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163U - 스페이스 프레임 - Google Patents

스페이스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163U
KR19990020163U KR2019970033574U KR19970033574U KR19990020163U KR 19990020163 U KR19990020163 U KR 19990020163U KR 2019970033574 U KR2019970033574 U KR 2019970033574U KR 19970033574 U KR19970033574 U KR 19970033574U KR 19990020163 U KR19990020163 U KR 199900201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lamp
guide groove
space frame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5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8799Y1 (ko
Inventor
조병진
Original Assignee
조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진 filed Critical 조병진
Priority to KR20199700335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799Y1/ko
Publication of KR199900201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1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7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06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spherical, semispherical or polyhedral connec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구조물, 조형물 또는 인테리어의 용도로 사용되는 스페이스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스페이스 관(11)의 양단에 각각 볼트(13)가 연결되고 이 볼트가 중공부에 끼워져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된 잠금쇠(14)를 구비한 스페이서(10)와, 이 스페이서의 볼트(13)가 연결되는 복수개의 나사공(21)이 형성된 연결구(20)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잠금쇠(14)와 볼트(13)의 연결은 상기 잠금쇠의 중공부 내부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가이드 홈(14a)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13)의 중심부 양측에 상기 가이드 홈(14a)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 홈을 따라 슬라이드 되게 슬라이드 돌기(13a)를 형성하여, 상기 잠금쇠(14)의 가이드 홈(14a)에 볼트(13)의 슬라이드 돌기(13a)가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 홈(14a)의 후단에 잠금쇠(14)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한 이탈 방지턱(14b)을 포함하여, 볼트와 잠금쇠의 연결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구조적인 결함을 줄이고 공기의 단축과 빗물의 침투를 방지하여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페이스 프레임
본 고안은 건축물의 구조물, 조형물 또는 인테리어의 용도로 사용되는 스페이스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스페이스 프레임은 그 활용에 따라 건축구조물로 체육관, 전시관, 대형 박람회장, 공장·격납고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전시용으로 아트리움, 톱 라이트, 상징 조형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외에도 건축물의 실내·외 인테러어 용도로 사용되어 왔었다.
도 1은 상술한 용도로 사용되던 종래 스페이스 프레임의 단위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 스페이스 프레임의 단위 구조는 소정길이를 갖는 스페이스 관(110)과, 이 스페이스 관의 양단에 용접 고정되는 연결캡(120)과, 이 연결캡에 연결되는 볼트(130)와, 이 볼트와 함께 회전되도록 나사부에 끼워져 연결되는 잠금쇠(140)를 구비한 스페이서(100)와, 상기 스페이서의 볼트(130)가 조립되는 나사공(210)이 복수개 형성된 연결구(20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캡(120)은 볼트(130)의 머리부가 걸리도록 중심에 걸림공(121)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쇠(140)는 중공을 갖고 외형이 육각 구조로 서로 대응하는 양측면에 관통된 장공(141)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볼트(130)는 중심부에 수직으로 관통공(131)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핀(131)에 의해 장공(141)내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잠금쇠(141)와 상호 연결된다.
도 2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스페이스 프레임 단위 구조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 스페이서(100)와 연결구(200)의 연결은 연결구의 나사공(210)에 볼트(130)의 일단이 접촉된 상태에서 렌치 등을 사용하여 잠금쇠(140)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스페이서와 연결구가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종래 스페이스 프레임은 스페이서의 고정핀(132)의 삽입을 위해 볼트(130)에 관통공(131)을 형성함으로써 볼트의 인장력과 전단력을 크게 저하시키는 구조적인 결함과, 스페이서(100)의 제작시 볼트(130)의 관통공(131)에 고정핀(132)을 삽입하는 공정에서 많은 불량을 발생하여 단가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페이스 프레임의 시공을 위하여 스페이서(100)의 잠금쇠(140)를 회전시킬 때 볼트(130)를 연결하는 고정핀(132)이 부러져 작업을 어렵게 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여 전체적인 작업 시간을 지연시키게 된다.
그 외에도 종래 스페이스 프레임은 시공 후 잠금쇠(140)의 장공(141)을 통해 내부로 빗물의 침투되어 볼트(130)와 고정핀(132)의 부식을 가져와 구조물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왔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볼트와 잠금쇠의 연결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구조적인 결함을 줄이고 공기의 단축과 빗물의 침투를 방지하여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종래 스페이스 프레임의 단위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스페이스 프레임의 체결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단위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고안 스페이스 프레임의 체결과정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구조물의 시공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페이서11 : 스페이스 관
13 : 볼트13a : 슬라이드 돌기
14 : 잠금쇠14a : 가이드 홈
20 : 연결구21 : 나사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단위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스페이스 프레임은 스페이스 관(11)의 양단에 각각 볼트(13)가 연결되고 이 볼트가 중공부에 끼워져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된 잠금쇠(14)를 구비한 스페이서(10)와, 이 스페이서의 볼트(13)가 연결되는 복수개의 나사공(21)이 형성된 연결구(20)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잠금쇠(14)와 볼트(13)의 연결은 잠금쇠에 형성한 가이드 홈(14a)과, 상기 볼트(13)에 이 가이드 홈(14a)을 따라 이동되게 형성된 슬라이드 돌기(13a)와, 상기 가이드 홈(14a)의 후단에 상기 볼트가 잠금쇠(14)에 끼워져 빠지지 않도록 하는 형성된 이탈방지편(14b)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 홈(14a)은 상기 잠금쇠(14)의 중공부 양측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돌기(13a)는 볼트(13)의 중심부 양측에 상기 가이드 홈(14a)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양측 가이드 홈(14a)의 위치가 잠금쇠(14)의 마주보는 각을 연결하는 선상에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탈 방지편(14b)은 상기 잠금쇠(14)의 가이드 홈(14a)에 볼트(13)의 슬라이드 돌기(13a)가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 홈의 후단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돌기(13a)는 볼트의 양측을 프레스기를 통해 일체가 되도록 성형한다.
미설명 부호 12는 스페이스 관의 양단에 삽입 용접되어 볼트가 스페이스 관에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캡이다.
본 고안에 의한 스페이스 프레임의 연결과정을 도 4a 및 도 4b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스페이서(10)의 볼트(13)와 연결구(20)의 나사공(21)의 중심이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서로 접속된 상태에서 잠금쇠(14)를 체결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킨다. 이때 볼트(13)는 잠금쇠(14)의 가이드 홈(14a)에 끼워져 함께 회전되면서 연결구(20)의 나사공(21)에 나사결합되면서 전진하여 스페이스 관(11)을 당겨 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양측에 위치한 연결구 사이에 스페이서가 일정한 배열각을 가지고 상호 연결되어 원하는 제 5와 같은 구조물 또는 조형물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 및 작용으로 본 고안은 볼트(13)를 잠금쇠(11)에 연결시켜 주는 슬라이드 돌기(13a)가 프레스에 의해 한 번의 공정으로 의해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종래의 고정핀 삽입하는 방법보다 생산단가와 불량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볼트에 관통공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로 인한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잠금쇠(14)와 볼트(13)의 상호 연결되는 단면적이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어 전단력이 커짐으로써 체결과정에서 이들 연결부위가 파손되지 않음으로 시공 불량의 발생으로 인한 작업지연을 줄여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잠금쇠에 내통하는 장공을 형성하지 않게 되므로 빗물이 내부로 침투되어 볼트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해 줌으로써 내구성을 높여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스페이스 관(11)의 양단에 각각 볼트(13)의 머리부가 끼워져 상호 결합되고 상기 볼트를 연결구(20)의 나사공(21)에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잠금쇠(14)의 중공부내로 상기 볼트가 끼워져 작동되도록 구비된 스페이스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14)의 중공부 내면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가이드 홈(14a)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13)의 몸체부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14a)에 대향하는 위치에 슬라이드 돌기(13a)를 형성하여,
    상기 잠금쇠의 가이드 홈(14a)에 상기 볼트(13)의 슬라이드 돌기(13a)가 삽입되고 상기 볼트(13)와 잠금쇠(14)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홈(14a)의 후단에 이탈방지편(1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돌기(13a)는 볼트(13)의 양측을 프레스기를 통해 일체가 되도록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 프레임.
KR2019970033574U 1997-11-24 1997-11-24 스페이스 프레임 KR200158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574U KR200158799Y1 (ko) 1997-11-24 1997-11-24 스페이스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574U KR200158799Y1 (ko) 1997-11-24 1997-11-24 스페이스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163U true KR19990020163U (ko) 1999-06-15
KR200158799Y1 KR200158799Y1 (ko) 1999-10-15

Family

ID=19514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574U KR200158799Y1 (ko) 1997-11-24 1997-11-24 스페이스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7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195B1 (ko) * 2008-04-30 2010-04-15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조립용 볼트 및 이를 구비한 스페이스프레임
KR102046454B1 (ko) 2018-06-01 2019-11-19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커넥터 및 그것을 이용한 골격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195B1 (ko) * 2008-04-30 2010-04-15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조립용 볼트 및 이를 구비한 스페이스프레임
KR102046454B1 (ko) 2018-06-01 2019-11-19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커넥터 및 그것을 이용한 골격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8799Y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8799Y1 (ko) 스페이스 프레임
KR100786326B1 (ko)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보강용 연결바 조립구조
JP3112549U (ja) 建築用接合金具
JP3957402B2 (ja) 建築用柱固定金具部品、建築用柱固定金具及び該建築用柱固定金具を用いた柱固定方法
JP2001355287A (ja) 木造建造物の構造部材の接合構造及びその接合方法
JP3805641B2 (ja) 締結具
JP2002121891A (ja) パイプ連結機構
JP2659154B2 (ja) 柱と梁との連結方法および連結金具
JP2784740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連結構造体
JP3547823B2 (ja) 角締め用金具
KR200337822Y1 (ko) 체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페이스 프레임의 연결구조
CN220204333U (zh) 一种方便转动的螺栓
CN218204937U (zh) 一种配式构件连接件
KR200187194Y1 (ko) 건축물의 기둥축조용 거푸집 고정구
JPS59410Y2 (ja) 構築用ブレ−ス
JP2976189B2 (ja) 建築用木材の継合具
KR960000701Y1 (ko) 벽판넬의 결합장치
KR200351538Y1 (ko)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
JPS6040789Y2 (ja) 新・旧窓枠の結合装置
KR20020073615A (ko) 거푸집 설치를 위한 와셔 일체형의 체결볼트
JP2582562Y2 (ja) Alcパネル用あと施工アンカー
JP3685550B2 (ja) ガラス板等の外装体の取付構造
JPH0111867Y2 (ko)
JPH0676535U (ja) 足場用壁つなぎ金具
KR100395372B1 (ko) 샤시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2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