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717A -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717A
KR19990020717A KR1019970044186A KR19970044186A KR19990020717A KR 19990020717 A KR19990020717 A KR 19990020717A KR 1019970044186 A KR1019970044186 A KR 1019970044186A KR 19970044186 A KR19970044186 A KR 19970044186A KR 19990020717 A KR19990020717 A KR 19990020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brake
operating lever
brake operating
pole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수열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70044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717A/ko
Publication of KR19990020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717A/ko

Links

Landscapes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차브레이크를 걸어주기 위해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버를 당길 때에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별도로 해제노브를 눌러주기 않고서도 조작레바를 파지하는 것만으로 조작레바의 폴이 장착판의 톱니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조작레바의 조작이 힘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쾌한 소음도 예방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운전자와 인접한 차실바닥에는 전면에 다수개의 톱니가 형성된 장착판(12)이 고정되게 장착되고, 이 장착판에는 주차브레이크 케이블이 연결된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13)가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장착판의 톱니에 착탈가능하게 걸려져서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의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폴(22)이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폴에 한쪽 선단부가 연결되면서 다른쪽 선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폴 릴리스 로드(20)는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에 탄력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리턴스프링(21)을 매개로 설치되며, 상기 조작레바의 선단 하면에는 해제노브(18)가 상하로 탄력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리턴스프링(19a,19b)를 매개로 설치되면서 후단부에는 상기 경사면을 밀어서 폴 릴리스 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경사면과 상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를 주차시킬 때에 사용하는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차브레이크를 걸어주기 위해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를 당길 때에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를 손으로 파지하는 것만으로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의 폴이 장착판의 톱니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의 조작시에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폴과 톱니의 마찰소음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장치는 자동차를 주차시킬 때에 주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뒷바퀴를 제동시키는 장치인 바, 이와 같은 종래의 주차 브레이크장치는 통상적으로 주차 브레이크 드럼과 슈우 및 스프링을 갖추고서 주차 브레이크 슈우를 주차 브레이크 드럼에 밀착시켜 그 때에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뒷바퀴를 제동시키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주차 브레이크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종래의 조작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와 인접한 차실바닥에는 다수개의 톱니(1)가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판(2)이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장착판(2)에는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3)의 한쪽 선단부가 힌지축(4)을 매개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조작레바의 하단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판(5)이 부착되면서 이 가이드판의 가이드홈속에 주차브레이크 케이블(6)이 끼워져 장력조절캡(7)을 매개로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3)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폴 릴리스 로드(7a)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폴 릴리스 로드의 한쪽 선단부에는 해제노브(8)가 부착되며, 상기 폴 릴리스 로드(7a)의 다른쪽 선단부에는 상기 톱니(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의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주차브레이크 폴(9)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운전자가 상기 조작레바를 손으로 잡고서 시계방향으로 당겨주면 조작레바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주차브레이크 케이블이 당겨지게 되고, 이렇게 조작레바를 회동시킨 상태에서 놓아주면 조작레바의 폴이 장착판의 톱니에 맞물린 상태로 조작레바의 회동자세를 유지시켜주게 되므로, 주차브레이크 케이블이 당겨진 상태로 유지되면서 주차브레이크가 계속적으로 걸린 상태로 지속되게 된다.
그리고 주차브레이크를 풀어주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조작레바를 원래의 위치로 회동시켜야 하는 바, 조작레바는 폴과 톱니의 상호작용으로 쉽게 회동되지 않도록 자세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폴을 톱니로부터 이탈시켜야 만이 조작레바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해제노브를 눌러주면 해제노브의 조작력이 릴리스 로드를 통해 폴이 전달되어 폴이 그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톱니로부터 이탈되게 되고, 이렇게 폴이 톱니로부터 이탈되면 조작레바를 반시계방향으로 힘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의 조작과정에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를 당길 경우에는 대개의 운전자가 부주의로 해제노브를 조작하지 않고 조작레바만 당겨주게 되므로, 폴과 톱니가 서로 물린 상태로 조작레바가 회동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조작레바의 조작이 힘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폴과 톱니사이에 불쾌한 마찰소음이 발생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차브레이크를 걸어주기 위해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를 당길 때에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별도로 해제노브를 눌러주지 않고서도 조작레바를 파지하는 것만으로 조작레바의 폴이 장착판의 톱니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조작레바의 조작이 힘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쾌한 소음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톱니 12 : 장착판
13 :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 14 : 힌지축
15 : 가이드판 16 : 주차브레이크 케이블
17 : 장력조절캡 18 : 해제노브
19a,19b : 리턴스프링 20 : 폴 릴리스 로드
22 : 폴 23 : 힌지축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자와 인접한 차실바닥에는 전면에 다수개의 톱니가 형성된 장착판이 고정되게 장착되고, 이 장착판에는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의 한쪽 선단부가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주차브레이크 케이블의 한쪽 끝부위가 연결되며, 상기 장착판의 톱니에 착탈가능하게 결려져서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의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폴이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폴을 회동시키기 위해 폴과 한쪽 선단부가 연결되면서 다른쪽 선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폴 릴리스 로드는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에 탄력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리턴스프링을 매개로 설치되며, 상기 조작레바의 선단 하면에는 해제노브가 상하로 탄력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리턴스프링을 매개로 설치되면서 후단부에는 상기 경사면을 밀어서 폴 릴리스 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해 경사면과 상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인 바, 즉 운전자와 인접한 차실바닥에는 다수개의 톱니(11)가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판(12)이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장착판(12)에는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13)의 한쪽 선단부가 힌지축(14)을 매개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조작레바의 하단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판(15)이 부착되면서 이 가이드판의 가이드홈속에 주차브레이크 케이블(16)이 끼워져 장력조절캡(17)을 매개로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13)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13)의 선단 하면에는 해제노브(18)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데, 이 해제노브(18)는 2개의 리턴스프링(19a,19b)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고, 상기 해제노브(18)의 후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면(18a)를 이루며, 이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면(20a)이 선단에 형성된 폴 릴리스 로드(20)는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배열되면서 리턴스프링(21)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폴 릴리스 로드(19)의 후단부는 상기 톱니(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의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폴(22)이 힌지축(23)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차브레이크를 조작하기 위해 예컨대 운전자가 상기 조작레바를 조작할 때에 운전자의 손은 조작레바의 선단부를 감싸서 파지하게 되는 데, 운전자에 의한 조작레바의 파지력은 상기 해제노브(18)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해제노브(18)가 리턴스프링(19a,19b)을 압축시키면서 윗쪽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와 같이 해제노브가 상승하게 되면 해제노브(18)의 경사면(18a)도 함께 상승하면서 폴 릴리스 로드(20)의 경사면(20a)을 밀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폴 릴리스 로드가 밀려지게 되면 폴 릴리스 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폴이 그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톱니로부터 이탈되게 되어,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를 힘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단지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를 파지하는 동작만으로 해제노브도 동시에 조작되면서 폴이 장착판의 톱니로부터 이탈되게 되므로, 조작레바의 조작이 힘들이지 않고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해제노브를 조작하지 않고 조작레바를 당김으로 인한 폴과 톱니사이에 발생하던 마찰소음도 원천적으로 예방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를 파지하고 있던 손을 놓아주게 되면 살기 폴 릴리스 로드(20)는 그 리턴스프링(21)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됨과 더불어 상기 해제노브(18)도 그 리턴스프링(19a,19b)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에 의하면,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를 조작하기 위해 단지 조작레바의 선단부를 감싸서 파지하기만 하면, 조작레바의 파지력으로 해제노브가 동시에 조작되면서 폴이 장착판의 톱니로부터 분리되게 되어,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의 조작이 힘들이지 않고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폴과 톱니사이에 발생하던 마찰소음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실바닥에 장착되면서 전면에는 다수개의 톱니가 형성된 장착판과, 이 장착판에 한쪽 선단부가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주차브레이크 케이블의 한쪽 끝부위가 연결된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 상기 장착판의 톱니에 착탈가능하게 결려져서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의 자세를 유지시켜주기 위해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주차브레이크 폴, 이 폴을 회동시키기 위해 폴과 한쪽 선단부가 연결되면서 다른쪽 선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됨과 더불어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에 탄력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리턴스프링을 매개로 설치된 폴 릴리스 로드 및, 상기 조작레바의 선단 하면에 상하로 탄력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리턴스프링을 매개로 설치되면서 후단부에는 상기 경사면을 밀어서 폴 릴리스 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경사면과 상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해제노브를 갖춘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KR1019970044186A 1997-08-30 1997-08-30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KR19990020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186A KR19990020717A (ko) 1997-08-30 1997-08-30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186A KR19990020717A (ko) 1997-08-30 1997-08-30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717A true KR19990020717A (ko) 1999-03-25

Family

ID=6603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186A KR19990020717A (ko) 1997-08-30 1997-08-30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7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0354B2 (en) Foot brake release device
JPH0578460B2 (ko)
KR19990020717A (ko)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KR100397855B1 (ko) 풋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KR19990032337U (ko)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KR19990020226A (ko) 주차 브레이크의 릴리스 구조
KR19990011053U (ko)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KR100916392B1 (ko)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
KR200247109Y1 (ko)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KR0143660B1 (ko) 핸드브레이크의 로크구조
KR0124478Y1 (ko) 자동차의 핸드브레이크
KR200167752Y1 (ko) 주차브레이크 케이블의 자동장력조절장치
KR0150610B1 (ko)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KR100246678B1 (ko) 페달식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KR0160261B1 (ko) 브레이크 페달 고정장치
KR100643950B1 (ko)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장치의 조작기구
KR0150378B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KR19990048066A (ko) 풋 작동식 주차 브레이크
KR19980017365A (ko) 주차용 풋 브레이크
KR0119232Y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구조
JP2632013B2 (ja) ステッキ型パーキングブレーキの操作装置
KR19990015768U (ko)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KR100224421B1 (ko) 주차브레이크 록킹 방지장치
KR200143813Y1 (ko) 자동차용 풋 파킹 브레이크
JP2007203889A (ja) 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