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925U - 자동차의신호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신호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925U
KR19990021925U KR2019990001414U KR19990001414U KR19990021925U KR 19990021925 U KR19990021925 U KR 19990021925U KR 2019990001414 U KR2019990001414 U KR 2019990001414U KR 19990001414 U KR19990001414 U KR 19990001414U KR 19990021925 U KR19990021925 U KR 199900219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turn
signal
vehicle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4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상민
Original Assignee
류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상민 filed Critical 류상민
Priority to KR20199900014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925U/ko
Publication of KR199900219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92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fron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mounted in the vicinity, e.g. in the middle, of a rear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visible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e.g. for pedestri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에서 유(U)턴 표시 또는 브레이크 신호 표시와 같은 자동차의 신호표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전후면 유리 부분에 각각 신호 표시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신호표시를 전후방 차량이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의 신호를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건전한 교통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신호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차량 전방에 유턴 신호를 표시하도록 다수개의 발광수단이 U자 형상으로 배열된 전방 유턴 표시수단과; 차량 후방에 유턴 신호를 표시하도록 다수개의 발광수단이 U자 형상으로 배열된 후방 유턴 표시수단과; 상기 전후방 유턴 표시수단으로의 자동차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유턴 표시 스위치와; 상기 유턴 표시 스위치가 온(ON) 일 때 상기 전후방 유턴 표시수단이 점멸되도록 하는 유턴 표시 점멸수단과;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는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ON)일 때 점등되어 전방에 브레이크 신호를 표시하도록 된 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수단과;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일 때 점등되어 후방에 브레이크 신호를 표시하도록 된 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신호표시 장치{APPARATUS FOR DISPLAYING SIGNAL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전방 및 후방에서 유(U)턴 표시 또는 브레이크 신호 표시와 같은 자동차의 신호표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전후면 유리 부분에 각각 신호 표시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신호표시를 전후방 차량이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의 신호를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건전한 교통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유(U)턴 가능한 교차로에서 유(U)턴을 하고자 하는 경우, 좌측 방향지시등을 점멸시켜 유턴 신호를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차량들은 좌측 방향지시등의 점멸상태를 보고 해당 차량이 좌회전을 하고자 하는지 또는유턴을 하고자 하는지를 인식할 수 없어, 이 때문에 종종 불의의 사고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턴 신호를 표시할 있는 다양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리고, 통상의 자동차에는 브레이크 등(램프; lamp)이 차량 뒤쪽에만 설치되어 있어 후방 차량만 전방 차량의 브레이크 신호 표시를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유턴 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종래기술의 유턴 신호표시장치와 종래기술의 브레이크 신호표시장치는 모두 차량 뒤쪽에만 설치되거나 차량 뒤쪽에만 설치하는 것으로 고안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 차량은 후방 차량의 유턴 신호표시 및 브레이크 신호표시를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방 차량은 후방차량의 주행상태, 즉 브레이크 조작에 의한 감속상태 등을 전혀 알 수 없어 교통흐름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또한 전방 차량은 후방 차량이 유턴을 하고자 하는지 좌회전을 하고자 하는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어 이 때문에 불의의접촉사고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기술의 신호표시장치에 따르면, 해당 차량의 신호 표시를 다른차량들, 예를 들면 전방의 차량이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게 되어 있어 교통흐름과교통안전 및 교통문화 창달에 악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에서 유(U)턴 표시 또는 브레이크 신호 표시와 같은 자동차의 신호표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전후면 유리 부분에 각각 신호 표시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신호표시를 전후방 차량이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의 신호를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하고 건전한 교통문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의 제2 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구성도.
도 5a는 본 고안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의 유(U)턴 표시부의 일실시예의 구성도.
도 5b는 본 고안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의 브레이크 신호 표시부의 일시예의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의 실제적인 회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차 전원 2 : 전면 윈드실드 글라스
3 : 후면 유리(rear window) 10 : 유(U)턴 표시 스위치
20 : 전방 유턴 표시부 30 : 후방 유턴 표시부
60 : 브레이크 스위치 70 : 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부
80 : 후방브레이크신호표시부 L1, L2:발광다이오드(L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는,
자동차의 유(U)턴을 표시하는 신호표시장치에 있어서, 차량 전방에 유턴 신호를 표시하도록 다수개의 발광수단이 U자 형상으로 배열된 전방 유턴 표시수단과; 차량 후방에 유턴 신호를 표시하도록 다수개의 발광수단이 U자 형상으로 배열된 후방 유턴 표시수단과; 상기 전후방 유턴 표시수단에 공급되는 자동차 전원을 단속하여 상기 전후방 유턴 표시수단이 점등 및 소등되도록 하는 유턴 표시 스위치를 포함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턴 표시 스위치가 온(ON) 일때 상기 전후방 유턴 표시수단이 점멸되도록 하는 유턴 표시 점멸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신호를 표시하는 신호표시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는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ON)일 때 점등되어 전방에 브레이크신호를 표시하도록 된 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수단과;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일 때 점등되어 후방에 브레이크 신호를 표시하도록 된 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는,
자동차의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량 전방에 유턴 신호를 표시하도록 다수개의 발광수단이 U자 형상으로 배열된 전방 유턴 표시수단과; 차량 후방에 유턴 신호를 표시하도록 다수개의 발광수단이 U자 형상으로 배열된 후방 유턴표시수단과; 상기 전후방 유턴 표시수단으로의 자동차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유턴표시 스위치와; 상기 유턴 표시 스위치가 온(ON) 일 때 상기 전후방 유턴 표시수단이 점멸되도록 하는 유턴 표시 점멸수단과;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는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ON)일 때 점등되어 전방에 브레이크 신호를 표시하도록 된 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수단과;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일 때 점등되어 후방에 브레이크 신호를 표시하도록 된 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도이고,도 2는 본 고안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의 제2 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 유턴 표시부의 일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 브레이크 신호 표시부의 일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의 실제적인 회로 구성도이다.
도 1, 도 5a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 제1 실시예의 신호표시장치는, 차량 전방에 유턴 신호를 표시하도록 다수개의 발광 다이오드(LED;L1)가 U자 형상으로 배열된 전방 유턴 표시부(20)와, 차량 후방에 유턴 신호를 표시하도록 다수개의 LED(L1)가 U자 형상으로 배열된 후방 유턴 표시부(30)와, 전후방 유턴 표시부(20,30)에 공급되는 자동차 전원(1), 예를 들면 배터리 전원(B+)을 단속하여 전후방 유턴 표시부(20,30)의 LED(L1,L2)들이 점등 및 소등되도록 하는 유턴 표시 스위치(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방 및 후방 유턴 표시부(20)(30)를 구성하는 LED(L1)들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렬로 연결되며, 이들 각 LED(L1)들은 유턴표시 스위치(10)를 통해 인가되는 자동차 전원(1;12볼트 전원)의 전압을 분배하고 전류를 제한하는 저항(R)과 직렬 연결된다.
전방 유턴 표시부(20)는 차량 전면 유리인 윈드실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 2)에 근접 설치되는 룸 미러(room mirror; 미도시)에 전방을 향하도록 부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차량 전방에서 인식하기 좋은 위치이면 어느 위치라도 상관은 없다.
그리고, 후방 유턴 표시부(30)는 차량 후면 유리인 리어 윈도우(rear window; 3)의 중앙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차량 후방에서 인식하기 좋은 위치이면 어느 위치라도 상관은 없다. 유턴 표시 스위치(10)는운전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장소, 예를 들면 전방 유턴 표시부(20)가 설치되는 룸미러 또는 전방 유턴 표시부(20) 몸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운전자가 온/오프 조작하기 편리한 장소라면 어느 위치라도 상관은 없다.
도 5a에 일례로서 도시한 전방 유턴 표시부(20)와 후방 유턴 표시부(20)의 각 U자 형태는 동일하게, 즉 LED(L1)의 U자 배열 형태는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소의 차이가 있어도 상관은 없다.
도 1과 같이 유턴 신호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유턴 표시 스위치(10)를 온(ON)하면 자동차 전원(1)이 전후방 유턴 표시부(20,30)의 LED(L1)들에 인가되어 점등됨으로써 차량 전후방에 유턴 신호를 표시할 수 있지만, LED(L1)들이 점등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때문에 그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턴 표시 점멸부(40)를 부가하여 유턴 신호 표시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유턴 표시 점멸부(40)는 일레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머 소자(IC), 예를 들면 555 타이머와 저항(R1..4), 콘덴서(C1,C2), 및 트랜지스터(Q1,Q2)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점멸부(40)의 회로구성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회로 구성이므로 이 회로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도 1과 같은 유턴 신호표시장치, 즉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해당하는 도 6의 회로구성은 점멸부(40)가 삭제되고, 표시부(20,30)의 각 LED(L1)의 캐소오드 단자(-단자)가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되는 형태로 된다. 그리고, 도 2와 같은 유턴 신호표시장치, 즉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해당하는 도 6의 회로구성은 점선으로 도시한 회로 연결부분(발광 다이오드(L1)의 캐소오드 단자와 접지를 연결하는 부분)을 삭제한 형태로 된다.
도 2, 도 5b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신호표시장치는,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는 브레이크 스위치(60)가 온(ON)일 때, 즉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점등되어 전방에 브레이크 신호를 표시하도록 된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부(70)와, 브레이크 스위치(60)가 온일 때 점등되어 후방에 브레이크 신호를 표시하도록 된 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부(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부(70,80)는 일례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배열된 LED(L2)들로 구성되는데, 이들 각 LED(L2)들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렬로 연결되며, 이들 각 LED(L2)들은 차량의 브레이크 스위치(60)를 통해 인가되는 자동차 전원(B+)의 전압을 분배하고 전류를 제한하는 저항(R)과 직렬연결된다.
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부(70)는 전술한 전방 유턴 표시부(20)와 마찬가지로 차량 전면 유리인 윈드실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 2)에 근접 설치되는 룸미러(room mirror; 미도시)에 부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차량 전방에서 인식하기 좋은 위치이면 어느 위치라도 상관은 없다. 그리고, 후방 브레이크신호 표시부(80)도 차량 후면 유리인 리어 윈도우(rear window ; 3)의 중앙 상단부또는 중앙 하단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차량 후방에서 인식하기 좋은 위치이면 어느 위치라도 상관은 없다. 브레이크 스위치(60)는 기존 차량에 설치되어있는 스위치이다.
도 5b에 일례로서 도시한 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부(70)와 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부(20)의 각 형태는 동일하게, 즉 LED(L2)의 배열 형태는 동일하게 하는것이 바람직하지만, 다소의 차이가 있어도 상관은 없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신호표시장치는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가 결합된 신호표시장치로서, 이는 전후방 유턴 표시부(20,30)와전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부(70,80)가 통합되어 단일 모듈화된 형태이다. 도 5a,b에 도시한 형태의 각 전방 표시부(20)(70)와 후방 표시부(30)(80)는 좌우 또는 상하로 배열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전후면 유리에 각각 설치된다. 도 6에 도시한 실제적인 회로는 제4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는 일례의 구성도이며, 제1 내지제3 실시예는 도 6의 회로에서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 도 5a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 운행중에 운전자가 유턴을 하고자 하면, 운전자는 유턴 표시 스위치(1O)를 온(ON)한다. 유턴 표시 스위치(1O)가 온되면, 자동차 전원(1), 예를 들면 배터리 전원(B+)이 전후방 유턴 표시부(20,3O)의 LED(L1)들에 인가되어 이들이 점등하게 된다. 여기서, 자동차 전원(1)이 배터리 전원(B+)인 것을 예로 하였지만, 자동차 전원(1)이 방향지시등(turn signal lamp)에 인가되는 전원 또는 악세서리 전원(ACC) 또는 시동점화 전원(IG) 또는 기타 LED(L1)들을 점등시킬 수 있는 어떤 전원이어도 상관없음은 물론이다.
전후방 유턴 표시부(20,30)의 LED(L1)들에 자동차 전원(1)이 인가되어 점등되면, 이들 LED(L1)들은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U자를 표시하기 때문에 해당 차량의 전후방에 있는 차량의 운전자들은 해당 차량이 유턴하고자 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운전자가 유턴을 끝냈으면, 유턴 표시 스위치(10)를 오프(OFF)하여 전후방 표시부(20,30)의 LED(L1)들을 소등시킨다.
도 2, 도 5a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차량 운행중에 운전자가 유턴을 하고자 하면, 운전자는 유턴 표시 스위치(1O)를 온(ON)한다. 유턴 표시 스위치(1O)가 온되면 자동차 전원(1)이 유턴 표시 점멸부(40)와 전후방 유턴 표시부(20,30)의 LED(L1)들에 인가된다. 유턴 표시 점멸부(40)에 자동차 전원(1)이 인가되면, 유턴표시 점멸부(40)는 전후방 유턴 표시부(20,30)의 LED(L1)들이 소정주기로 점멸하게 한다. 즉, 유턴 표시 점멸부(40)의 저항과 콘덴서 및 타이머 소자는 트랜지스터(Q1, Q2)가 소정 주기로 턴-온/턴-오프(turn-on/turn-off)되도록 하여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연결되어 있는 전후방 유턴 표시부(20,30)의 LED(L1)들의 캐소오드 단자가 소정 주기로 접지와 연결되는 것을 단속함으로써 유턴 표시부(20,30)의 LED(L1)들이 점멸되게 한다.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전후방 유턴 표시부(20,30)의 LED(L1)들이 점멸하기 때문에 제1 실시예의 경우보다 그 시인성이 향상되게 된다.
도 3, 도 5b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차량 운행중에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 스위치(60)가 온(ON)된다. 브레이크 스위치(60)가 온되면, 배터리 전원(B+)이 전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부(70,80)의 LED(L2)들에 인가되어 이들이 점등하게 된다.
전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부(70,80)의 LED(L2)들에 배터려 전원(B+)이 인가되어 점등되면, 이들 LED(L2)들은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형태를 표시하기 때문에 해당 차량의 전후방에 있는 차량의 운전자들은 해당 차량의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아 감속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어 브레이크 스위치(60)가 오프되면, 전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부(70,80)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LED(L2)들이 소등하게 된다.
도 4, 도 5a,b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유턴 표시 스위치(10)를 온하여 전후방 유턴 표시부(20,30)를 통해전후방에 유턴 표시를 하면서, 브레이크 스위치(60)를 온하면(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전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부(70,80)에 의해 전후방에 브레이크 신호가 표시된다. 즉,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전후방 유턴 신호 표시와 브레이크 신호 표시가 동시에 달성된다.
그리고,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유턴 신호 표시와제3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브레이크 신호 표시가 개별적으로도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는 제4 실시예의 구성이 제2 실시예의 구성과 제3 실시예의 구성이 결합된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유턴 신호 표시와 브레이크 신호 표시를 예로 하여 본 고안의 신호표시장치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전후방으로 표시할 수 있는 어떤 자동차 신호 표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는,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에서 유(U)턴 표시 또는 브레이크 신호 표시와 같은 자동차의 신호표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전후면 유리 부분에 각각 신호 표시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신호표시를 전후방 차량이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의 신호를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건전한 교통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서술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정신과 범주를 볏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Claims (4)

  1. 자동차의 유(U)턴을 표시하는 신호표시장치에 있어서,
    차량 전방에 유턴 신호를 표시하도록 다수개의 발광수단이 U자 형상으로 배열된 전방 유턴 표시수단;
    차량 후방에 유턴 신호를 표시하도록 다수개의 발광수단이 U자 형상으로 배열된 후방 유턴 표시수단;
    상기 전후방 유턴 표시수단에 공급되는 자동차 전원을 단속하여 상기 전후방유턴 표시수단이 점등 및 소둥되도록 하는 유턴 표시 스위치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턴 표시 스위치가 온(ON) 일 때 상기 전후방 유턴표시수단이 점멸되도록 하는 유턴 표시 점멸수단을 더 포함하여 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
  3. 자동차의 브레이크 신호를 표시하는 신호표시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는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ON)일 때 점등되어 전방에 브레이크 신호를 표시하도록 된 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수단;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일 때 점등되어 후방에 브레이크 신호를 표시하도록 된 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
  4. 자동차의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량 전방에 유턴 신호를 표시하도록 다수개의 발광수단이 U자 형상으로 배열된 전방 유턴 표시수단;
    차량 후방에 유턴 신호를 표시하도록 다수개의 발광수단이 U자 형상으로 배열된 후방 유턴 표시수단;
    상기 전후방 유턴 표시수단으로의 자동차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유턴 표시 스위치;
    상기 유턴 표시 스위치가 온(ON) 일 때 상기 전후방 유턴 표시수단이 점멸되도록 하는 유턴 표시 점멸수단;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는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ON)일 때 점등되어 전방에 브레이크 신호를 표시하도록 된 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수단;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일 때 점등되어 후방에 브레이크 신호를 표시하도록 된 후방 브레이크 신호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신호표시장치.
KR2019990001414U 1999-02-01 1999-02-01 자동차의신호표시장치 KR199900219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414U KR19990021925U (ko) 1999-02-01 1999-02-01 자동차의신호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414U KR19990021925U (ko) 1999-02-01 1999-02-01 자동차의신호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925U true KR19990021925U (ko) 1999-06-25

Family

ID=5475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414U KR19990021925U (ko) 1999-02-01 1999-02-01 자동차의신호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92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834B1 (ko) * 2002-06-28 2005-04-14 손태영 차량의 유턴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834B1 (ko) * 2002-06-28 2005-04-14 손태영 차량의 유턴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5584B2 (en) Distinctive hazard flash patterns for motor vehicles and for portable emergency warning devices with pulse generators to produce such patterns
US3026498A (en) Safe trailing distance warning systems for vehicles
KR19990021925U (ko) 자동차의신호표시장치
KR0138195B1 (ko) 자동차의 아우터 미러에 설치된 등화 장치
KR100260148B1 (ko) 비상 점멸장치
KR0146580B1 (ko) 차량의 제동등 단선경고회로
KR0166288B1 (ko) 자동차의 방향 표시등 장치
KR0132132Y1 (ko) 자동차의 안개등 및 브레이크등을 이용한 비상등 구동장치
KR200286511Y1 (ko) 자동차용 미등 및 방향지시등
JP3060273U (ja) 車両用補助安全表示灯装置
KR100190409B1 (ko) 인버터를 이용한 보조 램프 작동시스템
KR0140586B1 (ko) 자동차의 주차용 제동등
KR200215143Y1 (ko) 자동차의 실외등 진단표시 시스템
KR0128188Y1 (ko) 야간 차선변경 안전장치
KR200218247Y1 (ko) 주차 브레이크에 의한 비상등 자동점멸장치
KR200142074Y1 (ko) 위치 표시 기능을 갖는 비상등 장치
KR920002465Y1 (ko) 자동차의 비상램프(Lamp) 점등시 방향전환지시램프(Lamp)점등장치
JP3003685U (ja) 車両等の補助停止合図灯の制御装置
KR19990073755A (ko) 자동차용 방향지시장치
KR19980083893A (ko) 자동차의 u턴 표시장치
KR19980045021U (ko) 자동차의 제동등 점멸장치
KR19980041030U (ko) 차량용 차폭등 점등 경보장치
KR19980018349U (ko) 자동차용 방향지시등 점멸장치
KR19980017752U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등 점등장치
KR19980031423A (ko)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보조 램프 작동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