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147A - 키폰시스템의 내선 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키폰시스템의 내선 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147A
KR19990016147A KR1019970038597A KR19970038597A KR19990016147A KR 19990016147 A KR19990016147 A KR 19990016147A KR 1019970038597 A KR1019970038597 A KR 1019970038597A KR 19970038597 A KR19970038597 A KR 19970038597A KR 19990016147 A KR19990016147 A KR 19990016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extension subscriber
extension
call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8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6147A/ko
Publication of KR19990016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147A/ko

Links

Abstract

본 키폰시스템에서의 내선 호 처리 방법은, '링후 자동응답모드'를 설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링후 자동응답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제1내선가입자가 제2내선가입자로 발신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내선가입자의 후크오프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제2내선가입자의 후크 오프를 감지하면 상기 제1내선가입자와 제2내선가입자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내선가입자의 후크오프가 지정된 시간내에 감지되지 않으면 스피커 온 명령을 발생하여 상기 제2내선가입자 전화기의 스피커를 강제로 구동시키는 제4과정과, 상기 스피커 강제 구동후 상기 제2내선가입자의 후크오프 여부를 체크하여, 후크오프를 감지하면 상기 제1내선가입자와 제2내선가입자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키폰시스템의 내선 호 처리 방법
본 발명은 키폰시스템에 있어서 내선가입자 사이의 호(call)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키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중앙처리장치 111은 통화 스위칭을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키폰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메모리부 112는 기본 호(call)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중앙처리장치 111의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 111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부 112는 프로그램 및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 및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으로 구성된다. 시계회로 113은 시계칩(IC)으로서 현재의 시간데이터를 발생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 111로 출력한다. 스위칭회로 114는 상기 중앙처리장치 111의 제어하에 각종 톤(tone) 및 음성데이터를 스위칭한다. 일반가입자회로 115는 상기 중앙처리장치 111의 제어하에 일반전화기(도시하지 않음)에 통화 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일반전화기와 상기 스위칭회로 114 사이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링발생기 116은 링신호를 발생하여 가입자선로에 공급한다. 키폰가입자회로 117은 상기 중앙처리장치 111의 제어하에 상기 키폰전화기(도시하지 않음)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통화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키폰전화기와 스위칭회로 114 사이에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여기서 상기 키폰전화기 및 일반전화기는 내선가입자가 된다. 또한 상기 가입자회로 115 및 117과 상기 내선가입자를 연결하는 선로는 가입자선로가 된다. 톤발생기 118은 상기 중앙처리장치 111의 제어하에 각종 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칭회로 114로 출력한다. 국선회로 119는 상기 중앙처리장치 111의 제어하에 국선을 시저(seizure)하여 국선 통화 루프를 형성하며, 국선과 상기 스위칭회로 114 사이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여기서 국선은 상기 국선회로 119와 국설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선로를 말한다. DTMF수신기(Dual Tone Muti-Frequency Receiver) 120은 상기 스위칭회로 114에서 입력되는 DTMF신호를 분석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 11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상기 DTMF수신기 120에 입력되는 DTMF신호는 국선가입자 혹은 내선가입자가 발생한 전화번호이다. DTMF송신기 121은 상기 중앙처리장치 111이 출력하는 디지탈 데이터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칭회로 114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DTMF송신기 121을 출력하는 DTMF신호는 내선 측에서 국선 측을 호출할 시 발생한 국선가입자의 전화번호가 된다.
도 2는 종래 키폰시스템에서 수행되던 호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2a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 111은 제1내선가입자에 의한 제2내선가입자 호출을 감지하면 2b단계에서 상기 제2내선가입자가 자동응답모드인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제2내선가입자가 자동응답모드가 아니면 2d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 111은 상기 제2내선가입자로 링신호를 송출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내선가입자측 전화기에서는 상기 링신호를 수신하고 링을 울리게 된다. 2e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 111은 상기 제2내선가입자의 응답, 즉 후크 오프(hook off)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제2내선가입자가 후크 오프를 하였으면 2f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로를 형성한다. 반면에 상기 제2내선가입자가 후크 오프를 하지 않았으면 2g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 111은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지정된 시간내이면 상기 2e단계로 되돌아가고, 지정된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호출을 중단한다. 또한 전술한 2b단계에서 상기 제2내선가입자가 자동응답모드이면 2c 단계로 진행하여 스피커 온 명령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제2내선가입자 전화기의 스피커를 구동하게 한다.
이처럼 종래에는 내선 가입자 사이의 호출은 일정 시간동안 링이 울리다가 끊어지게 하거나, 처음부터 자동으로 스피커가 열려 음성으로 호출을 할 수 있게 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었다. 하지만 가입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좀더 다양한 호출이 가능하도록 개선할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선 호출시 일정 시간 링이 울리다가 스피커가 자동으로 열리는 자동응답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키폰시스템에서의 내선 호 처리 방법은, '링후 자동응답모드'를 설정하는 제1과정과, 제1내선가입자가 제2내선가입자로 발신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내선가입자의 후크오프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제2내선가입자의 후크 오프를 감지하면 상기 제1내선가입자와 제2내선가입자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내선가입자의 후크오프가 지정된 시간내에 감지되지 않으면 스피커 온 명령을 발생하여 상기 제2내선가입자 전화기의 스피커를 강제로 구동시키는 제4과정과, 상기 스피커 강제 구동후 상기 제2내선가입자의 후크오프 여부를 체크하여, 후크오프를 감지하면 상기 제1내선가입자와 제2내선가입자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키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키폰시스템에서 수행되던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폰시스템에서 내선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폰시스템에서 내선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공지의 링모드 및 자동응답모드에 '링후 자동응답모드'가 추가된다. 상기 '링후 자동응답모드'는 일정 시간동안 링을 울린후에도 착신측으로부터의 응답이 없으면 자동응답모드로 강제 전환시켜 스피커를 구동시켜줌으로써 발신측의 음성호출을 가능하게 하는 모드이다. 이때의 음성호출은 용무가 급하니 부재중이 아니라면 전화를 즉시 받아줄 것을 요청하는 내용이 될 수도 있고 기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상기 '링후 자동응답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3a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 111은 상기 '링후 자동응답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제1내선가입자에 의한 제2내선가입자 호출을 감지하면 3b단계에서 상기 제2내선가입자로 링신호를 송출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내선가입자측 전화기에서는 상기 링신호를 수신하고 링을 울리게 된다. 3c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 111은 상기 제2내선가입자의 응답, 즉 후크 오프(hook off)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제2내선가입자가 후크 오프를 하였으면 3h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로를 형성한다. 반면에 상기 제2내선가입자가 후크 오프를 하지 않았으면 3d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 111은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지정된 시간내이면 상기 3c단계로 되돌아가고, 지정된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3e단계로 진행하여 제2내선가입자측에 스피커 온 명령을 전달한다. 이렇게 되면 제2내선가입자측 전화기의 스피커가 강제로 구동되어 음성호출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를 일반 자동응답모드와 구분하기 위해 편의상 '링후 자동응답모드'라 한다. 상기 링후 자동응답모드로의 전환후, 3f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 111은 제2내선가입자가 후크오프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제2내선가입자가 후크오프를 하지 않은 경우 3g단계로 진행하여 제1내선가입자의 후크 온(hook on)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후크온이 감지되면 호출을 중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내선 호출시 일정 시간 링을 울려도 상대방의 응답이 없으면 자동응답모드로 강제 전환시켜 스피커가 열리게 함으로써 링모드와 자동응답모드의 장점을 고루 갖추는 동시에 사용의 편의성을 높인다.

Claims (2)

  1. 키폰시스템에서 내선가입자 사이의 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링후 자동응답모드'를 설정하는 제1과정과,
    제1내선가입자가 제2내선가입자로 발신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내선가입자의 후크오프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제2내선가입자의 후크 오프를 감지하면 상기 제1내선가입자와 제2내선가입자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내선가입자의 후크오프가 지정된 시간내에 감지되지 않으면 스피커 온 명령을 발생하여 상기 제2내선가입자 전화기의 스피커를 강제로 구동시키는 제4과정과,
    상기 스피커 강제 구동후 상기 제2내선가입자의 후크오프 여부를 체크하여, 후크오프를 감지하면 상기 제1내선가입자와 제2내선가입자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5과정에서, 상기 제2내선가입자의 후크오프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내선가입자의 후크온 감지시 호출을 중단하는 5-1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38597A 1997-08-13 1997-08-13 키폰시스템의 내선 호 처리 방법 KR19990016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597A KR19990016147A (ko) 1997-08-13 1997-08-13 키폰시스템의 내선 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597A KR19990016147A (ko) 1997-08-13 1997-08-13 키폰시스템의 내선 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147A true KR19990016147A (ko) 1999-03-05

Family

ID=6600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597A KR19990016147A (ko) 1997-08-13 1997-08-13 키폰시스템의 내선 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61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173B1 (ko) 키폰시스템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KR100232865B1 (ko) 교환시스템의 자동 리다이알 방법
JPH04365252A (ja) 交換機及び交換機における切断通知方法
US5123042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hich avoids simultaneous connecting unit/cordless telephone call conflicts
KR19990016147A (ko) 키폰시스템의 내선 호 처리 방법
KR0184469B1 (ko) 착신통화전환서비스가 가입된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외부 착신통화 전환방법
KR100279945B1 (ko) 교환시스템의착신호처리방법
JPS6128268A (ja) 端末自動選択装置
KR100194456B1 (ko) 하나의 가입자선로를 이용한 단말장치의 선택 호출방법
JP2515897B2 (ja) コ―ドレス電話装置
JP3144282B2 (ja) 会議通話制御装置
KR100233462B1 (ko) 교환시스템의 착신거부상태 안내방송 방법
KR100446520B1 (ko) 키폰시스템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KR100547826B1 (ko) 사설교환기의 통화중 메모 방법
KR100506212B1 (ko) 키폰시스템에서디사국선을이용한메시지기록방법
KR100348898B1 (ko) 전화교환시스템의 내선가입자 직접 호출방법
JPH0738661A (ja) 電話交換機
KR100474686B1 (ko) 통화중긴급전화통보방법
KR100211517B1 (ko) 키폰시스템에서 내선 상태 표시 방법
KR100247178B1 (ko) 교환기에서 착신호와 발신호의 충돌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
JPH0965392A (ja) ボタン電話装置
KR100277063B1 (ko) 사설교환시스템의 전용선 재착신 방법
KR970011530B1 (ko) 키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233081B1 (ko) 일반전화기의 기능 서비스 방법
KR100206172B1 (ko) 내선 자동접속 기능을 가지는 키폰시스템의 음성 부재메시지 안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