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955U - 자동차용 스타트모터의 오버러닝클러치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타트모터의 오버러닝클러치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955U
KR19990019955U KR2019970033444U KR19970033444U KR19990019955U KR 19990019955 U KR19990019955 U KR 19990019955U KR 2019970033444 U KR2019970033444 U KR 2019970033444U KR 19970033444 U KR19970033444 U KR 19970033444U KR 19990019955 U KR19990019955 U KR 199900199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running clutch
outer race
driver shaft
assembly
star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배길훈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훈,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훈
Priority to KR2019970033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955U/ko
Publication of KR199900199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955U/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용 스타트모터의 오버러닝클러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는 오버러닝클러치에서 후단부에 쉘을 형성한 아우트레이스의 내경과 드라이버샤프트 상간의 유격차이로 인하여, 작동과정에서 소음유발이 심하고 오버러닝클러치의 작동성에 지장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에서는 후단부에 쉘(25)을 일체로 형성한 오버러닝클러치(18)의 아우트레이스(51)의 내경(52) 선단부에는 아우트레이스(51)의 내경(52)와, 드라이버샤프트(20)의 외경(53)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부싱(55)를 더 구비하여 소음방지와 작동성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오버러닝클러치의 작동성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줄여 스타트모터의 출력과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타트모터의 오버러닝클러치 어셈블리
본 고안은 자동차용 스타트모터의 오버러닝클러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버러닝클러치가 드라이버샤프트를 슬라이딩 이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자동차용 스타트모터는 엔진시동을 위하여 최초의 흡입과 압축행정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며, 엔진의 크랭크축 외측단부에 고정된 플라이휠의 링기어를 피니언기어로 회전시켜 줌으로서 크랭크축으로 하여금 최초의 흡입과 압축행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타트모터는 피니언이 링기어를 구동시킬 수 있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아마튜어어셈블리와 아마튜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엔진의 링기어를 회전시키는 드라이버어셈블리 및 드라이버어셈블리와 엔진의 링기어상간의 접속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로 크게 구성한다.
상기 드라이버샤프트상에 삽입되어 아마튜어어셈블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엔진의 링기어와 직접 접속하여 이를 구동시켜주는 것이 오버러닝클러치이며 이의 역할은 링기어와 접속하여 엔진시동을 걸어줌은 물론 시동후 일어날 수 있는 역회전을 방지하고 솔레노이드와 연결된 작동레버와 연결되어 드라이버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오버러닝클러치에서 플런져와 연결되어 오버러닝클러치를 드라이버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작동레버와 연결할 수 있도록 쉘을 형성한 아우트레이스의 내경에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 그대로 결합된 상태에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오버러닝클러치가 플런져와 작동레버에 의하여 드라이버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아우트레이스의 내경단부와 드라이버샤프트가 연접되면서 심한 소음이 유발되고, 오버러닝클러치의 이동에 많은 제약이 따름으로서 피니언이 링기어와의 접속상태가 불량하여지는 등의 문제를 유발하여 스타트모터 전체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등 여러문제점들을 가진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버러닝클러치가 드라이버샤프트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스타트모터의 출력과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스타트모터의 전체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오버러닝클러치의 아우트레이스를 발췌한 단면도.
제3도는 종래기술이 적용된 오버러닝클러치의 아우트레이스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타트모터17 : 아마튜어어셈블리
18 : 오버러닝클러치20 : 드라이버샤프트
51 : 아우트레이스52 : (아우트레이스의)내경
53 : (드라이버샤프트의)외경55 : 부싱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스타트모터의 전체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오버러닝클러치의 아우트레이스를 발췌한 단면도, 제3도는 종래기술이 적용된 오버러닝클러치의 아우트레이스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자동차용 스타트모터(10)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아마튜어프레임(11)의 내방에 아마튜어샤프트(12)와 아마튜어코어(13), 아마튜어코일(14), 정류자(15), 브러쉬(16)등으로 구성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아마튜어어셈블리(17)가 구비된다.
상기 아아튜어어셈블리(17)의 전방에는 피니언(19)을 가지는 오버러닝클러치(18)와 드라이버샤프트(20)등으로 구성되어 아마튜어어셈블리(17)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엔진의 링기어와 접속하여 이를 구동시켜주는 드라이버어셈블리(21)를 가진다.
상기 아마튜어어셈블리(17)의 상방에는 케이스(22)의 내방에 풀인 및 홀딩코일(23)을 권취한 스풀보빈(24)과 이의 내방에서 드라이버어셈블리(21)의 오버러닝클러치(18)의 후방에 위치한 쉘(25)과 연결된 작동레버(26)를 움직여주는 플런져(27)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22)의 후단부에는 터미널(28,29)를 가지는 스위치커버(30)가 압입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터미널(28,29)는 플런져(27)가 미는 힘에 의하여 플런져(27) 후방에 구비되는 로드(31)에 고정된 접점디스트(32)와 접촉함으로서 아마튜어어셈블리(17)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솔레노이드(35)를 가지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타트모터(10)의 작동은 키를 스타트위치로 하면 배터리전원이 풀인 및 홀딩코일(23)로 흘러 자력을 발생시키고 이 자력에 의하여 플런져(27)를 흡입한다.
그러면, 플런져(27)와 드라이버샤프트(20)에 삽입된 오버러닝클러치(18)의 후단부에 형성한 쉘(25)상간을 연결하고 있는 작동레버(26)가 오버러닝클러치(18)의 선단부에 형성한 피니언(19)을 엔진의 링기어와 맞물리게 하고, 플런져(27)의 흡입작동에 의하여 접점디스트(32)가 터미널(28,29)와 접점한다.
동시에 풀인 및 홀딩코일(23)로 흐르던 전류는 아마튜어코일(14)로 흘러 아마튜어어셈블리(17)를 회전시킴으로서 엔진시동이 걸려지는 작동이다.
상기와 같은 스타트모터(10)에서 드라이버샤프트(20)에 삽입되는 오버러닝클러치(18)는 링기어와 접속하는 피니언(19)을 선단부에 형성한 이너레이스(50)와 플런져(27)와 연결되어 오버러닝클러치(18) 전체를 슬라이딩 이동시켜주는 작동레버(26)를 연결하기 위한 쉘(25)을 후단부에 가지는 아우트레이스(5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아우트레이스(51)가 종래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경(D)에 별도의 지지수단을 가지지 못함으로서 드라이버샤프트(20)의 외경(D1)과의 직경차이를 가지게 된다.
이 직경의 차이는 오버러닝클러치(18)가 드라이버샤프트(20)에 삽입될 때 보다 스무드한 삽입을 위하여 행하는 미소한 직경차이로 발생되는 것이나, 실제 오버러닝클러치(18)가 작동할 경우에는 아우트레이스(51)가 하향경사진 상태에서 내경(D)의 상측이 드라이버샤프트(20)의 외경(D1) 상면과 연접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오버러닝클러치(18)가 작동할 때 아우트레이스(51)와 드라이버샤프트(20)가 연접하면서 작동소음이 유발되고, 동시에 아우트레이스(51)와 드라이버샤프트(20)가 마찰로 인한 마모를 초래한다.
상기와 같이 잦은 작동으로 아우트레이스(51)와 드라이버샤프트(20)가 마모될 경우에는 마모양만큼의 유격이 더 발생하고 이에 따르는 오버러닝클러치는 물론 스타트모터 전체의 성능에 의심을 갖게 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에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버러닝클러치(18)를 구성하는 아우트레이스(51)의 내경(52) 선단부에는 아우트레이스(51)의 내경(52)와 드라이버샤프트(20)의 외경(53)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부싱(55)를 더 구비한다.
상기 부싱(55)은 아우트레이스(51)의 내경(52) 선단부에 형성되는 부싱홈(56)에 압입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아우트레이스(51)는 내경(52)선단부에 압이된 부싱(55)이 드라이버샤프트(20)의 외경(53)과 연접된 상태에 있으므로,
아우트레이스(51)가 드라이버샤프트(20)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작동성이 향상되고 작동과정에서 소음발생의 원인이 제거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오버러닝클러치의 작동성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줄여 스타트모터의 출력과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

  1. 아마튜어프레임(11)과 아마튜어샤프트(12), 아마튜어코어(13), 아마튜어코일(14), 정류자(15), 브러쉬(16)등으로 구성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아마튜어어셈블리(17)와 피니언(19)을 가지는 오버러닝클러치(18)와 드라이버샤프트(20)등으로 구성되어 엔진의 링기어와 접속하여 구동시켜주는 드라이버어셈블리(21) 및 드라이버어셈블리(21)의 오버러닝클러치(18)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35)로 구성되는 스타트모터(10)에 있어서;
    상기 오버러닝클러치(18)를 구성하는 아우트레이스(51)의 내경(52) 선단부에는 아우트레이스(51)의 내경(52)와 드라이버샤프트(20)의 외경(53)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부싱(55)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타트모터의 오버러닝클러치 어셈블리.
KR2019970033444U 1997-11-18 1997-11-18 자동차용 스타트모터의 오버러닝클러치어셈블리 KR199900199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444U KR19990019955U (ko) 1997-11-18 1997-11-18 자동차용 스타트모터의 오버러닝클러치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444U KR19990019955U (ko) 1997-11-18 1997-11-18 자동차용 스타트모터의 오버러닝클러치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955U true KR19990019955U (ko) 1999-06-15

Family

ID=6969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444U KR19990019955U (ko) 1997-11-18 1997-11-18 자동차용 스타트모터의 오버러닝클러치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95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6712A (en) Thrust compensation for flat-commutator starter
KR930004519B1 (ko) 엔진용 스타터
EP0867612B1 (en) A star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30000928B1 (ko) 동축형 스타터
US4978874A (en) Coaxial type engine starter with hollow armature shaft
JP2515607Y2 (ja) 中間歯車付始動電動機
US6776273B2 (en) Starter having braking member for one-way clutch
KR19990019955U (ko) 자동차용 스타트모터의 오버러닝클러치어셈블리
KR100618753B1 (ko) 동축엔진시동장치
US6963144B2 (en) Starter having pinion-rotation-restricting member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
KR920006240B1 (ko) 시동기
JP2000352367A (ja) スタータ及びスタータの組付方法
JP3796920B2 (ja) スタータ
KR200162316Y1 (ko) 시동전동기 피니언 정지장치
KR19990019957U (ko) 자동차용 스타트모터
US20200340440A1 (en) Dc motor
KR19990019970U (ko) 자동차용 스타트모터의 오버러닝클러치
JPH1032945A (ja) 永久磁石界磁型モータ
KR930001168B1 (ko) 동축형 스타터
EP0385726A1 (en) Coaxial engine starter
JPH10148169A (ja) スタータ
JPH0631592B2 (ja) スタ−タ
KR19990024062U (ko) 자동차용 스타트모터
KR910001818Y1 (ko) 페이스정류자형 스타터
KR19990014641U (ko) 자동차용 스타트모터의 드라이버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