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011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011A
KR19990014011A KR1019980029198A KR19980029198A KR19990014011A KR 19990014011 A KR19990014011 A KR 19990014011A KR 1019980029198 A KR1019980029198 A KR 1019980029198A KR 19980029198 A KR19980029198 A KR 19980029198A KR 19990014011 A KR19990014011 A KR 19990014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laye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로 이마조
노부타카 진
히로시 오오카와라
Original Assignee
카나이 쯔또무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나이 쯔또무,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filed Critical 카나이 쯔또무
Publication of KR19990014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01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96Conductive pattern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sub groups H05K1/02 - H05K1/0295
    • H05K1/0298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88Composite multilayer circuits, i.e. comprising insulating layer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 H05K3/4691Rigid-flexible multilayer circuits comprising rigid and flexible layers, e.g. having in the bending regions only flexible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는, 1쌍의 기판과, 상기 1쌍의 기판사이에 끼워유지된 액정층과, 상기 1쌍의 기판중 절연기판의 외주에 장착된 액정층을 구동하는 구동회로와, 상기 구동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다층가요성인쇄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층가요성프인쇄기판은, 절연층과 교호로, 함께 적층되고, 리소그래피 및 에칭에 의해 형성된 배선패턴을 가진 적어도 3개의 금속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금속층의 최외층은 상기 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단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정세(高情細)표시를 위한 가요성인쇄기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이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패널형디바이스로서, 액저표시장치가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이 액정표시장치에는, 소위 STN-LCD라 호칭되는 단순매트릭스형과, TFT-LCD로 대표되는 액티브매트릭스형이 알려져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투명도전막으로 이루어진 화소전극을 그위에 형성한 투명한 2매의 절연기판(일반적으로는 유리판)을 맞붙이고, 양자의 틈새에 액정을 봉하여 막은 표시패널과 이 표시패널의 외주에 구동IC 등의 각종 전자소자를 탑재한 회로기판을 적층하고, 이들을 금속프레임(seald case)과 플라스틱제 등의 몰드프레임에 의해 사이에 유지해서 일체화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액티브매트릭스형의 대표적인 액정표시장치인 TFT-LCD는,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전극의 각각에 대응해서 박막트랜지스터를 배치하고, 소요의 화소를 선택해서 화소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이 TFT-LCD의 각 화소에 있어서의 액정은, 이론적으로는 상시 구동(듀티브 1.0)의 시분할구동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소위 단순매트릭스방식과 비교해서 콘트라스트가 양호하다.
또한, TFT-LCD에 관한 종래기술을 개시한 것으로는, 일본국 특개소 63-309921호 공보를 들 수 있다.
최근, 이종류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액정패널의 1쌍의 기판중의 한쪽의 위에 구동회로를 실장하고, 이것을 다층가요성인쇄기판에 의해 인터페이스기판 등의 배선기판에 접속하는 구성이 일반적인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의 고정세화나, 표시색수의 증가등을 위하여 다층가요성인쇄기판에 통과시키는 배선수가 증가하고 있다.
도 9는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액정패널의 기판에 탑재한 구동회로와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의 접속부분의 일예를 설명하는 단면모식도로서, SUB1은 액정패널의 한쪽의 기판(아래쪽기판), IC는 구동회로(IC), TM은 구동회로의 입력단자(셀단자), FPC1은 다층가요성인쇄기판, Td는 접속단자를 표시한다.
이예에서는, 다층가요성인쇄기판FPC1은 절연필름INSL에 의해 절연된 제 1층L1∼제 8층L8의 8층으로 이루어지고, 제 1층L1은 접지라인(GND)층, 제 2층L2와 제 3층L3은 디지털신호라인층, 제 4층L4는 접지라인층, 제 5층L5는, 각층의 배선에 관통구멍을 개재해서 접속되고, 액정패널의 구동회로의 입력단자(셀단자)TM에 표시신호나 전원 등을 공급하기 위한 접지단자Td를 인출하는 접속단자층, 제 6층L6과 제 7층L7은 애널로그신호라인층, 제 8층L8은 전원라인층이다.
제 5층L5로부터 인출된 접속단자Td는 액정패널의 기판SUB1에 형성된 셀단자TM에 도전이방성접착제를 사용하여 열압착등에 의해 접속된다.
이 종류의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은, 통상 폴리이미드 등의 절연필름을 기재로한 양면구리박붙임판 혹은 안쪽면 구리박붙임판을 적층함으로써 구성된다.
또한, 도 9에 표시한 가요성인쇄기판은 그 각층에의 전기신호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제의 배선패턴을 표시한 것은 아니다.
다층가요성인쇄기판으로부터 인출되는 접속단자Td의 모두가, 통상 0.3∼0.5㎜정도의 피치의 액정패널의 셀단자TM에 일괄해서 접속됨으로, 접속단자Td의 치수정밀도가 엄격하게 요구된다. 예를 들면, 대각 31㎝의 액정모듈에서는, 접속단자Td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의 폭이 250㎜정도의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을 사용하게 된다. 그 접속단자Td의 피치가 0.4㎜라고 하면, 다층가요성인쇄기판에는 적어도 ±0.1㎜의 치수정밀도가 필요하다. 이것은 상기 영역의 폭에 대해서 0.04%의 정밀도이며, 이와 같은 고정밀도의 가요성인쇄기판을 제작하는 것은 곤란했다.
특히, 표시색이 많은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액정패널에의 접속단자수가 증가함으로, 접속단자의 피치는 보다 미세하게되고, 다층가요성인쇄기판에 요구되는 치수정밀도는 점점 엄격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상기의 치수정밀도가 엄격한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의 제작을 용이하게하고, 고정세표시의 실현을 가능하게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가요성인쇄기판의 접속단자의 피치가 미세해지면, 전위차가 있는 인접단자사이에서의 전식(電蝕)등이 문제가 된다.
종래부터 액정드라이버IC를, TAB(Tape Automated Bonding)방식에 의해 액정패널에 도전이방성접착제를 사용하여 열압착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 열압착시의 TCP의 열팽창에 의한 단자사이의 넓어짐을 보정하기 위하여, TCP의 단자를 부등간격으로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은 전위차에 의한 인접단자사이의 전식을 고려한 것은 아니고, 인접단자사이에 전위차가 있으면, 장시간의 사용으로 전식이 발생하여, 표시불량을 초래한다고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요성인쇄기판의 접속단자의 인접단자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전식의 발생을 방지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일이다.
다층가요성프린트기판의 접속단자에 요구되는 높은 치수정밀도를 실현하는 일이 곤란한 것은,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의 층구성에 그 한 요인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은, 통상, 폴리이미드 등을 기재로한 양면구리박붙임판 혹은 한쪽면 구리박붙임판을 적층함으로써 구성된다.
이때의 적층은 두께의 중심에 가까운 층으로부터 차례로 행하여지고, 최외층이 최후에 적층되게 된다. 상기 도 9에 표시한 층구성의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의 경우는, 가장 높은 치수정밀도가 요구되는 부분인 셀단자접속용의 접속단자층이 최초로 형성되고, 그 이후의 다른층형성을 위한 모든 공정의 환경조건에 노출되게 된다.
적층공정에는 열경화성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임으로, 각 적층공정에서, 가요성인쇄기판은 고열에 노출된다. 먼저 적층되어 있는 층은, 나중에 적층된 층을 위한 가열처리 및 배선패턴형성을 위한 에칭액 등에 노출되고, 가요성인쇄기판은, 각층형성때마다 치수변화를 초래함으로, 다층가요성인쇄기판으로서 완성했을때에 셀접속용의 접속단자의 치수정밀도를 유지하는 일은 극히 곤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액정패널의 기판에 탑재한 구동회로와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의 접속부분을 설명하는 단면모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다층가용성인쇄기판의 전체구조의 일예의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A부분의 확대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가요성인쇄기판의 접속단자부의 상면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가요성인쇄기판의 접속단자부의 상면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을 사용한 액정패널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을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등가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을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를 실장한 전자장치의 일예로서의 가반형(可搬型)개인컴퓨터의 사시도
도 9는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액정패널의 기판에 탑재한 구동회로와 종래의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의 접속부분의 일예를 설명하는 단면모식도
도 10은 도 1의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을 상하를 반대로해서 본 분해사시도
도 11A-11F는 본 발명에 의한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을 형성하는 수순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UB1: 액정패널의 한쪽의 기판(아래쪽기판)
IC: 구동회로 TM: 구동회로의 입력단자(셀단자)
FPC1: 다층가요성인쇄기판 Td: 접속단자
Td-W: 전위가 높은 단부
Td-N: 접속단자와의 사이의 전위차가 작은 단자
상기 제 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셀접속용의 접속단자를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의 최외층에 형성한다. 즉, 접속단자층은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의 제작공정의 최후에 적층된다.
따라서, 제조공정중의 열처리등,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의 치수정밀도에 악영향을 주는 공정의 대부분이 완료한 후에, 셀단자접속용의 접속단자를 형성하는 것으로되어, 상기 접속단자의 정밀도를 유지한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제 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인접하는 단자사이에서 전위차가 크고, 전식을 일으킬가능성이 높은 단자에 대해서는 인접하는 단자와의 틈새(pitch)를 다른데에 비해 크게하는 동시에, 인접단자사이의 전위차가 작은 단자끼리에 대해서는 틈새를 좁게구성한다.
또, 단자사이의 틈새가 큰 부분에 다층가요성인쇄기판과 셀단자와의 위치맞춤을 행하기 위한 얼라이멘트마크를 형성함으로써 접속단자부분의 스페이스를 절약하고, 또 고정밀도의 실장을 가능하게 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액정패널의 기판에 탑재한 구동회로와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의 접속부분을 설명하는 단면모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SUB1은 액정패널의 한쪽의 기판(아래쪽기판), IC는 integrated circuit chip로 이루어진 구동회로, TM은 구동회로의 입력단자(셀단자), FPC1은 다층가요성인쇄기판, Td는 접속단자를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다층가요성인쇄기판FPC1은 폴리이미드 등의 절연필름INSL에 의해 절연된 제 1층L1∼제 8층L8의 8층으로 이루어지고, 제 1층L1은 접지(GND)층, 제 2층L2와 제 3층L3은 디지털신호라인층, 제 4층L4은 접지라인층, 제 5층L5과 제 6층L6은 애널로그신호라인층, 제 7층L7은 전원라인층, 제 8층L8은, 각층의 배선에 관통구멍을 개재해서 접속되며, 액정패널의 구동회로의 입력단자(셀단자)TM에 표시신호나 전원 등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단자Td를 인출하는 접속단자층이다. 도 10은, 도 1의 다층가요성인쇄기판FPC1을, 상하를 반대로해서 본 분해사시도이며,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제 2, 제 5, 제 6 및 제 8층L2, L5, L6, L8만을 표시하고 있다. 제 2, 제 5 및 제 6층L2, L5, L6의 배선의 각층에 형성된 관통구멍(300)을 개재해서, 접속단자층인 제 8층L8의 접속단자Td(designated callectively)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제 5, 제 6 및 제 8층L2, L5, L6, L8의 배선패턴은 실제배선패턴이 아니고, 예시의 목적으로 표시되어 있을뿐이다.
도 1의 다층가요성인쇄기판FPC1의 제조공정의 일예의 개략을 도 11A∼도 11F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1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절연막INS의 양면에 구리박을 붙인판(board)을 준비하고, 주지의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이 양면을 소망의 배선패턴으로 에칭해서 제 4층L4 및 제 5층L5의 적층물(350)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11B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양외면에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절연막INS를 열경화성접착제를 개재해서 열압착한 적층물(400)을 형성한다.
한편, 이들 작업과는 별개로, 상기 제 4층L4 및 제 5층L5의 적층물(350)을 형성했을때와 마찬가지로해서, 소망의 배선패턴을 가진 제 2층L2 및 제 3층L3의 적층물(500) 및 제 6층L6 및 제 7층L7의 적층물(600)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11B에서 형성된 적층물(400)의 절연막INS의 바깥쪽에, 상기 제 2층L2 및 제 3층L3의 적층물(500) 및 제 6층L6 및 제 7층L7의 적층물(600)을, 도 11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열경화성접착제를 개재해서 열압착해서 적층물(700)을 형성한다.
또, 상기 작업과는 별개로,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절연막INS의 한쪽면에 구리박C1을 붙인판(800)과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절연막INS의 한쪽면에 구리박을 붙인판(900)을 준비하고, 구리박C1 및 C2를 배터링하지 않고, 판(800) 및 판(900)을 각각 도 11D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적층물(700)에 있어서의 제 2층L2 및 제 7층L7의 위에 열경화성접착제를 개재해서 열압착해서 적층물(950)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11E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적층물(950)에 소망하는 관통구멍(300)을 뚫고, 이 관통구멍(300)을 도금하여, 층간배선(370)을 형성한 후 구리박C1 및 C2를 소망의 배선패턴으로 에칭함으로써, 제 1층L1 및 제 8층L8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11F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1층L1 및 제 8층의 위에, 절연막INS를 열경화성접착제를 개재해서 열압착하거나, 이 절연막INS 대신에 땜납레지스트를 도포해서, 다층가요성인쇄기판FPC1을 형성한다.
또한, 도 11E 및 도 11F에 있어서의 참조기호Td는, 도 1 및 도 10에 표시한 접속단자이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JN2는, 다른 프린트기판과의 접속부분을, ALMD는 위치맞춤용의 얼라이멘트마크이다.
제 8층L8로부터 인출된 접속단자Td는 액정패널의 기판SUB1에 형성된 셀단자TM에, 도전이방성접착제를 사용하여 가열된 상태에서 화살표시방향으로 압착되어서 접속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을 구성하는 복수의 배선층을, 그 복수의 층의 대략 대칭중심면 즉,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1 또는 2개의 층에서부터 적층을 시작함으로써, 그 방지효과가 크고, 치수정밀도의 향상을 얻을 수 있다.
또, 셀접속용의 접속단자Td가, 다층가요성인쇄기판FPC1의 제작공정의 최후에 적층되고, 최외층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공정중의 열이력등,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의 치수정밀도에 악영향을 주는 거의 모든 공정을 거친 후에 셀단자접속용의 접속단자를 형성하게 되어, 상기 접속단자의 정밀도를 유지한 상태의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을 얻을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다층가요성인쇄기판FPC1의 전체구조의 일예의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A부분의 확대평면도를 표시한다. 이 다층가요성인쇄기판FPC1은 액정패널의 TFT의 드레인쪽의 구동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며, 도 2B에 표시한 접속단자Td를 액정패널의 아래기판SUB1에 탑재한 드레인구동용의 구동회로IC의 입력단자(셀단자)TM(도1)에 접속한다. 다층가요성인쇄기판FPC1은 도 1 및 도 10에서 설명한 층구조를 가지고, 그 최외층으로부터 접속단자Td가 인출된다. 또한, ALMD는 위치맞춤용의 얼라이먼트마크이다.
FHL은 위치맞춤용 구멍, JN2는 다른 인쇄기판과의 전기적접속부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최외층이란, 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에칭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배선이 적층된 구조속에서 가장 바깥쪽에 있는 층을 말한다.
또 상기에서는 8층의 가요성인쇄기판을 예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층이상의 가요성인쇄기판에 있어서, 그 최외층에 정세도(精細度)가 요구되는 층을 적층함으로써 고정밀도의 접속단자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가요성인쇄기판FPC1의 접속단자부의 상면모식도이다.
이 실시예는, 액정패널의 구동회로의 입력단자(셀단자)TM과 접속되는 접속단자Td끼리의 틈새(pitch)을 부등피치로 한 것이다.
즉, 전위가 높은 단자Td-W는 인접단자와의 사이의 틈새를 크게(넓게)하고, 인접단자와 전위차가 작은 단자Td-N(collectively)은 인접단자와의 사이의 틈새를 작게(좁게)해서 배치한다. 또한, ALMD는 구동회로의 셀단자의 위치맞춤용의 얼라이먼트마크이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단자와 전위차가 큰 단자는, 인접단자사이와의 사이의 틈새를 크게함으로써, 인접단자와의 사이의 미소전류를 저지하고, 전식의 발생으로 단자가 부식하고, 표시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가요성인쇄기판FPC1의 접속단자부의 상면모식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위가 높은 단자Td-W는 인접단자와의 사이의 틈새를 크게(넓게)하고, 인접단자와 전위차가 작은 단자Td-N은 인접단자와의 사이의 틈새를 작게(좁게)해서 배치하여 액정패널의 구동회로의 입력단자(셀단자)TM와 접속되는 접속단자Td끼리의 틈새(pitch)를 부등피치로 하는 동시에, 얼라이멘트마크ALMD를 피치가 큰 단자사이에 배치한 것이다.
이에 의해, 접속단자가 형성되는 영역의 전체폭D를 작게할 수 있고, 또 실장밀도를 올리는 일이 가능해진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인접하는 단자와 전위차가 큰 단자는, 인접단자사이와의 사이의 간격을 크게함으로써, 인접단자와의 사이의 미소전류누설을 저지해서 전식의 발생으로 단자가 부식되고, 표시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실장밀도를 올릴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층가요성인쇄기판FPC1을 사용한 TFT타입의 액정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PNL은 액정패널, SUB1은 아래기판, SUB2는 위기판으로서, 위기판SUB2와 아래기판SUB1과의 사이에 액정층(도시생략)이 끼워져유지되어 있다. POL은 위편광판(액정패널의 이면에는 아래편광판이 붙게된다), AR은 표시영역, 하변(下邊)의 |CD1∼|CDM은 드레인구동회로(drain driver IC), 좌변의 |CG1∼|CGN은 게이트구동회로(gate driver IC)이다.
드레인구동회로ICD1∼ICDM, 게이트구동회로ICG1∼ICGN은 아래기판SUB1의 둘레가장자리에 직접 탑재되어 있으며, 이 각구동회로의 입력단자(셀단자)TM에 각각 다층가요성인쇄기판FPC1과 FPC2의 접속단자Td(도 1 및 도 10)가 접속된다.
또한, 다층가요성인쇄기판FPC1의 FGP는 frame grounding pads, CHD는 electronic components in chip form, JN2는, 액정패널PNL의 이면에 배치되는 인쇄기판(도시생략)과 접속하는 접속부분, 다층가요성인쇄기판FPC2의 JN1은 배선기판과의 접속부분, FHL은 위치맞춤구멍이다.
도 5중, 사선을 그은 부분(hatched area)이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다층가요성인쇄기판FPC1을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을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등가회로도이다.
액정패널PNL을 구성하는 TFT-LCD는 3색의 화소전극R, G, B의 각각에 스위칭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FT가 배치되고,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및 게이트는, 각각 드레인선(영상신호선)DL과 게이트선(주사신호선)GL을 개재해서 영상신호선구동회로부(103), 주사신호선구동회로부(104)에 접속된다.
또한, TFT의 소스는, 화소전극R, G, B에 접속되어 있다.
영상신호선 구동회로부(103), 주사신호선구동회로부(104)에는 전원부(102)와 제어부(101)로부터 전원과 표시신호가 공급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은 영상신호선구동회로부(103)의 부분에 사용된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한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은 주사신호선구동회로부(104)의 부분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을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호스트컴퓨터로부터 공급되는 표시데이터, 표시타이밍동기신호, 클록은 표시제어장치(201)에 입력하여, 멀티플렉서(209), 공통전극전압생성부(202), 레벨시프터(207)에 인가된다.
멀티플렉서(209)는 계조기준전압생성부(208)로부터의 계조전압과 입력신호에 의거한 신호를 드레인드라이버(영상신호선구동회로부)(211)에 표시신호를 부여한다.
공통전극전압생성부(202)는 표시데이터에 의거해서 공통전극전압을 생성해서 공통전극드라이버(203)에 소요의 전압을 인가하고, 공통전극드라이버(203)의 출력은 액정패널LCD와 게이트온전압생성부(204)와 게이트오프전압생성부(205)에 인가되어, 게이트드라이버(주사신호선구동회로부)(206)를 구동한다. 레벨시프터(207)은 게이트드라이버(206)를 제어한다.
한편, 전원전압3.3V(또는, 5V)는 배선기판에 탑재된 DC-DC변환기(212)에 의해 각종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변환되어서 각회로부에 공급된다.
도 1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은 멀티플렉서(209)를 드레인드라이버(211)에 접속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를 실장한 전자장치의 일예로서의 가반형 개인컴퓨터의 사시도로서, MDL은 액정표시장치, CPU는 호스트컴퓨터를 구성하는 연산장치, IV는 백라이트용의 인버터전원, LPC는 인버터전원으로부터 백라이트에 급전하기 위한 케이블이다.
표시부DSP는 키보드부KB와 힌지HG에 의해 연결되고, 호스트컴퓨터로부터의 표시신호는 배선기판(inter-face board)PCB로부터 제 1 및 제 2의 가요성인쇄기판FPC1, FPC2에 의해 액정패널에 인가되어서 화상을 표시한다.
이 가요성인쇄기판FPC1에 상기한 실시예의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을 사용함으로써, 고정세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의 접속단자를 고밀도, 고정밀도화함으로써, 고밀도표시의 실현이 가능해지고,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의 접속단자의 인접단자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전식의 발생을 방지해서 신뢰성을 향상시킨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쌍의 기판과,
상기 1쌍의 기판사이에 끼워유지된 액정층과,
상기 1쌍의 기판중 절연기판의 외주에 장착되고, 상기 액정층을 구동하는 구동회로와,
상기 구동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다층가요성인쇄기판으로 이루어진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층가요성인쇄기판은, 절연층과 교호로, 함께 적층되며, 리소그래피 및 에칭에 의해 배선패턴을 가진 적어도 3개의 금속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금속층의 최외층은, 상기 구동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단자들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들중 2개의 인접한 단자사이의 간격들은 그 사이의 전압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들은 상기 구동회로와 얼라이멘트하기 위한 얼라이멘트 마크는 상기 간격들중 더 넓은 간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쌍의 기판과,
상기 1쌍의 기판사이에 끼워유지된 액정층과,
상기 1쌍의 기판중 절연기판위의 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주사신호선과,
상기 주사신호선과 교차하는 방법으로 상기 절연기판위로 뻗는 복수의 영상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주사선과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선의 교차점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전극과,
상기 복수의 화소전극중 하나, 상기 복수의 화소전극중 하나와 접속된 그의 출력단자, 상기 주사신호선중 하나와 접속된 그의 제어전극 및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선중 하나와 접속된 그의 입력전극과 각각 결합된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복수의 주사신호선을 구동하는 제 1구동회로와,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선을 구동하는 제 2구동회로와,
상기 절연기판의 외주에 장착된 상기 제 1 및 제 2구동회로와,
상기 제 1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결합된 제 1다층가요성인쇄기판과,
상기 제 2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결합된 제 2다층가요성인쇄기판으로 이루어진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다층인쇄기판은, 절연층과 교호로, 함께 적층되며, 리소그래피 및 에칭에 의해 형성된 배선패턴을 가진 적어도 3개의 금속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금속층의 최외층은, 상기 제 2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9980029198A 1997-07-22 1998-07-21 액정표시장치 KR199900140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95702A JPH1138434A (ja) 1997-07-22 1997-07-22 液晶表示装置
JP1997-195702 1997-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011A true KR19990014011A (ko) 1999-02-25

Family

ID=1634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198A KR19990014011A (ko) 1997-07-22 1998-07-21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38434A (ko)
KR (1) KR1999001401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312B1 (ko) * 1998-11-13 2006-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이렉트 인터페이스 구조를 갖는 인쇄회로기판 및 그를채용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6738B1 (ko) * 2000-09-08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니트
US7460112B2 (en) 2003-06-02 2008-12-02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module, power supply substrate, wiring substrate, and electronic apparatus
US8102659B2 (en) 2003-10-14 2012-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101313684B1 (ko) * 2013-03-05 2013-10-02 (주)드림텍 솔더 배출성이 우수한 인쇄회로기판의 솔더링 접합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5307B2 (ja) * 2000-10-25 2005-09-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配線基板、表示装置、半導体チップ及び電子機器
JP4485708B2 (ja) * 2001-05-21 2010-06-23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周辺回路基板及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3979405B2 (ja) 2004-07-13 2007-09-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実装構造体及び電子機器
JP5505754B2 (ja) * 2007-12-26 2014-05-28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
CN110035604A (zh) * 2018-01-12 2019-07-19 启耀光电股份有限公司 软性电路板、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312B1 (ko) * 1998-11-13 2006-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이렉트 인터페이스 구조를 갖는 인쇄회로기판 및 그를채용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6738B1 (ko) * 2000-09-08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니트
US9947261B2 (en) 2003-06-02 2018-04-17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module, power supply substrate, wiring substrate, and electronic apparatus
US8860698B2 (en) 2003-06-02 2014-10-14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module, power supply substrate, wiring substrate, and electronic apparatus
US9144154B2 (en) 2003-06-02 2015-09-22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module, power supply substrate, wiring substrate, and electronic apparatus
US9451703B2 (en) 2003-06-02 2016-09-20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module, power supply substrate, wiring substrate, and electronic apparatus
US7460112B2 (en) 2003-06-02 2008-12-02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module, power supply substrate, wiring substrat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0769981B2 (en) 2003-06-02 2020-09-08 138 East Lcd Advancements Limited Electro-optical module, power supply substrate, wiring substrat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170697B2 (en) 2003-06-02 2021-11-09 138 East Lcd Advancements Limited Electro-optical module, power supply substrate, wiring substrat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587495B2 (en) 2003-06-02 2023-02-21 138 East Lcd Advancements Limited Electro-optical module, power supply substrate, wiring substrate, and electronic apparatus
US8102659B2 (en) 2003-10-14 2012-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101313684B1 (ko) * 2013-03-05 2013-10-02 (주)드림텍 솔더 배출성이 우수한 인쇄회로기판의 솔더링 접합 구조
WO2014137002A1 (ko) * 2013-03-05 2014-09-12 (주)드림텍 솔더 배출성이 우수한 인쇄회로기판의 솔더링 접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38434A (ja) 199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565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integrated circuit disposed between panel and film substrate
US7567330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673494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6756975B1 (en) Matrix type display apparatus,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and thermo-compression bonding head
US7002812B2 (en) Electronic modul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6266119B1 (en) Liquid crystal apparatus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US20050121796A1 (en) Tape circuit substrate with reduced size of base film
US6744638B2 (en) Construction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wiring boar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45255B1 (ko) 회로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030043647A (ko) 플랙시블 기판의 실장방법 및 표시장치
KR19990014011A (ko) 액정표시장치
US701266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831114B1 (ko) 액정 표시 장치
JP3985634B2 (ja) 電子部品の実装基板、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4087940A (ja) 電子部品の実装基板、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H09189919A (ja) 液晶表示装置
JP4907144B2 (ja) 表示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2000332419A (ja) 多層プリント基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416930B1 (ko) 액정표시장치
JP3515415B2 (ja) 表示装置
JP2004087939A (ja)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09187026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H09179137A (ja) 液晶表示装置
JPH0996828A (ja) 液晶表示装置
JP2002196333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