 작동기의 핑거(25)는 회로를 단자의 접촉부에 대항하여 편의시킨다. 작동기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래치 아암(28)의 래치 훅(28a)은 도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부재(5)의 제1 정지 견부(5b) 뒤에 위치한다. 작동기가 제1 위치(도2 및 도5)로부터 제2 위치(도6)로 이동될 때, 래치 훅(28a)(도4)은 래치 훅이 고정 부재의 제2 정지 견부(5c) 뒤에서의 결합 상태로 외측으로 되튕길 때까지 고정 부재(5)의 경사면(5d)에 의해 내측으로 편의된다. 이는 작동기를 최종 회로 접속 위치에서 보유한다. 게다가, 도1을 다시 참조하면, 작동기의 상부에서 그리고 예비 회로 보유 스트립(22)의 대향 단부들에서 래치 탭(27)은, 작동기가 예비 회로 보유 스트립을 평면 회로(30)에 대항하여 로킹하고 평면 회로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보유하는 것을 추가로 보조하는 최종 접속 위치로 이동될 때 고정 부재의 래치 탭(20)의 정지부(20a) 아래에서 활주한다. 따라서, 금속제 작동기와 금속제 고정 부재 사이에서 커넥터의 상부 및 바닥 모두에서 금속 대 금속 결합이 제공된다.
평면 회로(30)를 커넥터(1)에 접속하는 데 있어서, 회로는 작동기(4)가 도2에 도시된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하우징(3)의 슬롯(9) 내로 삽입된다. 회로는 회로의 전방 단부(30a)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9) 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화살표(31) 방향으로 자유롭게 삽입되어 하방으로 회전된다. 이 위치에서, 작동기(4)가 여전히 제1 위치 또는 비작동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예비 회로 보유 스트립(22)은 도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로를 예비 보유한다. 그리고 나서, 작동기는 하우징의 상부판 또는 가압판(4a)의 가압 핑거(25)가 평면 회로를 단자(2)의 접촉부(6)의 접촉 돌출부(6a)에 대항하여 편의시킬 때까지 화살표 A(도6) 방향으로 전방으로 밀어 넣어진다. 예비 회로 보유 스트립(22)에 연결된 다리(23)들은 개방 영역 또는 긴 슬롯(29)에 의해 가압 핑거(25) 및 가압판(4a)으로부터 분리된다. 결국, 예비 회로 보유 스트립(22)의 가요성은 핑거(25)의 가요성으로부터 전적으로 독립적이거나 격리된다. 필요하다면, 예비 회로 보유 스트립(22)의 예비 보유력은 핑거(25)에 의해 제공된 연결력보다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예비 회로 보유 스트립은 매우 작은 가요성 회로일 수 있는 평면 회로에 의해 용이하게 상승될 수 있으며, 핑거(25)는 단자의 접촉 돌출부에 대항한 회로의 보다 큰 연결력을 인가한다. 커넥터로부터 회로를 제거하는 것이 요구될 때, 작동기(4)는 도2 및 도5에 도시된 제1 위치 또는 비작동 위치로 화살표 A(도6) 방향의 반대로 후방으로 다시 간단히 잡아 당겨진다.
도8 내지 도19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커넥터(41)는 평면 회로(43) 연결용의 다수의 단자(42)를 구비하고, 단자는 하우징(44) 내에 삽입 몰딩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우징은 통상 직사각형 판 형태의 구성이다. 통상 U자형 작동기(45)는 상기 하우징의 슬롯(46) 내로의 평면 회로(43)의 자유로운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도19에 도시된 제1 위치와 상기 단자의 접촉부에 대해 회로를 편의시키는 제2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해 하우징에 장착된다.
특히 도9 및 도19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자(42)는 접촉부(47)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된 납땜 미부(48)를 제외하고도 하우징(48)에 의해 오버몰딩된 중간부(42a)를 갖는다.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의 말단부에 위치된 접촉 돌출부(47a)가 슬롯(46) 내로 돌출하는 상태로 하우징(44) 내의 개구(44c) 내로 외팔보 지지된다.
도13의 상부 사시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4)은 단자의 접촉부(47)의 자유 단부에 인접한 횡방향 쉘프(50)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은 작동기(45)의 상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 표면(44a)과 거의 평면이 되도록 상기 작동기의 상부판(45A)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하우징의 상부 표면(44a)으로부터 홈진 평면의 U자형 단차진 표면(51)을 갖는다. 평면(51a)은 슬롯(46) 내로 삽입된 평면 회로(43)를 수용하기 위해 (도9의) 유입구(52)의 하부를 형성한다. 평면(51a)은 쉘프(50)와 거의 동일한 수준이다. 안내 벽(53)은 단차진 표면(51)의 양 대향 단부에 형성되고, 정지 벽(54)은 회로 수용 유입구의 양 대향 단부에 형성된다.
도14의 하부 사시도에 의하면, 하우징(14)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 표면(44b)의 내부로부터 홈진 평평하고 U자형으로 단차진 표면(55)을 추가로 구비한다. 단차진 표면(55)은 작동기(45)의 하부 표면이 상기 하우징의 하부 표면과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작동기의 하부판(45b)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거리로 하부 표면(44b)으로부터 홈이 진다. 정지 벽(56)과 경사진 래치 돌출부(57)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다.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 부재(49)는 하우징(44)의 양 대향 단부 내에 삽입 몰딩되고,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적절한 장착 패드에 대한 납땜 연결부용의 노출된 탭 부분(49a)을 구비한다.
도15 내지 도18에 의하면, 작동기(45)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시트 금속 재료로 스탬핑 성형된다. 단자(42)의 접촉부(47)와 결합하는 작동기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은 절연 수지와 같은 (도9의) 유전체 재료(58)로써 코팅된다. 단순히 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동기의 전체 시트 금속 재료는 절연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작동기(45)는 상부판(45a) 및 하부판(45b)을 형성하기 위해 통상 U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판은 하우징(44)의 상부에 (도13의) 정지 벽(54)이 인접하도록 그 전방에 노치가 형성된 코너(59)를 갖는다. 제1 실시예의 예비 회로 보유 스트립(22)과 유사한 예비 회로 보유 스트립(67)은 노치가 형성된 코너(59)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예비 회로 보유 스트립은 평면 회로를 수용하기 위해 표면(51a)과의 사이에 유입구를 형성하도록 (도13의) 상기 표면 위에 배치된다. 예비 회로 보유 스트립은 금속제 작동기의 U자형 단면의 한 쌍의 다리(67a) 사이에 횡단 부분을 형성한다. 다리(67a)의 후방 단부는 상기 작동기의 상부판(45a)의 후방 영역과 결합된다. 슬롯(61)에 의해 분리되는 한 쌍의 압력 인가 핑거(62)는 U자형 부분 내로 전방 돌출하고 개방 영역(60)에 의해 다리(67a)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므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예비 회로 보유 스트립(67)의 가요성은 핑거(62)의 가요성과 독립적이거나 또는 분리된다. 도1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62)의 자유 단부(62a)는 내향 또는 하향으로 경사진다.
작동기(45)의 하부판(45b)은 통상 평면이고 그 전방 코너에서 직사각형 돌출부를 갖는다. 이들 돌출부는 상기 작동기가 하우징에 장착될 때 (도14의) 정지 벽(56)과 상기 하우징의 경사진 래치 돌출부(57) 사이에 갇힌다. 이는 도13에 가장 잘 도시될 수 있으며, 비작동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상기 작동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예의 작동에 있어서, U자형 작동기(45)는 도19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로 하우징(44)의 후방 주위로 장착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평면 회로(43)는 하우징의 슬롯(64) 내로 자유로이 삽입된다. 이어서, 작동기는 (도9의)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핑거(62)가 평면 회로(43)의 자유 단부(43a)를 단자(42)의 접촉부(47)의 접촉 돌출부(47a)에 대해 편의시키는 제2 위치로 전방 이동된다. 동시에, 작동기의 하부판(45b)은 단자의 접촉부(47)의 하부, 예컨대 지점(70)에서 인접한다. 작동기가 절연 재료로 코팅됨으로써, 하부판은 단자와 단락(short)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동기(45)가 (1) 단자의 접촉부에 대해 평면 회로(43)를 편의시키는 기능과, (2) 접촉부를 보강 지지하는 기능의 이중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예비 회로 보유 스트립(67)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작동기를 조작하면서 평면 회로를 임시 보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작동기가 최종 또는 제2 위치에 있을 때,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5의) 노치가 형성된 코너(59)는 상기 하우징의 (도13의) 정지 벽(54)과 결합된다.
제1 실시예의 단자(7)의 접촉부(6)를 고정시키고 제2 실시예의 단자(42)의 접촉부(47)를 보강함으로써, 커넥터의 전체 프로파일(profile)은 평면 회로와 단자 사이의 능동적인 접촉을 보장하는 데에 필요한 가요성이 작동기의 가압판 부분 또는 핑거에 의해 제공되므로 보다 얇게 제조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도20은 분리된 예비 회로 보유 스트립을 포함하지 않는 작동기(45)의 대체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팽창된 영역(65)은 작동기가 연결 위치 또는 종단 위치로 이동될 때 단자(42)의 접촉부(47)의 접촉 돌출부(47a)에 대향하는 하향 형성된 돌출부(65a)를 갖는다. 작동기의 돌출부(65a)는 평면 회로를 단자의 돌출부(47a)에 대해 편의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작동기는 상기 회로를 단자의 접촉부에 대해 편의시키고 상기 접촉부를 보강 지지하는 이중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 및 주요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예 및 실시예는 모든 관점에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설명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본원의 상세한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에 장착되고 가압판 부분 및 가요성 스트립 부분을 갖는 금속제 작동기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평면 전기 회로를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는 개량된 얇은 형상의 전기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4)

  1. 평면 전기 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평면 전기 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형성한 긴 유전체 하우징과,
    접촉부가 상기 슬롯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다수의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평면 전기 회로를 상기 단자의 접촉부에 대해 편의시키기 위한 가압판 부분과 상기 슬롯의 유입구에 예비 평면 회로 보유 수단을 형성시키기 위해 하우징의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가압판 부분의 전방으로 이격된 긴 가요성 스트립 부분을 갖는 금속제 작동기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판 부분은 양 단부에서 개방 영역에 의해 긴 스트립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 긴 스트립 부분의 가요성과 가압판 부분의 가요성이 분리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영역은 긴 스트립 부분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작동기의 상기 가요성 판 부분은 다수의 가요성 핑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핑거의 각각은 2개 단자의 2개 접촉부 정도를 덮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 스트립 부분은 금속제 작동기의 U자형 부분의 한 쌍의 다리들 사이에 횡단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의 후방 단부는 작동기의 가압판 부분의 후방 영역과 결합되고, 상기 가압판 부분은 U자형 부분 내로 전방 돌출하고 상기 개방 영역에 의해 상기 다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를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적절한 장착 패드에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에 장착된 금속 고정 부재와 긴 스트립 부분을 평면 전기 커넥터에 로킹시키기 위한 금속제 작동기 사이에 대응되게 상호 결합되는 로킹 수단을 구비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평면 전기 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평면 전기 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형성한 긴 유전체 하우징과,
    접촉부가 상기 슬롯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다수의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평면 전기 회로를 상기 단자의 접촉부에 대해 편의시키기 위한 가압판 부분과 U자 형상의 한 쌍의 다리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긴 가요성 스트립 부분을 형성한 U자형 부분을 구비하는 금속제 작동기를 구비하며,
    상기 다리의 후방 단부는 가압판 부분의 후방 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가요성 핑거는 상기 U자형 부분 내로 전방 돌출하고 개방 영역에 의해 다리로부터 분리되고, 긴 가요성 스트립 부분은 상기 슬롯의 유입구에 임시의 평면 회로 보유 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가요성 핑거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개방 영역은 긴 스트립 부분의 가요성과 가요성 핑거의 가요성이 효과적으로 분리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핑거의 각각은 2개 단자의 2개 접촉부 정도를 덮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평면 전기 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평면 전기 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형성한 긴 유전체 하우징과,
    접촉부가 상기 슬롯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다수의 단자와,
    평면 전기 회로가 슬롯 내로 자유로이 삽입할 수 있는 제1 위치와 작동기의 가압판 부분이 단자의 탄성 접촉부에 대해 상기 회로를 편의하기 위한 제2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슬롯의 유입구에 임시의 평면 회로 보유 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하우징의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가압판 부분의 전방으로 이격된 긴 가요성 부분을 갖는 금속제 작동기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판 부분은 개방 영역에 의해 양 대향 단부에서 긴 스트립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 긴 스트립 부분의 가요성과 가압판 부분의 가요성이 분리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영역은 긴 스트립 부분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작동기의 상기 가요성 판 부분은 다수의 가요성 핑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핑거의 각각은 2개 단자의 2개 접촉부 정도를 덮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긴 스트립 부분은 금속제 작동기의 U자형 부분의 한 쌍의 다리들 사이에 횡단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다리의 후방 단부는 상기 작동기의 가압판 부분의 후방 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판 부분은 U자형 부분 내로 전방 돌출하고 상기 개방 영역에 의해 다리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적절한 장착 패드에 고정시키기 위해 하우징 상에 장착된 금속제 고정 수단과 긴 스트립 부분을 평면 전기 회로에 대해 로킹시키기 위한 금속제 작동기 사이에 대응되게 상호 결합되는 로킹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19980031139A 1997-08-01 1998-07-31 평면 회로용 전기 커넥터 KR100288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0693A JPH1154173A (ja) 1997-08-01 1997-08-01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97-220693 1997-08-01
JP97-362849 1997-12-12
JP9362849A JPH11185848A (ja) 1997-12-12 1997-12-12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9362850A JPH11185849A (ja) 1997-12-12 1997-12-12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97-362850 1997-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271A true KR19990023271A (ko) 1999-03-25
KR100288723B1 KR100288723B1 (ko) 2001-05-02

Family

ID=2733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139A KR100288723B1 (ko) 1997-08-01 1998-07-31 평면 회로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86811B1 (ko)
EP (1) EP0895308A3 (ko)
KR (1) KR100288723B1 (ko)
CN (1) CN1116713C (ko)
MY (1) MY118155A (ko)
SG (1) SG79987A1 (ko)
TW (1) TW40999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401B1 (ko) * 2004-12-20 2007-05-11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박형 시트 부재의 접속에 적합한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8031A2 (en) * 1995-05-26 1996-11-28 Rambus, Inc. Chip socket assembly and chip file assembly for semiconductor chips
US7336139B2 (en) * 2002-03-18 2008-02-26 Applied Micro Circuits Corporation Flexible interconnect cable with grounded coplanar waveguide
US8847696B2 (en) * 2002-03-18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interconnect cable having signal trace pairs and ground layer pairs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a flexible dielectric
US7121874B1 (en) 2005-09-26 2006-10-17 Myoungsoo Jeon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edge connector
JP5536557B2 (ja) * 2010-06-23 2014-07-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3877A (en) 1975-10-23 1977-05-17 Burroughs Corporation Means for coupling a connector cable to contacts on a substrate
US4235500A (en) 1978-11-08 1980-11-25 Trw Inc. Circuit connector
US4416497A (en) 1981-07-27 1983-11-22 Sperry Corporation Spring clip electrical connector for strip conductor cable
FR2530384A1 (fr) * 1982-07-15 1984-01-20 Amp France Procede et connecteur electrique pour terminer un conducteur d'un cable flexible plat
US4477137A (en) 1982-08-23 1984-10-16 Allied Corporatio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for flat cable
JPS5931784U (ja) 1982-08-23 1984-02-28 ソニー株式会社 可撓性基板用コネクタ
JPS61131382A (ja) * 1984-11-29 1986-06-19 アンプ インコ−ポレ−テツド 電気コネクタ
US4639063A (en) 1985-12-20 1987-01-27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film circuits
JPH0455421Y2 (ko) * 1986-11-28 1992-12-25
US4778403A (en) * 1987-07-15 1988-10-18 Elco Corporatio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JPH088550Y2 (ja) * 1988-01-14 1996-03-06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5816845A (en) * 1994-09-12 1998-10-0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for flat cable
JPH0883652A (ja) * 1994-09-12 1996-03-26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5695359A (en) * 1995-02-23 1997-12-09 Molex Incorporated Zero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US6036520A (en) * 1997-12-12 2000-03-14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ircuit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401B1 (ko) * 2004-12-20 2007-05-11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박형 시트 부재의 접속에 적합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86811B1 (en) 2001-02-13
TW409998U (en) 2000-10-21
MY118155A (en) 2004-09-30
SG79987A1 (en) 2001-04-17
EP0895308A3 (en) 2000-12-13
KR100288723B1 (ko) 2001-05-02
CN1209666A (zh) 1999-03-03
EP0895308A2 (en) 1999-02-03
CN1116713C (zh) 200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5295B2 (en) Flat circuit connector
KR950003111Y1 (ko) 플랫 전기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US5941725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ing mechanism
US4509811A (en) Printed-circuit board connector
US6162083A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for flat circuitry
JP2002170618A (ja) コネクタ
US6290136B1 (en) Card ejection mechanism for PCMCIA connector
US6837740B2 (en) Flat circuit connector
US6558187B2 (en) Connector for flat circuit member
US20030194899A1 (en) Locking structure for connector
KR100307127B1 (ko) 평면회로용전기커넥터
US20040002255A1 (en) Structure for engaging and releasing connectors
US6203336B1 (en) Socket-type multipolar electrical connector
EP0780931B1 (en) Connector for flat cables
US5567171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atch
US6276958B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with a reliably anchored slider
JP3075461B2 (ja) 基板用接触端子
KR100288723B1 (ko) 평면 회로용 전기 커넥터
JP2008130263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EP0601265B1 (en) Socket-type multipolar electrical connector
JPH07335342A (ja) フレキシブル導体用コネクタ
JPH07153531A (ja) 平形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6565389B1 (en) Connector of a thin type
US6146171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ircuitry
JPH11135179A (ja) コネクタ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