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679U - 브이시알 시스템의 테이프 감지회로 - Google Patents

브이시알 시스템의 테이프 감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679U
KR19990020679U KR2019970034176U KR19970034176U KR19990020679U KR 19990020679 U KR19990020679 U KR 19990020679U KR 2019970034176 U KR2019970034176 U KR 2019970034176U KR 19970034176 U KR19970034176 U KR 19970034176U KR 19990020679 U KR19990020679 U KR 199900206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tape
optical
optical l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1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구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4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679U/ko
Publication of KR199900206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679U/ko

Links

Landscapes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이시알 시스템의 테이프 감지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스타트 및 앤드 센서로 이용되는 광엘이디(LED) 및 광수신 트랜지스터들을 구동하는 센서회로는 시스템 전원이 투입되면 상시 구동상태로 있어 이러한 엘이디 수명을 단축 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광엘이디 구동회로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시스템 마이크로 컴퓨터(52)의 제어하에 광엘이디(22)를 선택적으로 구동할수 있도록한 광엘이디 제어부(5)와, 이 광엘이디 제어부(5)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시스템 주행계가 동작하지 않을때는 광엘이디(22)를 오프 시키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52) 등을 포함하는 구성의 브이시알 시스템의 테이프 감지회로를 제공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스타트 앤드 센서로 작용하는 광엘이디 및 광 수신 엘이디가 테이프 주행계의 동작상태에서만 동작되기 때문에 전원 투입과 함께 상시 구동 됨으로 인한 엘이디 수명 단축을 줄일수 있고 전기 에너지의 소모도 줄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브이시알 시스템의 테이프 감지회로
본 고안은 브이시알 시스템의 테이프 감지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스타트/엔드 센서 등에 의한 테이프 감지회로가 시스템의 전원 투입과 함께 상시 구동되지 않고 테이프 주행계 동작과 관련하여 동작 되도록 함으로서 이러한 엘이디 상시 동작에 따른 수명저하를 줄일수 있고 전기 에너지도 절약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브이시알 시스템에서는 테이프 주행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테이프 스타트 센서와 앤드 센서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이 구비된 종래 브이시알 시스템의 주행계 형태는 도 1과 같이 나타 내었다.
여기서는 데크 베이스의 전방에 테이크업릴(10)과 서플라이릴(12)이 있고 그 후방에는 회전드럼(14)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데크 베이스의 중앙부에는 광발송부(16)가 설치되고 그 양측으로 광수신부(18)가 구비 되어져 있다.
상기 테이크업릴(10)은 테이프(100)의 재생등 전진 감기시 캡스턴모터(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해 작동될 수 있게 하단에 기어치(도시되지 않았음)가 형성되고 또한 서플라이릴(12)은 테이프(100)의 되감기등 후진 감기시 캡스턴모터의 기어치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게 하단에 기어치(도시되지 않았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드럼(14)은 편심된 원통형상으로 그 양측에는 테이프(100)을 헤드드럼(14)의 외주와 접촉되도록 하는 동시에 테이프(100)이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비디오 헤드(14)가 비디오 트랙을 정확하게 트레이스 할 수 있도록 하는 로딩포스트(1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광발송부(16)는 데크 저면의 메인피시비(11)와 연결된 광엘이디의 빛이 테이프(100)의 클리어부 및 마그네부를 감지하기 위해 양측으로 발광될 수 있게 양방 발광형 프리즘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프리즘에서 발광된 빛을 수신하기 위해서 양측의 광수신부(18)에는 광수신 트랜지스터 상단에 수신용 프리즘이 각각 설치된 형상을 하고 있다.
그밖에 테크 베이스의 상단에는 전폭소거헤드(13), 음성소거헤드(17) 및 임피던스롤러(19)의 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 기술에서는 테이프(100)가 주행하게되면 상기 광발송부(16)는 광수신부(18)로 계속 빛을 발광시키고 있다가 테이프(100)의 마그테틱부에서는 빛이 차단되고 테이프(100)의 시작과 끝부분의 클리어부에서는 빛이 통과되어 도 2예의 마이크로 컴퓨터(30)에 신호가 전달된다. 그러면 마이크로 컴퓨터(30)는 회전드럼(14) 및 캡스턴모터가 제어하면서 테이프이 스타트부분에 감겨있을 경우에는 되감기가 방지되고 또한 테이프(100)이 끝부분에 감겨있으면 재생, 녹화, 빨리감기 등이 제어되는 것이다.
또, 이러한 광발송부(16)와 광수신부(18)와 관련된 테이프 감지회로는 도 2와 같이 나타 내었다.
여기서는 중앙의 광발송부(16)를 이루고 있는 광엘이디(16a) 회로와, 이 광엘이디(16a)에서 송사된 빛을 감지하여 턴온 되는 광수신 트랜지스터(18a,18b) 회로 및 이들 광수신 트랜지스터(18a,18b) 회로의 광 수신 상태에 따라 테이프의 스타트 점과 앤드점을 감지한후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30)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시스템에서는 상기 광엘이디(16a) 회로와 광수신 트랜지스터(18a,18b) 회로는 이들 시스템에 전원이 투입되면 자동적으로 스탠바이 전원이 발생되어 이들 회로에 제공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메인 파워가 죽은 이후에도 상시 구동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러한 회로에서 엘이디 및 트랜지스터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 상기 회로가 브이시알 세트의 전원 투입과 함께 구동되고 있기 때문에 브이시알 세트의 주행계 동작과 관련된 상기 회로가 불요동작 상태로 동작하고 있어 이러한 부분에서의 전기 에너지 소모를 불가피하게 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광발송부 및 광수신부의 엘이디 및 트랜지스터 회로는 브이시알 데크의 주행계 동작에만 관련하여 동작시키게 됨으로서 이러한 회로의 불요 동작으로 인한 광엘이디 및 광수신 트랜지스터들의 수명 저하를 야기하게 되는 원인을 배제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광엘이디 구동회로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시스템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하에 광엘이디를 선택적으로 구동할수 있도록한 광엘이디 제어부와, 이 광엘이디 제어부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시스템 주행계가 동작하지 않을때는 광엘이디를 오프 시키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구성의 브이시알 시스템의 테이프 감지회로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테이프 주행계를 발췌하여 나타낸 참고도
도 2는 도 1에서 스타트/앤드 센서와 관련된 테이프 감지회로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테이프 감지회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광엘이디 제어부 51 : 트랜지스터
52 : 마이크로 컴퓨터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테이프 감지회로를 나타 내었다.
여기서는 시스템의 테이프 감지회로의 광엘이디 구동회로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시스템 마이크로 컴퓨터(52)의 제어하에 광엘이디(22)를 선택적으로 구동할수 있도록한 광엘이디 제어부(5)와, 이 광엘이디 제어부(5)의 입력단과 전원단 사이에 연결되어 시스템 주행계가 동작하지 않을때는 광엘이디(22)를 오프 시키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52) 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뤄져 있다.
또, 상기 광엘이디 제어부(5)는 광엘이디(16a)의 입력저항과 전원단 사이에서 마이크로 컴퓨터(52)의 구동 신호에 따라 온/오프 제어되는 트랜지스터(51( 회로로 이뤄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도 1과 같이 로딩포스트(25)가 테이프(200)을 밀고 후방으로 이동하여 테이프(200)이 헤드드럼(24)에 밀착되도록 한 후 주행이 시작되면 서플라이릴측의 테이프(200)이 풀려나가면서 텐션암과 백텐션 포스트를 경유하여 전폭소거 헤드(23)에 접촉된다. 그리고 테이프(200)은 서플라이 측의 로딩 포스트(25)를 거쳐 회전드럼(24)에서 비디오 헤드에 의해 영상신호를 기록한 후, 테이크 업 측의 로딩 포스트(25)를 거친다. 상기 로딩 포스트(25)를 거친 비디오 테이프(200)는 음성소거헤드(27)와 음성 및 컨트롤 헤드에 도달된다. 그리고 난 후 서플라이릴(22)로부터 공급되는 테이프(200)은 캡스턴 모터 및 핀치롤러에 의하여 안전하게 테이크업릴(20)에 감긴다.
한편 광발송부(26)는 광수신부(28)로 계속 빛을 발광시키는 과정에서 마그네틱부에서는 빛이 차단되고 테이프(200)의 시작과 끝부분의 클리어부에서는 빛이 통과되어 마이컴이 작동된다. 그러면 마이컴에 의해 회전드럼(24) 및 캡스턴모터가 제어되면서 테이프(200)이 스타트부분에 감겨있을 경우에는 되감기가 방지되고 또한 테이프(200)이 끝부분에 감겨있으면 재생, 녹화, 빨리감기 등이 제어되는 것이다.
이러한 광발송부(16)와 광수신부(18)의 동작은 상기 시스템에 전원이 투입되고 데크 동작이 이뤄질 때 이뤄지는 것으로서, 이는 도 3과 같이 시스템 마이크로 컴퓨터(52)는 시스템에서 주행계 모드가 걸려있을때는 광엘이디(16a) 제어부(5)의 트랜지스터(51)를 정상적으로 온 시켜서 스탠바이 전원을 광엘이디(16a)에 제공하고 이에 따라 광엘이디(16a)가 점등 상태에 있게되어 상기와 같은 주행계 동작시에 스타트/앤드 센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주행계 동작이 아닌 채널선국/시각맞춤/예약녹화 설정/볼륨조절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시스템 마이크로 컴퓨터(52)는 광엘이디 제어부(5)의 트랜지스터(51)를 오프 시키게 됨으로서 광엘이디(16a)는 오프 상태로 있게되고 광수신부(18a,18b)의 동작은 이뤄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브이시알 시스템의 스타트/앤드 센서 역할을 하는 광엘이디 및 광수신 트랜지스터 회로가 주행계 동작 외에는 작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이러한 시스템에서 광엘이디 상시 구동으로 인한 엘이디 소자의 수명저하를 방지하고 에너지 절감도 이룰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브이시알 시스템의 테이프 감지회로에 있어서, 광엘이디 구동회로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시스템 마이크로 컴퓨터(52)의 제어하에 광엘이디(22)를 선택적으로 구동할수 있도록한 광엘이디 제어부(5)와, 이 광엘이디 제어부(5)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시스템 주행계가 동작하지 않을때는 광엘이디(22)를 오프 시키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52) 등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시알 시스템의 테이프 감지회로
KR2019970034176U 1997-11-27 1997-11-27 브이시알 시스템의 테이프 감지회로 KR199900206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176U KR19990020679U (ko) 1997-11-27 1997-11-27 브이시알 시스템의 테이프 감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176U KR19990020679U (ko) 1997-11-27 1997-11-27 브이시알 시스템의 테이프 감지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679U true KR19990020679U (ko) 1999-06-15

Family

ID=6969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176U KR19990020679U (ko) 1997-11-27 1997-11-27 브이시알 시스템의 테이프 감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67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18383B2 (ko)
KR19990020679U (ko) 브이시알 시스템의 테이프 감지회로
JPH0612730A (ja) テープ端検出装置
JPH03283074A (ja) オーディオ装置
JPS639311B2 (ko)
KR100325947B1 (ko) 브이씨알의테이프스타트/앤드센서구동방법
JPH0240597Y2 (ko)
KR19990023309U (ko) 비디오 테입의 클리어부 및 마그네틱부 감지장치
KR970007171B1 (ko) 브이씨알의 테이프 종단 검출 및 제어방법
KR960002754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카세트 테이프 절단 자동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JP2542798Y2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テープレコーダにおけるカセットハーフ検出装置
KR100233525B1 (ko)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
KR100262859B1 (ko) 브이씨알의 테이프 검출 제어방법
KR930010249B1 (ko) 자기 테이프 구동 장치
JPS6023780Y2 (ja) 終始端検出装置
JPH0925168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515941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055795U (ja) テープエンド検出装置
KR930007493Y1 (ko)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절단감지 및 테이프 감김 현상 방지회로
JPS602241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85240B2 (ja) 磁気テープの端部検出装置
JPH0393060A (ja) テープエンド検出装置
KR200183042Y1 (ko) 브이시알의 테이프 끊어짐 감지장치
KR100378806B1 (ko) 브이씨알의 주행 제어방법
JP2542797Y2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テープレコーダにおけるカセットハーフ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