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868A - 다중 케이싱을 사용할 때 오버래핑 셀의 생성 - Google Patents

다중 케이싱을 사용할 때 오버래핑 셀의 생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868A
KR19990021868A KR1019970708342A KR19970708342A KR19990021868A KR 19990021868 A KR19990021868 A KR 19990021868A KR 1019970708342 A KR1019970708342 A KR 1019970708342A KR 19970708342 A KR19970708342 A KR 19970708342A KR 19990021868 A KR19990021868 A KR 19990021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transceiver
mobile station
signal strength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 크리스터 빌헴 조핸슨
하캔 피어슨
하캔 앤더슨
Original Assignee
에르링 블롬메, 타게 뢰브그렌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르링 블롬메, 타게 뢰브그렌,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filed Critical 에르링 블롬메, 타게 뢰브그렌
Publication of KR19990021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86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2Fixed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04W36/3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by proximity to another ent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가 개시되는데, 이동국이 핸드오프될 수 있는 보다 큰 오버래핑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통신 시스템 내의 셀이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공유하거나 또는 다른 셀로부터의 송수신기가 상호 근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공유된 송수신기는 상기 송수신기를 공유하는 상기 셀에 할당된 통신 주파수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케이싱을 사용할 때 오버래핑 셀의 생성
셀룰러 이동 무선 전화 시스템에서, 특정 커버리지 영역을 각각 갖는 일단의 셀 또는 무선 기지국은 지정학적인 영역을 전체에 걸쳐 이중 무선 통신을 다수의 이동국에 제공하도록 제어된다. 전형적인 셀룰러 통신 시스템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전형적인 셀룰러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10개의 셀(C1-C10)을 도시한다. 통상적으로, 셀룰러 이동 무선 시스템은 10개 이상의 셀로 구현될 것이다. 그러나, 간단하게 하고자,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간략화된 표현을 사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각각의 셀(C1-C10)에 있어, 대응하는 셀과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기지국(B1-B10)이 있다. 도 1은 셀의 중앙 부근에 위치된 것으로서 전방향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을 도시한다. 또한, 기지국은 셀 경계선에 위치될 수 있고 방향성 안테나를 사용한다. 각각의 기지국은 기지국의 일부 동작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BSC)에 연결된다.
또한, 도 1은 셀 내 및 하나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가능한 9개의 이동국(M1-M9)을 도시한다. 전형적인 셀룰러 무선 시스템에서, 통상적으로 9개 이상의 셀룰러 이동국이 존재할 것이다. 실제로, 전형적으로 기지국이 존재하는 수 만큼의 몇 배의 이동국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감소된 수의 이동국이면 충분하다.
또한,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er : MSC)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는 케이블로 모든 기지국 제어기에 연결된다. 또한,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는 케이블로 고정 스위치 전화망 또는 유사한 고정망(fixed network)에 연결된다.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에서 기지국(B1-B10) 및 고정망까지의 모든 케이블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시되어 있는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에 추가하여, 케이블로 도 1에 도시된 기지국 이외의 기지국에 연결된 부수적인 이동 스위칭 센터가 있을 수 있다. 케이블 대신에, 또한 다른 수단, 예를 들면, 고정 무선 링크가 기지국 간, 기지국 제어기와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 간에 사용될 수 있다.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 기지국, 및 이동국 모두는 컴퓨터로 제어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또는 송수신기 기지국을 사용함으로써 구축된다. 이동국은 전자기 무선파에 의해 기지국에 연결될 수 있다. 소정의 방법으로 동작하는 셀룰러 시스템의 경우, 이동국이 기지국 간 또는 셀 간에 핸드 오프 또는 핸드 오버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호출하는 동안, 이동국과 다른 국 간의 연결은 이동국이 시스템을 통해 이동함에 따라 하나의 기지국에서 다른 기지국으로 스위치된다.
셀룰러 시스템이 이동국이 어떤 기지국에 연결되여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이동국 및/또는 셀룰러 시스템은 수신 신호에 대해 신호 세기, 경로 손실 등과 같은 측정을 수행한다. 이동국은 기지국으로 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거나 기지국은 이동국으로 부터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신호 세기 측정이 어떻게 수집되는지에 무관하게, 데이터는 핸드오버가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 또는 기지국 제어기에서 처리된다. 일부 시스템에서는, 이동국과 기지국 간 및 기지국과 셀룰러 시스템의 처리 유닛 간에 시그널링, 예를 들면, 측정 보고와 핸드오버 커맨드에 의해 지연이 유입된다. 결국, 핸드오버 절차는 신호 전송 및 신호 처리 동안에 내재하는 지연을 고려해야 한다.
셀 간에 매끄러운 핸드오프를 제공하려는 시도로, 커버리지의 오버래핑 영역이 인접한 셀 간에 형성된다. 도 2는 셀(22)과 셀(24) 간에 생성된 오버래핑 영역(20)을 도시한다. 오버래핑 영역은 셀(22와 24) 각각의 신호 세기가 선정된 레벨 이하로 떨어지는 점을 가리키는 지점(26과 28)에 의해 한정된다. 그러나, 셀 간의 오버래핑 영역은 종종 매우 작다. 이는 이동국에 연결된 기지국으로 부터의 무선 신호 세기가 이동국이 기지국으로 부터 멀어질 때 급속히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우기, 이동국이 옮겨가야 하는 기지국으로의 신호 세기는 이동국이 기지국을 향해 이동할 때 매우 급속히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현재 기지국에서 보아 그 시선 내에 있는 이동국이 거리 구석 주변을 이동하여 새로운 기지국에서 보일 때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예는 이동국이 터널을 통해 이동할 때인데, 여기서 터널의 어느 한 쪽 영역은 다른 기지국에 연결된다. 세번째 예는 휴대용 장치가 문을 통해 자신의 셀룰러 시스템을 갖는 사무실 빌딩으로 운반되는 경우이다. 상기 모든 예에서 흔한 문제는 셀 간의 오버래핑 영역이 너무 작아 호출이 핸드오버될 수 있기 전에 이동체가 오버래핑 영역을 통해 이동할 때 시그널링과 신호 처리에 대해 상술된 시간 지연이 너무 커 결국 호출은 끊어질 것이다.
선행 기술 시스템은 인접하는 이동국의 수를 감소시키고 짧은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핸드오프가 발생하는 속도를 개선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는 너무 적은 인접 셀의 사용이 핸드오버가 허용되어야 하는 셀 간의 핸드오버를 억제할 수 있고 너무 짧은 필터는 제1 장소에서 수행되어서는 않되는 핸드오버를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전체 성능에 대해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셀룰러 시스템의 핸드오프 능력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 내의 셀이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유닛을 공유하거나 이동국이 핸드오프될 수 있는 보다 큰 오버래핑 영역을 생성하도록 상호 근접하여 배치된 송수신기를 갖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상술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각각의 셀에 통신 주파수가 할당되고, 다수의 송수신기를 갖는 다수의 셀 및 상기 할당된 주파수 상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에서 인접한 셀은 오버래핑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공유하되, 상기 공유된 송수신기는 상기 송수신기를 공유하는 상기 셀의 통신 주파수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시스템에서 호출을 핸드오버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는데, 여기서 상기 통신 시스템 내의 인접한 셀은 오버래핑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수단을 공유한다. 각각의 이동국은 인접한 셀에 의해 사용된 일련의 주파수를 수신한다. 각각의 셀 내의 각각의 송수신기 수단은 상기 셀룰러 시스템 내의 각각의 셀에 대해 독특한 기지국 식별 코드를 주기적으로 방송한다. 그러나, 상기 공유된 송수신기 수단은 상기 송수신기 수단을 공유하는 셀에 대한 식별 코드를 방송한다. 상기 셀룰러 시스템 내의 이동국은 인접한 셀로 부터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다음에 이동국이 수신한 임의의 식별 코드를 디코드한다. 다음에, 이동국은 상기 디코드된 식별 코드에 의해 식별된 인접한 셀에 대한 임의의 디코드된 정보 코드와 상기 신호 세기 측정을 기지국 제어기에 보고한다. 다음에, 기지국 제어기는 이동국이 상기 신호 세기 측정에 근거하여 제2 셀로 핸드오프되어야 하는 때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호출을 핸드오버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셀룰러 시스템은 다수의 셀로 분할되며, 각각의 셀은 다수의 송수신기 수단을 갖되, 인접한 셀은 오버래핑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송수신기 수단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한다. 상기 공유된 송수신기 수단은 상기 송수신기 수단을 공유하는 상기 셀에 할당된 주파수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신호가 각각의 셀 내의 각각의 송수신기 수단으로 부터 주기적으로 방송되되, 상기 공유된 송수신기 수단은 상기 송수신기 수단을 공유하는 상기 셀의 제어 신호를 방송한다. 이동국에 수신된 제어 신호의 신호 세기가 측정된 다음 기지국 제어기에 보고된다. 다음에, 이동국이 상기 신호 세기 측정에 근거하여 제2 셀로 핸드오프되어야 하는 지에 대한 결정이 이뤄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호출을 핸드오버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제어 신호가 각 셀 내의 각 송수신기 수단으로 부터 주기적으로 방송되되, 공유된 송수신기 수단은 상기 송수신기 수단을 공유하는 상기 셀의 제어 신호를 방송한다. 이동국에 수신된 제어 신호의 신호 세기가 측정되고 상기 이동국이 핸드오버 알고리즘과 상기 이동국에서의 상기 신호 세기 측정을 사용하여 제2 셀에 대해 핸드오프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평가된다. 이 때, 상기 평가에 근거하여 기지국 제어기에 대해 핸드오버가 요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지국은 상기 핸드오버 요구가 시스템 정보에 근거하여 허락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핸드오버 요구가 허락될 때 상기 제2 셀로 상기 이동국을 핸드오버한다.
본 발명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접한 셀이 적어도 두개의 셀에 의해 커버되는 오버래핑 영역을 생성하도록 안테나를 공유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전형적인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두개의 셀에 의해 형성된 오버래핑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GSM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한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한 플로우차트.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도면과 결합하여 사용된 다음의 설명으로 부터 기술 분야에 통상의 기술자에게서 실질적으로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각각의 셀이 다수의 분산된 송수신기, 즉 다수의 이동국으로/에서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안테나를 커버하는 다수의 셀로 분할된다. 분산된 안테나는 동일한 무선 신호가 셀을 포함하기 위해 몇몇 안테나에 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저전력의 전송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간섭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매우 조밀한 주파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셀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래핑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유닛을 공유한다. 기술 분야에 숙련자는 각각의 셀에는 하나의 주파수 또는 동작하는 다수의 주파수가 할당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 예에서, 송수신기 유닛(A1-A4)은 셀 1에 속하고 주파수(f1-f2)를 사용하되, 주파수(f1)는 상향 회선에 사용되고 주파수(f2)는 하향 회선에 사용된다. 송수신기 유닛(A3-A6)은 셀 2에 속하고 주파수(f3-f4)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셀 1과 셀 2 모두에 의해 커버된 오버래핑 영역이 생성된다. 오버래핑 영역의 크기는 원하는 만큼의 많은 송수신기 유닛이 모든 주파수(f1-f4) 상으로 전송하고 수신하게 함으로써 임의로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정한 핸드오버가 보장될 수 있다. 핸드오버를 일으키기 위해, 송수신기 유닛은 전송된 신호에 대해 다른 전송 전력을 가질 수 있고, 수신된 신호는 처리될 때, 즉 셀 내의 송수신기 유닛이 배치된 곳에 따라, 일부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가 낮춰지거나 오프셋값 만큼 오프셋될 수 있을 때 상이하게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된 신호의 전력 및/또는 수신된 신호의 증폭은 셀 경계 부근의 송수신기에 대해 약간 감소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기 유닛(A3)에서 주파수(f4) 상으로 방송된 신호와 송수신기 유닛(A4)에서 주파수(f2) 상으로 방송된 신호는 약간 감소된 전력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절차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구현하는 GSM 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발명이 GSM 시스템의 사용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종류의 통신 시스템에 적용된다는 것은 기술 분야에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기 기지국(40)과 송수신기 기지국(42)은 다수의 안테나를 각각 제어한다. 이 예에서, 송수신기 기지국(40)과 송수신기 기지국(42)은 두개의 안테나(44와 46)를 공유한다. 결국, 두개의 안테나는 제1 송수신기 기지국(40)과 제2 송수신기 기지국(42) 모두에 의해 사용된 주파수로 전송하고 수신할 것이다. 송수신기 기지국은 기지국을 공중 전화망에 연결하는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49)에 번갈아 연결되는 기지국 제어기(48)에 결합된다.
지금부터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동작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4에서, 이동국(50)은 셀 1에서 동작하고 송수신기 기지국(40)과 통신한다. 동작하는 동안, 이동국(50)은 인접한 셀에 대한 일련의 방송 제어 채널 주파수를 수신한다. 셀의 송수신기 유닛 각각은 방송 제어 채널로 기지국 식별 코드(BSIC)를 주기적으로 방송한다. 이동국(50)은 현재 이동국을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 부터 방송된 신호의 신호 세기뿐만 아니라 인접한 셀로 부터 방송된 신호의 신호 세기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이동국이 인접한 셀중 한 셀에 대한 기지국 식별 코드를 디코드할 수 있을 때, 이동국은 디코드된 BSIC 및 서비스하는 기지국의 신호 세기 측정뿐만 아니라 디코드된 BSIC에 의해 식별된 셀에 대한 신호 세기 측정을 저속의 연관된 제어 채널로 기지국 제어기(48)에 보고한다. 다음에, 기지국 제어기(48)는 이동국이 다른 셀로 핸드오프되어야 하는 지를 결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50)이 송수신기 기지국(42)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국은 송수신기 기지국(42)의 범위로 진입할 것이고 송수신기 기지국(42)에 대한 BSIC를 검출할 수 있을 것이다. 송수신기 기지국(40과 42)이 안테나(44와 46)를 공유하기 때문에, 이동국(50)은 송수신기 기지국(42)에 대한 BSIC를 보다 빨리 검출하여, 시스템이 보다 많은 시간 동안 핸드오프하게끔 할 것이다. 일단 이동국(50)이 기지국(42)에 대한 BSIC를 디코드하였다면, 이동국(50)은 디코드된 식별 코드를 기지국 제어기(48)에 보고한다. 송수신기 기지국(40)은 측정 보고를 수신하고 차례로 기지국 제어기(48)로 상기 측정을 전달한다. 기지국 제어기(48)는 송수신기 기지국(40과 42)으로 부터 수신된 신호 레벨을 필터링하고 핸드오버가 수행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기술 분야에 숙련자는 핸드오버가 발생할 때를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공지된 방법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네트워크가 핸드오버가 수행되어야 하는 것을 결정할 때, BSC는 송수신기 기지국(40)을 통해 하향 회선 고속 대응 제어 채널로 핸드오버 커맨드 메시지를 이동국(50)에 송신한다. 이 메시지는 이동국이 액세스하여야 하는 셀과 신규 트래픽 채널의 경우 어떤 주파수 및 시간 슬롯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메시지는 이동국이 동기화 핸드오버를 수행하여야 하는지의 여부 및 동기화 핸드오버의 종류를 명시한다. 더우기, 기지국 제어기는 또한 송수신기 기지국(42)에게 이동국(50)에 대한 경청(listening)을 시작하여야 한다는 것은 알리는 메시지를 송수신기 기지국(42)에 송신한다. 이동국(50)이 핸드오버 커맨드를 수신할 때, 이동국(50)은 송수신기 기지국(42)에 할당된 주파수 상으로 전송을 시작한다.
본 발명의 대체 실시예에서, 송수신기 기지국은 이동국(50)에 의해 방송된 신호에 대한 신호 세기 측정을 할 수 있다. 이 때, 송수신기 기지국은 신호 세기값을 기지국 제어기(48)에 전송한다. 기지국 제어기(48)는 송수신기 기지국(40과 42)으로 부터 수신된 신호 레벨을 필터링하고 핸드오버가 수행되어야 하는 지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버래핑 영역의 크기는 확실한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는 이동국이 오버래핑 영역을 통해 이동하는 시간 동안, 이동국이 BSIC를 디코드하고 보고하며, 신호 세기 측정을 하고 신호 세기 측정 보고를 기지국 제어기에 송신할 수 있어야 하고, 기지국 제어기는 핸드오프가 수행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해야 하고, 핸드오버 커맨드를 다음에 이동국에 송신해야 하는 송수신기 기지국에 핸드오버 커맨드를 송신해야 한다. 송수신기 유닛 또는 안테나를 공유함으로써, 오버래핑 영역은 이동국이 오버래핑 영역을 통해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내에 핸드오프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데 필요한 만큼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버래핑 영역은 인접한 셀의 송수신기 유닛에 근접하여 한 셀의 일부 송수신기 유닛을 배치함으로써 인접한 셀 간에 생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셀 1은 주파수(f1-f2)로 신호를 전송하는 4개의 송수신기 유닛(A10-A13)을 포함하고 셀 2는 주파수(f3-f4)로 신호를 전송하는 4개의 송수신기 유닛(B10-B13)을 포함한다. 두개의 셀은 다른 셀의 송수신기 유닛에 근접하여 하나의 셀로 부터 송수신기 유닛을 배치함으로써 그 커버리지 영역을 오버래핑한다. 오버래핑 영역은 다른 셀의 송수신기 유닛에 근접하여 하나의 셀로 부터 보다 많은 송수신기 유닛을 배치함으로써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동국이 제2 셀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이동국은 오버래핑 영역(B12와 B13)에 배치된 제2 셀의 송수신기 유닛으로 부터 방송된 신호로 부터 제2 셀의 BSIC를 검출할 것이다. 결국, 시스템은 이동국이 셀 1의 범위를 벗어나 이동하고 호출이 끊어지기 전에, 필요에 따라 핸드오버 절차를 완료하기 위한 보다 많은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이동국은 핸드오프 결정에서 보다 액티브한 롤(a more active roll)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을 참조하여 아래 설명될 바와 같이, 이동국 각각에는 만약 핸드오버가 요구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핸드오버 알고리즘이 할당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이동국 각각은 인접한 셀에 의해 사용된 일련의 방송 제어 채널 주파수를 수신한다. 셀의 송수신기 유닛 각각은 방송 제어 채널로 제어 신호를 주기적으로 방송한다. 기술 분야에 숙련자는 본 실시예가 셀이 송수신기 유닛을 공유하거나 상호 근접하여 배치되는 셀룰러 시스템을 적용하지만, 거기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동국은 현재 이동국을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 부터 방송된 신호의 신호 세기뿐만 아니라 인접한 셀로 부터 방송된 신호의 신호 세기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다음에, 이동국은 핸드오버가 요구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핸드오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신호 세기 측정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이동국은, 이동국이 서비스하는 셀의 신호 세기보다 강한 신호 세기 또는 서비스하는 셀의 신호 세기보다 선정된 양 만큼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다는 것을 결정할 때 핸드오버를 요구할 수 있다. 만약 이동국이 핸드오버가 요구되어야 한다고 결정한다면, 이동국은 핸드오버 요구를 기지국 제어기에 송신한다. 다음에, 기지국 제어기는 핸드오버의 요구가 시스템 정보에 근거하여 허락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시스템 정보는 인접한 셀의 형태와 가용한 용량 및/또는 요구하는 이동국에 의해 이뤄진 신호 세기 측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기지국 제어기가 핸드오버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을 결정한다면, 이동국은 공지된 방법에서 적절한 셀로 핸드오프된다. 그러나, 만약 핸드오버가 허락되지 않을 것이라면, 기지국 제어기는 핸드오버 요구를 무시하거나 핸드오버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이동국에 알리는 신호를 요구하는 이동국에 송신한다.
기술 분야에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사상 또는 그 필수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수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개시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며 제한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보다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지시되고, 이에 상당하는 발명의 의미와 범위 내에 포함된 모든 변화는 본 발명에 포함되도록 의도되어 있다.

Claims (38)

  1.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셀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주파수가 할당되고, 다수의 송수신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주파수 상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셀 -인접한 셀은 오버래핑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공유하며, 상기 공유된 송수신기는 송수신기를 공유하는 셀에 할당된 통신 주파수 상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음- ; 및
    상기 기지국의 동작을 상기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다른 통신 시스템에 연결하는데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셀의 다른 영역의 송수신기는 다른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셀 경계 부근에 배치된 송수신기는 상기 셀의 다른 송수신기보다 낮은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다른 영역의 송수신기는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를 오프셋값 만큼 오프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셀 경계 부근에 배치된 송수신기는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로부터 상기 오프셋값을 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6. 각각의 셀이 다수의 송수신기 수단을 가지며, 인접한 셀이 오버래핑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송수신기 수단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하는 다수의 셀로 분할되며, 상기 공유된 송수신기 수단이 송수신기 수단을 공유하는 셀에 할당된 주파수 상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호출을 핸드오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에서 인접한 셀에 의해 사용된 일련의 주파수를 수신하는 단계;
    각 셀 내 각각의 송수신기 수단으로부터 한정된 영역 내의 각각의 셀에 대해 독특한 기지국 식별 코드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단계 -상기 공유된 송수신기 수단은 송수신기 수단을 공유하는 셀에 대한 식별 코드를 방송함- ;
    상기 이동국에서 인접한 셀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기지국 식별 코드를 디코드하는 단계;
    임의의 디코드된 식별 코드와 상기 디코드된 기지국 식별 코드에 의해 식별된 인접한 셀에 대한 신호 세기 측정을 기지국 제어기에 보고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이 상기 신호 세기 측정에 근거하여 제2 셀로 핸드오버되어야 하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셀로 상기 이동국을 핸드오버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셀의 다른 영역의 송수신기는 다른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셀 경계 부근에 배치된 송수신기는 상기 셀의 다른 송수신기보다 낮은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셀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주파수가 할당되고, 다수의 송수신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상으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다수의 이동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를 포함하는 다수의 셀 -제1 셀의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는 오버래핑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인접한 셀의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에 근접하여 배치됨- ; 및
    상기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다른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셀의 다른 영역의 송수신기는 다른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셀 경계 부근에 배치된 송수신기는 상기 셀의 다른 송수신기보다 낮은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다른 영역의 송수신기는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를 오프셋값 만큼 오프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셀 경계 부근에 배치된 송수신기는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로부터 상기 오프셋값을 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14. 각각의 셀이 다수의 송수신기 수단을 갖는 다수의 셀로 분할되며, 제1 셀의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수단이 오버래핑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인접한 셀의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에 근접하여 배치된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호출을 핸드오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에서 인접한 셀에 의해 사용된 일련의 주파수를 수신하는 단계;
    각각의 셀 내의 각각의 송수신기 수단으로부터 한정된 영역 내의 각 셀에 독특한 기지국 식별 코드를 방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인접한 셀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기지국 식별 코드를 디코드하는 단계;
    임의의 디코드된 식별 코드와 상기 디코드된 기지국 식별 코드에 의해 식별된 인접한 셀에 대한 신호 세기 측정을 기지국 제어기에 보고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이 상기 신호 세기 측정에 근거하여 제2 셀로 핸드오버되어야 하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셀로 상기 이동국을 핸드오버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셀의 다른 영역의 송수신기는 다른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셀 경계 부근에 배치된 송수신기는 상기 셀의 다른 송수신기보다 낮은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각각의 셀이 다수의 송수신기 수단을 가지며, 인접한 셀이 오버래핑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송수신기 수단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하는 다수의 셀로 분할되며, 상기 공유된 송수신기는 상기 송수신기 수단을 공유하는 상기 셀에 할당된 주파수 상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호출을 핸드오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각 셀 내의 각 송수신기 수단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단계 -상기 공유된 송수신기 수단은 상기 송수신기 수단을 공유하는 상기 셀의 제어 신호를 방송함- ;
    이동국에서 수신된 제어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신호 세기 측정을 기지국 제어기에 보고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이 상기 신호 세기 측정에 근거하여 제2 셀로 핸드오프되어야 하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셀로 상기 이동국을 핸드오버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셀의 다른 영역의 송수신기는 다른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셀 경계 부근에 배치된 송수신기는 상기 셀의 다른 송수신기보다 낮은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각각의 셀이 다수의 송수신기 수단을 가지며, 인접한 셀이 오버래핑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송수신기 수단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하는 다수의 셀로 분할되며, 상기 공유된 송수신기 수단은 상기 송수신기를 공유하는 상기 셀에 할당된 주파수 상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호출을 핸드오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에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신호 세기 측정을 기지국 제어기에 보고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이 상기 신호 세기 측정에 근거하여 제2 셀로 핸드오프되어야 하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셀로 상기 이동국을 핸드오버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다른 영역의 송수신기는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를 오프셋값 만큼 오프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셀 경계 부근에 배치된 송수신기는 상기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로부터 상기 오프셋값을 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각각의 셀이 다수의 송수신기 수단을 갖는 다수의 셀로 분할되며, 제1 셀의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수단이 오버래핑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인접한 셀의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에 근접하여 배치된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호출을 핸드오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각 셀 내의 각각의 송수신기 수단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단계;
    이동국에서 수신된 제어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신호 세기 측정을 기지국 제어기에 보고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이 상기 신호 세기 측정에 근거하여 제2 셀로 핸드오프되어야 하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셀로 상기 이동국을 핸드오버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셀의 다른 영역의 송수신기는 다른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셀 경계 부근에 배치된 송수신기는 상기 셀의 다른 송수신기보다 낮은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각각의 셀이 다수의 송수신기 수단을 갖는 다수의 셀로 분할되며, 제1 셀의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수단이 오버래핑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인접한 셀의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에 근접하여 배치된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호출을 핸드오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에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신호 세기 측정을 기지국 제어기에 보고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이 상기 신호 세기 측정에 근거하여 제2 셀로 핸드오프되어야 하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셀로 상기 이동국을 핸드오버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다른 영역의 송수신기는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를 오프셋값 만큼 오프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셀 경계 부근에 배치된 송수신기는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로부터 상기 오프셋값을 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각각의 셀이 다수의 송수신기 수단을 가지며, 인접한 셀이 오버래핑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송수신기 수단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하는 다수의 셀로 분할되며, 상기 공유된 송수신기 수단이 상기 송수신기 수단을 공유하는 상기 셀에 할당된 주파수 상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호출을 핸드오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각 셀 내의 각 송수신기 수단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단계 -상기 공유된 송수신기 수단은 상기 송수신기 수단을 공유하는 상기 셀의 제어 신호를 방송함- ;
    이동국에서 수신된 제어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핸드오버 알고리즘과 상기 이동국에서의 상기 신호 세기 측정을 사용하여 제2 셀로 핸드오프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평가에 근거하여 핸드오버 요구를 기지국 제어기에 보고하는 단계;
    시스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핸드오버의 요구가 허락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버 요구가 허락될 때 상기 제2 셀로 상기 이동국을 핸드오버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시스템 정보는 호출을 처리하는 상기 제2 셀의 종류와 용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세기 측정은 상기 핸드오버 요구와 함께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 보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셀의 다른 영역의 송수신기는 다른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셀 경계 부근에 배치된 송수신기는 상기 셀의 다른 송수신기보다 낮은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각각의 셀이 다수의 송수신기 수단을 갖는 다수의 셀로 분할되며, 제1 셀의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수단이 오버래핑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인접한 셀의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에 근접하여 배치된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호출을 핸드오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각 셀 내의 각 송수신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단계;
    이동국에서 수신된 제어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핸드오버 알고리즘과 상기 이동국에서의 상기 신호 세기 측정을 사용하여 상기 이동국이 제2 셀로 핸드오프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 ;
    상기 평가에 근거하여 핸드오버 요구를 기지국 제어기에 보고하는 단계;
    시스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핸드오버 요구가 허락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버 요구가 허락될 때 상기 제2 셀로 상기 이동국을 핸드오버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시스템 정보는 상기 호출을 처리하는 상기 제2 셀의 형태와 용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세기 측정은 상기 핸드오버 요구와 함께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 보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34항에 있어서,
    다른 영역의 송수신기는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를 오프셋값 만큼 오프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셀 경계 부근에 배치된 송수신기는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로부터 상기 오프셋값을 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708342A 1995-05-24 1996-05-03 다중 케이싱을 사용할 때 오버래핑 셀의 생성 KR199900218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448,854 US6449482B1 (en) 1995-05-24 1995-05-24 Creation of overlapping cells when using multi casting
US08.448854 1995-05-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868A true KR19990021868A (ko) 1999-03-25

Family

ID=2378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342A KR19990021868A (ko) 1995-05-24 1996-05-03 다중 케이싱을 사용할 때 오버래핑 셀의 생성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49482B1 (ko)
EP (1) EP0829177A1 (ko)
JP (1) JP3773060B2 (ko)
KR (1) KR19990021868A (ko)
CN (1) CN1098003C (ko)
AU (1) AU706667B2 (ko)
CA (1) CA2220117A1 (ko)
WO (1) WO199603801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824B1 (ko) * 2003-07-16 2007-06-25 노키아 코포레이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제어기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1154780B1 (ko) * 2008-02-04 2012-06-1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및 이동 통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5960B (fi) * 1996-12-04 2000-10-31 Nokia Networks Oy Solukkoradiojärjestelmä
US6023625A (en) * 1997-02-18 2000-02-08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multicast interference in a distributed antenna network
CA2304536A1 (en) * 1997-09-29 1999-04-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A broadcast control channel structure for wideband tdma
WO1999022462A1 (de) * 1997-10-27 1999-05-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mobilstation und basisstation zum verbindungsaufbau in einem funk-kommunikationssystem
GB2352586B (en) 1999-06-07 2004-03-10 Nec Corp Handover between mobile networks
EP1133078B1 (en) * 2000-03-10 2007-08-01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re Europe B.V. Methods for synchronizing between base stations and a mobile station in a cell-base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JP2003224874A (ja) * 2002-01-29 2003-08-08 Fujitsu Ltd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のルータおよび移動通信端末
KR100832117B1 (ko) 2002-02-17 2008-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송신전력 오프셋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65425B1 (ko) * 2003-03-08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7415273B2 (en) * 2004-04-09 2008-08-19 Motorola, Inc. Efficient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neighboring cell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302578B2 (ja) * 2004-06-01 2009-07-29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
US7747252B2 (en) * 2005-07-12 2010-06-29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handover negotiation optimization for wireless system
CN100421426C (zh) * 2005-12-26 2008-09-24 武汉虹信通信技术有限责任公司 高速移动环境下无线视频或大数据流无缝软切换实现方法
EP2485514B1 (en) 2007-02-28 2013-12-18 Unwired Planet, LLC Self configuring and optimisation of cell neighbour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s
CN103369547B (zh) * 2007-02-28 2016-08-24 无线星球有限责任公司 无线电信网络中邻接小区的自配置和优化
WO2009020789A2 (en) * 2007-08-03 2009-02-1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ecurity procedure and apparatus for handover in a 3gpp long term evolution system
US8169992B2 (en) 2007-08-08 2012-05-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scrambling during random access
US8559952B2 (en) * 2007-08-14 2013-10-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utomated and seamless change of reporting cell identity
US8588759B2 (en) * 2007-08-14 2013-11-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ell identifier conflict avoidance
KR20100109955A (ko) * 2008-02-08 2010-10-1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위치정보 취득방법 및 이동국
JP6190432B2 (ja) * 2015-09-02 2017-08-30 アンワイヤード プラネット エルエルシー ワイヤレス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隣接セルの自己設定および最適化
US10380817B2 (en) * 2016-11-28 2019-08-13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 free operation of at least one vehicle door
US10815717B2 (en) * 2016-11-28 2020-10-27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 free operation of at least one vehicle door
JP6339709B2 (ja) * 2017-02-02 2018-06-06 アンワイヤード プラネット エルエルシー ワイヤレス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隣接セルの自己設定および最適化
JP6389548B2 (ja) * 2017-07-20 2018-09-12 アンワイヤード プラネット エルエルシー ワイヤレス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隣接セルの自己設定および最適化
US10349429B1 (en) * 2017-12-17 2019-07-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frequency redir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JP6644109B2 (ja) * 2018-04-27 2020-02-12 アンワイヤード プラネット エルエルシー ワイヤレス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隣接セルの自己設定および最適化
JP6770557B2 (ja) * 2018-08-16 2020-10-14 アンワイヤード プラネット エルエルシー ワイヤレス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隣接セルの自己設定および最適化
JP6929988B2 (ja) * 2018-08-16 2021-09-01 アンワイヤード プラネット エルエルシー ワイヤレス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隣接セルの自己設定および最適化
WO2021071397A1 (en) * 2019-10-07 2021-04-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ell configurations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JP7142670B2 (ja) * 2020-09-14 2022-09-27 アンワイヤード プラネット エルエルシー ワイヤレス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隣接セルの自己設定および最適化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7105A (en) * 1982-11-12 1986-06-24 Motorola Inc. Data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overlapping receiver coverage zones
JPS6089137A (ja) * 1983-10-21 1985-05-20 Nec Corp パ−ソナル無線システム
US4633463A (en) * 1984-03-28 1986-12-30 Canadian Marconi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H0616603B2 (ja) * 1988-01-14 1994-03-02 東京電力株式会社 移動体通信方式
JPH01273443A (ja) * 1988-04-26 1989-11-01 Sony Corp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JP2596175B2 (ja) * 1990-05-14 1997-04-02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無線電話のチャネル切替方法
US5175867A (en) 1991-03-15 1992-12-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Neighbor-assisted handoff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5327575A (en) 1992-03-23 1994-07-05 Motorola, Inc. Directional handover control in digital mobile radio systems employing MAHO
SE9200915D0 (sv) * 1992-03-24 1992-03-24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s in a cellular mobile radio communincation system
DE4225582C2 (de) 1992-08-04 2001-05-23 Detecon Gmbh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Funkversorgung einer Verkehrswegestruktur durch ein zellulares Mobilfunksystem und Vorrichtung zur Ausübung des Verfahrens
FR2703199B1 (fr) * 1993-03-26 1995-06-02 Matra Communication Procédé de transmission radio-électrique utilisant des stations répétrices à retournement de spectre.
JP3688727B2 (ja) * 1993-08-20 2005-08-31 財団法人国際科学振興財団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FI933720A (fi) 1993-08-24 1995-02-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TDMA-periaatteella liikennekanaviin jaetun sektoroidun solukkoradiojärjestelmän tukiaseman liikennekapasiteetin lisäämiseksi sekä tukiasem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824B1 (ko) * 2003-07-16 2007-06-25 노키아 코포레이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제어기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1154780B1 (ko) * 2008-02-04 2012-06-1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및 이동 통신 방법
US8989153B2 (en) 2008-02-04 2015-03-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20117A1 (en) 1996-11-28
CN1191059A (zh) 1998-08-19
JPH11505980A (ja) 1999-05-25
US6449482B1 (en) 2002-09-10
WO1996038014A1 (en) 1996-11-28
AU5848996A (en) 1996-12-11
AU706667B2 (en) 1999-06-17
EP0829177A1 (en) 1998-03-18
CN1098003C (zh) 2003-01-01
JP3773060B2 (ja)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1868A (ko) 다중 케이싱을 사용할 때 오버래핑 셀의 생성
KR970002762B1 (ko) 마호(maho)를 이용한 디지탈 이동 무선 시스템의 지향성 변환 제어
US6728540B1 (en) Assisted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021620B2 (ja) セルラー移動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フを改善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653922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hard and soft handoffs in radio communications systems
US5839070A (en) System and method for hyperband cell interoperability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5987013A (en) Handoff control with a pilot used in a cell of a neighboring cell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n a service frequency of the neighboring cell
US5586170A (en) Cellula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ing intercell macro-diversity and dynamic channel allocation
US5161249A (en) Sectored voice channels with rear lobe protection
US5913169A (en) Cellular mobile station system
EP0986927B1 (en) Directed retry for call setup
KR20050054953A (ko) 이동 무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이동 무선 시스템,이동국, 및 이동 무선 시스템에서 인접한 무선 셀들로이루어진 서브-그룹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EP115352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hard and soft handoffs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s
JP279759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通話中チャネル切換え方法
JPH10276463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211955B1 (ko) 무선가입자망에서 단말국의 통신품질 열화방지를 위한 무선링크의 전환 제어방법
WO1999044386A1 (en) Continuous verification of mobile stations for handoff operations
KR1005898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드 및 소프트 핸드오프 제어 방법및 시스템
GB2314731A (en) Handover management system for cellular network
JPS5830337Y2 (ja) 移動無線通信装置
KR20040060434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소프트 핸드오버방법
JPH0456427A (ja) 無線ゾーン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