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311A - 의자용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 - Google Patents

의자용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311A
KR19990022311A KR1019970708791A KR19970708791A KR19990022311A KR 19990022311 A KR19990022311 A KR 19990022311A KR 1019970708791 A KR1019970708791 A KR 1019970708791A KR 19970708791 A KR19970708791 A KR 19970708791A KR 19990022311 A KR19990022311 A KR 19990022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opening
carrier tube
tub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란 스티브 반
Original Assignee
허만 밀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만 밀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허만 밀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22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3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69Redundant disconnection block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 Y10T403/32861T-pivot, e.g., wrist pin, etc.
    • Y10T403/32893T-pivot, e.g., wrist pin, etc. including distinct pin retainer
    • Y10T403/32901Unitary clip or plug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이 의자에 구비된다. 이 기둥은 지지관(7), 캐리어 관(13), 공압식 카트리지(17), 허브 패스너(35) 및 샤프트 패스너(51)를 포함한다. 이 지지관은 열려 있는 상측 단부 및 의자 베이스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바닥 부분(9)을 포함한다. 바닥 부분은 지지관(7)의 지름보다 짧은 지름을 가지는 오우프닝(16)을 가진다. 이 캐리어 관(13)은 의자 시이트를 위해 지지 하우징(6)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상부를 가진다. 이 상부는 캐리어 관(13)의 지름보다 짧은 지름을 가지는 오우프닝을 포함한다. 캐리어 관(13)은 지지관의 상측 단부와 텔레스코프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열려 있는 바닥 단부를 가진다. 공압식 카트리지(17)는 캐리어 관(13) 내에 배치된 실린더(19), 샤프트(23) 및 허브(30)를 포함한다. 실린더(19)는 캐리어 관(13)에 있는 오우프닝의 지름보다 긴 지름을 가진다. 샤프트(23)는 실린더(19)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있고 지지관(7)의 바닥에 있는 오우프닝을 통과하는 바닥 단부를 포함한다. 허브(30)는 실린더(19)의 상부에 배치되고 캐리어 관(13)의 상부에 있는 오우프닝을 통과한다. 허브 패스너(35)는 허브(30) 및 캐리어 관(13)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한다. 샤프트 패스너(51)는 샤프트(23)에 부착되고 지지 관(7)의 바닥에 있는 오우프닝을 통과하게 샤프트(23)의 바닥 단부의 위치를 유지한다.

Description

의자용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
일반적으로, 의자의 좌석면, 또는 시이트는 앉아 있는 동안 사용자를 지지하도록 상승된 높이에서 유지한다. 시이트는 시이트와 시이트가 배치된 표면 사이에 지지 구조물을 삽입함으로써 상승된다. 지지 구조물은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예를 들어, 다수의 레그가 시이트를 지지할 수 있다. 또다른 형태에서, 지지구조물은 단일 지지 기둥으로 구성되는데, 이것은 다중 지지 부재에 대한 필요성을 없애고 의자의 디자인을 개선시킨다. 지지 기둥은 다양한 사용자와 다양한 용도에 적합하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는 다양한 키의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높여지거나 낮추어질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는 다수의 상승된 작업장에서 고정된 좌석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높여지거나 낮추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자를 다양한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여러 사용자와 용도에 적합하도록, 지지 기둥의 스트로크, 즉 의자의 최대 고도와 최저 고도 사이의 차이를 최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는 의자를 지지하기 위한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을 포함한다.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은 지지관과 결합하는 텔레스코프식으로 움직일 수 있는 캐리어 관 내에 배치된 공압식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보통, 공압식 카트리지는 실린더와 샤프트를 포함하고, 실린더의 바닥을 너트나 클립과 같은 고정 장치를 사용하는 캐리어 관에 고정함으로써 관 내에서 유지된다. 다른 고정 장치는 카트리지의 상부를 캐리어 관에 고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관 내에 배치된다. 이 고정 장치는 설치하는 동안 카트리지가 떨어지는 것을 막고 의자가 위쪽으로 높여졌을 때 카트리지가 캐리어 관에서 분리되는 것을 막는다. 고정 장치는 또한 관 내에 공압식 카트리지를 유지할 수 있어서, 의자가 관 구조물에 의해 위로 높여졌을 때 기둥이 느슨해져 분리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러나, 관 구조물 내의 공압식 카트리지는 여러 가지 단점을 가진다. 예를 들면, 고정 장치가 카트리지 실린더의 바닥에 부착될 때, 완전히 압축된 위치에서 지지 기둥의 높이는 압축된 공압식 카트리지 실린더의 높이와 고정 장치의 높이를 반드시 포함한다. 따라서, 지지 기둥의 전체 스트로크는 관 구조물 내의 너트나 다른 고정 요소가 점유한 내부 공간의 크기만큼 감소된다. 이것은 공압식 카트리지의 상부와 캐리어 관을 상호 결합하는 고정 장치에도 해당되는데, 상기 고정 장치는 캐리어 관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 실린더의 바닥에 고정된 일반적인 지지 기둥은 실린더와 공압식 카트리지 샤프트의 시일 접촉면에서 빨리 손상될 수 있다. 실린더에 벤딩 응력이 가해질 때 이런 손상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자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앉아 있을 때, 휨 모우멘트는 지지 기둥에 적용된다. 이 모우멘트는 지지 기둥에 의해 베이스에 전달되어야 한다. 공압식 카트리지를 실린더의 양 단부에서 관에 고정함으로써, 공압식 카트리지는 휨 모우멘트와 관에 적용된 휨 합성력을 일부 흡수할 수 있다.
공압식 카트리지가 손상되거나 마모될 수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가 실린더에서 쉽게 제거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고정 장치는 카트리지나 캐리어 관을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해야 하므로, 카트리지는 관에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클립은 캐리어 관 내에 장착될 수 있고 공압식 카트리지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하기에 적합해야 한다. 또는, 현재 통용되고 있는 많은 고정 장치는 캐리어 관에 배치된 나사와 결합함으로써 분리할 수 있게 맞물 수 있다. 예로, Hosan 등에 의해 발표된 무단 조절 가능한 수직 운동 장치라는 제목의 U.S. 특허 제 4,, 940, 202 에서는 상부에 부착된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공압식 카트리지를 기술하였다. 공압식 카트리지는 캐리어 관의 상부에서 암나사를 관통하는 부착된 고정 장치와 공압식 카트리지를 회전시킴으로써 제거된다. 그러나 나사가 손상을 입는다면, 캐리어 관은 폐기되어야 한다. 이와 비슷하게, 스프링 클립이 캐리어 관내에 배치된다면, 클립이 파괴되었을 때 관 전체가 폐기되어야 한다.
끝으로, 대부분의 고정 장치는, 캐리어 관 내부에 배치되던지 외부에 배치되던지 관계없이, 단지 공압식 카트리지와 캐리어 관과 상호 결합하고, 캐리어 관과 시이트에 부가적인 상호 결합은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Hosan 등에 의해 발표된 고정 장치는 캐리어 관을 시이트에 고정하지 않는다. 실제로, 캐리어 관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고정 장치는 전술한 부착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대부분의 고정 장치는 시이트가 지지 기등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한 2차 지지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의자용 지지 기둥에 관련되고, 특히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베이스,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 및 시이트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의 분해된 투시도.
도 2 는 베이스와 시이트 지지체가 적용된 완전히 펼쳐진 위치에서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의 횡단면도.
도 3 은 시이트와 지지체가 적용된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의 상부를 나타낸 확대된 횡단면도.
도 4 는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완전히 펼쳐진 위치에서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의 하부를 나타낸 확대된 횡단면도.
도 5 는 베이스와 시이트 지지체가 적용된 완전히 압축된 위치에서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의 횡단면도.
도 6 은 도 5 에 나타낸 것처럼 완전히 압축된 위치에서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의 하부를 나타낸 확대된 횡단면도.
도 7 은 허브 패스너의 상부 및 측면도.
도 8 은 공압식 카트리지를 나타낸 도면.
도 9 는 도 8의 9-9 선을 따라서 본 공압식 카트리지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6 : 지지 하우징
7 : 지지관9 : 바닥 부분
13 : 캐리어 관16 : 오우프닝
17 : 공압식 카트리지19 : 실린더
23 : 샤프트30 : 허브
35 : 허브 패스너51 : 샤프트 패스너
간략하게 기술해서, 본 발명은 의자용 공압식 높이 조절할 수 있는 기둥에 관한 것이다. 이 지지 기둥은 지지 관, 캐리어 관, 공압식 카트리지, 허브 패스너 및 샤프트 패스너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관은 일반적으로 열려 있는 상부 단부와, 의자 베이스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바닥 부분을 포함한다. 바닥 부분은 지지관의 지름보다 짧은 지름을 가지는 오우프닝을 포함한다. 이 캐리어 관은 의자 시이트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상부를 가지는데, 이것은 캐리어 관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오우프닝을 포함한다. 캐리어 관은 또한 지지 관의 상측 단부와 텔레스코프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열려 있는 바닥 단부를 포함한다. 공압식 카트리지는 캐리어 관 내에 배치된 실린더를 포함하고, 캐리어 관의 상부에서 오우프닝의 지름보다 더 긴 지름을 가진다. 카트리지는 실린더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있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샤프트는 지지 관 바닥의 오우프닝을 통과하는 바닥 단부를 가진다. 공압식 카트리지는 실린더의 상부에 배치된 허브를 포함한다. 허브는 캐리어 관의 상부에 있는 오우프닝을 통과한다. 허브 패스너는 분리할 수 있게 허브와 결합하고 오우프닝을 관통하는 허브의 위치를 캐리어 관의 상부에 유지시킨다. 샤프트 패스너는 샤프트에 부착되고 오우프닝을 통과하는 샤프트의 바닥 단부의 위치를 지지 관의 바닥에 유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을 제공하여서 기둥의 스트로크를 최대화하는 것이다. 허브를 제공하고 공압식 카트리지를 캐리어 관의 상부에서 캐리어 관에 고정함으로써, 완전히 압축되었을 때, 패스너의 두께에 관계없이, 허브 패스너가 지지 기둥의 내부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이와 비슷하게, 패스너는 지지 기둥의 최대 신장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지지 기둥에 대해 중요한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 기둥을 제공하여서 공압식 카트리지에 의해 전달된 휨 모우멘트의 일부를 상당히 감소시켜서, 카트리지의 수명을 증가시킨다. 공압식 카트리지의 상부를 실린더의 하부에서 캐리어 관에 고정하기 보다는 공압식 카트리지의 상부를 캐리어 관의 상부에 부착함으로써, 카트리지에 휨 모우멘트와 휨 합성력이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공압식 카트리지 실린더의 상부에 배치된 허브는 원주형 그루우브를 포함한다. 허브 패스너는 Y형인데, 두 개의 탄성 부재와 확대부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는 탄성 부재 사이에 오우프닝을 형성한다. 설치되었을 때, 탄성 부재는 그루우브에 배치되고 허브와 결합하여서, 지지 기둥이 캐리어 관에 의해 위로 상승되었을 때 실린더가 캐리어 관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막는다. 또, 허브 패스너는 구부려져 있어서 캐리어에 대해 위쪽으로 카트리지를 기울이므로, 의자가 위로 상승되었을 때 발생되는 느슨함이나 갈라진 금을 완전히 제거한다. 또, 허브 패스너가 시이트와 맞물려서, 시이트가 캐리어 관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는다.
본 발명은 또한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을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공압식 카트리지를 캐리어 관에 삽입하여서 허브가 캐리어 관의 상부에 있는 오우프닝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그 후에 허브 패스너를 허브에 부착함으로써 공압식 카트리지는 캐리어 관에 고정된다. 캐리어 관과 공압식 카트리지는 지지 관으로 삽입된다. 캐리어 관과 공압식 카트리지가 지지 관으로 삽입되었을 때, 샤프트의 바닥 단부는 지지 관의 바닥 단부에 있는 오우프닝을 통과하고 바닥 단부는 샤프트 패스너로 고정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허브 패스너는 그것을 파괴시키지 않으면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의자의 유효 수명 동안 패스너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여러 가지 목적과 장점은 첨부 도면과 상세한 설명을 정독함으로써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와 5는, 지지관(7), 캐리어 관(13), 공압식 카트리지(17), 허브 패스너(35) 및 샤프트 패스너(51)로 구성된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1)을 나타낸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캐리어 관(13)은 의자 시이트(5)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상부(14)를 가진다. 의자 시이트(5)는, 도 2와 3에 나타난 것처럼, 점점 가늘어지는 캐리어 관(13)의 상부(14)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테이퍼 보어(4)를 가지는 지지 하우징부(6)를 포함한다. 캐리어 관(13)은 테이퍼 보어(4) 내에 캐리어 관(13)의 테이퍼 상부(14)를 압입 끼워맞추어줌으로써 지지 하우징(6)에 장착된다. 사용자의 무게가 시이트(5)로부터 테이퍼 접촉면에서 캐리어 관(13)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시이트(5)에 앉았을 때 캐리어 관(13)의 상부(14)의 대응하는 테이퍼와 지지 하우징 내의 보어(4)는 캐리어 관(13)이 보어(4)를 통과하는 것을 막는다.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베이스(3)는 지지관(7)의 테이퍼 바닥 부분(9)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테이퍼 보어(77)를 가진다. 지지관(7)은 베이스(3)의 테이퍼 보어(77)로 압입 끼워 맞추어서, 지지 관(7)과 베이스(3) 사이에 적절히 하중을 전달한다.
도 2와 5에 나타난 것처럼, 캐리어 관(13)은 일반적으로 열려 있는 바닥 단부(16)를 포함한다. 캐리어 관(13)의 바닥 단부는 지지관(7)의 열려 있는 상부 단부(8)에 텔레스코프식으로 조립된다.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이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완전히 펼쳐진 위치 사이에서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완전히 압축된 위치로 움직이므로, 캐리어 관(13)은 지지관(7)에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게 결합한다. 완전히 펼쳐진 위치에서, 사용자가 시이트의 중심에서 벗어나 착석함으로써 발생되는 휨 모우멘트를 상쇄하는데 충분한 접촉면을 제공하도록 캐리어 관(13)의 일부는 지지관(7)의 일부와 맞물려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약 2인치의 캐리어 관(13)은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완전히 펼쳐진 위치에서 지지관(7)과 맞물려 있다.
도 2와 5에 나타난 것처럼, 공압식 카트리지(17)는 캐리어 관(13) 내에 배치된다. 공압식 카트리지(17)는 실린더(19), 샤프트(23)와 허브(30)를 포함한다. 실린더(19)는 상부면(55)과 하부면(53)을 가진다. 실린더의 하부면(53)은 샤프트(23)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구멍(57)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도 8과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실린더(19)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있다. 샤프트(23)가 실린더(19)와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게 결합하고 실린더(19) 내에 배치된 피스톤에 연결된다.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1)이 완전히 펼쳐져 있을 때, 샤프트(23)의 대부분은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실린더(19)에서 아래쪽으로 뻗어있다. 완전히 압축된 위치에 있을 때, 샤프트(23)의 대부분은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실린더(19) 내에 배치된다. 시일(34)은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실린더(19)의 하부면(53)에서 실린더(19)와 샤프트(23) 사이에 삽입된다.
도 2, 3에 나타난 것처럼, 공압식 카트리지의 허브(30)는 실린더(19)의 상부면(55)에 배치된다. 공압식 카트리지(17)가 캐리어 관(19) 내에 배치될 때, 허브(30)는 캐리어 관(13)의 상부(14)에 있는 오우프닝(15)을 통과한다. 캐리어 관(13)에서 오우프닝(15)의 지름은 실린더(19)의 외주보다 작기 때문에 실린더의 상부면(55)는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캐리어 관(19)의 쇼울더(59)와 맞물려서, 실린더(19)가 오우프닝을 통과하는 것을 막고 캐리어 관(19)으로부터 공압식 카트리지(17)까지 하향 수직 하중을 전달하는 하중 경로를 제공한다. 도 2와 3에 나타난 것처럼, 작동 단추(33)는 허브(30)를 관통하여 뻗어있고 실린더(19)와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게 결합한다. 내리눌러졌을 때, 작동 단추(33)는 실린더(19) 내에 함유된 가스 스프링을 작동시켜서, 기둥을 올리거나 내려준다.
도 2와 3에 나타난 것처럼, 허브 패스너가 캐리어 관(19) 내의 오우프닝(15)을 통하여 돌출해 있을 때 허브 패스너(35)는 허브(30)에 분리할 수 있게 맞물린다. 의자가 위로 상승되었을 때 허브 패스너(35)는 캐리어 관(13)에서 공압식 카트리지(17)의 위치를 유지한다. 의자가 위로 상승되었을 때, 지지 하우징(6)은 캐리어 관(13)으로 상승력을 전달한다. 공압식 카트리지(17)가 캐리어 관(19)에 고정되지 않는다면, 캐리어 관(13)과 지지 관(7)이 분리될 때까지 캐리어 관(13)은 지지 관(7)에서 위쪽으로 미끄럼 운동을 한다. 허브 패스너(35)는 공압식 카트리지(17)의 위치를 캐리어 관(13)에 유지시켜서 리어 관(13)이 지지 관(7)과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게 결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허브 패스너(35)를 사용하는 공압식 카트리지(17)에 카트리지 관(13)을 고정시킴으로써, 샤프트 패스너(51)를 사용하는 공압식 카트리지(17)에 지지관(7)을 고정시킴으로써 달성된다.
허브 패스너(35)는 지지 하우징(6)을 캐리어 관(13)에 고정하는 2차 지지 장치의 기능을 가진다.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허브 패스너(35)는 지지 하우징(6)에서 테이퍼 보어(4)의 상부 오우프닝보다 크다. 따라서, 허브 패스너(35)는 지지 하우징(6)의 상부면(75)과 맞물린다. 따라서 캐리어 관(13)의 테이퍼 부분(14)이 느슨해지거나 지지 하우징(6)에서 테이퍼 보어(4)의 오우프닝에 꽉 맞지 않는다면, 허브 패스너(35)는 지지 하우징(6)이 캐리어 관(13)의 상부(1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허브 패스너(35)는 기둥(1)과 지지 하우징(6) 사이의 2차 지지 장치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7에 나타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허브 패스너(35)는 한 쌍의 탄성 부재(37)와 확대된 부분(39)을 가진다. 탄성 부재는 허브 패스너(35)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경사진 단부(38)를 포함한다. 이 탄성 부재(37)는 탄성 부재 사이의 오우프닝(61)을 한정하고 오우프닝(61)으로 안쪽으로 뻗어있는 세 개의 결합 탭(40)을 포함한다. 허브(30)가 오우프닝에 배치되었을 때, 결합 탭(40)은 허브(30)와 맞물린다. 허브 패스너(35)를 조립했을 때, 경사진 단부(38)는 허브(30)에 대해 배치되고 내향력이 확대된 부분(39)에 적용되어서, 탄성 부재가 허브(30)를 통과할 때 탄성 부재(37)를 바깥쪽으로 기울인다.
경사진 단부(38)는 허브(30)상에서 허브 패스너(35)를 배치하기 위해 초기 안내를 제공하고 장착력을 제공함으로써 설치 공정을 용이하게 해 주어서, 탄성 부재(37)가 허브(30)를 통과하여 미끄럼 운동을 하고 바깥쪽으로 기울어질 때 패스너(35)에 적용된 내향력은 반드시 증가한다. 따라서, 패스너(35)가 허브(30)에 의해 부여되는 안정성을 갖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서만 안내되는, 설치 초기에 보다 작은 힘이 요구된다. 허브(30)가 오우프닝에 배치될 때, 탄성 부재(37)는 원위치로 복귀하여서 결합 탭(40)은 허브(30)와 맞물린다.
허브 패스너(35)는 확대된 부분(39)에 의해 외향력을 제공함으로써 제거된다. 허브 패스너(35)가 바깥쪽으로 움직임에 따라, 탄성 부재(37)는 허브(30)에 의해 바깥쪽으로 기울어진다. 허브(30)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탄성 부재(37)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허브 패스너를 파손시키지 않으면서 허브 패스너(35)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허브 패스너(35)는 허브(30)나 캐리어 관(13)에 단단히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캐리어 관(13)이나 공압식 카트리지(17)를 교체할 필요없이 간단하고 저렴하게 교체될 수 있다.
공압식 카트리지(17)를 제거하여 교체하기 위해서, 허브 패스너(35)는 제거되고 시이트(5), 지지 하우징(6)과 캐리어 관(13)은 지지관(7)과 공압식 카트리지(17)로부터 분리된다. 그 후에 샤프트 패스너(51)는 제거되므로, 공압식 카트리지(17)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허브(30)에 접근하도록 캐리어 관(13)으로부터 지지 하우징(6)을 제거할 필요없이 카트리지(17)는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허브(30)는 하부 쇼율더(63)와 상부 쇼율더(65)에 의해 한정된 원주 그루우브(31)를 가진다. 탄성 부재(37)는 그루우브(31)에 배치되고 상부 쇼율더(65)와 맞물려서 허브(30)가 캐리어 관(13)에서 오우프닝(15)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통과하는 것을 막는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허브 패스너(35)는 구부려져 있고 하부 요면(67)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도 2, 3과 5에 나타난 것처럼 캐리어 관(13)의 상부면(75)과 지지 하우징(6)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허브 패스너(35)는 상부 볼록면(69)을 가지고, 이것은 허브(30)의 상부 쇼율더(65)에 대해 경사를 이루고 있다. 허브 패스너(30)는 캐리어 관(13)의 쇼율더(59)에 대해 카트리지(17)를 위쪽으로 기울이도록 구부려져 있어서, 시이트(5)에 의해 위쪽으로 올려질 때 의자에 발생한 금이나 느슨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허브 패스너(35)는 전술한 대로 2차 지지 장치로서의 역할을 한다. 경사를 이룬 단부(38)와 허브 패스너(35)의 확대된 부분(27)이 지지 하우징(6)과 맞물리기 때문에, 지지 하우징(6)은 캐리어 관(13)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허브 패스너(35)는 강철로 만들어지고 약 0.030-0.050인치의 두께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 패스너에 대해 다양한 종류의 재료와 두께로 만들어질 수 있다. 허브 패스너(35)는 캐리어 관(13)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것의 두께는 기둥의 스트로크를 감소시키거나 방해하지 않는다.
도 4와 6에 나타난 것처럼, 공압식 카트리지(17)의 샤프트(23)는 지지관(7)의 바닥 단부(10)에 장착된 지지판(12)에 부착된다. 지지관(7)의 바닥 단부(10)는 일반적으로 열려있고 쇼율더(7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12)은 도 4와 6에 나타난 것처럼 지지관(7)의 바닥 단부(10)에 형성된 쇼율더(71)와 맞물린다. 지지관(7)은 그것을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서 지지 판(12) 위에서 주름 잡혀있다. 또는, 지지판은 지지관에 용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닥 단부는 쇼울더를 포함하지 않는다. 지지판은 바닥 단부의 오우프닝에 배치되고 지지 관에 용접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판은 나사를 포함하고 지지관에 배치된 대응하는 나사와 맞물린다.
샤프트(23)는 지지판(12)의 오우프닝(14)을 관통하는 바닥 단부(27)를 포함한다. 샤프트(23)의 바닥 단부(27)는 그루우브(29)를 가진다. 샤프트(23)가 지지판(12)의 오우프닝(14)을 통하여 역행하는 것을 막도록 샤프트 패스너(51)는 그루우브(29)에 배치된다. 선호적으로, 샤프트 패스너(51)는 클립으로 구성된다. 또는 샤프트는 코터 핀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바닥 단부에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바닥 단부는 너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나사를 가질 수도 있다.
샤프트(23)는 샤프트(23)의 바닥 단부(27)에 인접하여 배치된 쇼율더(25)를 포함한다. 쇼율더(25)는 샤프트(23)의 일부를 형성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쇼율더는 샤프트에 용접된 와셔나 샤프트에 나사로 고정된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베어링 세트(41)는 도 4와 6에 나타낸 것처럼 쇼율더(25)와 지지 판(12) 사이의 샤프트(23)에 배치된다. 베어링 세트(41)는 제 1 와셔, 제 2 와셔 및 와셔 사이에 고정된 다수의 볼 베어링(44)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축 둘레에서 시이트(5)를 회전시킬 때 베어링 세트(44)는 공압식 카트리지(17)와 캐리어 관(13)이 세로축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베어링 세트(41)는 쇼울더(25)가 지지판(12)에 배치된 오우프닝(16)을 통과하는 것을 막는다. 쇼울더는 오우프닝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고 지지판에 대해 직접 지지된다. 도 4와 6에 나타난 것처럼, 완충 부재(45)는 쇼율더(25) 둘레의 샤프트(23)에 배치되고 쇼울더(25)의 상부면 위로 뻗어있다. 선호적으로, 완충 부재(45)는 고무로 만들어진다. 기둥이 완전히 압축된 위치에 있을 때 완충 부재(45)는 실린더(19)의 바닥면(53)과 쇼울더(25) 사이에 삽입된다. 완충 부재(45)는 쇼울더(25)가 접촉하는 것을 막고 실린더(19)의 바닥 면(53)을 손상시키는 것을 막는다.
사용자가 착석했을 때, 시이트는 수직 하중을 캐리어 관(13)에 가하는데, 이것은 수직 하중을 캐리어 관의 쇼울더(59)를 통하여 공압식 카트리지(17)로 전달한다. 공압식 카트리지(17)는 수직 하중을 샤프트(23)를 통하여 전달하고 그것을 샤프트(23)상의 쇼울더(25)를 통하여 베어링 세트(41)에 전달한다. 그 후에 베어링 세트(41)는 수직 하중을 지지판(12)을 통하여 지지 관(7)에 전달한다. 끝으로, 하중은 지지 관(7)으로부터 베이스(3)로 옮겨진다.
카트리지(17)가 캐리어 관(13)의 상부에서 캐리어 관(13) 내에 고정되기 때문에, 카트리지(17)에는 어떤 휨 하중도 작용되지 않는다. 캐리어 관의 하부에 고정된다면, 실린더의 부착점 및 샤프트가 지지관에 부착된 점에 가해진 반동력, 즉 결합된 반동력을 가함으로써 카트리지는 그것에 적용된 휨 모우멘트를 견딜 수 있다. 상기 배치는 카트리지가 휨 모우멘트를 지지하고 그것에 대해 반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샤프트와 실린더 사이에서 교환된 합성력은 상기 두 요소와 접촉하는 시일의 마모를 촉진시킬 수 있다. 반대로, 실린더가 캐리어 관의 상부에 부착되었을 때, 카트리지에는 휨 모우멘트가 전달되지 않는다.
본원 발명은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관련된다. 이 방법은 공압식 카트리지(17)를 캐리어 관(13)에 삽입하여서 허브(30)가 캐리어 관(13)의 상부(14)에 있는 오우프닝(15)을 통과하도록 한다. 이런 식으로 배치되었을 때, 실린더(19)의 상부면은 캐리어 관(13)의 쇼울더(59)와 맞물린다. 그 후에 허브 패스너(35)는 공압식 카트리지(17)를 캐리어 관(13)내에 고정하기 위해서 허브(30)에 부착된다. 완충 부재(45)는 쇼울더(25) 둘레의 샤프트(23)에 배치되고 베어링 세트(41)는 쇼울더 아래의 샤프트(27) 단부에 배치된다. 완충 부재(45)와 베어링 세트(41)를 포함하면서, 캐리어 관(13)과 부착된 공압식 카트리지(17)는 지지 관(7) 내로 삽입된다. 샤프트의 바닥 단부(27)가 지지판(12)에 있는 오우프닝(14)을 통과할 때까지 캐리어 관(7)은 아래쪽으로 밀려져서, 쇼울더(25)와 지지판(12) 사이에 베어링 세트(41)를 고정한다. 그 후에 샤프트를 지지판(12)에 고정하기 위해서 샤프트 패스너(51)는 샤프트(23)의 단부에 부착된다.
본원 발명은 선호되는 실시예를 참고로 기술되었지만, 당해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처럼, 전술한 설명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원 발명이 여기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본원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 내에서 한정된다.

Claims (29)

  1. 열려 있는 상측 단부 및 의자 베이스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바닥 부분을 가지는 지지관으로 구성되는데, 바닥 부분은 지지관의 지름보다 짧은 지름을 가지는 오우프닝을 포함하고;
    지지 하우징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상부를 가지는 캐리어 관으로 구성되는데, 상부는 캐리어 관의 지름보다 짧은 지름을 가지는 오우프닝을 포함하고, 이 캐리어 관은 지지관의 상측 단부와 텔레스코프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열려 있는 바닥 단부를 가지고;
    지지관 내에 배치된 실린더를 가지는 공압식 카트리지를 포함하는데, 상기 실린더는 캐리어 관 내의 오우프닝의 지름보다 긴 지름을 가지고; 샤프트는 실린더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 있고, 샤프트는 지지관의 바닥에 있는 오우프닝을 통과하는 바닥 부분을 가지고; 허브는 캐리어 관의 상부에 있는 오우프닝을 통과하는 실린더의 상부에 배치되고;
    허브 패스너는 허브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하여서, 허브의 위치는 캐리어 관의 상부에 있는 오우프닝을 통하여 유지되고;
    샤프트 패스너는 샤프트의 바닥 단부에 부착되어서, 샤프트의 바닥 단부의 위치는 지지관의 바닥에 있는 오우프닝을 통하여 유지되는, 의자용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
  2. 제 1 항에 있어서, 허브는 그루우브로 이루어지고 허브 패스너는 그루우브내에 배치된 탄성 부재 및 이 탄성 부재로부터 뻗어있는 확대된 부분으로 구성되므로 허브가 캐리어 관의 상부에 있는 오우프닝을 통하여 역행하는 것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3. 제 2 항에 있어서, 그루우브는 허브 둘레에 배치된 원주형 그루우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패스너는 약 0,030-0.050인치의 두께를 가지는 강철 스트립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패스너는 구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6. 제 1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허브를 통하여 뻗어있는 작동 단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7.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 관의 바닥 부분은 열려 있는 바닥 단부 및 이 바닥 단부에 장착된 지지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은 지지관의 지름보다 짧은 지름을 가지는 오우프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8. 제 7 항에 있어서, 샤프트는 이 샤프트의 바닥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쇼울더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식 실린더는 샤프트 상에 배치된 베어링 세트로 이루어지고 이 베어링 세트는 쇼울더와 지지판 사이에 고정되어서, 공압식 카트리지는 세로축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세트는 제 1 와셔, 제 2 와셔 및 와셔 사이에 삽입된 다수의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쇼울더 둘레에서 샤프트 상에 배치된 완충 부재로 이루어지고, 공압식 카트리지가 압축되었을 때 이 완충 부재는 실린더의 하부면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패스너는 탄성 부재에 부착된 확대부와 오우프닝을 한정하는 한 쌍의 탄성 부재를 가지는 Y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허브가 오우프닝 내에 배치되었을 때 탄성 부재는 공압식 카트리지의 허브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패스너는 오우프닝으로 안쪽으로 뻗어있는 세개의 결합 탭을 포함하고, 상기 탭은 공압식 카트리지의 허브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경사진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를 이룬 단부와 확대부는 지지 하우징과 맞물려서, 상기 캐리어 관은 지지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15. 제 1 항에 있어서, 허브 패스너는 지지 하우징과 맞물리기에 적합하므로, 캐리어 관은 상기 지지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16. 지지관;
    오우프닝을 가지는, 지지관에 배치된 캐리어 관;
    캐리어 관의 오우프닝을 통과하는, 실린더의 상부에 배치된 허브와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캐리어 관 내에 배치된 공압식 카트리지;
    캐리어 관의 오우프닝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허브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한 허브 패스너로 구성된 의자용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
  17. 제 16 항에 있어서, 허브는 그루우브로 구성되고 허브 패스너는 이 그루우브에 배치된 탄성 부재 및 이 탄성 부재로부터 뻗어있는 확대부를 포함하여서 허브가 캐리어 관의 상부에 있는 오우프닝을 통하여 역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18. 제 17 항에 있어서, 그루우브는 허브 둘레에 배치된 원주형 그루우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패스너는 약 0.030-0.050인치의 두께를 가지는 강철 스트립으로 만들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기둥.
  20. 제 16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허브를 통하여 뻗어있는 작동 단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21. 제 16 항에 있어서, 허브 패스너는 오우프닝을 한정하는 한 쌍의 탄성 부재를 가지는 Y형태이고, 허브가 오우프닝 내에 배치되었을 때 탄성 부재는 공압식 카트리지의 허브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오우프닝으로 안쪽으로 뻗어있는 세 개의 결합 탭을 포함하고, 상기 탭은 공압식 카트리지의 허브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23. 제 21 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경사진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패스너는 구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25. 제 16 항에 있어서, 허브 패스너는 캐리어 관 상에 장착된 지지 하우징과 결합하기에 적합하므로, 캐리어 관은 상기 지지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26. 일반적으로 열려있는 상측 단부와 의자 베이스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바닥 부분을 가지는 지지관을 제공하는데, 상기 바닥 부분은 지지관의 지름보다 짧은 지름을 가지는 오우프닝을 가지고;
    지지 하우징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상부를 가지는 캐리어 관을 제공하는데, 상부는 캐리어 관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오우프닝을 포함하고, 캐리어 관은 일반적으로 열려있는 바닥 단부를 가지고;
    실린더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샤프트, 실린더의 상부에 부착된 허브 및, 실린더로 구성된 공압식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상기 샤프트는 바닥 단부와 이 바닥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쇼울더로 구성되고;
    공압식 카트리지를 캐리어 관에 삽입하여서 허브가 상부에 있는 오우프닝을 통과하도록 하고;
    공압식 카트리지를 캐리어 관에 고정하기 위해서 허브를 허브 패스너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하고;
    캐리어 관을 지지 관으로 삽입하고;
    샤프트의 바닥 단부는 지지관의 바닥 부분에 있는 오우프닝을 통과하고;
    샤프트의 바닥 단부를 샤프트 패스너로 고정하는 것으로 구성된,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을 조립하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샤프트의 바닥 단부 상에 베어링 세트를 배치하고, 샤프트의 쇼울더와 지지관의 하부 사이에 베어링 세트를 고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샤프트 상의 완충 부재를 쇼울더 둘레에 배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26 항에 있어서, 허브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하는 단계는 내향력을 허브 패스너의 확대부에 적용하여서 허브 패스너가 허브에 배치되었을 때 한 쌍의 탄성 부재가 허브에 의해 바깥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708791A 1995-06-07 1996-06-05 의자용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 KR199900223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486716 1995-06-07
US08/486,716 US5740997A (en) 1995-06-07 1995-06-07 Pneumatic height adjustment column for a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311A true KR19990022311A (ko) 1999-03-25

Family

ID=23932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791A KR19990022311A (ko) 1995-06-07 1996-06-05 의자용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40997A (ko)
EP (1) EP0831732A4 (ko)
JP (1) JPH11506675A (ko)
KR (1) KR19990022311A (ko)
AU (1) AU711714B2 (ko)
CA (1) CA2223137C (ko)
WO (1) WO19960398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21315Y (zh) * 1997-11-12 1999-06-02 上海旭卡机械电器有限公司 可调式座椅支座
DE19809389C1 (de) * 1998-03-05 1999-10-07 Stabilus Gmbh Längenverstellbare Säule
US6116555A (en) * 1998-05-29 2000-09-12 Krueger International, Inc. Plastic chair base including hub with integral ring and oppositely-directed tapers
US6132128A (en) * 1998-06-17 2000-10-17 Prince Corporation Snap-on control member
US7028957B1 (en) * 1998-10-15 2006-04-18 John Larson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tables
US6224155B1 (en) * 1999-01-12 2001-05-01 Steelcase Development Inc. Vertical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chairs
US6319585B1 (en) 1999-07-23 2001-11-20 Bentec, Inc. Curved veneer laminated stock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290191B1 (en) 1999-08-19 2001-09-18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Chair base
DE10006884C2 (de) * 2000-02-16 2002-01-31 Stabilus Gmbh Längenverstellbare Säule und Montageverfahren für eine derartige längenverstellbare Säule
US6601818B1 (en) 2000-10-12 2003-08-05 Lord Corporation Tilting mount with integral flange
US6629479B2 (en) 2001-02-12 2003-10-07 Hennessy Industries, Inc. On-car brake lathe having improved support trolley
US7014264B2 (en) * 2004-07-21 2006-03-21 Alderman Lee V Folding chair with pnuematically height adjustable seat
CN1586363A (zh) * 2004-09-14 2005-03-02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升降餐椅
US7530639B2 (en) 2006-01-06 2009-05-12 Herman Miller, Inc. Chair with adjustable foot support
US20080086820A1 (en) * 2006-10-16 2008-04-17 Timothy Brenner Leg eleva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US8239988B2 (en) * 2006-10-16 2012-08-14 Timothy Brenner Leg eleva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DE202008014043U1 (de) * 2008-10-22 2010-03-11 Tepe-Walser, Silvia Federweiche Lagerungszwischenstücke
US8678489B1 (en) 2010-06-04 2014-03-25 David Skinner Hunting chair
US9829034B2 (en) * 2016-01-22 2017-11-28 Stabilus Gmbh Cable retention clip
US11533999B2 (en) 2020-07-30 2022-12-27 B&Z Productions, LLC Seat plate gas cylinder quick-releas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6048A (en) * 1967-06-05 1969-04-01 Greer Hydraulics Inc Seat assembly for vehicles
DE1625465B2 (de) * 1967-11-30 1971-12-16 Stabilus Industrie- Und Handelsgesellschaft Mbh, 5400 Koblenz Blockierbare pneumatische oder hydropneumatische feder
US3547394A (en) * 1969-01-14 1970-12-15 Cramer Ind Inc Height adjustment apparatus
GB1410983A (en) * 1971-12-23 1975-10-22 Stabilus Ind Handels Gmbh Column assembly combination
US3891270A (en) * 1974-05-10 1975-06-24 Krueger Metal Products Pneumatic stool with foot rest connected to seat base
US4108416A (en) * 1975-09-17 1978-08-22 Tokico Ltd Device for adjusting length of gas spring
DE7623283U1 (de) * 1976-07-23 1977-01-13 Stabilus Gmbh, 5400 Koblenz Fuehrungssaeule zur stufenlosen hoeheneinstellung von stuhlsitzen
NO783089L (no) * 1978-09-13 1980-03-14 Per Gunnar Werner Trinnloest regulerbar og laasbar teleskopforbindelse, for eksempel for understell for arbeidsstoler
CA1154369A (en) * 1980-02-11 1983-09-27 Duane M. Beukema Height adjustor for furniture
GB2095364B (en) * 1981-03-24 1985-07-24 Wipac Group Sales Adjustable fluid support devices for swivel chairs
DE8422413U1 (de) * 1983-07-29 1985-11-21 Fritz Bauer + Söhne oHG, 8503 Altdorf Längenverstellbare Gasfeder für eine blockierbare Hubvorrichtung zum strufenlosen Verstellen von Stuhlsitzen, Tischplatten oder ähnlichen Möbelstücken
US4580749A (en) * 1983-10-24 1986-04-08 Gas Spring Company Div. Of Fichtel & Sachs Industries, Inc. Support column unit
US4595237A (en) * 1984-05-11 1986-06-17 Haworth, Inc. Actuating control for seat height adjustment mechanism
DE3420528A1 (de) * 1984-06-01 1985-12-05 Stabilus Gmbh, 5400 Koblenz Stufenlos verstellbare hubvorrichtung
DE3437097C2 (de) * 1984-10-10 1995-10-26 Stabilus Gmbh Stufenlos verstellbare Hubvorrichtung
DE3517003A1 (de) * 1985-05-10 1986-11-13 Stabilus Gmbh, 5400 Koblenz Konusverbindung an einer hoehenverstellbaren stuhl- oder tischsaeule
DE3627138A1 (de) * 1986-08-09 1988-02-11 Stabilus Gmbh Fuehrung teleskopartig ineinander verschiebbare zylindrische teile
US4720068A (en) * 1986-08-29 1988-01-19 Tornero Lino E Seat support column
DE3630746C1 (de) * 1986-09-10 1988-02-11 Dornier Gmbh Rueckhaltevorrichtung fuer Elemente einer teleskopartig,laengenveraenderlichen Einrichtung
DE8630918U1 (ko) * 1986-11-18 1987-11-05 Fritz Bauer + Soehne Ohg, 8503 Altdorf, De
JPH02503060A (ja) * 1987-04-17 1990-09-27 リフター エス・アール・エル 中央円柱付き事務用椅子のための調節可能な油圧空気式支持体
DE8800976U1 (ko) * 1988-01-28 1989-06-01 Fritz Bauer + Soehne Ohg, 8503 Altdorf, De
US5149035A (en) * 1988-09-01 1992-09-22 The Shaw-Walker Company Chair base and post assembly for an office chair
JPH0443115Y2 (ko) * 1988-09-21 1992-10-12
DE3833959A1 (de) * 1988-10-06 1990-04-12 Bauer Fritz & Soehne Ohg Laengenverstellbare saeule fuer stuehle, tische oder dergleichen
DE3836397A1 (de) * 1988-10-26 1990-05-03 Stabilus Gmbh Laengenverstellbarer ausloesestoessel fuer einen ausloesemechanismus von gasfedern zur hoehenverstellung von moebeln
DE3932146A1 (de) * 1989-09-27 1991-04-04 Stabilus Gmbh Axiallager fuer die saeule einer hydropneumatischen sitzmoebel-hoehenverstellung
IT1240378B (it) * 1990-05-21 1993-12-10 Skillmatic S.R.L. Cilindro a lunghezza regolabile, utilizzabile particolarmente come colonna di sopporto di sedie, sedili e simili.
DE4034633A1 (de) * 1990-10-31 1992-05-07 Stabilus Gmbh Gasfeder zur hoehenverstellung
US5234187A (en) * 1992-06-02 1993-08-10 Steelcase Inc. Chair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31732A1 (en) 1998-04-01
AU6090796A (en) 1996-12-30
JPH11506675A (ja) 1999-06-15
CA2223137A1 (en) 1996-12-19
WO1996039898A1 (en) 1996-12-19
CA2223137C (en) 2001-02-20
EP0831732A4 (en) 2000-08-23
AU711714B2 (en) 1999-10-21
US5740997A (en) 1998-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2311A (ko) 의자용 공압식 높이 조절 기둥
US3788587A (en) Resilient column
US6401948B1 (en) Hanger for displaying clothing
US4684098A (en) Support column with gravity retention means
US4693442A (en) Variable length columns
US5991974A (en) Swiveling furniture glide
CA2116397C (en) Chair base
CA2025554C (en) Seat construction for a boat
US5816556A (en) Adjustable chair stand
CN201481293U (zh) 马桶盖板组连接组件
US5813643A (en) Cylinder holder for cylindrical tank
CA2195367C (en) Base assembly for maintaining elongated support upright
US5979845A (en) Hub tube/washer assembly
US6675794B1 (en) BBQ grill with ignition system
US5933889A (en) Mortuary cot post tip
MXPA05001346A (es) Deslizador de mueble con base de poliuretano.
EP3994546B1 (en) Removable feet for electronic devices
KR101090195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절첩장치
US20120274113A1 (en) Adjustable Chair
US2829937A (en) Multi-rod leg supports
US5564671A (en) Cushion assembly for a bicycle seat
CN108991730A (zh) 一种快速平衡桌子
JP2774903B2 (ja) 椅子における脚装置
KR102586292B1 (ko) 다방향 절곡 및 복원 구조를 갖는 틸팅모듈유닛이 마련된 의자
JP3129905B2 (ja) 重量物支持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