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530B1 - 키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키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530B1
KR970011530B1 KR1019940008372A KR19940008372A KR970011530B1 KR 970011530 B1 KR970011530 B1 KR 970011530B1 KR 1019940008372 A KR1019940008372 A KR 1019940008372A KR 19940008372 A KR19940008372 A KR 19940008372A KR 970011530 B1 KR970011530 B1 KR 970011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receiver
trunk line
telephon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558A (ko
Inventor
안명식
Original Assignee
안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명식 filed Critical 안명식
Priority to KR101994000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1530B1/ko
Publication of KR95003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5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6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키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의 적용되는 키폰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제2도는 (가)~(마)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보인 신호 흐름도로서,
(가)는 메인루틴을 보인 신호 흐름도.
(나)는 착신루틴을 보인 신호 흐름도.
(다)는 국선전화루틴을 보인 신호 흐름도.
(라)는 국선연결루틴을 보인 신호 흐름도.
(마)는 국선선택루틴을 보인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제어부20,21,…,2N : 전화기부
100,203,213,…,2N3 : 콘트롤러
101 : 메모리102 : 국선검출 회로부
103 : 내선 회로부104 : 국선/내선 연결부
105 : 대기/호출음 발생부201,211,…,2N1 : 음성처리부
202,212,…,2N2 : 송수화기204,214,…,2N4 : 키패드부
205,215…,2N5 : 증폭부206,216…,2N6 : 스피커
본 발명은 내선 가입자 상호간에 통화함은 물론 내선 가입자가 국선을 선택하여 통화하는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내선 가입자가 국선을 간단히 선택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통화 중인 국선을 다른 가입자에게 간단히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키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가지의 키폰 시스템이 제안 및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키폰 시스템은 국선 착신시, 송수화기를 들고 반드시 국선 표시부에서 착신된 국선의 버튼을 눌러야만 통화가 되었다.
또한, 국선 송신시 종래의 키폰 시스템은 각각의 국선의 현재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표시부의 표시상태로 현재 어느 국선이 통화중인지를 판단하여 통화중이 아닌 국선의 선택키를 눌러 선택해야만 하였다.
또한, 현재 통화하고 있는 국선을 1차 수신자가 다른 2차 수신자에게 전환하여 통화하게 할 경우에는 먼저 국선을 전환할 2차 수신자의 고유 번호를 누르면, 2차 수신자가 국선의 선택키를 툴러 선택해야 되므로 국선의 전환에 많은 번거로움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시나 착신시에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들면 바로 국선이 연결되어 국선 선택 버튼을 누르는 불편을 해소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국선 전환시 즉 1차 수신자가 다른 2차 수신자에게 국선 전환시키면, 2차 수신자는 전화기 후크를 온시켰다가 오프시키면 국선 선택버튼을 누르지 않고서 바로 통화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키폰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여기서, 부호 10은 키폰 시스템의 주제어부이고, 부호 20, 21, …, 2N은 주제어부(10)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화기부이다.
주제어부(10)는, 키폰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100)와, 상기 콘트롤러(100)의 동작 데이타를 저장 및 출력하는 메모리(101)와, 국선의 상태를 검출하는 국선검출 회로부(102)와, 내선 회로부(103)와, 국선 및 내선의 연결을 제어하는 국선/내선 연결부(104)와, 대기음 및 호출음을 발생하는 대기/호출음 발생부(105)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화기부(20,21,…,2N)은 음성을 처리하여 송수화기(202,212,…,2N2)로 입력 및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201,211,…,2N1)와, 상기 주제어부(10)와 데이타 통신하면서 전화기부(20,21,…,2N)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203,213,…,2N3)와, 상기 콘트롤러(203,213,…,2N3)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는 키패드부(204,214,…,2N4)와, 상기 콘트롤러(203,213,…,2N3)가 출력하는 호출음을 증폭하여 스피커(206,216,…,2N6)로 출력하는 증폭부(205,215,…,2N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키폰 시스템에 적용되는 본 발명이 제어방법은 제2도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스텝(S1)에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 후, 스텝(S2)에서 국선으로부터 링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스텝(S3)에서는 현재 국선과 통화하고 있는 전화기부(20,21,…,2N)로부터 전환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별하며, 스텝(S4)에서는 전화기부(20,21,…,2N)로부터 전화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별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도면 번호 20은 1차 수신자용 전화기부, 21은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 22는 3차 수신자용 전화기부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스텝(S2)에서 국선으로부터 링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는 스텝(S5)에서 국선 버튼을 누르지 않고서 착신루틴을 수행하여 국선을 착신하고, 스텝(S3)에서 1차 수신자가 2차 수신자를 향하여 전환키를 입력하면, 스텝(S6)에서 국선전환루틴을 수행하여 1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0)를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로 연결한다.
상기 스텝(S5)의 착신루틴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도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S1 1)에서 링신호의 출력을 미리 선택한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0)로 링신호를 출력하고, 스텝(S1 2)에서에서 링신호를 출력하는 전화기부(20)의 후크 스위치가 오프되는지를 판별한다. 이때, 링신호를 전화기부(20)의 송수화기(202)를 들어 후크 스위치가 오프되면, 스텝(S1 4)에서 그 후크 스위치가 오프된 전화기부(20)로 국선을 자동적으로 연결하여 통화하게 한다. 따라서, 1차 수신자는 국선 선택 버튼을 누르지 않고서 자동으로 국선에 연결된다.
스텝(S1 2)에서 링신호를 출력하는 1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0)의 후크 스위치가 계속 온되고, 1차 수신자가 스텝(S1 3)에서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로 전환시키면, 스텝(S1 5)에서 전환키가 입력된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로 국선을 연결하여 통화하게 한다. 이때에도, 2차 수신자는 국선 선택 버튼을 누르지 않고서 통화하게 된다.
제2도의(가)의 스텝(S6)의 국선전환루틴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도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S21)에서 1차 수신자가 보류 버튼을 누름에 따라, 현재 통화하고 있는 국선을 보류상태로 만들고, 스텝(S22)에서 보류상태로 만든 국선으로 대기음을 출력하여 외부 송신자에게 대기하게 한 후, 스텝(S23)에서 국선을 전환할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의 내선번호를 입력하고, 스텝(S24)에서 입력한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가 통화 중인지를 판별한다.
이때,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가 통화 중이 아닐 경우에는 스텝(S25)에서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로 호출음을 출력하고, 스텝(S26)에서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가 후크오프가 되는지를 판별하고, 스텝(S27)에서 2차 수신자가 3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2)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전환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별하여,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가 후크오프되거나 또는 전환키가 입력된 3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2)가 후크오프되면 2차 수신자 또는 3차 수신자는 국선 선택 버튼을 누르지 않고서 스텝(S28)(S29)에서 각기 국선연결루틴이 수행된다.
상기 스텝(S28,29)에서의 국선연결루틴을 제2도의 (라)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텝(S51)에서 1차 수신자가 전환키를 누르면, 1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0)의 송수화기가 내려져 후크 온이 되는지를 판별하고, 후크 온이 될 경우에는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로 국선을 연결한 후 스텝(S53)에서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로 보낸 대기음을 정지하여 2차 수신자가 국선 선택 버튼의 누름이 없이 통화하게 한다.
그리고 스텝(S51)에서 국선을 전환하기 위하여 전환키를 누른 1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0)의 송수화기를 내려놓지 않아 후크 온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S54)에서 내선 상호간에 연결 즉, 1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0)와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를 상호 연결하여 통화하게 하고, 스텝(S55)에서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가 후크 온되는지를 항시 판별하여, 후크 온 즉 송화기를 내려 놓으면, 1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0)에 자동적으로 국선을 연결시켜, 1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0)로의 대기음을 중지시켜(S59), 1차 수신자가 다시 통화하게 된다.
스텝(S55)에서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가 계속 후크 오프 상태이면, 스텝(S56)에서 1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0)가 후크 온되는지를 판별하여 1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0)가 후크 온될 경우에는 스텝(S58)에서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에 국선을 연결하고, 스텝(S59)에서 대기음을 정지하여 2차 수신자가 국선 선택 버튼의 누름없이 통화하게 한다.
다시, 제2도(다)를 참고하면, 스텝(S24)에서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가 통화 중일 경우에는 스텝(S30)에서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의 스피커로 호출음을 작게 출력하고, 스텝(S31)에서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의 후크 스위치가 온된 후 다시 오프되는지를 판별하여, 후크 온후 오프이면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에 이미 통화된 국선을 차단하고(S34), 새로운 국선을 연결하게 된다(S35).
스텝(S31)에서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가 계속 후크 오프 상태로서 통화 중이면, 스텝(S59)에서 2차 수신자가 통화 중인 국선을 보류하는 보류 버튼을 누르면, 이전의 외부 국선 통화자에게 대기음을 출력시키고(S37), 새로운 국선을 연결하게 된다(S38). 이렇게 이전의 국선은 보류 상태이고, 새로운 국선과 통화 중에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의 후크를 온시켰다가 오프시키면(S39), 현재 통화하고 있는 국선을 차단하고 바로 전에 통화한 보류 상태의 국선에 연결된다(S40). 그러면 이전의 국선으로 송신된 대기음은 정지된다(S41).
스텝(S32)에서 2차 수신자가 대기키를 입력하지 않고, 3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2)로 전환하는 키이를 누르면(S33), 3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2)에 제2도(라)와 같이 국선을 연결하게 된다. 만약 3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2)로 전환하지 않으며 다시 스텝(S31)의 단계로 되돌아간다.
본 발명에 따른 국선선택루틴은, 국선 버튼의 누름이 없이 자동적으로 송신되게 하는 것으로서, 제2도의 (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S61)에서 모든 국선을 검색하고, 스텝(S62)에서 모든 국선이 통화중인지를 판별하여 모두 통화중일 경우에는 스텝(S63)에서 전환키를 누른 전화기부로 통하중음을 출력하여 모든 국선이 통화 중임을 알리고, 국선이 모두 통화 중이 아닐 경우에는 스텝(S64)에서 통화 중이 아닌 국선을 전환키를 누른 전화기부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단히 전화키를 누름에 따라 국선의 통화중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 중이 아닌 국선을 선택연결함은 물론 제어방법를 누름에 따라 현재 통화하고 있는 국선을 다른 사용자에게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키폰 시스템의 사용이 매우 간편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국선으로부터 링신호의 입력시 미리 선택된 1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0)로 링신호를 출력하면, 1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0)의 후크 온/오프여부를 판단하여 후크 오프이면 국선 선택 버튼의 누름이 없이 국선이 연결되는 제1과정과, 1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0)에서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1차 수신자가 전환키를 누르는 제2과정과,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가 통화 중인지를 판단하여 통화 중이 아니고(후크 온이고), 그 후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가 후크 오프되면 국선 선택 버튼의 누름이 없이 국선 연결이 실행되고, 또한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가 통화 중이고,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가 후크 온후 오프하면 통화했던 국선을 차단하고 새로운 국선 연결이 실행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가 통화중인 상태에서, 2차 수신자가 국선 보류기를 입력하면, 통화 중인 국선을 보류시키고,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에 새로운 국선이 자동 연결되고, 다시 2차 수신자용 전화기부(21)를 후크 온후 오프하면 새로운 국선을 차단하고 이전의 보류 중인 국선에 연결되는 제4과정으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9940008372A 1994-04-20 1994-04-20 키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970011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8372A KR970011530B1 (ko) 1994-04-20 1994-04-20 키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8372A KR970011530B1 (ko) 1994-04-20 1994-04-20 키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558A KR950030558A (ko) 1995-11-24
KR970011530B1 true KR970011530B1 (ko) 1997-07-11

Family

ID=1938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8372A KR970011530B1 (ko) 1994-04-20 1994-04-20 키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15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558A (ko) 199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0262B2 (ja) 交換制御装置
KR970011530B1 (ko) 키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285683B1 (ko) 공중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기기에서의 자동 재발신 방법
KR100348898B1 (ko) 전화교환시스템의 내선가입자 직접 호출방법
KR100207823B1 (ko) 사설교환기에서 자동안내기능을 이용한 발신자정보 처리방법
KR19990074831A (ko) 종합통신망 무선전화기에서 발신자에 따른 무선 핸드셋 착신링 발생 방법
JPH0537571Y2 (ko)
JP3144282B2 (ja) 会議通話制御装置
KR0150042B1 (ko) 키폰 내선 그룹별 링신호 제어방법
JP2524851B2 (ja) ボタン電話装置
KR20000049342A (ko) 전화기의 발신음 변환방법
KR100233081B1 (ko) 일반전화기의 기능 서비스 방법
JPH0225146A (ja) コールウェイティング着信呼の制御方式
KR100198218B1 (ko) 키폰시스템 접속 단말기의 국선 전용모드 절환방법 및 그 장치
KR100256376B1 (ko) 사설교환기에접속된디지털전화기에서호추적방법
JPH05236077A (ja) 通信端末装置
JPH0289454A (ja) 電話交換システム
KR20000040168A (ko) 교환기 시스템에서 자동 재다이얼 장치 및 방법
KR19990016005A (ko) 교환시스템의 국선호 착신 서비스방법
JPH05327896A (ja) 着呼選択可能な交換機システム
KR19980023215A (ko) 스피커폰 전화기에서 자동통화모드 구현방법
JPH11298608A (ja) オールリング制御システム
JPS63119352A (ja) 自動ダイヤル電話機
KR20000013133A (ko) 키폰 전화기의 부재중 전화 연결방법 및 그장치
KR19980026628A (ko) 교환시스템의 호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