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222U - 자동차 머리받이의 전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머리받이의 전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222U
KR19990016222U KR2019970029578U KR19970029578U KR19990016222U KR 19990016222 U KR19990016222 U KR 19990016222U KR 2019970029578 U KR2019970029578 U KR 2019970029578U KR 19970029578 U KR19970029578 U KR 19970029578U KR 19990016222 U KR19990016222 U KR 199900162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stopper
headrest
guide sli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9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6222U/ko
Publication of KR19990016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222U/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 백에 설치되는 머리받이의 전후위치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고정되어 있는 머리받이의 전후위치를 승객의 체형에 맞추어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중의 편의성과 후방충돌시의 안전성을 높인다. 머리받이(H)의 스테이(1)가 전후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는 경로를 갖는 가이드 슬릿(2)을 갖는다. 그 양단부쪽에는 스테이(1)를 탄성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고 일정 이상의 외압에 따라 그 구속을 해제시키는 제1스톱퍼(4,4')와, 이 제1스톱퍼(4,4')와 힌지로 결합되고 스테이(1)가 가이드 슬릿(2)으로 진행할 때 회전축(6,6')을 중심으로 캠운동하여 스테이(1)의 경로를 개폐시키는 제2스톱퍼(5,5')를 설치한다. 머리받이(H)에 외압을 가하면 스테이(1)가 제1스톱퍼(4,4')와 제2스톱퍼(5,5')의 구속과 해제를 거듭하면서 가이드 슬릿(2)을 따라 위치변경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머리받이의 전후조절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 백에 설치되는 머리받이의 전후위치를 조절하는 장치(Front and Rear Positioning Device of Car Headrest)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트, 특히 승용차의 프론트 시트는 시트 백과 시트 쿠션으로 이루어져 있고, 시트 백에는 머리받이를 끼우기 위한 파이프가 프레임에 고정되고, 높이 조절 스톱퍼를 갖는 홀더와 스톱퍼를 갖지 않는 홀더가 상기 파이프에 고정되며, 상기 각 홀더에 끼워지는 스테이를 갖는 머리받이는 스톱퍼의 노브를 좌우로 조작함에 의하여 위 또는 아래로 올렸다 내렸다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머리받이는 머리받이의 스테이 하부에 세레이션을 형성하고, 이 세레이션이 형성된 스테이가 끼워지는 홀더의 상단에 상기 세레이션에 걸릴 수 있는 노브를, 걸림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한 탄성을 갖도록 설치하여 머리받이의 높이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노브를 해제방향으로 돌려 세레이션이 노브의 구속으로 부터 해제되면 머리받이를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내린 후 노브를 놓으면 노브의 단부가 다시 스테이의 세레이션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머리받이는 상하로 높이조절만이 가능할 뿐 차량의 후방충돌에 의하여 승객의 머리가 머리받이에 부딪칠 때에 그 충격을 완화시키거나 흡수하는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후방충돌시 승객의 두부와 경추가 손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것은 머리받이와 승객의 머리간에 실질적으로 간격이 많이 벌어져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이같은 문제는 승객의 자세에 따라서도 발생하겠지만 근본적으로는 머리받이의 전후위치를 승객의 체형에 맞추어 조절할 수 없다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머리받이의 전후위치를 승객의 체형에 맞추어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중의 편의성과 후방충돌시의 안전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장치를 평면적으로 나타낸 일부의 구성약도.
도 2는 그 일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X방향에서 바라본 측면구성약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테이, 2: 가이드 슬릿, 4,4': 제1스톱퍼, 5,5': 제2스톱퍼, 6,6': 회전축, 7,7': 힌지축, F: 시트 백 프레임, H: 머리받이, S: 시트 백(등받이)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테이를 갖는 머리받이와, 이 머리받이의 스테이가 전후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는 경로를 갖는 가이드 슬릿과, 이 가이드 슬릿의 양단부에서 상기 스테이를 탄성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고 일정 이상의 외압에 따라 상기 스테이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제1스톱퍼와, 이 제1스톱퍼와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가 상기 가이드 슬릿으로 진행할 때 회전축을 중심으로 캠운동하여 상기 스테이의 경로를 개폐시키는 제2스톱퍼로 구성시킨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머리받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변경시키고자 할 때에는 스테이에 탄성력 이상의 외압을 가한다. 그러면 스테이가 가이드 슬릿의 시점에서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스톱퍼가 먼저 해제되고, 후속적으로 제1스톱퍼가 경로를 개방하며, 가이드 슬릿의 종점에 이를 때에는 제2스톱퍼가 먼저 경로를 개방하고 나서 제1스톱퍼가 스테이를 구속하므로서 머리받이가 일련의 위치이동을 완료하며 고정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장치를 평면적으로 나타낸 일부의 구성약도이며, 도 2는 그 일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X방향에서 바라본 측면구성약도를 나타낸 것이다. 머리받이(H)는 통상적으로 하부의 양측에 스테이(1)를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머리받이(H)의 양 스테이(1)가 접하는 시트 백(S) 상부 내에 평면상 동일하게 주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그 반쪽 부분만을 대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시트 백(S)의 상면 양측에는 머리받이(H)의 스테이(1)가 전후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ㄷ자형의 가이드 슬릿(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슬릿(2)은 판(3)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시킨 것으로, 가이드 슬릿(2)이 형성되는 판(3)은 시트 백(S) 내에 있는 시트 백 프레임(F)과 고정되어 있다. 작동시키지 않을 때, 즉 평상시 스테이(1)는 가이드 슬릿(2)의 양단중 어느 한쪽에 위치해 있게 된다.
제1스톱퍼(4,4')는 제2스톱퍼(5,5')의 회전축(6,6')으로부터 최외곽에서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힌지축(7,7')에는 외압을 가하지 않았을 때 제1스톱퍼(4,4')를 도 1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의 탄성력은 스테이(1)를 가이드 슬릿(2)내에서 사람의 힘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미는 힘(외압)보다는 약하게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도 1의 상측과 하측에 있는 제1스톱퍼(4,4')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축(6,6')에는 제1스톱퍼(4,4')가 좌우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탄성력으로 억제시키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1스톱퍼(4,4')는 비작동시에 스테이(1)를 감싸고 있도록 하기 위해 초생달형으로 구성하고, 스테이(1)를 고정시키고 있을 때의 힌지축(7,7')은 가이드 슬릿(2)의 중심선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나 있다.
제2스톱퍼(5,5')는 가이드 슬릿(2)의 단부쪽에서 길이가 긴 전후방향(도1의 상하방향)으로 90°방향전환되는 부분의 외곽쪽에 회전축(6,6')이 있다. 회전축(6,6')은 시트 백 프레임(F)에 고정되어 있다. 제2스톱퍼(5,5')는 부채꼴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제2스톱퍼(5,5')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스톱퍼(4,4')가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1)가 상기 가이드 슬릿(2)으로 진행할 때 회전축을 중심으로 가이드 슬릿(2)의 외곽으로 밀려났다가 복귀하는 캠운동을 하므로서 스테이(1)의 경로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스톱퍼(5,5')의 밀려남과 복귀는 회전축(6,6')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1의 상측에 있는 제2스톱퍼(5,5')에는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고, 도 1의 하측에 있는 제2스톱퍼(5,5')에는 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같이 스테이(1)가 가이드 슬릿(2)의 상측 단부에 있을 때에는 머리받이(H)가 시트 백(S)의 전방에 위치해 있다. 이때에는 머리받이(H)가 승객의 머리에 가까이 근접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객의 머리를 보다 편안하게 받치기 위하여 머리받이(H)를 시트 백(S)의 후방쪽으로 이동시키려면 머리받이(H)에 힘을 가한다. 머리받이(H)에 가하는 힘의 방향은 도 1에서 상부의 좌측을 시점으로 하여 역ㄷ자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스테이(1)는 가이드 슬릿(2)을 따라 역ㄷ자형의 경로를 이동하여 시트 백(S)의 전방쪽에서 후방쪽으로 변위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머리받이(H)의 스테이(1)가 시트 백(S)의 전방쪽에서 후방쪽으로 위치변경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과 같이 스테이(1)가 전방쪽의 제1스톱퍼(4)에 구속되어 있는 시점에서 스테이(1)는 제1스톱퍼(4)를 밀고 나간 후 도 4a와 같이 전방쪽의 제2스톱퍼(5)를 밀어낸다. 스테이(1)는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도 4b와 같은 상태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스톱퍼(4)와 제2스톱퍼(5)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스테이(1)는 도 4b의 상태에서 도 4c의 상태로 이동하면서 후방쪽의 제2스톱퍼(5')를 밀어낸 후 도 4d의 상태로 종점에 이른다. 이때 제2스톱퍼(5')가 복귀하면서 제1스톱퍼(4')가 스테이(1)를 감싸며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머리받이(H)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완료되며, 이와 반대로, 머리받이(H)의 전방쪽으로의 이동은 상기 작동과정의 역순으로 진행시키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머리받이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별도의 메카니즘을 강구하지 않고서도 손쉽게 전후위치조절이 가능하고, 이러한 전후위치조절에 따라 승객의 머리와 머리받이간의 간격을 승객의 체형이나 필요에 따라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승객의 편의성 증대는 물론 상해치 감소에 기여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스테이를 갖는 머리받이와, 이 머리받이의 스테이가 전후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는 경로를 갖는 가이드 슬릿과, 이 가이드 슬릿의 양단부에서 상기 스테이를 탄성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고 일정 이상의 외압에 따라 상기 스테이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제1스톱퍼와, 이 제1스톱퍼와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가 상기 가이드 슬릿으로 진행할 때 회전축을 중심으로 캠운동하여 상기 스테이의 경로를 개폐시키는 제2스톱퍼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머리받이의 전후조절장치.
KR2019970029578U 1997-10-24 1997-10-24 자동차 머리받이의 전후조절장치 KR199900162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578U KR19990016222U (ko) 1997-10-24 1997-10-24 자동차 머리받이의 전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578U KR19990016222U (ko) 1997-10-24 1997-10-24 자동차 머리받이의 전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222U true KR19990016222U (ko) 1999-05-25

Family

ID=6967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578U KR19990016222U (ko) 1997-10-24 1997-10-24 자동차 머리받이의 전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622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2371A (ko) * 2006-03-09 2007-09-13 다이모스(주) 여객 운송기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2371A (ko) * 2006-03-09 2007-09-13 다이모스(주) 여객 운송기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3441B2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GB2418849A (en) Linear adjustable active head restraint
KR100456555B1 (ko) 자동차의 서브마린 방지용 패널 구조
JP3770452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9990016222U (ko) 자동차 머리받이의 전후조절장치
KR100786007B1 (ko)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20070034756A (ko) 차량의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동작 구조
KR20010106597A (ko) 차량용 헤드 레스트
JP2003276489A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構造
JP3799823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0128699Y1 (ko) 자동차의 아암 레스트구조
JP4900926B2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構造
KR950012262B1 (ko) 전후이동 및 절곡가능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20010046311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장치
KR20090063429A (ko)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KR100461248B1 (ko)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KR20070065720A (ko) 여객 운송기 시트용 액티브 헤드 레스트 구동장치
KR100401662B1 (ko)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KR100401587B1 (ko) 자동차 시트의 회전가능한 헤드레스트
JP3595767B2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KR100195980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임팩트시 충격완화장치
KR100349752B1 (ko) 목부상 방지용 자동차 시트
KR0130281Y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KR100217988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의 충격 완화장치
KR200204144Y1 (ko) 자동차용 후방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