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363U - 숯을사용하는구이장치 - Google Patents

숯을사용하는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363U
KR19990022363U KR2019990001389U KR19990001389U KR19990022363U KR 19990022363 U KR19990022363 U KR 19990022363U KR 2019990001389 U KR2019990001389 U KR 2019990001389U KR 19990001389 U KR19990001389 U KR 19990001389U KR 19990022363 U KR19990022363 U KR 199900223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bucket
air
hole
char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평기
Original Assignee
정평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평기 filed Critical 정평기
Priority to KR2019990001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2363U/ko
Publication of KR199900223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363U/ko
Priority to KR2019990027491U priority patent/KR2001795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숯을 이용한 구이장치는 외통, 내통, 분기통, 물통, 숯통, 구이판, 그리고 흡입링을 제 1 내지 제 6 영역을 갖도록 형성하여, 제 1 내지 제 6 영역을 순차적으로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숯을 사용하는 구이장치{A ROASTER USING CHARCOAL}
본 고안은 숯을 사용하는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음식점 등에서 테이블에 설치하고, 숯을 사용하여 육류, 어패류 등을 조리하기 위한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는 구이장치는 숯의 자연적인 발생열량에 따라 육류 또는 어패류 등을 요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구이장치는 구이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숯의 열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최초에 필요이상으로 숯을 많이 사용하여 요리로 시작하고 있다. 또한, 발생열량을 효과적으로 사용 할 수 없으며, 요리 초기에는 고기의 표면에 과다한 열량이 전달되어 고기가 타고 습기가 쉽게 이탈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량이 급속히 감소되어 고기의 내부가 익지 않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 이는, 육류 또는 어패류와 같은, 구이 대상이 구이판의 온도가 230℃ 이상이 되지 않으면 익지 않고, 300℃이상이 되면 표면이 타버리기 때문이다.
도 1은 종래의 구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구이장치(500)는 외통(510), 내통(520), 물통(530), 흡입링(540), 구이판(550), 숯통(560), 그리고 팬(57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통(510)은 테이블에 고정된다. 상기 내통(520), 물통(530), 그리고 숯통(560)은 상기 외통(5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구이장치(500)는 상기 외통(51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팬(570)을 사용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종래 구이장치(500)의 공기 순환 구조는 단순히, 공기를 상기 구이판(550) 밑으로 순환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구이장치(500)는 숯통에서 발생되는 모든 열량이 직접 상기 구이판(550)으로 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숯통(560)에 숯을 점화하여 구이를 진행하면, 약 3분에서 5분 정도 동안에 구이가 빠르게 진행되는데 고기가 빨리 익고 쉽게 타면서 연기가 발생된다. 그리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과열된 상기 구이판(550)에서 구이 대상물의 표면에 있는 수분을 급격히 감소되어 결국에는 구이 대상물이 상기 구이판(550)에 눌어붙으면서 탄다. 따라서, 상기 구이판(550)을 자주 갈아야 주어야 하므로, 음식점 측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게 되고, 사용자는 발생된 연기와 냄새로 인해 많은 불편이 따르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이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요리할 수 있고, 장시간 동안 숯을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숯을 사용한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구이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이장치20 : 외통
22 : 외통 플랜지24 : 제 1 홀
28a : 제 1 외통홀28b : 제 2 외통홀
30 : 내통 45 : 수평 지지면
33 : 내통 칸막이46 : 내통 연장부
45a : 내통홀47 : 내통 플랜지
50 : 물통52 : 물통 외측
54 : 물통 내측56 : 물통 플랜지
58 : 물통 홀70 : 숯통
72 : 숯통 플랜지74 : 숯통 홀
80 : 흡입링82 : 흡입링 플랜지
84 : 흡입링 홀90 : 구이판
120 : 팬122 : 덕트
124 : 팬 콘트롤러130 : 숯
180 : 분기통182 : 관통홀
192 : 공기 차단판194 : 작동 링크
196 : 조작 레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숯을 사용하는 구이장치는 윗면이 개방되고, 측면에 서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홀과 제 2 홀 그리고 저면에 제 1 외통 홀, 제 2 외통 홀 그리고 제 3 외통 홀이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놓이는 내통과; 상기 내통은 상기 제 1 홀과 제 2 홀 사이에서 상기 외통에 결합되어 상기 외통 내부를 상기 제 1 홀이 위치되는 상부 영역과 상기 제 2 홀이 위치되는 제 2 영역을 분리시키는 내통 수평면과; 상기 내통 수평면에서 상기 상부 영역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통 칸막이와; 상기 내통 칸막이 내측의 상기 수평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영역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통 저면에 놓여지는 지지면을 갖는 제 1 내통 연장부와; 상기 제 2 외통 홀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내통 연장부의 지지면에 형성된 제 1 내통 홀 및; 상기 제 1 내통 연장부의 지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내통 연장부를 포함하고,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외측과 내측을 갖고, 상기 외통의 내부에서 상기 내통 윗면에 놓이는 물통과; 상기 물통은 상기 내통 칸막이의 윗면에 놓이는 물통 플랜지와; 상기 물통 플랜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그리고 상기 제 2 내통 연장부 윗면에 놓이므로써 상기 물통 플랜지와 상기 제 1,2 내통 연장부와 함께 제 3 영역을 형성하는 물통 외측과; 상기 물통 외측면에 형성된 물통 홀 및; 상기 물통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물통 내측을 포함하고, 내부에 숯을 담도록 형성되는 그리고 상기 물통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물통에 놓이므로써 상기 물통 내측과 상기 제 2 내통 연장부와 함께 제 4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숯통과; 윗면에 구이 대상물을 놓는 그리고 상기 물통 위에 놓이므로써 물통과 상기 숯통과 함께 제 5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구이판과; 상기 외통의 윗면과 상기 물통의 윗면에 놓이므로써 상기 외통 및 상기 내통과 함께 제 1 영역을 형성하는 흡입링과; 상기 제 1, 2, 3 외통 홀이 위치되도록 상기 외통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외통의 바닥면과 함께 제 6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분기통과; 상기 외통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홀과 제 2 홀을 연결하는 덕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6 영역들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 순환 수단 및; 정해진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3 외통 홀을 열고 닫아서 상기 숯통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공기 조절 수단은 상기 제 3 외통 홀에 위치되는 상기 외통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3 외통 홀에 대응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공기 차단판과; 상기 공기 차단판에 결합되는 작동 링크와; 상기 외통의 일측에 설치된 콘트롤 박스 내부에 설치되고 그 하단은 상기 작동 링크의 다른쪽 끝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작동링크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레버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숯을 이용한 구이장치는 외통, 내통, 물통, 분기통, 숯통, 구이판, 그리고 흡입링을 제 1 내지 제 6 영역을 갖도록 형성하여, 제 1 내지 제 6 영역을 순차적으로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이장치에 의하면, 이상적으로 구성되는 제 1 내지 제 6 영역을 통하여 공기를 적당하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구이판에 도달하도록 하여 구이에 필요한 열량을 적절히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구이를 하는 동안 구이판의 온도를 300℃이하로 유지시켜 주고, 대류에 의해서 구이진행중인 구이판에 물통으로부터의 수분이 지속적으로 수증기형태로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숯의 화력에 의한 직접 가열방식에 의해 구이를 하면서 구이 대상물이 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구이중 발생되는 미량의 연기나 냄새를 강제 흡입하여 재연소시키므로, 냄새가 밖으로 새어나가는 문제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구이장치(10)는 외통(20), 내통(30), 물통(50), 숯통(70), 구이판(90), 흡입링(80), 분기통(180), 공기 순환 수단 그리고 공기 조절 수단을 갖는다. 상기 외통(20)은 음식점 등의 테이블(150)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외통(20)은 상기 테이블(150)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외통 플랜지(22)가 상기 테이블(150)에 놓이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외통은(20)은 윗면이 개방되고, 측면에 형성된 제 1 홀(24)과 저면에 제 1 외통 홀(28a) 및 제 2 외통 홀(28b)을 갖는다.
상기 내통(30)은 상기 외통(20)의 개방된 윗면을 통하여 상기 외통(20)의 내부에 놓인다. 상기 내통(30)은 수평 지지면(45), 내통 칸막이(33), 내통 연장부(46)를 갖는다. 상기 수평 지지면(45)은 상기 외통(20)의 저면에 놓여진다. 상기 내통 칸막이(33)는 상기 내통 수평면(32)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내통 연장부(46)는 상기 내통 칸막이(33) 내측의 상기 수평 지지면(35)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평 지지면(45)에는 상기 외통(20) 저면에 형성된 제 1 외통 홀(28a)과 대응되는 내통 홀(45a)이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내통(30)이 상기 외통(20)의 저면에 놓여질 때, 상기 제 1 외통 홀(28a)과 내통 홀(45a)을 보다 빠르고 쉽게 일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평 지지면(45)과 상기 외통(20) 저면에는 홀 맞춤용 홈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통 연장부(46)의 끝부분에는 상기 물통(50)이 놓여지는 플랜지(47)가 형성된다.
상기 내통 수평면(32)과 내통 플랜지(47)에는 엠보싱들(36,48)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엠보싱들(36,48)은 상기 내통 수평면(32)과 내통 플랜지(47)의 강도를 향상하는 위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통(50)에는 상기 내통 플랜지(47)에 형성된 엠보싱(48)과 대응되는 엠보싱을 형성시켜서 상기 물통(50)이 상기 내통(30)에 안정적으로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통(50)은 물(14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외측(52)과 내측(54)을 갖는다. 상기 물통(50)은 상기 외통(20)의 내부에서 상기 내통(30) 윗면에 놓인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물통(50)은 물통 외측(52), 물통 내측(54), 그리고 물통 플랜지(56)를 포함한다. 상기 물통 플랜지(56)는 상기 내통 칸막이(34)의 윗면에 놓이도록 형성된다.
상기 물통 외측(52)은 상기 물통 플랜지(56)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물통(50)이 상기 내통 플랜지(47)에 놓이므로서, 물통 외측(52)과 물통 플랜지(56), 내통 칸막이(43), 수평 지지면(45) 내통 연장부(46)와 함께 제 3 영역(C)을 형성한다. 상기 물통 외측(52)에는 수용되는 물(140)의 높이보다 높도록 물통 홀(58)이 형성된다. 상기 물통 내측(54)은 상기 물통 외측(5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물통 내측(54)에는 상기 숯통(70)이 삽입된다.
상기 숯통(70)은 내부에 숯(130)을 담도록 형성된다. 상기 숯통(70)은 상기 물통 내측(54)에 삽입되어 상기 물통(50)에 놓인다. 상기 숯통(70)은 상기 물통 내측(54)에 놓이므로서 상기 물통 내측(54) 및 상기 내통 연장부(46)와 함께 제 4 영역(D)을 형성한다. 상기 구이판(90)은 윗면에 구이 대상물이 놓인다. 상기 구이판(90)은 상기 물통(50) 위에 놓이므로써 상기 물통(50)과 상기 숯통(70)과 함께 제 5 영역(E)을 형성한다. 상기 흡입링(80)은 상기 외통(20)의 윗면과 상기 물통(30)의 윗면에 놓이므로써 상기 외통(20) 및 상기 내통(30)과 함께 제 1 영역(A)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분기통(180)은 상기 외통(20)의 제 1, 2 외통 홀(28a,28b)이 위치되도록 상기 외통(20)의 저면에 필요시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분기통(180)의 측면에는 관통홀(18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10)는 상기 분기통(180)이 상기 외통(20) 저면에 착탈형으로 설치되므로서, 상기 외통 홀들을 통해서 상기 분기통(180) 바닥에 쌓이는 불순물들(재, 육수 등)의 제거가 매우 용이하다. 한편, 상기 분기통(180)은 상기 외통(20)의 저면에 설치되므로서 상기 외통(20) 저면과 함께 제 6영역(G)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구이장치(10)에는 공기 순환 수단과 공기 조절 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 순환 수단은 팬 콘트롤러와 팬(120), 덕트(122), 그리고 제 2 스위치(미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순환 수단은 상기 외통(20)의 외부면에 설치된다. 상기 공기 순환 수단의 상기 덕트(122)는 상기 제 1 홀(24)과 상기 관통홀(182)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 스위치는 외부에서 상기 팬 콘트롤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 순환 수단은 제 1 내지 제 6영역들(A,C,D,E,F,G,)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공기 조절 수단은 상기 제 2 외통 홀(28b)을 열고 닫아서 상기 숯통(70)(제 4영역)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공기 조절 수단은 공기 차단판(192), 작동 링크(194) 그리고 조작 레버(196)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차단판(192)은 상기 제 2 외통 홀(28b)에 위치되는 상기 외통(20)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외통 홀(28b)에 대응되는 공기 유입구(19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 링크(194)는 상기 공기 차단판(192)과 상기 조작 레버(196)에 결합된다. 상기 조작 레버(196)는 상기 외통(20)의 일측에 설치된 콘트롤 박스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그 하단에는 상기 작동 링크(194)의 일단이 결합된다. 상기 조작 레버(196)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작동 링크(194)를 동작시키므로서, 상기 공기 차단판(192)은 정해진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면서 상기 제 2 외통 홀(28b)의 열림 양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이장치(10)는 공기 순환 수단에 의한 공기의 강제 순환에 의해 상기 구이판(90) 상부(F)에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강제로 흡입하고, 다시 연소되고 있는 상기 숯통(70)의 내부에 강제로 투입하므로써 연소되고 있는 연소공간에서 불순공기가 다시 재연소되어 연기와 냄새를 줄여 줄 수 있다.
이러한 구이장치는 종래에 사용되어진 숯을 이용한 구이장치에 비해 소량의 연료로도 높은 열량을 유지시킴으로서 경제적인 숯 사용이 가능하다. 또, 공기 량의 조절은 구이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도록 스위치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구조적인 특징은 외통의 저면에 착탈 가능한 분기통이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분기통에 의해 제 6 영역이 형성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구이장치(10)는 상기 공기 순환 수단에 의해서 구이시 사용되는 공기가 상기 구이장치의 내부를 순환하도록 한다. 그 공기의 흐름을 살펴보면, 상기 공기 순환 수단의 팬(120)을 작동시키면, 상기 구이판(90) 상부(F)의 공기는 상기 흡입링(80)의 홀들(84)을 통하여 제 1 영역(A)으로 흡입된다. 이 공기들은 상기 팬(120)에 의해서 상기 덕트(122)를 통하여 상기 관통홀(182)을 통해 제 6영역(G)으로 흐른다. 상기 제 6 영역(G)에서 공기의 흐름은 두 갈래로 나누어진다. 즉, 상기 외통(20) 저면에 형성된 제 1 외통 홀(28a)을 통하여 상기 제 3 영역(C)으로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과, 제 2 외통 홀(28b)을 통하여 상기 제 4 영역(D)으로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외통 홀(28a)을 통하여 상기 제 6 영역(G)으로부터 상기 제 3 영역(C)으로 흐르는 공기는 상기 물통(50)의 물통 홀(58)을 통하여 상기 제 5 영역(E)으로 흐르고, 상기 제 2 외통 홀(28b)을 통하여 상기 제 6 영역(G)으로부터 상기 제 4 영역(D)으로 흐르는 공기는 상기 숯통(50)을 통하여 상기 제 5 영역(E)으로 흐른다. 상기 제 5 영역(E)의 공기는 상기 구이판(90)을 통하여 다시 상기 제 1 영역(A)으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구이장치(10)는 팬의 구동에 의해 강제로 공기를 발생케하여 흡입, 배출, 재연소되는 3단계 공간을 효율적으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한다. 구이판 위로 배출되는 불순공기를 계속적으로 흡입하여 순환시키므로써 구이판의 온도를 230℃∼300℃정도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구이 후 발생된 연기가 2차 연소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육류 또는 어패류 등의 구이 대상물을 구이판에서 요리할 때 동일한 열량으로 2배 이상의 구이효율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효율적인 구조를 통하여 순환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구이판 밑면이 300℃이하의 온도로 지속된다. 따라서, 구이판이 과열되지 않아 종래 기술에 비하여 현저하게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기의 발생이 억제되고, 냄새를 줄이는데 큰 효과가 있다. 한편, 숯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구이판의 교체 횟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음식점 등에서 적은 유지비를 들이며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숯을 사용하는 구이장치에 있어서:
    윗면이 개방되고, 측면에 제 1 홀 그리고 저면에 제 1 외통 홀 및 제 2 외통 홀이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놓이는 내통과;
    상기 내통은 상기 외통 저면에 놓여지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통 칸막이와;
    상기 내통 칸막이 내측의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그리고 그 끝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내통 연장부 및;
    상기 제 1 외통홀과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면에 형성된 내통 홀을 포함하고,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외측과 내측을 갖고, 상기 외통의 내부에서 상기 내통 윗면에 놓이는 물통과;
    상기 물통은 상기 내통 칸막이의 윗면에 놓이는 물통 플랜지와;
    상기 물통 플랜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그리고 상기 내통 연장부 윗면에 놓이므로써 상기 내통 칸막이, 지지면, 내통 연장부 그리고 상기 물통 플랜지와 함께 제 3 영역을 형성하는 물통 외측과;
    상기 물통 외측면에 형성된 물통 홀 및;
    상기 물통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물통 내측을 포함하고,
    내부에 숯을 담도록 형성되는 그리고 상기 물통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물통에 놓이므로써 상기 물통 내측과 상기 내통 연장부와 함께 제 4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숯통과;
    윗면에 구이 대상물을 놓는 그리고 상기 물통 위에 놓이므로써 물통과 상기 숯통과 함께 제 5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구이판과;
    상기 외통의 윗면과 상기 물통의 윗면에 놓이므로써 상기 외통 및 상기 내통과 함께 제 1 영역을 형성하는 흡입링과;
    상기 제 1, 및 제 2 외통 홀이 위치되도록 상기 외통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외통의 바닥면과 함께 제 6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분기통과;
    상기 외통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6 영역을 연결하는 덕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6 영역들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 순환 수단 및;
    정해진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2 외통 홀을 열고 닫아서 상기 숯통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 조절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영역 내지 상기 제 6 영역을 순차적으로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구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절 수단은
    상기 제 2 외통 홀에 위치되는 상기 외통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외통 홀에 대응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공기 차단판과;
    상기 공기 차단판에 결합되는 작동 링크와;
    상기 외통의 일측에 설치된 콘트롤 박스 내부에 설치되고 그 하단은 상기 작동 링크의 다른쪽 끝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작동링크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레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KR2019990001389U 1999-02-01 1999-02-01 숯을사용하는구이장치 KR19990022363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389U KR19990022363U (ko) 1999-02-01 1999-02-01 숯을사용하는구이장치
KR2019990027491U KR200179567Y1 (ko) 1999-02-01 1999-12-08 숯을 사용하는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389U KR19990022363U (ko) 1999-02-01 1999-02-01 숯을사용하는구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491U Division KR200179567Y1 (ko) 1999-02-01 1999-12-08 숯을 사용하는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363U true KR19990022363U (ko) 1999-07-05

Family

ID=195716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389U KR19990022363U (ko) 1999-02-01 1999-02-01 숯을사용하는구이장치
KR2019990027491U KR200179567Y1 (ko) 1999-02-01 1999-12-08 숯을 사용하는 구이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491U KR200179567Y1 (ko) 1999-02-01 1999-12-08 숯을 사용하는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2236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811B1 (ko) 2004-12-20 2006-06-08 강법식 고기 구이장치
KR102056542B1 (ko) * 2018-07-19 2020-01-14 이채환 무화염 숯불구이장치
KR102317361B1 (ko) * 2020-03-10 2021-10-27 윤기용 구이용 로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567Y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0122B2 (en) Portable cooking apparatus providing both direct and indirect heat cooking
US5996572A (en) Turbo-charcoal barbecue
KR101114290B1 (ko) 전기 로스터
KR20190132597A (ko) 다용도 화로
KR101987880B1 (ko)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KR100378679B1 (ko) 전기 구이기
EP1312293A1 (en) Domestic oven for barbecuing
KR100809851B1 (ko) 구이기
KR200179567Y1 (ko) 숯을 사용하는 구이장치
KR101756006B1 (ko) 숯불구이기
KR102206126B1 (ko) 화로 회전식 원심 탈지 직화구이장치
JP2869455B2 (ja) 無煙加熱調理器
KR101932451B1 (ko) 복합기능을 갖는 구이기
KR200213347Y1 (ko) 숯을 사용하는 구이장치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KR20000065647A (ko) 가스연소식 숯불 구이기
KR100796321B1 (ko) 구이 장치
KR20110002207A (ko) 숯과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가능한 고기구이기
KR102008011B1 (ko) 숯불 로스터
JP2879680B1 (ja) 焼肉等の加熱調理装置
KR19980073219A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200479654Y1 (ko) 로스터
KR102666497B1 (ko) 휴대용 숯불구이기
US20230389751A1 (en) Smoker
KR100368455B1 (ko) 가열통이 내장된 남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