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099A - 프로필렌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 팽창된 과립의 조성물, 이를 얻는 방법과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프로필렌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 팽창된 과립의 조성물, 이를 얻는 방법과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099A
KR19990014099A KR1019980029638A KR19980029638A KR19990014099A KR 19990014099 A KR19990014099 A KR 19990014099A KR 1019980029638 A KR1019980029638 A KR 1019980029638A KR 19980029638 A KR19980029638 A KR 19980029638A KR 19990014099 A KR19990014099 A KR 19990014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fi
range
weight
part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4534B1 (ko
Inventor
엠마누엘 델라이트
진 챠리어
기울리아노 베르토지
Original Assignee
에프. 마이큭스
솔베이 폴리올레핀스 유로프-벨지움(소시에테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마이큭스, 솔베이 폴리올레핀스 유로프-벨지움(소시에테 아노님) filed Critical 에프. 마이큭스
Publication of KR19990014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5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08J9/18Making expandable particles by impregnating polymer particles with th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100 중량부당
- 0.1∼20 g/10분의 용융물 유량지수(MFI)를 갖는 60∼90 중량부의 프로필렌 동종중합체(A)
- 3∼20 몰%의 에틸렌 과/또는 4∼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을 함유하고, 25∼3000 g/10분 범위의 MFI를 갖는 40 내지 10 중량부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B)
를 함유하는 팽창된 과립의 조성물.
이 조성물을 얻는 방법과 팽창된 과립의 제조에 사용하는 이 조성물의 용도 및 이들 과립을 성형하여 얻는 세포형 물품.

Description

프로필렌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 팽창된 과립의 조성물, 이를 얻는 방법과 이의 용도
본 발명은 팽창된 과립으로 변환될 수 있는, 프로필렌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조성물을 얻는 방법과 팽창된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사전-팽창된 입자로부터 세포형 물품을 제조하는데 프로필렌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실제 세포형 물품이 내화학성, 내열성 과/또는 우수한 충격-강도/강성 절충성을 갖는 것을 원할 때는, 폴리프로필렌 보다 폴리스티렌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EP-A-0,071,981에는 일반적으로 하중과 반복되는 충격하에 폴리스티렌 보다 더 좋게 변형에 견딜 수 있는 세포형 물품을 제조하는데 프로필렌 동종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언급되어 있다.
비-결정성 엘라스토머 획분을 함유하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와 에틸렌(0.5∼6 중량%)과 프로필렌(94∼99.5 중량%) 또는 1-부텐(0.5∼12 중량%)과 프로필렌(88∼99.5 중량%)을 주성분으로 한 랜덤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특수한 혼합물에서, 기계적성질-특히 충격강도가 개량되는 세포형 물품의 제조가 기술되어 있다.
DE-A-4,420,590에는 최소한 두가지 다른 프로필렌 중합체와 상화할 수 있는 혼합물에서 얻는 균일한 밀도를 갖는 프로필렌 포옴입자가 기술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혼합물은 완전히 만족스럽게 해결 못하는 한가지 문제점은 이들 혼합물로 제조한 세포형 물품의 기계성과 응집력 사이의 최적 절충성을 성취하는데 있다.
원하는 절충성을 갖는 팽창된 과립을 제공할 수 있는 조성물을 알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100 중량부당,
- 230℃에서 2.16㎏의 하중하에 ASTM D 1238 (1986) 표준에 따라 측정되고 g/10분으로 표현되는, 0.1∼20 범위의 용융물 유량지수(MFI)를 갖는 60∼90 중량부의 프로필렌 동종중합체(A)
- 3∼20 몰%의 에틸렌 과/또는 4∼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을 함유하는, 25∼3000 g/10분 범위의 MFI를 갖는 40 내지 10 중량부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B)를 함유하는 팽창된 과립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함유되어 있는 중합체(A)와 (B)는 Plastics Engineering, 제 2 판, R. J. Crawford, Pergamon Press (1987), 페이지 3과 4에 주어진 의미로 반 결정질이다.
조성물에 함유된 동종중합체(A)의 양은 최소한 6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 양은 통상 85 중량부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조성물에서 동종중합체(A) 함량이 너무 낮으면 세포형의 최종 물품의 강성에 손상을 가져온다. 조성물에서 동종중합체 (A) 함량이 너무 높으면 팽창의 질은 물론 조성물에서 얻는 팽창된 과립의 상호 접착에 해를 미친다.
동종중합체(A)의 MFI 값은 최소한 1 g/10분이 바람직하고, 통상 최소한 1.5, 특히 최소한 1.8 g/10분 이다. 이는 통상, 10 g/10분, 바람직하기로는 5 g/10분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다. 3.7 g/10분을 초과하지 않는 값이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동종중합체(A)는 일반적으로 선형 쇄, 즉 겉분지쇄를 갖지 않는 쇄를 필수적으로 함유하는 중합체이다. 동종중합체(A)란 용어는 프로필렌에서만 유도되는 중합체를 뜻한다. 또는 이는 소량의 혼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뜻하기도 한다. 실제, 동종중합체(A)에 함유되는 최대량의 혼성 단량체는 1 중량%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고, 바람직하기로는 0.7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다.13C NMR에 의하여 측정된 동종중합체의 이소택틱 지수(Ⅱ)는 최소한 93이다. 좋은 결과는 Ⅱ가 최소한 95인 동종중합체(A)에서 얻는다.
일반적으로 동종중합체(A)는 1200∼2450 MPa 범위의 탄성 굽힘계수(FlexMod) (ASTM D 790M 표준에 따라, 두께 4㎜의 사출-성형 시험편으로 23℃에서 측정)를 갖는다. 바람직하기로는, 동종중합체(A)의 FlexMod가 최소한 1300 MPa 일 때이고, 통상 FlexMod는 2350 MPa를 초과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100 중량부당, 3∼20 몰%의 에틸렌 과/또는 4∼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을 함유하는 40 내지 10 중량부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B)를 함유한다.
조성물에 함유되는 공중합체(B)의 양은 최대한 3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 양은 통상 최소한 15 중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조성물에서 공중합체(B) 함량이 너무 낮으면 팽창의 질은 물론 조성물에서 최초로 얻은 팽창된 과립의 상호 열-밀봉에 해를 미친다. 조성물에서 공중합체(B) 함량이 너무 높으면 세포형의 최종 물품의 강성에 해를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랜덤 공중합체(B)는 에틸렌과 C4-C6α-올레핀에서 선택한 최소한 하나의 혼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반결정질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서 선택한다. 이중 1-부텐이 바람직하다.
랜덤 공중합체(B)에서 혼성 단량체의 일반적으로 3∼20 몰% 이고, 이 범위 내에서, 혼성 단량체의 최적 함량은 이의 성질에 따른다. 에틸렌과 C4-C6α-올레핀을 동시에 함유하는 삼중합체가 결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드라도, 에틸렌 또는 1-부텐 만을 각각 함유하는 반결정성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B)가 바람직하다.
공중합체(B)의 MFI 값은 25∼3000 g/10분 범위이다. 이 값은 통상 최소한 80 g/10분 이고, 바람직하기로는 최소한 100 g/10분 이고, 유리하기로는 최소한 120 g/10분 일 때이다. 최소한 130 g/10분의 값이 매우 적합하다. 이 값은 통상 최대한 1000 g/10분 이고, 바람직하기로는 최대한 300 g/10분 일 때이다. 공중합체(B)가 최대한 250 g/10분, 특히 최대한 200 g/10분의 MFI를 가질 때 좋은 결과를 얻는다. 공중합체(B)의 MFI 값이 너무 낮으면 성형에 의하여 세포형의 최종물품을 제조하는 동안 팽창되는 과립의 상호 열-밀농에 해를 미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공중합체(B)는 통상 400∼1000 MPa 범위의 FlexMod를 갖는다. 바람직하기로는, 공중합체(B)의 FlexMod가 최소한 500 MPa 일 때이다. 특히, 이 FlexMod는 850 MPa를 초과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조성물은 100 중량부당
- 1.5∼5 g/10분 범위의 MFI와 1200∼2450 MPa 범위의 탄성 굽힘계수를 갖는 65∼85 중량부의 프로필렌 동종중합체(A)
- 3∼20 몰%의 에틸렌 과/또는 4∼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을 함유하고, MFI가 80∼300 g/10분 범위이고, 탄성 굽힘계수가 400∼1000 MPa인 35 내지 15 중량부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B)를 함유한다.
특히 두가지 형의 이러한 형의 조성물은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
제일 조성물은 MFI 값이 1.5∼5 g/10분인 65∼85 중량부의 프로필렌 동종중합체(A)와 MFI 값이 120∼250 g/10분인 10∼20 몰%의 1-부텐을 함유하는 35 내지 15 중량부의 랜덤 공중합체(B)를 함유한다. 이 부텐 함량은 특히 최소한 12 몰%가 좋고, 특히 최대한 18 몰% 일 때가 가장 좋다.
제이 조성물은 MFI 값이 1.5∼5 g/10분 이고, Ⅱ가 최소한 97인 65∼85 중량부의 프로필렌 동종중합체(A)와 3.5∼12 몰%의 에틸렌을 함유하고 MFI 값이 100∼200 g/10분인 35 내지 15 중량부의 랜덤 공중합체(B)를 함유한다. 이 에틸렌 함량은 특히 최소한 4 몰%이고, 특히 최대한 10 몰% 일 때가 좋고, 바람직하기로는 최대한 8 몰% 일 때이다.
특히, 이 경우에 동종중합체(A)는 통상 HIPP(높은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라 불리우는 높은-강성 중합체에서 선택하며, 여기서 중합체는 일반적인 결정생성제(탈크, 벤조산 나트륨, 솔비톨 유도체 등)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언급한 혼성 단량체 함량은 200㎛ 압축필름으로 변환된 중합체로 푸리에 변환 IR 분광법에 의하여 측정한다. 본 설명에 따러서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732와 720㎝-1에서의 흡수띠이다. 767㎝-1에서의 흡수띠가 1-부텐 함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특징을 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동종중합체(A)와 공중합체(B)는 함께 혼합한다. 이 혼합은 공지방법을 사용하여 행한다. 이 혼합물은 동종중합체(A)를 합성한 다음 동종중합체(A)를 동일한 매체 또는 다른 매체에 주입시켜, 랜덤 공중합체(B)를 합성시키므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두 예형된 중합체를 기계적으로 혼합할 수도 있다.
연속 합성의 경우, 조성물을 얻는 방법은 0.1∼20 g/10분 범위의 MFI를 갖는 60∼90 중량부의 프로필렌 동종중합체(A)와 3∼20 몰%의 에틸렌 과/또는 4∼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을 함유하고, 25∼3000 g/10분 범위의 MFI를 갖는 40 내지 10 중량부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B)를 각각 제조하는 두 연속 중합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법에서 각 중합단계는 본 분야의 전문가에게 잘 알려져 있는 일반조건 하에, 동일한 중합매체 또는 다른 중합매체에서 행한다. 일반적으로, 동종중합체(A)를 먼저 제조한 다음 제일 단계에서 나온 동종중합체(A)의 존재하에 공중합체(B)를 제조한다. 이들 단계는 액체 상태 또는 가스상으로 유지되는 프로필렌을 불활성 탄화수소 희석제에 현탁시켜서(교반층을 사용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 유동층을 사용한다)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행한다.
본 발명에 따라 얻은 조성물에 사용된 동종중합체(A)와 공중합체(B)는 프로필렌을 충분한 이소택틱 형태로 중합할 수 있고 요구량의 에틸렌 과/또는 C4-C6α-올레핀을 중합체에 포함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생산성과 입체 특이성을 갖는 공지의 촉매계의 존재하에 행할 수 있다.
이들 중합체를 합성하는 일반조건과 같은 이러하 촉매계는 본 분야의 전문가에게 잘 알려져 있다.
형성되는 동종중합체(A)와 공중합체(B)의 MFI에 있어서, 이들은 분자량을 조절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지의 조절제를 첨가하여 조절할 수 있다. 통상 수소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공중합체(B)를 제조하는 매체에서 이의 상대 농도는 일반적으로 전자에 부여되는 현저하게 더 높은 MFIs 때문에, 동종중합체(A)를 제조하는 매체에서 보다 일반적으로 현저하게 더 높다.
분자량을 조절하는 조절제와 단량체의 요구량은 연속 또는 불연속 방법으로 중합매체에 주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동종중합체(A)와 공중합체(B)는 기계적으로 함께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에 따라, 동종중합체(A)와 공중합체(B)는 분리하여 제조하여 이들을 용융 혼합한다. 이러한 변형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공중합체(B) 보다 MFI가 작은 중합조건 하에서 얻은 공중합체(B) 전구물질을 제조하는데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전구물질의 MFI는 1∼20 g/10분 범위에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3∼10 g/10분 일 때이다. 이 MFI는 고전단율에서 유기 과산화물과 혼합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이를 해중합(열분해) 하여 필요한 값을 가져올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과산화물은 통상 130∼350℃의 온도에서 용융상태의 공중합체(B) 전구물질에 혼합된다.
혼합시간은 공중합체(B) 전구물질의 양과 사용된 산화물의 양 및 성질은 물론 혼합하는데 사용된 장치의 형에 따른다. 일반적으로 이는 1초 내지 1시간 사이이다.
사용된 유기 과산화물의 양은 최소한 공중합체(B) 전구물질의 해중합을 일으키는데 충분하여 원하는 값의 MFI를 가져오도록 해야 한다.
혼합을 행하기 위하여, 본 목적을 위해 알려져 있는, 아주 높은 전단율을 갖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혼합기는 물론 외부 혼합기로도 조작이 가능하다. 내부 혼합기가 가장 적합하고 브라벤더-형 배취 혼합기와 압출기와 같은 혼합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술한 필수성분 이외에 안정화제, 안료, 착색제, 충전제, 방화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슬립-촉진제 등과 같은 공지된 일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중합체 대신에 상술한 중합체 (A)와 (B) 만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것으로 시작하여 팽창된 과립을 제조한 다음 세포형 물품을 제조하는데 특히 적합한 여러가지 성질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MFI 값은 1∼30 g/10분의 범위를 갖는다.
이 값은 최소한 3 g/10분이 바람직하고 특히 최소한 5 g/10분이 가장 바람직하다. MFI 값이 너무 낮으면 조성물은 가공하기가 어렵다. MFI 값이 너무 높으면 입자를 제조하는 조성물을 균일하게 팽창시키는데 해를 미친다. 상술한 각 범위 내에서, 팽창된 과립의 상호 밀봉과 팽창질, 생성되는 조성물의 MFI에 있어서, 동종중합체(A)에서 보다 공중합체(B)에서 MFI 값이 더 높으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600∼2000 MPa 범위의 FlexMod를 갖는다. 바람직하기로는 이 FlexMod가 최소한 800 MPa 일 때이다. 통상, 이 FlexMod는 1900 MPa를 초과하지 않는다.
특히 바람직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800∼1900 MPa 범위의 FlexMod와 3∼25 g/10분 범위의 MFI를 갖는 것이다.
팽창된 과립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0.5∼5㎜, 바람직하기로는 0.8∼2㎜ 범위의 평균크기를 갖는 예비과립 형태로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들 예비과립은, 예를 들어 조성물을 압출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1) 세포형의 최종 물품이 충분히 높은 강성과 충분히 낮은 밀도를 갖도록 균일하게 팽창되는 능력
(2) 팽창된 과립을 성형하는 넓은 온도범위
(3) 양호한 고온의 기계적 성질
을 합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팽창된 과립으로 변환시킨 다음 이들 과립을 세포형 물품으로 성형하는 것은 참고적으로 그 내용이 본 설명에 흔입되어 있는, 예를 들어, EP-A-0,317,995와 US-A-4,626,555 문헌에 기술되어 있는 일반적 방법으로 행한다.
예비과립은 휘발성 팽창젱와 분산제의 존재하에서 수압하에 유지되는 밀폐용기에 분산된다. 얻은 현탁액은 조성물의 연화온도 이상의 온도, 바람직하기로는 이의 결정 용융온도 이하의 온도인 5∼20℃로 가열된다. 밀폐용기 내의 압력은 일반적으로 어떠한 온도에서 휘발성 팽창제의 증기압과 동일한 크기이다. 또한 현탁액은 바람직하기로는 현탁액 수준 이하에 위치하는 밀폐용기를 방출하는 장치를 통하여 팽창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주성분으로 한 팽창된 과립을 얻는다.
분산매체로서 사용되는 물의 양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입자 100 중량부당 일반적으로 150∼100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200∼500 중량부이다.
휘발성 팽창제는 일반적으로 비점이 표준조건 하에서 80℃ 이하인 유기 화합물에서 선택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지방족 탄화수소, 할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와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매우 적합한 휘발성 팽창제의 예를 들면, 프로판, 부탄, 펜탄, 헥산, 헵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염화메틸, 염화에틸, 염화메틸렌 등이 있다.
휘발성 팽창제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입자의 100 중량부당 10∼50, 바람직하기로는 15∼30 중량부 범위의 양으로 사용된다.
분산제는 일반적으로 다음 화합물에서 선택된다:
- 산화 알루미늄, 산화 티타늄, 탄산 마그네슘, 탄산칼슘, 인산칼슘 등과 같은 무기 분산제;
- 폴리비닐 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스, N-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수용성 중합체 보호 콜로이드;
- 술폰산 도데실벤젠, 알킬황산 나트륨, 나트륨 디알킬술포석시네이트 등과 같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분산제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입자의 100 중량부당 0.04∼2 중량부 범위의 양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얻은 팽창된 과립은 일반적으로 10∼200 ㎏/㎥, 바람직하기로는 15∼100 ㎏/㎥과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20∼60 ㎏/㎥ 범위의 부피밀도를 갖는다. 이들은 이들의 다공성을 안정화 하기 위하여, 특히, 이들의 부피밀도가 비교적 낮을 때, 상기 처리, 상보성 처리를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보성 처리는 일반적으로 5∼100 시간 동안 0.5∼10 바아의 압력에서 휘발성 팽창제로 임의로 희석되는, 공기 또는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의 분위기에서 팽창된 과립을 유지한다. 끝으로, 여기서 얻은 팽창된 과립은 절연 시이트 또는 파넬, 건출공업용 충전재, 충격-방지 패킹물, 자동차 공업용 성분 등과 같은 세포형 물품의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은 일반적으로 적당한 형상을 갖고 팽창된 과립에서 가스 부산물을 방출시키는 금형을 가열하고, 1∼5 바아의 압력에서 증기에 의하여 금형을 가열하므로서, 팽창된 과립이 2차 팽창을 받고, 서로 응집이 일어나도록 하여 행한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MFI가 3.5 g/10분이고 FlexMod가 1420 MPa인 80 중량%의 프로필렌 동종중합체와 15 몰%의 1-부텐을 함유하고 MFI가 220 g/10분과 FlexMod가 600 MPa인 20 중량%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제조한다[공중합체는 1.6 g/㎏의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DHBP)과 압출기에서 용융-혼합되는 5 g/10분 MFI 전구물질의 해중합에 의하여 얻는다].
9.2 g/10분의 MFI와 1250 MPa의 FlexMod를 갖는 이 혼합물을 과립화하여 1㎜의 평균직경을 갖는 입자를 얻는다.
이들 입자는 물, 휘발성 팽창제로서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과, 분산제로서 인산칼슘과 나트륨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밀폐된 용기에 주입한다. 이 용기를 약 1시간 동안 120℃의 온도와 200 바아의 압력에서 유지한다. 다음, 현탁액을 대기압에서 팽창시켜 용기 내의 이 현탁액으로 도달되는 수준 이하에 위치하는 밸브를 통하여 방출하여 부피밀도가 30 ㎏/㎥인 팽창된 과립을 얻는다.
이 과립을 건조한 후, 이들을 증기 제거구멍이 설치되고 있고, 약 150℃에서 4분 동안 가압증기에 의하여 가열되는 금형으로 압축한다. 얻은 세포형 물품을 냉각시키고 상온 하에 금형에서 제거한다.
실시예 2
MFI가 2.6 g/10분이고, Ⅱ가 98이고, FlexMod가 2300 MPa인 70 중량%의 높은 결정성 프로필렌 동종중합체와, MFI가 150 g/10분이고 FlexMod가 700 MPa인 6.2 몰%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30 중량%의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제조한다(공중합체는 1.5 g/㎏의 DHBP와 압출기에서 용융혼합된 4.6 g/10분의 MFI 전구물질을 해중합시켜서 얻는다).
9.6 g/10분의 MFI와 1800 MPa의 FlexMod를 갖는 이 혼합물을 과립화하여 1㎜의 평균직경을 갖는 입자를 얻는다.
이들 입자를 팽창된 과립으로 변환시킨 다음 실시예 1에 기술된 세포형 물품으로 만든다.

Claims (11)

100 중량부당,
- 230℃에서 2.16㎏의 하중하에 ASTM D 1238 (1986) 표준에 따라 측정되고 g/10분으로 표현되는, 0.1∼20 범위의 용융물 유량지수(MFI)를 갖는 60∼90 중량부의 프로필렌 동종중합체(A)
- 3∼20 몰%의 에틸렌 과/또는 4∼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을 함유하는, 25∼3000 g/10분 범위의 MFI를 갖는 40 내지 10 중량부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B)를 함유하는 팽창된 과립의 조성물.
제 1 항에 있어서, 600∼2000 MPa 범위의 탄성 굽힘계수와 1∼30 g/10분 범위의 MFI를 갖는 조성물.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100 중량부당,
- 1.5∼5 g/10분 범위의 MFI와 1200∼2450 MPa 범위의 탄성 굽힘계수를 갖는 65∼85 중량부의 프로필렌 동종중합체(A)
- 3∼20 몰%의 에틸렌 과/또는 4∼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을 함유하고, MFI가 80∼300 g/10분 범위이고, 탄성 굽힘계수가 400∼1000 MPa 범위를 갖는 35 내지 15 중량부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B)
를 함유하는 조성물.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800∼1900 MPa 범위의 탄성 굽힘계수와 3∼25 g/10분 범위의 MFI를 갖는 조성물.
제 3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동종중합체가13C NMR에 의하여 측정된 최소한 97의 이소택틱성을 갖고 랜덤 공중합체(B)가 3∼12 몰%의 에틸렌을 함유하고 100∼200 g/10분 범위의 MFI를 갖는 조성물.
제 3 항에 있어서, 랜덤 공중합체(B)가 10∼20 몰%의 1-부텐을 함유하고 120∼250 g/10분 범위의 MFI를 갖는 조성물.
0.1∼20 g/10분 범위의 MFI를 갖는 60∼90 중량부의 프로필렌 동종중합체(A)와, 3∼20 몰%의 에틸렌 과/또는 4∼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을 함유하고, MFI가 25∼3000 g/10분 범위를 갖는 40 내지 10 중량부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B)를 각각 제조하는 두 연속 중합단계로 이루어지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팽창된 과립의 조성물을 얻는 방법.
0.1∼20 g/10분 범위의 MFI를 갖는 60∼90 중량부의 프로필렌 동종중합체(A)와, 3∼20 몰%의 에틸렌 과/또는 4∼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을 함유하고, 25∼3000 g/10분 범위의 MFI를 갖는 40 내지 10 중량부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B)를 용융-혼합하여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팽창된 과립의 조성물을 얻는 방법.
팽창된 과립의 제조에 사용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제 9 항에 있어서, 부피밀도가 10∼200 ㎏/㎥ 범위에 있는 팽창된 과립의 제조에 사용하는 용도.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얻은 팽창된 과립을 성형하여 만든 세포형 물품.
KR1019980029638A 1997-07-24 1998-07-23 프로필렌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 팽창된 과립의 조성물, 이를얻는 방법과 이의 용도 KR100554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9700642 1997-07-24
BE9700642A BE1011301A6 (fr) 1997-07-24 1997-07-24 Composition a base de polymeres du propylene pour granules expanses, procede pour son obtention et utilisation.
BE09700642 1997-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099A true KR19990014099A (ko) 1999-02-25
KR100554534B1 KR100554534B1 (ko) 2006-05-09

Family

ID=3890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638A KR100554534B1 (ko) 1997-07-24 1998-07-23 프로필렌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 팽창된 과립의 조성물, 이를얻는 방법과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040348A (ko)
EP (1) EP0893470B1 (ko)
JP (1) JP4113285B2 (ko)
KR (1) KR100554534B1 (ko)
AR (1) AR018504A1 (ko)
BE (1) BE1011301A6 (ko)
BR (1) BR9802597A (ko)
CA (1) CA2242682C (ko)
CZ (1) CZ293408B6 (ko)
DE (1) DE69810710T2 (ko)
MY (1) MY116762A (ko)
SG (1) SG700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8517B2 (ja) * 1999-05-20 2006-12-13 株式会社カネカ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およびその予備発泡粒子と型内発泡成形体の製造法
AU2002216634A1 (en) * 2000-10-18 2002-04-2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Foamed blends of propylene-based polymers
US6642317B1 (en) 2000-11-15 2003-11-04 Polypropylene Belgium Naamlose Vennootschap Composition based on propylene polymers and process for obtaining same
US6586528B1 (en) 2000-11-15 2003-07-01 Polypropylene Belgium (Naamlose Vennootshap) Composition based on propylene polymers and process for obtaining same
US6576693B2 (en) * 2001-08-02 2003-06-10 Kaneka Corporation Pre-expanded particles of polypropylene resin and inmolded foamed article using the same
WO2003035746A1 (en) * 2001-10-25 2003-05-01 Polypropylene Belgium (Naamloze Vennootschap) Use of a polypropylene based composition for expanded beads
CA2499951C (en) 2002-10-15 2013-05-28 Peijun Jiang Multiple catalyst system for olefin polymerization and polymers produced therefrom
US7700707B2 (en) 2002-10-15 2010-04-2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7423071B2 (en) 2003-09-12 2008-09-09 Kaneka Corporation Polypropylene based resin composition, expanded moldings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5485611B2 (ja) 2008-08-07 2014-05-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熱膨張性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発泡成形体
KR101769265B1 (ko) * 2008-09-30 2017-08-17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발포 성형용 마스터 뱃치 및 발포 성형체
US10150858B2 (en) * 2014-02-11 2018-12-11 Flint Hills Resources, Lp Blended compositions, methods for making sam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CN114621549A (zh) * 2020-12-08 2022-06-14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聚丙烯结构壁管材专用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3491B2 (ja) * 1981-08-05 1984-10-22 日本スチレンペ−パ−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成型体
JPS60123540A (ja) * 1983-12-07 1985-07-02 Japan Styrene Paper Co Ltd 無架橋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
JPS61115940A (ja) * 1984-11-09 1986-06-03 Mitsubishi Yuka Badische Kk ポリプロピレン発泡体粒子
JPH0696609B2 (ja) * 1985-05-08 1994-11-30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改良された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4778829A (en) * 1985-07-12 1988-10-18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eparing pre-expanded particles of thermoplastic resin
CA1280549C (en) * 1986-05-27 1991-02-19 Kyoichi Nakamura Pre-expanded particles of propylene resin
JPH0657435B2 (ja) * 1987-11-25 1994-08-03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の型内発泡成形法
US4940736A (en) * 1988-09-12 1990-07-10 Amoco Corporation Production of low density polypropylene foam
JPH0465441A (ja) * 1990-07-04 1992-03-02 Tonen Chem Corp 架橋発泡用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DE4126358A1 (de) * 1991-08-09 1993-02-11 Basf Ag Schaumstoffe auf basis eines impact-copolymeren
KR100287639B1 (ko) * 1993-04-28 2001-04-16 리챠드 지. 워터맨 가교결합된에틸렌계중합체포움구조물의제조방법
DE4420590A1 (de) * 1994-06-13 1995-12-14 Basf Ag Polyolefin-Partikelscha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4534B1 (ko) 2006-05-09
CA2242682C (fr) 2008-10-14
JPH1192584A (ja) 1999-04-06
CA2242682A1 (fr) 1999-01-24
DE69810710T2 (de) 2003-10-09
US6040348A (en) 2000-03-21
SG70099A1 (en) 2000-01-25
CZ293408B6 (cs) 2004-04-14
CZ235298A3 (cs) 1999-02-17
DE69810710D1 (de) 2003-02-20
AR018504A1 (es) 2001-11-28
BR9802597A (pt) 1999-12-14
EP0893470B1 (fr) 2003-01-15
MY116762A (en) 2004-03-31
JP4113285B2 (ja) 2008-07-09
EP0893470A1 (fr) 1999-01-27
BE1011301A6 (fr) 1999-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6555A (en) Polypropylene foamed particles
EP1226206B1 (en) Propylene copolymer foams and their use
US20050090571A1 (en) Expanded bead foams from propylene-diene copolymers and their use
KR100554534B1 (ko) 프로필렌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 팽창된 과립의 조성물, 이를얻는 방법과 이의 용도
KR19990067203A (ko) 중합체 발포체
US4596833A (en) Polypropylene foamed particles
US6727291B2 (en) Preparation of expandable propylene polymer beads
US5208265A (en) Foam based on an impact copolymer
KR101643878B1 (ko)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
US6166096A (en) Pre-expanded particles of polypropylene resin,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in-mold foamed articles therefrom
JP2003253084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発泡成形体
JP5503123B2 (ja) スチレン改質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粒子、発泡性樹脂粒子、予備発泡粒子及び発泡成形体
CA2180987A1 (en) Cross-linked atactic or amorphous propylene polymers
US5234962A (en) Polyolefin foams having a homogeneous cell structure
US6930132B2 (en) Use of a polypropylene based composition for expanded beads
EP1423466B1 (en) Process for preparing cross-linked polyolefins
JP3526660B2 (ja) 型内成型用発泡粒子及び型内発泡成型体
JP4499394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及びこれを用いた型内成形体
JPH1121318A (ja) 発泡用プロピレン系共重合体、その発泡粒子及び発泡体
WO2002032985A1 (en) Foamed blends of propylene-based polymers
US5262446A (en) Polyolefin foams having a homogeneous cell structure
KR100536087B1 (ko) 고발포성 스티렌 수지 입자의 제조방법
MXPA98005988A (en) Composition based on expanded paragraph propylene polymers, procedure for its obtaining and its use
KR100536089B1 (ko) 난연화 고발포성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
JP2537306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発泡シ―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