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665A - 중합체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향수처리 조성물 - Google Patents

중합체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향수처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665A
KR19990014665A KR1019970708006A KR19970708006A KR19990014665A KR 19990014665 A KR19990014665 A KR 19990014665A KR 1019970708006 A KR1019970708006 A KR 1019970708006A KR 19970708006 A KR19970708006 A KR 19970708006A KR 19990014665 A KR19990014665 A KR 19990014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me
composition
polymer
water
insect repell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모시 데이비드 핀치
크리스토퍼 메디슨
마틴 샤플레스
Original Assignee
에스제이에드워즈
유니레버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제이에드워즈, 유니레버엔.브이. filed Critical 에스제이에드워즈
Publication of KR19990014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66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57(Co)polymerised carboxylic acids, -anhydrides, -esters in solid and liquid compositions
    • C11D3/3765(Co)polymerised carboxylic acids, -anhydrides, -esters in solid and liquid compositions in liquid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합체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향수처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인 방충 조성물에 관련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 및 향수를 포함하는 수성 세정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발명의 조성물은: a) 에톡실화 알코올 1-10 wt.%, b) 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 0.1-4 wt.%, c) 리모넨, 카르본, 시네올, 리날롤, 캄퍼 고무, 시트로넬랄, 알파 및 베타 테르페놀, 펜콜산, 보르네올, 이소 보르네올, 아세트산 보르닐, 아세트산 이소 보르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향수 성분 0.2-4 wt.% 및 d) 물 82-99%를 포함하고, (a):(c)의 비율은 10:1을 초과하지 않는 pH 3.5 - 5.5의 수성 세정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중합체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향수처리 조성물
방충제 또는 살충제를 세정 조성물에 혼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GB 2056859호 (1981 발행)는 상업상 입수 가능한 유리 세척제 AJAX VITER (등록 상표명) 및 살충제를 필수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PCT/US85/01944호 (1986 발행)는 일인산알킬 방충제가 세정제에 첨가되어 물체 및 동물을 세척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이 후로부터 한 동안 유지되는 방충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교시하고 있다.
EP 0367257호는 방충제가 연한 표면 (예컨대, 사람, 동물, 세탁물 또는 천) 및 단단한 표면에 대해 실재적이기 때문에 세정제로 혼입되는 방충제를 개시한다. 세척된 표면에 퇴적되는 특정 화합물의 양은 0.2 - 10 (바람직하게는 0.5 - 2) g/sqm이다. 이들은 또한 액체 매질 중의 분산 또는 용액과 같은 방충 분무기 등으로 제형할 수 있다. 이 화합물은 특히 바퀴벌레에 대하여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또한 거미, 이, 진드기, 나는 개미 등을 방충할 수 있다.
EP 0619363호는 계면활성제, 50% 이상의 물 및 방충 물질의 효과적인 양을 포함하는 수성 액체 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살충제가 없다. 방충제중에서 방충제 자체이며 또한 향수인 것으로 알려진 물질이 언급되었다. 조성물 중에서 다른 물질들이 존재할 수 있고 이들은 중합체일 수 있는 토양 방출 촉진제를 포함한다.
EP 0275085호는 방충제, 추진제, 용매 및 특정 말레산 무수물/알파-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분무 가능한 휘발성 방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중합체는 순수한 조성물로 처리한 물품 상에 방충제를 함유한 피복을 형성시킴으로써 방충제의 잔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면활성제는 효과적인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존재하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중합체를 필요로하는 이들 조성물중에 존재하지 않는다.
방충의 문제보다 더 일반적인 문제는 표면을 장시간 동안 세정 조성물을 사용하여 세척한 후 향의 지속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향의 존재는 표면이 세척된 중요한 지표로서 많은 소비자들에 의해 인식된다. 이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향수는 종종 다른 기능을 갖는데, 그 중 하나는 방충 화학제가 향수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경우 방충성일 것이다. 향수는 본래 휘발성 물질이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표면으로부터 손실된다. 종종, 표면으로부터 향수의 높은 초기 손실에 이어서 연장된 방출 기간에는 낮은 수준으로 손실된다. 향수의 초기 손실이 감소될 수 있고 표면 위의 향수 수준이 장시간 동안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면, 감각 기관 및 방충제의 관점을 제공한 곳 모두에서 향수의 효능이 개선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향수'는 이들이 사람의 코에 의해 인지됨의 여부와 관계없이 휘발성 방충 조성물을 그 범위내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방충제가 아닌 기타 향수는 이 용어의 광의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자들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하여, 이 조성물을 사용해 처리한 표면으로부터의 향수의 방출 프로필은 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의 사용에 의해 변형될 수 있음을 단정하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이 방충제의 효능은 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의 혼입에 의해 개선됨을 확정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 및
c) 향수를 포함하는 수성 세정 조성물을 제공한다.
임의의 오퍼레이션의 이론에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함이 없이, 비이온성의 조합된 것이든 또는 다른 형태이든 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는 표면에서 향수를 포획하고 표면에서 또는 표면으로부터의 향의 연장된 방출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것은 잔류 향수의 이점을 제공하는 한편 존재하는 수성의 계면활성제가 동일한 조성물 내에서의 세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방충성을 제공하는데 종래에 사용해온 무수 계면활성제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필름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표면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잔류 향수의 이점을 부여하기 위한 표면을 세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잔류 향수의 이점은 방충 이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중합체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향수처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인 방충제 조성물을 참고로 하여 설명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필수 성분이다.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루코시드 알킬 등의 기타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음을 고려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알콕실화 알코올류 또는 산화아민류이다. 알콕실화 알코올류, 특히 에톡실화 알코올류가 바람직하다.
적합한 비이온성 세정제 활성 성분은 실질적으로 친수성인 산화알킬렌기와 실질적으로 비환식 또는 방향수족 알킬일 수 있는 유기 소수성 화합물과의 축합에 의해 생성되는 화합물로서 광범위하게 기재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소수성기와 축합되는 친수성 또는 폴리옥시알킬렌 라디칼의 길이는 친수성 및 소수성 요소 사이의 바람직한 균형 정도를 갖는 수용성 화합물을 생성하도록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는 코코넛 알코올의 몰 당 1 내지 15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갖는 코코넛 오일 에틸렌 옥사이드 축합물 등의 직쇄 또는 분지쇄 배열의 8 내지 22 개의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알코올과 에틸렌 옥사이드와의 축합 생성물; 6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기를 갖는 알킬페놀과 알킬페놀의 몰 당 1 내지 25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과의 축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C9-C12알코올과 에틸렌 옥사이드 2-12 몰의 축합 생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활성의 비이온성 세정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비농축 제품에 대해서 0.1 내지 30%wt,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wt,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wt일 것이다. 농축 제품은 7-20%wt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존재할 것이고, 반면 분무에 적합한 희석 제품은 0.1-10%wt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존재할 것이다.
별도의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코코넛 에탄올아미드와 에톡실화 에탄올아민, 및 C12산화아민을 포함한다.
중합체:
중합체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필수 성분이다. 이들 중합체가 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인 것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는 최종 중합체에서 충전되거나 또는 충전될 수 있는 카르복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형성되는 중합체이다. 중합체의 이들 기는 실리콘 오일 및 미네랄 오일 등의 중합체는 제외한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있어서, 바람직한 중합체는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산 및(또는) 무수말레산의 중합체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의 것 모두 다 또는 기타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이다. 특히 적합한 중합체는 폴리아크릴산, 무수 폴리말레산과 앞서 언급한 것과 에틸렌, 스티렌 및 메틸 비닐 에테르와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한 중합체는 폴리아크릴산 및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아크릴산, 메틸 비닐 에테르 및 에틸렌을 사용해 형성시킨 것들이다. 바람직하게, 이 중합체의 분자량은 5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0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00을 초과한다. 중합체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 1,000,000 Dalton 이하이다.
특히 적합한 중합체는 분자량 230000의 폴리아크릴산이다. 이는 'VERSICOL E11' (상표명, Allied Colloides 제품)으로 시판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조성물은 생성물 중에서 0.01wt%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중합체의 농도는 0.05 - 5.0 wt%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0.1 - 4.0 wt%가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사용하기 전 희석되는 매우 농축된 제품에 있어서, 최초의 중합체 농도는 5 wt% 정도로 높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비이온성에 대한 중합체의 비율은 0.1:1 중량비 이하이다.
향수:
향수의 효과적인 농도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필수 성분이다. 향수가 방충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적합한 방충제는 멘타 (Mentha) 속, 특히 멘타 아르벤시스, 멘타 피페리타, 멘타 스피카타 및 멘타 카디카 등의 방향유; 레몬그래스 이스트 인디안 오일, 레몬 오일, 시트로넬라, 세다우드 및 파인 오일; 테르페노이드, 특히 리모넨, 카르보네, 시네올레, 리나롤. 캄퍼 고무, 시트로넬랄, 알파 및 베타 테르펜올, 펜콜산, 베르네올, 이소 보르네올, 아세트산 보르닐 및 아세트산 이소 보르닐 등의 방향유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한 방충제는 테르페노이드, 특히 리모넨이다.
요구되는 방충제의 농도는 사용되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다앙할 것이다. 방향유 및 테르페노이드에 있어서, 바람직한 농도는 제품 중의 0.1 - 5%이다.
방충제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비율은 10:1 wt%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방충제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비율은 8-2:1에 속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체에 대한 방충제의 비율은 5:1 미만, 그러나 0.5:1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중합체에 대한 54%의 방충제를 함유하는 향수의 4:1의 비율이 효과적임을 알게 되었다.
부성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 조성의 세척 성능을 돕고 제품의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비필수 물질인 기타 부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세정 증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증강제는 사용될 때,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0.1 내지 25 중량%을 형성할 것이다.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아미노-폴리포스페이트 (DEQUEST (등록상표) 범위 중의 것 등) 및 인산염 등의 금속 이온 포착제와 광범위한 갖가지의 기타 다관능성 유기산 및 염이 또한 임의로 사용될 수 있다.
시트르산염은 특히 희석시 조성물을 3-5의 pH 범위로 유지시키는 완충액으로서의 이런 기능에 바람직하다. 시트르산염의 전형적인 농도는 0.5-5%의 범위이며, 5-10%의 높은 농도가 농축액에 사용되고, 0.1-1%의 낮은 농도가 분부 제품에 사용된다. 시트르산은 이 범위내로 pH를 유지시키는 기타 적합한 완충제로 대체될 수 있다. 시트르산은 환경적 이유 및 잔류물의 결여 때문에 바람직하다.
하이드로트로프는 유용한 임의의 성분이다. 하이드로트로프의 사용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첨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조성물의 구름점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음이온성이 없거나 또는 낮은 농도의 음이온성, 즉 50% 미만의 베타인 농도를 함유한다.
적합한 하이드로트로프는 알칼리 금속 톨루엔 술포네이트, 요소, 알칼리 금속 크실렌 및 쿠멘 술포네이트, 단쇄, 바람직하게 C2-C5알코올 및 글리콜을 포함한다. 이들 하이드로트로프 중에서 황산염, 특히 황산화 쿠멘 및 톨루엔이 바람직하다.
하이드로트로프의 전형적인 농도는 황산염에 있어서 0-5%의 범위이다. 따라서, 높은 농도의 요소 및 알코올이 요구된다. 하이드로트로프는 희석된 제품중에는 필요로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이미 언급한 성분 외에, 용매, 착색제, 광학 표백제, 토양 침전 방지제, 세정 효소, 양립성 표백제, 거품 조절제, 겔 조절제, 냉동 해동 안정제 및 유백화제 등의 다양한 기타 임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조성물;
조성물의 유효성은 존재하는 성분의 비율에 따라 다양하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향수 (바람직하게는 방충향수)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비율은 10:1wt%를 초과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계면활성제:중합체의 중량비는 10:1을 초과한다.
대표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의 pH는 3.5 - 5.5의 범위내일 것이다. 희석 제품의 pH는 희석에 사용된 수경화도에 따라 이러한 경향과는 다를 수 있거나 또는 중성 이상일 수 있다. 순수 제품의 pH는 표면에 대한 손상의 가능성을 감소할 수 있도록 3.0 이상이고 음이온성 중합체 조합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세정을 할 수 있도록 6.0 이하이다.
조성물의 가장 바람직한 pH는 3.5 - 5.0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순수 조성은 바람직하게 50% 이상의 물, 더욱 바람직하게 70% 이상의 물, 가장 바람직하게 99-82%의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조성물은 pH가 3.5 - 5.5이고:
a) 에톡실화 알코올 1 - 10wt%,
b) 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의 0.1 - 4wt%,
c) 향수 물질 0.2-4wt% 및
d) 물 82-99%을 포함하고, (a):(c)의 중량비는 10:1을 초과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은 pH가 3.5 - 5.5이고:
a) 에톡실화 알코올 1 - 10wt%,
b) 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 0.1-4wt%,
c) 테르페노이드 방충 물질 0.2 - 4wt% 및
d) 물 82-99%을 포함하고, (a):(c)의 중량비는 10:1을 초과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가장 바람직한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은 pH가 4 - 5이고:
a) 에톡실화 알코올 2 - 5wt%,
b)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0.1 - 1wt%,
c) 하나 이상의 테르페노이드 방충 물질 0.2 - 4wt% 및
d) 하이드로트로프 1 - 2wt% 및
e) 나머지의 물 및 부성분을 포함한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성분은 다음과 같이 확인된다:
비이온성 A :DOBANOL (상표명) 23-6.5; 에톡실화 알코올.
비이온성 B :IMBENTIN (상표명) 91-350FA; 에톡실화 알코올,
음이온성 :PETRELAB (상표명) 550; Na-직쇄 황산알킬,
양이온 :CATIGENE (상표명) DC100; 염화 미리스틸 디메틸 벤질 암모늄,
비누 :PRIFAC (상표명) 7910; K-비누,
폴리아크릴산 :VERSICOL (상표명) E11; 폴리아크릴산.
하이드로트로프 :황산쿠멘나트륨,
용매 :Butyl Digol (상표명);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n-부 틸 에테르,
향수 A :54% 리모넨을 포함한 향수
향수 B :리모넨, 리나롤, 이오닐 아세테이트, 디에틸프탈레 이트, 메틸디히드로쟈스모네이트, 헥실 신나믹 알 데히드 및 갈락솔리드의 동비율을 포함한 황.
향수 C :80% 리모넨을 포함한 향수.
1. 향수 A를 사용한 실시예
실시예 1-4의 조성물은 아래의 표 1에 나타낸 비율로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이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의 모든 성분비는 달리 지정하지 않는다면 wt%이다.
대표적으로 실시예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Imbentin 91-350FA) 35 g을 실온에서 탈염수 800 ml 중에서 교반시키면서 분산시켰다. 25% 폴리아크릴산 용액 (Versicol E11) 10 g을 남아있는 물 (141 ml)과 함께 교반 계면활성제 용액에 첨가하고, 이어서 향수 10 g, 및 황산쿠멘나트륨 4 g을 첨가하였다.
실험은 대각선으로 나눈 플로어 절반을 10 ml의 순수 조성물로 처리하고 나머지 반은 미처리한 6.0 평방 미터의 타일룸에서 수행하였다. 이 룸안의 공기는 실험의 과정 동안 1 시간에 4 회 교체하였다. 벌레를 이 룸의 중앙에 유입시켰다. 방충성은 20 분 후 비처리된 지역에서의 벌레의 백분율 (30 마리의 Blattella germanica가 사용되었음)로서 정의된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50%의 방충성은 조성물이 효과를 나타내지 않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1 2 3 4
성분
비이온성A 2.92 - - -
비이온성B - 2.0 3.5 3.5
음이온성 4.08 - - -
양이온성 - 0.48 - -
비누 0.17 - - -
시트르산 나트륨 1.0 - - -
탄산나트륨 3.0 - - -
폴리아크릴산 - - 0.25 0.25
하이드로트로프 - - 0.4 -
용매 - - - 2.5
향수 1.0 1.0 1.0 1.0
---------------- 100% 까지-----------------
방충성 72 70 100 100
이상으로부터 실시예 3 및 4는 비교 실시예 1 및 2에 비해 현저한 개선을 나타냄을 알수 있다. 실험을 24 시간 동안 계속 진행했을 때 실시예 1 및 2의 방충성은 실질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반면 실시예 3 및 4의 방충성은 100%로 유지되었다.
2. 향수 B를 사용한 실시예
실시예 5 및 6의 조성물은 아래의 표 2에 주어진 비율로 다음의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Imbentin 91-350FA) 35 g을 실온에서 탈염수 800 ml 중에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25% 폴리(아크릴산) 용액 (Versicol E11) 10 g을 잔여 물 130 ml과 함께 교반된 계면활성제에 첨가하고, 이어서 향수 5 g, 및 황산쿠멘나트륨 20 g의 40% 수성 용액을 첨가했다.
실시예 5 6(%) (%)
Imbentin (상표명) 91-350 FA 3.5 3.5
폴리(아크릴산) - 0.25
황산쿠멘나트륨 0.8 0.8
향수 B 0.5 0.5
---------- 100% 까지 ----------
깨끗한 유리 비드 (bead)들을 모델 표면으로 사용하였다. 이 비드를 5% Decon (상표명) 용액 중에서 밤새 적시고, 탈염수 중에서 세정하고, 깨끗한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이어서 건조 비드 100 g을 조심스럽게 중량을 측정하여 유리병 100 ml 내로 가하고 제품 40 ml을 첨가하였다. 유리병은 롤러 믹서 (Luckham Multimix Major (상표명)에서 1 분 동안 회전시켰다.
이 시간 후 내용물을 목 부위에 유리솜 마개가 달린 폴리텐 깔대기에 부었다. 비드가 건조하게 되었을 때 이들을 조심스럽게 평평한 바닥의 유리 접시로 옮겼다. 비드의 시료 25 g을 30 분, 1 시간, 2 시간 및 4 시간 후 제거시켰다.
유리 비드에 잔류하는 향을 용매 추출에 의해 회수하였다. 이 비드 (25 g)를 유리병에 옮기고, 이소프로필 알코올 5 ml을 첨가하고, 롤러 믹서에서 30 분 이상 회전시켰다. 이어서 용매에 존재하는 개별의 향수 성분의 농도는 GS/MS 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시료는 내경 0.22 mm 및 필름 두께 0.25 mm의 25 metre SGE BPX-5 유리 모세관 컬럼이 구비된 Finnigan (상표명) Magnum GC/MS로 주입하였다. 추출물 중의 총 향수 농도는 표 3에 기재하였고, 개별의 향수 성분의 농도는 표 4 및 5에 기재하였다.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의 유리 비드로부터 추출한 향수 전체량 ppm
시간 (hours) 실시예 5 (향수 전체량 ppm ) 실시예 6 (향수 전체량ppm )
0.5 16.3 21.1
1.0 14.35 20.2
2.0 7.8 12.95
4.0 3.7 8.7
실시예 5: 이소프로필 알코올 추출물 중의 개별 향수 성분의 ppm
시간(hours) 리모넨 리나롤 이오닐아세테이트 디에틸프탈레이트 메틸디히드로쟈스모네이트 헥실신나믹알데히드 갈락솔리드
0.5 0.005 0 0 3.89 3.73 4.5 4.13
1.0 0.02 0 0 3.27 3.25 4.1 3.71
2.0 0.022 0 0 1.53 1.55 2.57 2.12
4.0 0.073 0 0.005 0.59 0.60 1.38 1.07
실시예 6: 이소프로필 알코올 추출물 중의 개별 향수 성분의 ppm
시간(hours) 리모넨 리나롤 이오닐아세테이트 디에틸프탈레이트 메틸 디히드로 쟈스모네이트 헥실 신나믹 알데히드 갈락솔리드
0.5 0.023 0.046 0 5.23 4.65 5.65 5.53
1.0 0.018 0 0 4.9 4.39 5.62 5.34
2.0 0.045 0 0 2.7 2.64 3.98 3.62
4.0 0.073 0 0 1.6 1.65 2.91 2.49
표 3-5에서의 결과는 높은 향수 농도가 중합체를 함유한 제품에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되었음을 보여준다 (비교 실시예 5와 비교한 실시예 6). '0'의 레벨은 향수가 실험적 오차 내에서 발견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3. 향수 A의 감각적 평가
실시예 7 및 8로서 설명된 두 개의 일반 목적 세정 제형은 아래의 표 6에 주어진 비율로 다음의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Imbentin 91-350FA) 35 g을 실온에서 탈염수 800 ml 중에서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25% 폴리(아크릴산) 용액 (Versicol E11) 10 g을 교반 계면활성제에 남은 물 (130 ml)과 함께 첨가하고, 이어서 향수 5 g, 및 40% 황산쿠멘나트륨 용액 20 g을 첨가하였다.
실시예 7 8(%) (%)
Imbentin (상표명) 91-350 FA 3.5 3.5
폴리(아크릴산) - 0.25
황산쿠멘나트륨 0.8 0.8
향수 A 0.5 0.5
---------- 100% 까지 ----------
깨끗한 3″× 2″유리 슬라이드를 모델 표면으로 사용하였다. 사용하기 전, 슬라이드를 5% Decon 용액에 밤새 적시고, 탈염수로 철저히 씻어내고, 깨끗한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각각의 슬라이드는 그 표면을 오염시킴 없이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한 쪽 끝을 두 개의 작은 불독 클립을 사용해 일치시켰다. 0.05 ml의 제품을 슬라이드에 가하고 파이펫 팁을 사용해 칠하여 상부 표면 전체를 덮도록 하였다.
슬라이드를 20 분 동안 방치하여 건조시켰다. 제품 당 세 개의 슬라이드를 준비하였고, 여섯 평가단으로 구성된 패널에 의한 쌍 비교 기술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자들에게 가장 강한 향수가 나는 각각의 쌍으로부터 하나의 슬라이들 선택하도록 요청하였다.
가장 강한 잔류 향수 - 평가자들의 수
시간 (hours) 실시예 7 실시예 8
0 5 13
0.5 8 10
1.0 7 11
2.0 4 14
5.0 7 11
제품을 적용한 후 20 분을 0 시간으로 취했다. 아래의 표 7에 주어진 결과는 모든 시간대에서 대부분의 평가자들은 중합체를 함유한 생성물이 가장 오랫동안 향수를 지속한 것으로 간주했음을 나타낸다 (비교 실시예 7과 비교한 실시예 8).
4. 향수 C를 사용한 추가의 실시예
아래의 표 8에 주어진 성분을 사용하여 두 개의 시스템 (실시예 10 및 비교 실시예 9)을 준비하였다. 두 시스템 모두 음이온성을 16.0% 및 리모넨 기본 향수를 1%로 함유하였다. 한 시스템은 Versicol E11 (Allied Colloids사 제품)형의 PAA 1.0%를 함유하였다. 두 생성물 모두 증류수를 사용하여 100%로 만들었다.
실시예 9 10(%) (%)
Imbentin C/95/35 16.0 16.0
폴리아크릴산 - 1.0
향수 C 1.0 1.0
------------ 100% 까지 ---------
(향수 C는 대략 80%의 리모넨을 포함한다)
유리 표면을 두 개의 제품으로 처리하였고, 이어서 상대적인 향수의 세기에 대한 감각적 평가 (사람의 코)를 하기 전에 4 시간 동안 방치하였고, 이어서 용매 추출 및 GC/MS 분석을 하였다. 시료 A, D 및 E는 제품 9로 처리하였다. 시료 B, C 및 F는 제품 10으로 처리하였다. 감각적 데이터는 아래의 표 9에 나타냈다.
선택 번호
비교 A 대 B C 대 D E 대 F
가장 강한 향 2 7 7 2 1 8
이들 결과는 상당수가 가장 큰 향수 효과를 지닌 것으로 제품 10을 선택하였음을 제시한다.
비감각 (GC/MS) 데이터를 얻기 위해, 감각 검사에 의해 평가한 표면을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GC/MS에 의해 검사하였다. 향수 C의 두 개의 주성분을 모니터하였다; 리모넨 및 리나롤. 결과는 아래의 표 10에 나타냈다.
처리된 표면에 잔존한 향수 성분의 상대량
시료 향수 성분 (용액 중의 ppm)
리모넨 리나롤
A 0.333 2.652
B 7.082 5.346
C 3.800 6.190
D 0.215 2.302
E 0.178 2.249
F 8.372 6.459
표 10으로부터의 결과는 향수의 상당량이 제품 10으로 처리한 표면에 잔존하였음을 보여준다. 평균값은 생성물 9와 비교해서 리나롤에 대해서는 2.3 배 및 리모넨에 대해서는 25 배임을 나타낸다.
희석 제품으로부터의 잇점을 제시하기 위해, 제품 9 및 10을 1 내지 100 배로 희석시켜 유리 표면에 적용시켰다. 이들을 감각 시험 (사람의 코)에 의해 중합체가 있고 없는 시스템을 비교하여 가장 강한 향수의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복제 세트에서 매 시간마다 신선한 시료들을 비교하여 표면을 1, 2, 및 4 시간 후 평가하였다. 결과는 아래의 표 11에 나타냈다.
건조 시간 평가 번호
(HOURS) 첫 번째 세트 두 번째 세트
PAA 없음 PAA 있음 PAA 없음 PAA 있음
1 1 8 4 5
2 0 7 1 6
4 1 7 0 8
표 11의 총괄적인 결과는 가장 큰 향수의 효과를 갖는 PAA를 함유한 시스템이 6:1의 비율로 우세함을 나타낸다.

Claims (10)

  1.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 및
    c) 향수를 포함하는 수성 세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향수가 방충향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총 생성물 중에 0.1-30%wt의 농도로 존재하고 및 C8-C22의 알코올과 2-12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의 축합 생성물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가 총 제품 중에 0.01-5%wt의 농도로 존재하고 및 중합체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또는 무수 말레산의 중합체,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한 것과 또는 기타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의 중량비가 중량 당 0.1:1 이하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pH가 3.5 - 5.5이고:
    a) 에톡실화 알코올 1-10%wt,
    b) 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 0.1-4%wt,
    c) 향수 물질 0.2-4%wt 및
    d) 물 82-99% 을 포함하고, (a):(c)의 중량비가 10:1을 초과하지 않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pH가 3.5 - 5.5이고:
    a) 에톡실화 알코올 1-10%wt,
    b) 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 0.1-4%wt,
    c) 테르페노이드 방충 물질 0.2-4%wt 및
    d)물 82-99%을 포함하고, (a):(c)의 비율이 10:1을 초과하지 않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향수는 제품 중에 0.1 - 5%의 농도로 존재하고 향수는 리모넨, 카르본, 시네올, 리날롤, 캄퍼 고무, 시트로넬랄, 알파 및 베타 테르페놀, 펜콜산, 보르네올, 이소 보르네올, 아세트산 보르닐, 아세트산 이소 보르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조성물.
  9. a) 에톡실화 알코올 1-10%wt,
    b) 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 0.1-4%wt,
    c) 리모넨, 카르본, 시네올, 리날롤, 캄퍼 고무, 시트로넬랄, 알파 및 베타 테르페놀, 펜콜산, 보르네올, 이소 보르네올, 아세트산 보르닐, 아세트산 이소 보르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향수 성분 0.2 - 4%wt 및
    d) 물 82-99%을 포함하고, (a):(c)의 비율이 10:1을 초과하지 않는 pH 3.5 - 5.5의 수성 세정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표면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잔류 향수 이점을 부여하기 위해서 표면을 세척하는 방법.
KR1019970708006A 1995-05-11 1996-04-09 중합체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향수처리 조성물 KR199900146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509603.8 1995-05-11
GBGB9509603.8A GB9509603D0 (en) 1995-05-11 1995-05-11 Insect-repellant compositions comprising polymer and nonionic surfact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665A true KR19990014665A (ko) 1999-02-25

Family

ID=10774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006A KR19990014665A (ko) 1995-05-11 1996-04-09 중합체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향수처리 조성물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6019855A (ko)
EP (1) EP0824579B1 (ko)
JP (1) JP3173797B2 (ko)
KR (1) KR19990014665A (ko)
CN (1) CN1184499A (ko)
AR (1) AR001867A1 (ko)
AU (1) AU721713B2 (ko)
BR (1) BR9608157A (ko)
CA (1) CA2215156C (ko)
CZ (1) CZ355397A3 (ko)
DE (1) DE69623950T2 (ko)
ES (1) ES2183948T3 (ko)
GB (1) GB9509603D0 (ko)
HU (1) HUP9801763A3 (ko)
IN (1) IN186613B (ko)
MY (1) MY115017A (ko)
PL (1) PL323160A1 (ko)
TR (1) TR199701337T1 (ko)
TW (1) TW399098B (ko)
WO (1) WO1996035769A1 (ko)
ZA (1) ZA9630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121A (ko) 2018-09-10 2020-03-18 주식회사 앤아이윈 U턴형 및 수접촉 증가 충진재를 포함하는 반도체 공정중 발생되는 이소프로필 알코올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8413C2 (de) * 1996-09-19 1998-09-17 J P Haas Gmbh & Co Kg Flüssigwaschmittel
DE19721471A1 (de) * 1997-05-22 1998-11-26 Buck Chemie Gmbh Aktivchlorabspaltender Toilettenreinigungsblock
JP4135222B2 (ja) * 1998-06-24 2008-08-2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ジャスモン酸系化合物よりなる洗浄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洗浄法
DE10013765A1 (de) * 2000-03-20 2001-10-18 Henkel Kgaa Verwendung von Duftalkoholalkoxylaten als Solubilisierhilfsmittel
US20030026823A1 (en) * 2000-06-05 2003-02-06 The 54 Group, Ltd. Environmentally safe insect repellent composition
US6488808B2 (en) 2001-01-19 2002-12-03 Huntsman Petrochemical Corporation Styrene copolymers in de-inking
US6562770B2 (en) * 2001-03-27 2003-05-13 Colgate-Palmolive Co. Fragrance-containing gel for delivering fragrance from structured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US6786223B2 (en) * 2001-10-11 2004-09-07 S. C. Johnson & Son, Inc. Hard surface cleaners which provide improved fragrance retention properties to hard surfaces
TWI287983B (en) * 2003-12-30 2007-10-11 Nat Defense Medical Ct Medicine composition and medicine for external use containing Houttuynia cordata antiviral ingredient
JP5329778B2 (ja) * 2007-07-06 2013-10-30 花王株式会社 自動食器洗浄機用の液状洗浄剤組成物の製造方法
US8741275B2 (en) 2010-06-04 2014-06-03 Robetet, Inc. Malodor neutralizing compositions comprising undecylenic acid or citric acid
CA2824160C (en) 2011-01-27 2018-06-05 Robertet, Inc. Malodor neutralizing compositions comprising bornyl acetate or isobornyl acetate
US9275851B2 (en) 2011-03-21 2016-03-01 Basf Se Aqueous, nitrogen-free cleaning composition and its use for removing residues and contaminants from semiconductor substrates suitable for manufacturing microelectronic devices
US9114180B2 (en) 2012-03-30 2015-08-25 Robertet, Inc. Malodor neutralizing compositions containing acids and alicyclic ketones
BR112017021645B1 (pt) * 2015-04-09 2021-10-26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Composição de liberação de fragrância, processo para fabricar a composição de liberação de fragrância, formulação de cuidadopessoal, tecido e formulação de cuidado domiciliar
WO2016196020A1 (en) * 2015-05-29 2016-12-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zyme cleaner for textiles with styrene maleic anhydride copolymers
ES2595903B1 (es) * 2015-07-01 2017-10-11 Luis CATALINA FERNÁNDEZ Detergente anti insectos
JP6961605B2 (ja) 2016-03-04 2021-11-05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目的床用仕上げ組成物
BR112018067781B1 (pt) 2016-03-04 2022-11-29 S.C. Johnson & Son, Inc Composições de limpeza de piso neutra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63584A1 (fr) * 1979-08-17 1981-02-27 Roussel Uclaf Compositions insecticides lave-vitre et leur application a la lutte contre les insectes ailes des locaux
US4414128A (en) * 1981-06-08 1983-11-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JPS6051796A (ja) * 1983-08-31 1985-03-23 ライオン株式会社 清浄剤組成物
EP0197128B1 (en) * 1984-10-09 1994-08-17 Interface Research Corporation Microbiocidal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EP0216416A3 (en) * 1985-09-24 1988-06-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mproved viscous phase stable liquid scouring cleansers containing solvent
US5006562A (en) * 1986-08-08 1991-04-09 Colgate-Palmolive Co. Processes for repelling insects by means of N-alkyl neoalkanamide insect repellents
DE3724900C2 (de) * 1986-08-08 2000-04-06 Colgate Palmolive Co N-Alkylneoalkanamide sowie deren Verwendung
US4774081A (en) * 1987-01-13 1988-09-27 S. C. Johnson & Son, Inc. Contact insect repellents
US5368843A (en) * 1988-06-08 1994-11-29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Thickening system
US5298180A (en) * 1989-05-18 1994-03-29 Colgate Palmolive Co. Linear viscoelastic aqueous liquid automatic dishwasher detergent composition
US5336428A (en) * 1990-01-23 1994-08-09 Nalco Chemical Company Offshore rig cleaner
US5240633A (en) * 1991-05-31 1993-08-31 Colgate-Palmolive Company Liquid automatic dishwashing composition containing enzymes
IL102432A (en) * 1991-07-24 1996-08-04 Colgate Palmolive Co Liquid preparation for home cleaning with insect repellent
NZ260145A (en) * 1993-04-08 1995-12-21 Colgate Palmolive Co Liquid cleaning composition containing detergent and insect repellent material
CA2177278A1 (en) * 1993-12-10 1995-06-15 Michael Howe Wheel cleaning composition containing acid fluoride salts
US5441666A (en) * 1994-08-02 1995-08-15 Citra Science Ltd. Hand cleaner
US5474712A (en) * 1995-01-10 1995-12-12 Citra Science, Ltd. Livestock conditioning shampo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121A (ko) 2018-09-10 2020-03-18 주식회사 앤아이윈 U턴형 및 수접촉 증가 충진재를 포함하는 반도체 공정중 발생되는 이소프로필 알코올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4499A (zh) 1998-06-10
GB9509603D0 (en) 1995-07-05
WO1996035769A1 (en) 1996-11-14
CA2215156C (en) 2005-12-13
JP3173797B2 (ja) 2001-06-04
MY115017A (en) 2003-03-31
JPH11501349A (ja) 1999-02-02
ES2183948T3 (es) 2003-04-01
EP0824579B1 (en) 2002-09-25
DE69623950T2 (de) 2003-01-23
BR9608157A (pt) 1999-02-09
TW399098B (en) 2000-07-21
TR199701337T1 (xx) 1998-03-21
AU721713B2 (en) 2000-07-13
CZ355397A3 (cs) 1998-03-18
US6019855A (en) 2000-02-01
DE69623950D1 (de) 2002-10-31
AU5687696A (en) 1996-11-29
HUP9801763A2 (hu) 1999-01-28
ZA963086B (en) 1997-10-20
HUP9801763A3 (en) 1999-03-01
AR001867A1 (es) 1997-12-10
IN186613B (ko) 2001-10-13
CA2215156A1 (en) 1996-11-14
PL323160A1 (en) 1998-03-16
EP0824579A1 (en) 1998-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4665A (ko) 중합체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향수처리 조성물
US6221823B1 (en) Germicidal, acidic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s
US6384010B1 (en) All purpose cleaner with low organic solvent content
US8268334B2 (en) Aqueous acidic hard surface cleaning and disinfecting compositions
AU734298B2 (en) Reduced residue hard surface cleaner
EP0986625B1 (en) Reduced residue hard surface cleaner
AU2001266923A1 (en) All purpose cleaner with low organic solvent content
CA2126269A1 (en) Concentrated all-purpose light duty liquid clean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MX2013009793A (es) Solucion para remover manchas de moho y mildiu.
KR20000076119A (ko) 경질표면 세정 조성물
US6867174B2 (en) Non-foaming cleaning compositions and a method for their use
GB2306499A (en)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s
DE19642957A1 (de) Reinigungsmittel
MX2013009792A (es) Solucion para remover manchas.
US8338353B2 (en) Hard surface cleaner containing polysulfonic acid
CZ9903201A3 (cs) Čisticí prostřede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