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117U - 믹서기용회전칼날 - Google Patents

믹서기용회전칼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117U
KR19990022117U KR2019990003286U KR19990003286U KR19990022117U KR 19990022117 U KR19990022117 U KR 19990022117U KR 2019990003286 U KR2019990003286 U KR 2019990003286U KR 19990003286 U KR19990003286 U KR 19990003286U KR 19990022117 U KR19990022117 U KR 199900221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ontents
rotary
stat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김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진 filed Critical 김영진
Priority to KR2019990003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2117U/ko
Publication of KR199900221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117U/ko

Link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용물을 갈아주는 회전칼날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절첩될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이 용기내에 담겨진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내용물을 갈아줄수 있도록 한 믹서기용 회전칼날에 관한 것으로, 이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내용물을 갈아주는 믹서기의 회전칼날에 있어서, 하단부 양측으로 칼날의 끝단부가 끼워질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540)를 형성하고, 저면으로 부터 내부로 요입되는 요입공(550)을 형성한 회전축(510)과; 상기 개방부 양측으로 끝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핀(530)에 결합되어 임의 회동 가능하도록 한 상태에서 끝단부 상면으로 돌촐되는 하는 돌출돌기(570)가 형성된 칼날(520)과; 요입공에 삽입시켜 상단면은 요입공에 탄지되고 하단면을 칼날의 돌출돌기에 탄지되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칼날을 수직으로 세워줄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560)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믹서기용 회전칼날{a knife of mixer machine}
본 고안은 믹서기용 회전칼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용물을 갈아주는 회전칼날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절첩될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이 용기내에 담겨진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내용물을 갈아줄수 있도록 한 믹서기용 회전칼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믹서기는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많이 사용되는 가정용품으로서, 주로 과일이나 야채등을 갈아 쥬스로 만들어 용이하게 마시거나 각종의 양념 즉, 마늘,양파,감자등을 잘게 분쇄시켜 줄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믹서기는 전방에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수 있는 스위치부가 갖추어지고 전방측 상면에 내용뮬이 담겨지는 용기가 얹혀질수 있도록 안치부가 갖추어진 받침판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위치하여 후방측에 결합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몸체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전방측 하부로 내부에 갖추어진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의 끝단부에 내용물의 분쇄시켜 줄수 있는 회전칼날부 즉, 구동축에 끼워져 결합되는 있어 현재 내용물을 분쇄시켜 주는 회전축의 하단 양측에 수평으로 회전칼날이 갖추어져 모터의 구동으로 인해 구동축이 회전되므로서 수평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칼날이 회전되면서 용기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을 분쇄시켜 주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믹서기에 있어 종래의 회전칼날은 회전축 하단부 양측에 수평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용기에 분쇄시켜 주고자 하는 내용물을 충분히 담아준 상태에서 분쇄시켜 주지 못하고 분쇄도중 수시로 내용물을 용기에 투입시켜 주면서 분쇄를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회전칼날이 용기의 내부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내용물을 분쇄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회전칼날이 회전축의 하단부 양측에 수평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몸체를 상부로 회동시켜 주면서 회전칼날이 용기에 삽입되고 이격될수 있도록 되어있어 용기에 내용물을 가득 채워놓은 상태에서 회전칼날을 용기에 삽입시켜 줄 경우 수평으로 갖추어져 있는 회전칼날이 내용물에 걸려 회전칼날이 용기의 하단부로 삽입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어 분쇄시 수시로 내용물을 용기의 내부로 투입시켜 주어가면서 분쇄를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축 하단 양측에 갖추어지는 회전칼날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부로 접혀지고, 내용물을 분쇄시켜 주기위해 회전시에는 회전원심력에 의해 수평으로 펼쳐질수 있도록 하여 용기내에 분쇄시켜 주고자 하는 내용물을 가득 채워 놓은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효율적인 분쇄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믹서기의 측단면도.
도 2 -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시시도.
도 3 -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500:회전칼날부 510:회전축
520:칼날 530:힌지핀
540:개방부 550:요입부
560:탄성스프링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믹서기의 부분절개 측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확대 단면도로서, 전방에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수 있는 스위치부(110)가 갖추어지고 전방측 상면에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200)가 얹혀질수 있도록 안치면(120)이 갖추어진 받침판(100)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위치하여 후방측에 결합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몸체(30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전방측 하부로 내부에 갖추어진 모터(40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4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회전축(510)이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하단 양측에 내용물을 분쇄시켜 주는 칼날(520)이 구성되는 회전칼날부(500)로 갖추어진 믹서기의 회전칼날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510)의 하단부를 칼날의 끝단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힌지핀(530)에 의해 결합되어 임의로 회동 가능할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540)를 형성하고, 회전축의 저면으로 부터 내측으로 요입되는 요입공(550)을 형성하며, 상기 요입공내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탄지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칼날의 끝단면 상단에 탄지되어 자체의 탄성력으로 인해 칼날의 선단부가 상부로 접혀질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560)으로 형성고 있으며, 칼날의 끝단부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어 칼날이 세워진 상태에서 탄성스프링이 이격되지 않도록 탄지시켜 주는 돌출돌기(570)를 형성시켜 준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축(510)의 하단부로 부터 내부로 요입된 요입공(550)내에 탄성스프링()이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개방면(540) 양측에 각각 칼날(520)이 힌지핀(530)에 의해 임의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준다.
이때, 요입공(550)내에 요입되어 있는 탄성스프링(560)의 하단면이 칼날의 끝단면 상단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돌기(570)에 얹혀지도록 한 상태에서 결합시켜 주므로서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압력에 의해 힌지핀(530)을 중심으로 칼날의 끝단부를 하부로 밀어냄에 따라 칼날의 선단부가 회전축을 기점으로 하여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칼날(520)의 회전축(510)을 구동축(410)과 견고해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서, 용기내에 내용물을 담아주고자 할 경우 몸체(300)를 상부로 들어주어 칼날(520)이 용기로 부터 빠져 나오도록 한 상태에서 용기(200)내에 내용물을 담아준뒤 몸체를 내려 칼날(520)이 내용물을 통과하면서 용기(200)의 내부 하단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칼날(520)이 탄성스프링(560)의 탄성압력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 있으므로서, 용기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에 아무런 장애를 받지않은 상태에서 통과하게 됨에 따라 용기내에 많은 량의 내용물을 담아준 상태에서도 사용할수 있어 분쇄도중 수시로 내용물을 퉁비시켜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사용할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스위치부의 전원을 인가시켜 주게되면 모터(400)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410)이 고속으로 회전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구동축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510)이 함께 회전을 하게 되는데, 회전축(510)의 회전 초기에는 칼날(520)이 세워진 상태에서 회전을 시작하면서 상기 칼날에 걸리는 내용물이 분쇄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축의 회전속도가 서서히 높아지게 되면 회전 원심력에 의해 힌지핀(530)을 중심으로 탄성스프링(560)을 압축하면서 칼날(520)이 수평 상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내용물을 분쇄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탱로 하여 내용물의 분쇄가 완료되어 전원을 차단시켜 주게되면 모터(400)의 구동이 정지함에 따라 회전축(510)의 회전력이 약해지면서 서서히 정지하게 되는데, 회전축의 회전원심력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칼날(520)이 회전력이 약해지면서 탄성스프링(560)의 탄성력에 의해 수직 상태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내용물을 분쇄시켜 주는 칼날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수직으로 세워져 있다가 분쇄시에는 회전원심력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내용물을 분쇄시켜 줄수 있도록 하므로서, 칼날이 용기로 부터 빠져 있는 상태에서 내용물을 담아준뒤 칼날을 용기내에 삽입시켜 줄때 내용물에 구애됨이 없이 칼날이 용기의 내부 하단에 까지 원활하게 삽입되므로 인해 분쇄도중 내용물을 용기내에 수시로 투입시켜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일시에 내용물을 용기내에 담아준 상태에서 분쇄시켜 줄수 있게되는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방에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수 있는 스위치부(110)가 갖추어지고 전방측 상면에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200)가 얹혀질수 있도록 안치면(120)이 갖추어진 받침판(100)과;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후방에 결합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는 몸체(300)와; 상기 몸체의 전방측 하부로 내부에 갖추어진 모터(40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410)과; 상기 구동축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회전축(510)이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하단 양측에 내용물을 분쇄시켜 주는 칼날(520)이 구성되는 회전칼날부(500)로 갖추어진 믹서기의 회전칼날에 있어서, 하단부 양측으로 칼날의 끝단부가 끼워질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540)를 형성하고, 저면으로 부터 내부로 요입되는 요입공(550)을 형성한 회전축(510)과; 상기 개방부 양측으로 끝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핀(530)에 결합되어 임의 회동 가능하도록 한 상태에서 끝단부 상면으로 돌촐되는 하는 돌출돌기(570)가 형성된 칼날(520)과; 요입공에 삽입시켜 상단면은 요입공에 탄지되고 하단면을 칼날의 돌출돌기에 탄지되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칼날을 수직으로 세워줄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560)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회전칼날.
KR2019990003286U 1999-03-03 1999-03-03 믹서기용회전칼날 KR199900221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286U KR19990022117U (ko) 1999-03-03 1999-03-03 믹서기용회전칼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286U KR19990022117U (ko) 1999-03-03 1999-03-03 믹서기용회전칼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117U true KR19990022117U (ko) 1999-06-25

Family

ID=5475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286U KR19990022117U (ko) 1999-03-03 1999-03-03 믹서기용회전칼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211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0535A (zh) * 2017-04-16 2018-11-02 鲁令雪 榨汁机刀具及榨汁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0535A (zh) * 2017-04-16 2018-11-02 鲁令雪 榨汁机刀具及榨汁机
CN108720535B (zh) * 2017-04-16 2024-03-05 中山市绿航电器有限公司 榨汁机刀具及榨汁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0168B2 (ja) 食品,特に氷片を粉砕するための器具
KR200465636Y1 (ko) 일회용 용기용 믹서기 유니트 및 믹서기 유니트의 안전커버
MX2008016259A (es) Extractor de jugos.
KR101364333B1 (ko) 교반기구를 구비하는 소형 블렌더
KR101628633B1 (ko) 얼음분쇄겸용 음식물 믹서기
KR19990022117U (ko) 믹서기용회전칼날
KR200393606Y1 (ko) 푸드 프로세서에 구성되는 이중칼날 절삭부
JP3929798B2 (ja) 調理器
KR200474168Y1 (ko) 다각 믹서기
KR200346869Y1 (ko)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KR19990073275A (ko) 믹서구조
JPH10179427A (ja) 電動調理器
KR20210123873A (ko) 음식분쇄 다목적 믹서
KR100622528B1 (ko) 전기 믹서기
US20030132236A1 (en) Working container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foodstuffs
KR200329310Y1 (ko) 믹서기
JP2003259995A (ja) 調理器
CN220124551U (zh) 一种食品加工机
KR200337882Y1 (ko) 믹서기
US20240148188A1 (en) Foldable stirring cutter
KR200294155Y1 (ko) 전기믹서기와 그 안전장치
KR200343854Y1 (ko) 소형믹서
CN220459232U (zh) 一种料理机的自动落料机构
CN216602603U (zh) 料理刀具组件及料理机
KR200212716Y1 (ko) 믹서기 겸용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