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859A - 수도미터기 - Google Patents

수도미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859A
KR19990013859A KR1019980028497A KR19980028497A KR19990013859A KR 19990013859 A KR19990013859 A KR 19990013859A KR 1019980028497 A KR1019980028497 A KR 1019980028497A KR 19980028497 A KR19980028497 A KR 19980028497A KR 19990013859 A KR19990013859 A KR 19990013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wheel
aberration
worm
sensor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0654B1 (ko
Inventor
강태규
강달영
Original Assignee
강태규
강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규, 강달영 filed Critical 강태규
Priority to KR1019980028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0654B1/ko
Priority to JP29689998A priority patent/JP3261479B2/ja
Publication of KR19990013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 G01F1/08Adjusting, correcting or compensat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 G01F1/07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with magnetic or electromagnetic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Details Of Flowme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미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차의 회전을 지지하는 피봇축지지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차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면서 수차와 수차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웜휠의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서, 수돗물의 미세 흐름량까지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수도미터기는, 유입구(2)와 배출구(3)를 구비한 계량기몸체(1)와 상기 계량기몸체(1)의 상측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상부커버(12)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몸체(1)의 내측 바닥면 중심부에는 상부 중심부에 피봇지지부(21)를 구비한 돌출부(2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0)에는 보스부 하측에 돌출부 삽입공간부(22)와 공간부(23)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23)의 저면에 하부피봇축(14)이 하향 돌출된 수차(4)가 피봇지지토록 설치되며, 상기 수차(4)의 상부에는 웜치합용 절개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웜치합용 절개홈(25)의 양측 소정위치에 웜휠지지대(29)가 설치된 기어설치판(24)이 설치되며, 상기 기어설치판(24)의 웜휠지지대(29)에는 3개의 살빼기공(27)이 일정 각도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살빼기공(27)의 사이에는 1개의 자석(10)과 균형유지부재(28)가 설치된 스퍼기어형태의 웜휠(26)이 웜치합용 절개홈(25)을 관통한 웜(5)과 치합되게 설치되며, 상기 기어설치판(24)의 상부에는 중심부에 피봇지지 셋트스크류(31)가 설치된 피봇지지부(32)가 설치되고 그 일측에 센서관통구멍(33)을 형성한 수차지지상판(35)이 설치되며, 상기 수차지지상판(35)의 상부에는 상기 센서관통구멍(33)을 하향 관통하여 웜휠(26)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11)가 하향 설치된 센서설치판(3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도미터기
본 발명은 수도미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차의 회전을 지지하는 피봇축지지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차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면서 수차와, 수차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웜휠의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서, 수돗물의 미세 흐름량까지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수도미터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입구(2)와 배출구(3)를 구비한 계량기몸체(1)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하부피봇축(14)이 상향 돌출되어 있고, 이 하부피봇축(14)에는 상측에 상부피봇축(17)이 상향 설치된 웜(5)이 형성되고 보스부 외주연에 수차날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저면 중심부에 축삽입공(15)과 그 상측에 피봇지지부(16)를 형성한 수차(4)가 수돗물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차(4)의 상부에는 수차(4)의 웜(5)이 상향 관통되고 상기 웜(5)과 맞물려 회전하면 양측 소정위치에 자석(10)이 설치된 원통형태의 웜휠(9)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커버판(6)이 설치되며, 상기 커버판(6)의 상부에는 웜휠(9)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11)가 설치되는 센서설치판(7)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계량기몸체(1)의 상부에는 계량기몸체(1)의 상측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상부커버(12)가 설치되며, 건물벽의 소정위치에 디지탈계량기(13)를 부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도미터기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계량기몸체(1)의 바닥면 중심부에 하부피봇축(14)이 상향 돌출되어 있고, 이 하부피봇축(14)에 피봇지지되는 수차(4)의 보스부에는 상기 하부피봇축(14)이 삽입될 축삽입공(15)이 형성되며, 그 상측에 하부피봇축(14)의 뾰족한 선단부가 지지될 피봇지지부(16)가 형성되어서, 수돗물의 흐름량이 매우 적을 경우에 수차(4)가 미세한 각도로 기울어지면서 하부피봇축(14)의 외주연과 축삽입공(15)의 내주면이 접촉 저항이 커지며, 수차(4)의 하중이 하부피봇축(14)에 작용하게 되어 하부피봇축(14)의 선단부와 피봇지지부(16)와의 마찰저항이 커지므로 수돗물의 흐름량이 적을 경우에는 수차(4)가 제대로 회전하지 못하게 되는 폐단이 있다.
또한, 수차(4)의 회전에 따라 수차(4)의 상부에 형성된 웜(5)과 맞물려 회전하는 웜휠(9)이 원통형 롤러 형태로 형성되어서 웜휠(9)은 중량체로 되고, 이렇게 웜휠(9)이 중량체로 됨에 따라 수돗물의 양이 소량으로 유입되여 수차(4)가 매우 약하게 회전하는 경우에는 웜휠(9)의 회전이 더욱 어렵게 되어 수돗물의 사용량을 센서(11)에 의해 제대로 검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차의 무게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하부피봇축을 수차의 보스부 하측에 하향설치하고 계량기몸체의 바닥면 중심부에 피봇지지부를 설치하여 극히 소량의 수돗물이 흐를 경우에도 수차가 제대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수차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웜휠을 스퍼기어형태로 얇게 형성하면서 다수의 살빼기공을 형성하여 웜휠의 무게를 매우 가볍게 함으로서, 극히 소량의 수돗물이 수도미터기내로 유입되어 수차가 매우 약하게 회전되더라도 수차의 회전량이 웜휠에 정확하게 전달되어 수돗물의 사용량을 정확하게 검침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미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한 계량기몸체와 상기 계량기몸체의 상측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상부커버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몸체의 내측 바닥면 중심부에는 상부 중심부에 피봇지지부를 구비한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에는 보스부 하측에 돌출부 삽입공간부와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의 저면에 하부피봇축이 하향 돌출된 수차가 피봇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차의 상부에는 웜치합용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웜치합용 절개홈의 양측 소정위치에 웜휠지지대가 설치된 기어설치판이 설치되고, 상기 기어설치판의 웜휠지지대에는 3개의 살빼기공이 일정 각도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살빼기공의 사이에는 한 개의 자석과 균형유지부재가 설치된 스퍼기어형태의 웜휠이 웜치합용 절개홈을 관통한 웜과 치합되게 설치되며, 상기 기어설치판의 상부에는 중심부에 피봇지지 셋트스크류가 설치된 피봇지지부가 설치되고 그 일측에 센서관통구멍을 형성한 피봇지지 수차지지상판이 설치되며, 상기 피봇지지 수차지지상판의 상부에는 상기 센서관통구멍을 하향 관통하여 웜휠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가 하향 설치된 센서설치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수도미터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수도미터기의 수차지지부를 도시한 부분발췌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미터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미터기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미터기의 수차지지부를 도시한 부분발췌 단면도.
도 6은 웜휠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의 부분발췌 평면도.
도 7은 웜휠과 센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부분발췌 측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계량기몸체 2 : 유입구 3 : 배출구
4 : 수차 5 : 웜 6 : 커버판
7 : 센서설치판 8 : 센서수장홈 9 : 웜휠
10 : 자석 11 : 센서 12 : 상부커버
13 : 디지탈계량기 14 : 하부피봇축 15 : 축삽입공
16 : 피봇지지부 17 : 상부피봇축 20 : 돌출부
21 : 피봇지지부 22 : 돌출부 삽입공간부 23 : 공간부
24 : 기어설치판 25 : 웜치합용 절개홈 26 : 웜휠
27 : 살빼기공 28 : 균형유지부재 29 : 웜휠지지대
30 : 피봇축 31 : 피봇지지 셋트스크류 32 : 피봇지지부
33 : 센서관통구멍 34 : 센서설치판 35 : 수차지지상판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입구(2)와 배출구(3)를 구비한 계량기몸체(1)의 내측 바닥면 중심부에는 상부 중심부에 피봇지지부(21)를 구비한 돌출부(20)가 형성되며, 상기 피봇지지부(21)에는 피봇지지부(21)의 마모방지와 피봇지지부(21)와 하부피봇축(14)과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인조사파이어로 된 지지구가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차(4)는 보스부 하측에 돌출부(20)가 헐겁게 내삽될 돌출부 삽입공간부(22)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 삽입공간부(22)의 상측에는 공간부(23)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23)의 저면에는 피봇지지부(21)에 피봇지지될 하부피봇축(14)이 하향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차(4)의 상부에는 수차(4)의 상부 웜(5)이 상향 관통되며 웜휠(26)의 하측이 접촉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공간부를 확보토록 하는 웜치합용 절개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웜치합용 절개홈(25)의 양측 소정위치에 웜휠지지대(29)가 설치된 기어설치판(24)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웜휠지지대(29)는 중심부에 웜휠(26)의 피봇축(30)을 피봇지지하는 피봇지지 셋트스크류(31)가 나사식으로 설치되어서 피봇축(30)의 피봇지지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설치판(24)의 웜휠지지대(29)에는 3개의 살빼기공(27)이 일정 각도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살빼기공(27)의 사이에는 한 개의 자석(10)과, 자석(10)의 무게에 의한 쏠림을 방지하며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자석의 비중과 거의 동일하도록 황동으로 된 균형유지부재(28)가 설치된 스퍼기어형태로 두께가 얇은 웜휠(26)이 웜치합용 절개홈(25)을 관통하여 상향 설치된 웜(5)과 치합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기어설치판(24)의 상부에는 중심부에 수차(4)의 상부피봇축(17)을 피봇지지하는 피봇지지 셋트스크류(31)가 나사식으로 설치된 피봇지지부(32)가 설치되고 그 일측에 센서관통구멍(33)을 형성한 수차지지상판(35)이 설치되며, 상기 수차지지상판(35)의 상부에는 상기 센서관통구멍(33)을 하향 관통하여 웜휠(26)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11)가 하향 설치된 센서설치판(3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입구(2)를 통하여 계량기몸체(1)의 내측으로 수돗물이 유입되면 유입되는 수돗물에 의해 수차(4)가 회전하게 되는데, 수차(4)의 보스부 하측에 돌출부 삽입공간부(22)가 움푹 파지게 형성되어 수차(4)의 무게가 대폭 감소되면서 하부피봇축(14)이 하향 설치되어 있으며, 계량기몸체(1)의 바닥면 중심부에 피봇지지부(21)를 설치하여 피봇지지부(21)에 하부피봇축(14)을 안착시켜 회전되면 피봇지지부(21)와 하부피봇축(14)과의 접촉면적이 적으므로 인하여 마찰저항이 감소되어 극히 소량의 수돗물이 흐를 경우에도 수차(4)가 원활하게 회전되게 된다.
또한, 상기 피봇지지부(21)에는 마모방지를 위한 인조사파이어로 된 지지구가 삽입되어 있어서 장기간 수도미터기를 사용하여도 피봇지지부(21)에 설치된 인조사파이어 지지구와 수차(4)의 하부피봇축(14)과의 마모가 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차(4)가 회전하게 되면 수차(4)의 상부에 형성된 웜(5)과 웜휠(26)이 맞물려 있어서 웜휠(26)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웜휠(26)은 무게에 의한 저항을 대폭 감소시키도록 스퍼기어형태로 얇게 형성되면서 3개의 살빼기공(2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돗물의 유입량이 적어 수차(4)가 매우 약하게 회전될 경우에도 수차(4)의 회전력을 정확하게 전달받아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웜휠(26)에는 살빼기공(27)의 사이에 자석(10)이 설치되어 있고 웜휠(26)의 외측에 센서(11)가 설치되어 있어서 웜휠(26)의 회전시 센서(11)는 자력을 감지하게 되며, 웜휠(26)의 회전량에 따라 디지탈계량기(13)에 계수되어 수돗물의 사용량을 정확하게 검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웜휠(26)에는 한개의 자석(10)만 설치되면 웜휠(26)의 무게 균형이 맞지 않아 웜휠(26)이 정확하게 회전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자석(10)의 무게에 대응하여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균형유지부재(28)가 설치되어 웜휠(26)이 원활하게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차(4)의 상부피봇축(17)이 피봇지지부(32)에 나사식으로 체결된 피봇지지 셋트스크류(31)에 피봇 지지되고, 웜휠(26)의 피봇축(30)이 웜휠지지대(29)에 나사식으로 체결된 피봇지지 셋트스크류(31)에 각각 피봇 지지되고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피봇지지 셋트스크류(31)를 풀고 조임에 따라 수차(4)와 웜휠(26)의 피봇지지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차(4)와 웜휠(26)의 피봇지지 상태를 최대로 적절하게 조절하여 각각의 수차(4)와 웜휠(26)이 흔들림이 없이 정숙하게 회전하며, 그로 인하여 극히 소량의 수돗물이 흐를 경우에도 수돗물의 사용량을 정확하게 검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도미터기는, 수차의 무게가 감소될 수 있도록 보스부에 움푹 파인 형상으로 돌출부 삽입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 삽입공간부의 하측에 하부피봇축을 하향 설치하면서 계량기몸체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피봇지지부를 설치하여서 피봇지지부와 하부피봇축과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며, 또한, 수차와 웜휠이 피봇지지 셋트스크류에 의해 피봇지지상태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 해서 수차와 웜휠이 흔들림이 없이 정숙하게 회전되며, 수차의 회전에 의해 웜과 맞물려 회전하는 웜휠이 스퍼기어형태로 얇게 형성되면서 살빼기공까지 형성되어서 웜휠의 무게가 대폭 감소되어 극히 소량의 수돗물이 흐를 경우에도 디지탈계량기에 계수되어 수돗물의 사용량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검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유입구(2)와 배출구(3)를 구비한 계량기몸체(1)와 상기 계량기몸체(1)의 상측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상부커버(12)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몸체(1)의 내측 바닥면 중심부에는 상부 중심부에 피봇지지부(21)를 구비한 돌출부(20)가 형성되고, 돌출부(20)에는 보스부 하측에 돌출부 삽입공간부(22)와 공간부(23)가 형성되고 공간부(23)의 저면에 하부피봇축(14)이 하향 돌출된 수차(4)가 피봇지지토록 설치되며,
    상기 수차(4) 상부에는 웜치합용 절개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웜치합용 절개홈(25)의 양측 소정위치에 웜휠지지대(29)가 설치된 기어설치판(24)이 설치되며,
    상기 기어설치판(24)의 웜휠지지대(29)에는 3개의 살빼기공(27)이 일정 각도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살빼기공(27)의 사이에는 한 개의 자석(10)과 균형유지부재(28)가 설치된 스퍼기어형태의 웜휠(26)이 웜치합용 절개홈(25)을 관통한 웜(5)과 치합되게 설치되며,
    상기 기어설치판(24)의 상부에는 중심부에 피봇지지 셋트스크류(31)가 설치된 피봇지지부(32)가 설치되고 그 일측에 센서관통구멍(33)을 형성한 수차지지상판(35)이 설치되며,
    상기 수차지지상판(35)의 상부에는 상기 센서관통구멍(33)을 하향 관통하여 웜휠(26)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11)가 하향 설치된 센서설치판(3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미터기.
KR1019980028497A 1998-07-11 1998-07-11 수도미터기 KR100250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497A KR100250654B1 (ko) 1998-07-11 1998-07-11 수도미터기
JP29689998A JP3261479B2 (ja) 1998-07-11 1998-10-19 水道メー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497A KR100250654B1 (ko) 1998-07-11 1998-07-11 수도미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859A true KR19990013859A (ko) 1999-02-25
KR100250654B1 KR100250654B1 (ko) 2000-04-01

Family

ID=19544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497A KR100250654B1 (ko) 1998-07-11 1998-07-11 수도미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61479B2 (ko)
KR (1) KR1002506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504B1 (ko) * 2021-07-13 2022-08-08 (주)브이엠에스 자가 발전 방식을 이용한 유속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6382A (zh) * 2019-10-15 2019-12-20 北京星航机电装备有限公司 一种面向多型产品自动化喷涂的精确调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504B1 (ko) * 2021-07-13 2022-08-08 (주)브이엠에스 자가 발전 방식을 이용한 유속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39345A (ja) 2000-02-08
KR100250654B1 (ko) 2000-04-01
JP3261479B2 (ja) 200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3859A (ko) 수도미터기
CN105784012B (zh) 大口径表阀一体式水表
US3053088A (en) Adjustable liquid meter
CN204421967U (zh) 大口径表阀一体式水表
CN104748800A (zh) 高灵敏误差可调的水表
CN204330028U (zh) 具有调节功能的叶轮盒
JPS6315777Y2 (ko)
JP2007178245A (ja) 浄水器
CN110823184A (zh) 一种磁吸式铁塔倾斜在线监测装置
JPH0455699U (ko)
KR200271481Y1 (ko) 유량측정기
JPH0714822Y2 (ja) 流量メータ
CN215810624U (zh) 一种蝶阀阀杆角度检测装置
TWM638392U (zh) 電子式水錶
KR200181239Y1 (ko) 유량감시계
CN109458487A (zh) 一种具有负压传感功能的电液比例阀
JP4148452B2 (ja) 単箱型接線流羽根車式水道メータ
CN217155533U (zh) 一种量杆可调的浮子水位计
JPS5926248Y2 (ja) 流量計
CN218582296U (zh) 一种便于调节流量的截止阀
CN208984166U (zh) 一种油罐量油尺
JPS6315778Y2 (ko)
JPH05180671A (ja) 軸流羽根車式水道メータ
KR0166645B1 (ko) 홀사이즈 측정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KR200267826Y1 (ko) 필터교환 표시기용 유량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