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525B1 -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3525B1
KR100233525B1 KR1019960053802A KR19960053802A KR100233525B1 KR 100233525 B1 KR100233525 B1 KR 100233525B1 KR 1019960053802 A KR1019960053802 A KR 1019960053802A KR 19960053802 A KR19960053802 A KR 19960053802A KR 100233525 B1 KR100233525 B1 KR 100233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magnetic recording
recording medium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454A (ko
Inventor
서병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53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3525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5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11B15/08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by photoelectric sen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Landscapes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 현재 데크에 자기기록매체가 장착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2)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자기기록매체의 주행에 대한 기능키를 검사하는 단계; 및 (3) 제(1)단계의 판단결과와, 제(2)단계의 검사결과에 근거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온/오프(on/off)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은 종래 셋트에 전원이 입력됨과 동시에 계속해서 구동되었던 발광다이오드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동시켜 주므로써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시켜 준다.

Description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
본 발명은 자기기록매체를 이용하는 영상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기기록매체를 이용하는 영상기록재생장치는 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의 양끝단을 검출하기 위하여 빛을 발생하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발광다이오드로부터의 빛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Start Sensor,End Sensor)을 사용한다. 즉, 발광다이오드로부터의 빛이 자기기록매체의 양끝단에 연결된 투명한 트레일러(trailer) 테이프를 투과하여 센서에서 검출되면 시스템내에서는 자기기록매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키입력이 없어도 시스템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는 시스템에 전원이 입력됨과 동시에 구동되기 시작하여 시스템의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해서 구동된다. 다시 말해, 발광다이오드는 연속촬영중이거나 정지상태일 때, 또는 녹화대기상태일 때와 같이 기록매체의 양끝단과는 무관한 부분에서 동작중일 때에도 계속해서 구동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캠코더와 같이 실사용시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셋트의 저소비전력이 요구되는 현시점에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력을 줄이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기기록매체를 이용하는 영상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키입력부 12 : 데크부
13 : 파형정형부 14 : 마이크로프로세서
15 : LED구동부
본 발명은,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1) 데크에 자기기록매체가 장착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2) 상기 자기기록매체의 주행에 관련 기능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3) 상기 자기기록매체의 장착여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주행에 관련한 기능키의 입력여부에 따라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온/오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이 적용되는 영상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제1도의 장치는 키입력부(11)와 키입력부(11)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키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프로세서(14)를 구비한다. 데크부(12)에서 자기기록매체(123)는 공급릴(122)에서 나와 드럼(124)을 거쳐 수급릴(125)에 감기게 된다. 데크부(12)에는 발광다이오드(121)가 구비된다. 그리고, 공급릴(122)로부터 나오는 자기기록매체의 주행경로와 수급릴(125)에 감기는 자기기록매체의 주행경로상에는 각각 발광다이오드(121)로부터의 빛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126,127)이 구비된다. 센서들(126,127)의 출력단에는 검출한 빛을 마이크로프로세서(14)에 입력할 수 있는 형태로 파형정형하기 위한 파형정형부(13)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1도의 장치는 키입력부(11)와 파형정형부(1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근거로 데크부(12)의 발광다이오드(121)의 구동을 제어하는 LED제어부(15)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제2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키입력부(11)를 통해 시스템의 전원을 온(ON)상태로 한다(단계 201). 시스템에 전원이 입력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데크부(12)에 자기기록매체가 장착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202). 단계 202에서 자기기록매체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LED구동부(15)에 발광다이오드(121)를 오프(OFF)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LED구동부(15)는 단계 211을 수행하여 발광다이오드(121)를 오프시킨다. 반면에, 단계 202에서 현재 자기기록매체가 장착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LED구동부(15)는 마이크로프로세서(14)의 제어에 따라 일단 발광다이오드(121)를 온시킨다.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키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되는 기능키들을 판단하여 불필요한 부분에서는 발광다이오드(121)를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캠코더의 카메라모드에 관련해서만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현재 동작모드가 카메라모드인 지를 판단한다(단계 204). 단계 204에서 현재 카메라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즉, VCR모드나 셋트가 오프상태이면 단계 203의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한다. 반면에 사용자의 키입력부(11)의 조작에 의해 카메라모드가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다시 키입력부(11)를 통해 편집키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205). 편집키는 녹화대기상태에서 자기기록매체에 기록된 내용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탐색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이다. 따라서, 편집키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단계 203의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한다. 그리고, 편집키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 즉, 순수한 녹화대기상태에서 녹화시작키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206). 단계 206에서 녹화시작키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현재 녹화대기상태로 자기기록매체가 주행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단계 211을 수행하여 발광다이오드(121)를 오프시킨다.
한편, 단계 206에서 녹화시작키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미도시한 타이머를 동작시킨다(단계 207). 즉, 연속적인 녹화시작/종료키의 조작으로 테이프가 역방향으로 진행하여 기록가능영역의 시작부분까지 진행되는 것을 체크하기 위하여 임의로 시간을 카운트한다. 제2도의 본 발명에서는 10초를 설정한 예를 보여준다.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기설정된 10초 이내에 녹화종료키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208, 단계 209). 단계 208과 단계 209에서 10초 이내에 녹화종료키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단계 203을 수행한다. 반면에, 단계 208과 단계 209에서 10초 이내에 녹화종료키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종래기술에 의하여 자기기록매체의 잔량을 검출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잔량이 5분 이내인 지를 판단한다(단계 210). 단계 210에서 자기기록매체의 잔량이 5분 이내라고 판단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자기기록매체의 양끝단을 검출하기 위하여 단계 203을 수행하여 발광다이오드(121)를 온시킨다. 반면에 단계 210에서 잔량이 5분 이내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단계 211을 수행하여 발광다이오드(121)를 오프시킨다.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단계 204부터 수행을 반복하여 해당 기능키에 대한 발광다이오드(121)의 온/오프를 계속해서 제어한다.
각 기능키의 판별에 대하여 발광다이오드(121)가 온상태가 되어, 센서(126 또는 127)를 통해 테이프의 양끝단이 검출되면, 센서(126 또는 127)는 검출결과를 파형정형부(13)로 출력한다. 파형정형부(13)는 센서(126 또는 127)로부터 인가되는 검출결과를 마이크로프로세서(14)에 입력할 수 있는 형태로 파형정형하여 출력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파형정형부(13)를 통해 테이프의 기록가능영역의 끝단이 검출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받을 때, 테이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도시한 데크구동부를 제어하여 데크부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발광다이오드를 적응적으로 구동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발광다이오드로부터의 빛을 검출하는 센서들도 발광다이오드의 구동에 동기시켜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은, 테이프의 장착유무와 기능키의 판별에 의하여 현재 테이프로부터 양끝단을 검출할 시점이 아니라고 판단될 때 발광다이오드를 오프시킨다. 따라서, 종래 셋트에 전원이 입력됨과 동시에 계속해서 구동되었던 발광다이오드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동시켜 주므로써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시켜 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의 양끝단을 검출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를 필요에 따라 온/오프(on/off)하므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지 않도록 한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Claims (6)

  1.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1) 데크에 자기기록매체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2) 상기 자기기록매체의 주행에 관련한 기능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3) 상기 자기기록매체의 장착여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주행에 관련한 기능키의 입력여부에 따라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온/오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자기기록매체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될 때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녹화대기(STAND BY)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녹화시작(REC)키가 입력된 후 현재 자기기록매체의 잔량을 검사하여 잔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검출용 양끝단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온/오프시키는 것에 동기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의 빛을 검출하는 센서를 온/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주행에 관련한 기능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온시키고, 상기 주행에 관련한 기능키 이외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
KR1019960053802A 1996-11-13 1996-11-13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 KR100233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802A KR100233525B1 (ko) 1996-11-13 1996-11-13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802A KR100233525B1 (ko) 1996-11-13 1996-11-13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454A KR19980035454A (ko) 1998-08-05
KR100233525B1 true KR100233525B1 (ko) 1999-12-01

Family

ID=1948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802A KR100233525B1 (ko) 1996-11-13 1996-11-13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35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158A (ko) 2021-10-27 2023-05-04 이광휘 무선데이터통신의 링크설정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장치
KR20230060159A (ko) 2021-10-27 2023-05-04 이광휘 링크설정을 단순화 하는 무선데이터통신망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454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3525B1 (ko)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
KR950000048B1 (ko) 브이씨알 데크간의 끊김없는 연속녹화방법
JPH03283074A (ja) オーディオ装置
US5557483A (en) Tape end detection device
KR970007171B1 (ko) 브이씨알의 테이프 종단 검출 및 제어방법
JPH0612730A (ja) テープ端検出装置
KR960005941B1 (ko) 브이.티.알(vtr)의 기록종료검출 및 설정방법과 기록종료검출 및 기록방법
KR19980055101A (ko) 오디오 테이프의 녹음가능영역 자동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91167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절전동작 수행방법 및 장치
KR960002754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카세트 테이프 절단 자동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100248223B1 (ko) 차량 탑재용 티브이-브이시알의 전원제어장치
JPH07114489B2 (ja) 監視装置
KR0132474B1 (ko) 브이씨알(vcr)의 앤드(end) 센싱 제어장치 및 방법
KR0159648B1 (ko)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에서의 자동 전원 제어 방법
KR19990047523A (ko) 비디오 카메라를 채용한 브이시알 시스템의 테이프 절약장치
KR970071774A (ko) 복합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의 온 타임 기능 수행 방법
KR19980053619A (ko)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의 녹화모드 자동 오프장치
KR20000033709A (ko) 브이 씨 알의 테이프 스타트/ 앤드센서 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21859A (ko) 타임 체크방식에 의한 녹음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42805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이상 상태 표시 방법
KR19980075504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녹화 제어방법
KR19980031662A (ko) Tvcr의 빨리감기 또는 되감기 기능수행시 캡스탄 모터 구동 공급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JPH048965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60025466A (ko)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및 동작상태 표시방법
JPH09189953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