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814A - 디스크 카트리지의 오삽입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디스크 카트리지의 오삽입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814A
KR19990013814A KR1019980028137A KR19980028137A KR19990013814A KR 19990013814 A KR19990013814 A KR 19990013814A KR 1019980028137 A KR1019980028137 A KR 1019980028137A KR 19980028137 A KR19980028137 A KR 19980028137A KR 19990013814 A KR19990013814 A KR 19990013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drive
shell
recording medium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아끼 구마가이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13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81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436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with opening mechanism of the cartridge shut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0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or absence of record in accessible stored position or on turnta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1Wrong insertion prevent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3Container cases
    • G11B23/0316Constructional details, e.g. sh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2Floppy disk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디스크 카트리지는 일측면 및 개구를 갖는 쉘과, 개구를 폐쇄하는 제1위치와 개구를 개방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일측면을 따라 활주가능하게 쉘에 장착된 셔터와, 셔터의 활주 영역 외측의 일부분에 쉘의 일측면에 배열되고 드라이브의 오삽입 방지 부재의 도입을 허용하는 리세스를 갖는 오삽입 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크 카트리지의 오삽입 방지 구조
본 발명은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높은 저장 능력을 갖는 플로피 디스크 등의 디스크용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38 및 도39에서, 공지의 3.5인치 마이크로 플로피 디스크 카트리지(201) 또는 제1포맷의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2)와, 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2)를 회전식으로 수용하는 쉘(203)과, 쉘(203)의 상반부 및 하반부에 형성된 헤드 개구(203a)를 폐쇄하도록 쉘(203)에 활주식으로 장착된 셔터(204)를 포함한다.
쉘(203)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장방형 평행 육면체로 형성되고, 제1드라이브(301)의 카트리지 홀더(302)에의 삽입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전방 단부면(203b)을 갖고 있다. 홈(203c)은 셔터(204)의 일단(204a)에 접촉한 카트리지 홀더(302)의 셔터 개방 부재(303)의 돌기(309)를 만들도록 전방 단부면(203b)에 형성된다. 또한, 경사부(203e)는 전방 단부면(203b)의 일단에서 그 모서리부를 경사식으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용 제1드라이브는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를 그 안에 삽입된 채로 유지하고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셔터(204)를 개방하도록 카트리지 홀더(302)에 장착된 셔터 개방 부재(303)를 삽입 위치와 로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카트리지 홀더(302)와, 카트리지 홀더(302)를 상승시키는 리프팅 부재(304)와, 리프팅 부재(304)를 카트리지 홀더 리프팅 위치에 로크하는 트리거 레버 또는 로크 레버(305)와, 카트리지 홀더(302) 내에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가 정상 위치에 삽입되었을 때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로딩을 허용하도록 경사부(203e)와 협동하는 오삽입 방지 부재(306)를 포함한다.
도40에서, 셔터 개방 부재(303)는 섀시(308)에 회전식으로 장착된 일단과 셔터 결합 돌기(309)에 일체화된 타단 또는 자유단을 갖는다. 셔터 개방 부재(303)는 셔터 결합 돌기(309) 근처에 트리거 레버(305)를 형성하고 있다. 토션 코일 스프링(310)으로부터 토크를 수용하는 셔터 개방 부재(303)는 셔터 결합 돌기(309)가 카트리지 홀더(302)에 삽입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홈(203c)에 도입되도록 설정되고, 트리거 레버(305)는 리프팅 부재(304)의 레버 결합부(304a)에 결합되도록 위치한다.
토션 코일 스프링의 형태인 오삽입 방지 부재(306)는 카트리지 홀더(302)의 상측면 상에 배열된 제1 스프링 결합부(302a)에 결합된 코일(306a)을 포함한다. 코일(306a)은 일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카트리지 홀더(302)의 상측면 상에 배열된 제2 스프링 결합부(302b)에 결합된 제1아암(306b)과, 일측면을 따라 카트리지 홀더(302)의 카트리지 개구로 연장되고 카트리지 접점(306d)을 형성하도록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만곡된 단부를 갖는 제2아암(306c)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접점(306d)은 카트리지 홀더(302)에 삽입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경사부(203e)에 접촉하도록 카트리지 홀더(302)의 상측면에 형성된 리세스(302c)를 통해서 카트리지 홀더(302)에 도입된다.
제1드라이브(301)를 사용하여 도41에 도시된 것처럼 카트리지 홀더(302) 내에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가 정상 위치에 삽입되면, 오삽입 방지 부재(306)의 제2아암(306c)의 카트리지 접점(306d)은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경사부에 접촉하고,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홀더(302) 내에 더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의 외측으로 회전한다.
도42에서, 카트리지 홀더(302) 내에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를 더 삽입하면, 셔터 개방 부재(303)의 셔터 결합 돌기(309)가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전방 단부면에 형성된 홈(203c)에 도입되고 셔터(204)의 일단(204a)에 접촉하게 된다.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를 더 삽입하면, 셔터 개방 부재(303)가 셔터(204)를 개방하도록 토션 코일 스프링(310)의 힘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도43에서, 셔터(204)가 개방되면 곧바로 트리거 부재(305)와 리프팅 부재(304)의 레버 결합부(304a)와의 결합이 해제되어서 리프팅 부재(304)가 카트리지 홀더(302)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편향 스프링의 힘에 의해 활주되고(도시 생략)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2)를 스핀들 상에 고정하게 된다.
한편, 도44에서 제1장치(301)의 카트리지 홀더(302) 내에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가 정상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삽입되면, 오삽입 방지 부재(306)의 카트리지 접점(306d)은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경사부(203e)에 접촉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외측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오삽입 방지 부재(306)의 제2아암(306c)은 신장 상태로 되어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홀더(302)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38 및 도40 내지 도4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용 제1드라이브(301) 외에도 도45 내지 도5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드라이브도 공지되어 있다.
제1드라이브(301)에 의해 구동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는 쉘(203)의 전방 단부면(203b)의 일부에 셔터 개방 부재(303)의 셔터 결합 돌기(309)를 도입하기 위한 오목부(211)를 갖고 있으며, 이 오목부는 셔터 폐쇄 시에 셔터(204)에 의해 폐쇄되고 셔터 개방 시에 외측에 면한다.
제1드라이브(301)는 셔터 결합 돌기(309)를 갖는 셔터 개방 부재(303)와 이와 별도로 배열된 트리거 레버(305)를 포함한다. 도45 내지 도54에 도시된 것처럼 제1드라이브(301)는 도39 내지 도4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체식 트리거 형태의 제1드라이브용의 분리식 트리거 형태의 제1드라이브로 불린다.
도47에서, 셔터 개방 부재(303)는 축(307)에 의해 카트리지 홀더(302)에 회전식으로 장착된 일단과, 셔터 결합 돌기(309)를 형성하고 있는 타단 또는 자유단을 갖고 있다. 셔터 개방 부재(303)는 셔터 결합 돌기(309)가 카트리지 홀더(302)의 상측면에 형성된 원형의 긴 구멍(302d)의 일단에 접촉하도록 코일 스프링(311)으로부터 토크를 수용한다.
한편, 트리거 레버(305)는 축(321)에 의해 섀시(308)에 회전식으로 장착된 일단과, 리프팅 부재(304)에 결합된 결합부(322)를 형성하고 있는 타단 또는 자유단을 갖고 있다. 트리거 레버(305)는 결합부(322) 근처에 카트리지 홀더(302)에 삽입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전방 단부면에 의해 가압된 가압부(323)를 형성하고 있다. 트리거 레버(305)는 결합부(322)를 리프팅 부재(304)의 레버 결합부(304a)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토션 코일 스프링(324)으로부터 토크를 수용한다.
도48 및 도49에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가 분리식 트리거 형태의 제1드라이브에 삽입되면, 제1드라이브(301)의 셔터 개방 부재(303)의 셔터 결합 돌기(309)는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전방 단부면에 형성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홈(203c)에 도입되어 셔터(204)의 일단(204a)에 접촉하게 된다.
도50 및 도51에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를 더 삽입하면 셔터 개방 부재(303)는 셔터(204)를 개방하도록 코일 스프링(311)의 힘에 대하여 회전된다. 셔터(204)가 개방되면, 셔터 결합 돌기(309)는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전방 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211)에 면하고,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는 셔터 결합 돌기(309)가 오목부(211)에 도입된 상태에서 카트리지 홀더(302)에 더 삽입된다. 도52 및 도53에서, 쉘(203)의 전방 단부면은 토션 코일 스프링(324)의 힘에 대하여 트리거 레버(305)를 회전시키도록 트리거 레버(305)의 가압부(323)를 가압한다. 따라서, 결합부(304)와 리프팅 부재(304)의 레버 결합부(304a)와의 결합이 해제되어서, 제거된 트리거 레버(305)에 의해 로크된 리프팅 부재(304)가 카트리지 홀더(302)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편향 스프링의 힘에 의해 활주되고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디스크 기록 매체(202)를 스핀들 상에 고정하게 된다.
한편, 도54에서 제1드라이브(301)의 카트리지 홀더(302) 내에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를 정상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삽입하면,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오목부(211)가 셔터 개방 부재(303)의 셔터 결합 돌기(309)에 대응하게 위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셔터 개방 부재(303)의 스토퍼 기능에 기인하여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홀더(302) 내에 더 삽입될 수 없어서 트리거 레버(305)의 가압부(323)를 가압할 수 없게 되어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오삽입을 방지하게 된다.
적용 분야를 디스크 카트리지 등의 기록 매체 카트리지의 구면으로 확장하게되면, 제1포맷의 공지의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의 저장 용량보다 많이 더 큰 저장 용량을 갖는 제2포맷의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얻는 데에는 더 많은 요건이 필요하다. 제2 드라이브는 제1 또는 부 기록 매체 카트리지의 기록/재생을 허용할 것이 요구되는데, 즉 종속 적합성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제1드라이브는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의 삽입을 허용하지 않는다.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는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만큼 높은 수회 내지 수 십회의 속도로 회전해야 하며, 따라서 변경된 표면 조도 및 두께를 갖는 자기 필름과 변경된 기록 포맷을 갖는다. 따라서,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의 데이터는 제1드라이브에 의해서는 판독될 수 없다.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없기 때문에 제1드라이브는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수용할 때 포맷팅을 다시 수행하도록 기록 매체 상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것을 부정적으로 판단하여 기록된 데이터를 삭제하게 된다.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의 쉘에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의 쉘을 사용할 때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는 제1드라이브에 로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및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의 로딩을 허용하는, 즉 종속 적합성을 갖는 제2드라이브와,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의 로딩을 허용하지 않는 제1드라이브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평평한 장방형 평행 육면체 형상을 취하고 일측면과 개구를 갖는 쉘과, 쉘에 장착되고 개구를 폐쇄하게 되는 제1위치와 개구를 개방하게 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일측면을 따라 활주가능한 셔터와, 셔터의 활주 영역 외측의 일부분에서 쉘의 상기 일측면에 배열되고 드라이브의 오삽입 방지 부재의 도입을 허용하는 리세스를 갖는 오삽입 방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제1포맷의 기록 매체를 갖춘 제1카트리지와, 제1카트리지용으로 배열된 제1드라이브와, 제2포맷의 기록 매체를 갖춘 제2카트리지와, 제1 및 제2 카트리지용으로 배열된 제2드라이브와, 제1카트리지에 배열되고 제1카트리지가 제1드라이브 내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카트리지의 전방 단부면의 모서리부에 배열된 경사부 형태를 취하고 제1카트리지가 정상 위치에 삽입되었을 때 제1카트리지가 제1드라이브 내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장치와, 제2카트리지 및 제2드라이브에 배열되고 제2카트리지가 제2드라이브 내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카트리지의 전방 단부면에 있는 것으로 제1카트리지의 모서리부에 대응하는 홈부를 포함하고 제1카트리지가 정상 위치에 삽입되었을 때 제1카트리지가 제2드라이브에 로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1장치와 협동하고 제2카트리지가 정상 위치에 삽입되었을 때 제2카트리지가 제2드라이브에 로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2카트리지의 홈부와 협동하는 제2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제1포맷의 기록 매체를 갖춘 제1카트리지와 제2포맷의 기록 매체를 갖춘 제2카트리지용 드라이브로서, 카트리지를 유지하여 이를 삽입 위치와 로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카트리지 홀더와, 카트리지 홀더에 회전식으로 장착되고 돌기를 형성하고 있는 오삽입 방지 부재와, 오삽입 방지 부재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이를 편향시키는 편향 수단을 포함하며, 제1카트리지가 드라이브 내에 정상 위치에 삽입되면 오삽입 방지 부재의 돌기가 제1카트리지의 경사 모서리부에 맞물려서 제1카트리지가 드라이브에 로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오삽입 방지 부재를 편향 수단에 대하여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제2카트리지가 드라이브 내에 정상 위치에 삽입되면 오삽입 방지 부재의 돌기가 제1카트리지의 경사 모서리부에 대응하지만 이와는 다른 형상을 취하고 제2카트리지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홈 안에 삽입되어 제2카트리지가 드라이브에 로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브가 마련된다.
도1은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 및 제2드라이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셔터가 폐쇄된 상태의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1과 유사한 사시도.
도3은 셔터가 개방된 상태의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2와 유사한 사시도.
도4는 쉘을 도시한 평면도.
도5는 쉘을 도시한 정면도.
도6은 쉘을 도시한 확대 단편 평면도.
도7은 쉘을 도시한 확대 단편 정면도.
도8은 도6의 선 VIII-V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9는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10은 상반부를 도시한 확대 단편 사시도.
도11은 하반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10과 유사한 사시도.
도12는 오삽입 방지부의 제1 변경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6과 유사한 평면도.
도13은 오삽입 방지부의 제1 변경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7과 유사한 정면도.
도14는 도12의 선 XIV-XIV을 따라 취한 것으로 도8과 유사한 단면도.
도15는 오삽입 방지부의 제2 변경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12와 유사한 평면도.
도16은 오삽입 방지부의 제2 변경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13과 유사한 정면도.
도17은 도15의 선 XVII-XVII를 따라 취한 것으로 도14와 유사한 단면도.
도18은 제2드라이브를 도시한 것으로 도9와 유사한 사시도.
도19는 제2드라이브를 도시한 것으로 도10과 유사한 사시도.
도20은 오삽입 방지 부재 및 토일 스프링이 장착된 제2드라이브를 도시한 것으로 도19와 유사한 사시도.
도21은 카트리지 홀더를 도시한 측면도.
도22는 제2드라이브에 적절하게 삽입된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15와 유사한 평면도.
도23은 제2드라이브에 적절하게 삽입된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22와 유사한 평면도.
도24는 제2드라이브에 적절하게 삽입된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23과 유사한 평면도.
도25는 카트리지 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도4와 유사한 평면도.
도26은 트리거 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도25와 유사한 평면도.
도27은 제2드라이브에 부적절하게 삽입된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24와 유사한 평면도.
도28은 일체식 트리거 형태인 제1드라이브에 적절하게 삽입된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27과 유사한 평면도.
도29는 분리식 트리거 형태인 제1드라이브에 적절하게 삽입된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28과 유사한 평면도.
도30은 분리식 트리거 형태인 제1드라이브에 적절하게 삽입된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29와 유사한 평면도.
도31은 일체식 트리거 형태인 제1드라이브에 부적절하게 삽입된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30과 유사한 평면도.
도32는 분리식 트리거 형태인 제1드라이브에 부적절하게 삽입된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31과 유사한 평면도.
도33은 제2드라이브에 부적절하게 삽입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32와 유사한 평면도.
도34는 제2드라이브에 적절하게 삽입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33과 유사한 평면도.
도35는 제2드라이브에 적절하게 삽입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34와 유사한 평면도.
도36은 제2드라이브에 부적절하게 삽입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35와 유사한 평면도.
도37a 내지 도37c는 오삽입 방지 부재의 변경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26과 유사한 평면도.
도38은 공지의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 및 제1드라이브를 도시한 것으로 도3과 유사한 사시도.
도39는 공지의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37c와 유사한 평면도.
도40은 공지의 제1드라이브를 도시한 것으로 도18과 유사한 사시도.
도41은 공지의 제1드라이브에 적절하게 삽입된 공지의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36과 유사한 평면도.
도42는 공지의 제1드라이브에 적절하게 삽입된 공지의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41과 유사한 평면도.
도43은 공지의 제1드라이브에 적절하게 삽입된 공지의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42와 유사한 평면도.
도44는 공지의 제1드라이브에 부적절하게 삽입된 공지의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43과 유사한 평면도.
도45는 공지의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 및 제1드라이브를 도시한 것으로 도38과 유사한 사시도.
도46은 공지의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39와 유사한 평면도.
도47은 공지의 제1드라이브를 도시한 것으로 도40과 유사한 사시도.
도48은 공지의 제1드라이브에 적절하게 삽입된 공지의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44와 유사한 평면도.
도49는 공지의 제1드라이브에 적절하게 삽입된 공지의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48과 유사한 평면도.
도50은 공지의 제1드라이브에 적절하게 삽입된 공지의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49와 유사한 평면도.
도51은 공지의 제1드라이브에 적절하게 삽입된 공지의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50과 유사한 평면도.
도52는 공지의 트리거 레버를 도시한 것으로 도46과 유사한 평면도.
도53은 공지의 트리거 레버를 도시한 것으로 도52와 유사한 평면도.
도54는 공지의 제1드라이브에 부적절하게 삽입된 공지의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51과 유사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
2: 디스크형 기록 매체
3: 쉘
4: 셔터
11: 오삽입 방지부
12: 홈
12c: 연결벽
12d: 경사부
13: 모서리부
101: 드라이브
102: 카트리지 홀더
103: 셔터 개방 부재
104: 리프팅 부재
105: 트리거 부재
111: 오삽입 방지 부재
131: 섀시
142: 셔터 결합 돌기
143: 코일 스프링
153: 로크
162: 방출 레버
도1에서, 제2포맷의 디스크 또는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는 제2드라이브(101)에 의해 구동된다.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와, 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를 회전식으로 수용하고 평평한 장방형 평행 육면체로 형성된 쉘(3)과, 쉘(3)에 형성된 헤드 개구(36)를 폐쇄하도록 쉘(3)의 일측면을 따라 이에 활주식으로 장착된 셔터(4)를 포함한다.
쉘(3)은 드라이브(101)의 오삽입 방지 부재(111)의 도입을 허용하기 위한 홈(12)을 형성한 오삽입 방지부(11)를 셔터(4)의 활주 영역 외측의 일부분에서 일측면 상에 갖고 있다.
제2드라이브(101)는 제1(또는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 또는 201)를 그 안에 삽입된 채로 유지하고 이를 삽입 위치와 로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카트리지 홀더(102)와, 기록 매체 카트리지(1)의 셔터를 개방하도록 섀시(131)에 장착된 셔터 개방 부재(103)와, 카트리지 홀더(102)를 상승시키는 리프팅 부재 또는 활주판(104)과, 리프팅 부재(104)의 로크를 제거하도록 카트리지 홀더(102) 안에 삽입된 기록 매체 카트리지(1)의 전방 단부면에 의해 가압된 트리거 부재(105)와, 카트리지 홀더(102)의 상측면에 회전식으로 장착되고 돌기(111a)가 그 안에 도입되어 있는 오삽입 방지 부재(111)와, 오삽입 방지 부재(111)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이를 편향시키는 코일 스프링(112)을 포함한다.
도2 및 도3에서,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의 쉘(3)은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셔터 폐쇄 시에 셔터(4)에 의해 폐쇄되고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셔터(4)를 제거함으로써 셔터 개방 시에 외측에 면하는 부분(3b)을 일측면(3a) 상에 갖고 있다. 이 부분(3b)은 도4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오목부(211)와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같은 높이로 되어 있다. 셔터 폐쇄 시에 셔터(4)에 의해 폐쇄되고 셔터 개방 시에 외측에 면하는 부분(3b)을 갖는 쉘(3)의 일측면(3a)은 드라이브 안으로의 삽입 방향(A)에서 보았을 때 전방 단부면에 대응한다.
오삽입 방지부(11)는 쉘(3)의 일측면(3a)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한쌍의 제1 및 제2 측벽(12a, 12b)과 이들 제1 및 제2 측벽(12a, 12b)을 연결하는 연결벽(12c)으로 형성된 홈(12)과, 제1측벽(12a) 외측에서 일측면(3a)의 모서리부에 배열된 모서리부(13)에 의해 형성된다.
홈(12)은 쉘(3)의 일측면(3a)으로부터 다른 측면(3c)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평행 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쉘(3)의 일측면(3a)의 모서리부에 배열된다.
도6에서, 모서리부(13)는 연결벽(12c)의 측면에 단부, 즉 기부(13a)를 갖는데, 이 기부는 기부(13a)를 보강하도록 일측면(3a)의 측면 상에 있는 단부, 즉 헤드(13b)보다 폭이 넓다.
홈(12)을 구성하고 모서리부(13)에 대향하게 위치한 두개의 측벽(12a, 12b)의 제2측벽은 홈(12)의 오삽입 방지부(11)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보장하는 경사부(12d)를 형성하도록 모따기 가공된 단부를 일측면(3a)의 측면에 갖고 있다.
도4 내지 도8에서, 오삽입 방지부(11)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쉘(3)에 형성되고 일측면(3a)에 수직한 위치결정 기준 구멍(3d)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1기준선(cl1)에 대하여, 일측면(3a)의 측면 상의 경사부(12d)의 단부에 대한 거리(L1)는 79.5 ± 0.20 mm이고, 연결벽(12c)의 측면 상의 경사부(12d)의 단부, 즉 제2측벽(112b)에 대한 거리(L2)는 80.0 ± 0.15 mm이고, 연결벽(12c)의 측면 상의 기부(13a)의 단부에 대한 거리(L3)는 82.6 ± 0.15 mm이고, 일측면(3a)의 측면 상의 기부(13a)의 단부, 즉 제1 측벽(12a)에 대한 거리(L4)는 83.1 ± 0.15 mm이다.
또한, 위치결정 기준 구멍(3d)의 중심을 통과하고 일측면(3a)에 평행한 기준선(cl2)에 대하여, 홈(12)의 연결벽(12c)에 대한 거리(L5)는 11.2 ± 0.50 mm이고, 제1측벽(12a)의 측면 상에 있는 기부(13a)의 단부에 대한 거리(L6)는 12.5 ± 0.20 mm이고, 연결벽(12c)의 측면 상의 경사부(12d)의 단부에 대한 거리(L7)는 15.5 ± 0.25 mm이고, 쉘(3)의 일측면(3a)에 대한 거리(L8)는 17.5 ± 0.20 mm이다.
경사부(12d)와 일측면(3a)과의 연결부는 0.5 ± 0.1 mm의 반경(R1)을 갖는 원형면을 포함하고, 경사부(12d)와 제2측벽(12b)과의 연결부는 0.1 ± 0.1 mm의 반경(R2)을 갖는 원형면을 포함한다. 또한, 제2측벽(12b)과 연결벽(12c)과의 연결부는 0.5 ± 0.1 mm의 반경(R3)을 갖는 원형면을 포함하고, 제1측벽(12a)과 일측면(3a)과의 연결부와 제1측벽(12a)에 대향한 모서리부(13)의 외측 표면(13c)과 일측면(3a)과의 연결부는 0.5 ± 0.1 mm의 반경(R4)을 갖는 원형면을 포함한다.
도7에서, 홈(12)의 바닥부에 배열된 보강부(14)의 두께(T)는 최대 0.8 mm이다. 모서리부(13)의 외측 표면(13c)과 이의 각각의 상부측 및 하부측(13d, 13e)과의 연결부는 0.5 ± 0.1 mm의 반경(R5)을 갖는 원형면을 포함한다. 도8에서, 홈(12)의 제2측벽(12a)과 모서리부(13)의 상부측(13d)과의 연결부는 0.2 mm 이하의 반경(R6)을 갖는 원형면을 포함한다.
도9에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는 신호 기록층을 갖는 합성 수지 시트 또는 자성 시트(21)와 이의 중심에 배열된 금속 중심 허브(22)를 포함한다.
쉘(3)은 열경화성 합성 수지로 제조된 상반부 및 하반부(31, 32)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반부 및 하반부(31, 32)는 한쌍의 측벽(12a, 12b)과, 오삽입 방지부(11)의 홈(12)을 구성하는 연결벽(12c)을 갖는다. 상반부(31)의 측벽(12a, 12b) 및 연결벽(12c)이 쉘(3)의 두께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연장되는 반면에, 하반부(32)의 측벽(12a, 12b) 및 연결벽(12c)은 쉘(3)의 두께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측벽(12a, 12b) 및 연결벽(12c)의 바닥부는 보강을 위하여 벽(14)에 의해 연결된다.
각각의 상반부 및 하반부(31, 32)는 드라이브 내의 삽입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전방 단부면에서 외측 표면상에 있는 셔터 활주 영역(33) 및 내측 표면에 있는 디스크 격실(34)을 갖고 있으며, 그 내측 표면은 라이너(35)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 개구(36)는 각각의 상반부 및 하반부(31, 32)의 셔터 활주 영역(33)의 일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다. 스핀들 개구(37)는 하반부(37)의 디스크 격실(34)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기록 매체(2)를 디스크 격실(34)에 수용하면, 중심 허브(22)가 스핀들 개구(37)에 면하고, 합성 수지 시트(21)의 신호 기록층이 헤드 개구(36)에 면한다.
쉘(3)은 주연 벽(38)과 서로에 대향하게 배열되어 초음파 용접된 상반부 및 하반부(31, 32)의 리브(39)에 의해 평평한 장방형 박스의 형태로 형성된다.
셔터(4)는 상반부 및 하반부(31, 32)의 외측 표면상에 위치한 상부판 및 하부판(41, 42)과 이들 판을 연결하는 연결판(43)에 의해 C형으로 형성된다. 셔터(4)는 쉘(3)의 상반부 하반부(31, 32)가 상부판 및 하부판(41, 42)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셔터 활주 영역(33)에 활주식으로 배열된다.
토션 코일 스프링(44)에 의해 편향된 셔터(44)는 상부판 및 하부판(41, 42)에 의해 쉘(3)의 상반부 및 하반부(31, 32)의 헤드 개구(36)를 폐쇄하도록 셔터 활주 영역(33)의 일측면에 대하여 가압된다.
도12 내지 도14는 오삽입 방지부(11)의 제1 변경예를 도시한다. 이 변경예에서, 오삽입 방지부(11)의 홈(12)을 구성하는 측벽(12a, 12b) 및 연결벽(12c)은 상반부 및 하반부(31, 32)의 두께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홈(12)의 깊이(D)는 홈(12)과 그 안에 삽입된 오삽입 방지 부재(111)의 하단부 사이의 간격(C; 도21)을 확대시키도록 증가되어 홈(12) 내에서의 오삽입 방지 부재(111)의 매끄러운 활주를 얻게 된다.
도15 내지 도17은 오삽입 방지부(11)의 제2변경예를 도시한다. 이 변경예에서, 오삽입 방지부(11)는 모서리부(13)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홈(12)의 폭(W)은 오삽입 방지부(11)를 홈(12)에 용이하게 확실하게 도입하도록 증가된다.
제2드라이브(101)를 가짐으로써, 도18에서 카트리지 홀더(102)는 카트리지 홀더(102)의 양 측면 상에 배열된 안내 돌기(121)를 섀시(131)에 형성된 안내 홈(132)에 삽입함으로써 섀시(131)에 수직 이동식으로 장착된다. 카트리지 홀더(102)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으로부터의 하방력을 수용한다. 원통형 돌기(122)는 그 양 측면 상에 카트리지 홀더(102)를 갖고 배열되고, 나중에 설명하는 것처럼 리프팅 부재(104)의 경사면(163) 상에 장착된다.
셔터 개방 부재(103)는 축(41)에 의해 섀시(131)에 회전식으로 장착된 일단과 셔터 결합 돌기(142)를 형성하고 있는 타단 또는 자유단을 갖고 있다. 셔터 결합 돌기(142)는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전방 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211)에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보다 크게 되어 있다.
토션 코일 스프링(143)으로부터의 토크를 수용하는 셔터 개방 부재(103)는 셔터 결합 돌기(142)가 카트리지 홀더(102) 안에 삽입된 기록 매체 카트리지의 홈(3e) 안에 도입되게 되는 위치에 설정된다.
리프팅 부재(104)는 섀시(131)의 상부측에 활주식으로 장착된다. 리프팅 부재(104)는 나중에 설명하는 것처럼 트리거 부재(105)의 결합부 또는 로크(153)에 결합된 결합 또는 로크 부분(161)을 형성하고 있는 일단 및 방출 레버(162)를 형성하고 있는 타단을 활주 방향으로 갖고 있다. 또한, 리프팅 부재(104)는 활주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그 양 측면 상에 카트리지 홀더(102)의 양 측면에 배열된 원통형 돌기(12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경사 레그(163)를 갖고 있다. 경사 레그(163)는 원통형 돌기(122) 또는 카트리지 홀더(102)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한다.
리프팅 부재(104)는 카트리지 홀더(102)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 즉 경사 레그(163)의 하단부가 원통형 돌기(122)에 대응하는 방향 또는 도18에 도시된 화살표(A)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164, 164)으로부터의 활주력을 수용한다. 리프팅 부재(104)를 코일 스프링(164)의 힘에 대하여 활주시키도록 방출 레버(162)를 가압함으로써 경사 레그(163)가 카트리지 홀더(102)를 삽입 위치로 상방 이동시킨다.
트리거 부재(105)는 셔터 개방 부재(104)에 일체로 되어 있다. 트리거 부재(105)는 셔터 개방 부재(104)의 축(141)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고, 리프팅 부재(104)의 결합부(161)에 결합된 결합부(153)를 내측 주연면 상에 갖고 있다.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트리거 부재(105)를 가짐으로써, 카트리지 홀더(102)를 삽입 위치로 상방 이동시키기 위해 리프팅 부재(104)를 코일 스프링(164)의 힘에 대하여 활주시키도록 방출 레버(162)를 가압함으로써 결합부(153)가 리프팅 부재(104)의 결합부(161)에 결합되어 카트리지 홀더(102)가 삽입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리프팅 부재(104)를 로크하게 된다. 셔터(4)를 개방하기 위하여 셔터 개방 부재(103)를 토션 코일 스프링(143)의 힘에 대하여 회전시키도록 전방 단부면에 의해 셔터 결합 돌기(142)를 가압하도록 카트리지 홀더(102) 내에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삽입하면, 트리거 부재(105)의 결합부(153)와 결합부(161)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리프팅 부재(104)용 로크를 제거하게 된다.
오삽입 방지 부재(111)는 카트리지 홀더(102) 내의 삽입 방향에서 보았을 때 최내측 부분의 일단에서 카트리지 홀더(102)의 상부측 상에 장착된다. 오삽입 방지 부재(111)는 가압 작동을 받는 금속판을 포함하고, 카트리지 홀더(102) 안에 도입되는 돌기(111a)를 형성하고 있은 중심부와, 지지 구멍(111b)을 형성하고 있는 일단과, 스프링 결합부(111c)를 형성하고 있는 타단을 갖고 있다.
지지 구멍(111b) 안에 삽입된 카트리지 홀더(102)의 상부측에 배열된 축(115)을 카트리지 홀더(102)의 상부측 상에 배열된 지지 돌기(113, 114) 상에 배치함으로써, 오삽입 방지 부재(111)는 축(115)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카트리지 홀더(102)의 상부측 상에 장착된다. 돌기(111a)는 하방 연장되고 거의 V형으로 만곡된 단부를 갖는 오삽입 방지 부재(111)의 일측면을 포함한다. 돌기(111a)는 그 안에 형성된 리세스(116)를 통해서 카트리지 홀더(102)에 도입된다. 스프링 결합부(111c)는 상방 연장되는 오삽입 방지 부재(111)의 또 다른 측면을 포함한다.
오삽입 방지 부재(111)에 토크를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112)은 오삽입 부재(111)의 스프링 결합부(111c)에 결합된 일단과, 카트리지 홀더(102)의 일단에 배열된 스프링 결합부(117)에 결합된 타단을 갖고 있다. 코일 스프링(112)은 토크를 도20에 도시된 것처럼 제1방향, 또는 축(11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오삽입 방지 부재(111)에 제공한다.
코일 스프링(112)으로부터 제1방향으로의 토크를 수용하는 오삽입 방지 부재(111)는 카트리지 홀더(102)가 더 회전되지 않도록 카트리지 홀더의 리세스(116)의 일단(116a)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제2드라이브(101)의 카트리지 홀더(102) 내에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를 정상 위치에 삽입하면, 오삽입 방지 부재(111)의 돌기(111a)가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의 오삽입 방지부(11)의 홈(12) 안에 도입된다.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를 정상 위치에 삽입하면, 오삽입 방지 부재(111)의 돌기(111a)가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경사부(203e)에 접촉한다. 도18에서 171은 스핀들, 172는 자기 헤드, 173은 헤드 캐리지이다.
다음에는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 및 제2드라이브(10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를 제2드라이브(101) 안에 삽입할 때:
A) 정상 위치 삽입 시:
도22 내지 도24에서,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를 제2드라이브(101)의 카트리지 홀더(102) 안에 삽입하면 셔터 개방 부재(103)의 셔터 결합 돌기(142)가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의 전방 단부면에 형성된 홈(3e)에 도입된다. 따라서, 셔터 개방 부재(103)는 셔터 결합 돌기(142)에 의해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의 셔터(4)를 개방하도록 토션 코일 스프링(143)의 힘에 대하여 회전된다.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를 카트리지 홀더(102) 안에 더 삽입하면, 카트리지 홀더(102)의 오삽입 방지 부재(111)의 돌기(111a)가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의 오삽입 방지부(11)의 홈(12) 안에 도입된다. 도25 및 도26에서, 돌기(111a)가 홈(12)의 최내측부에 도달하면 셔터(4)는 셔터 개방 부재(103)에 의해 개방된다. 이와 동시에, 트리거 부재(105)의 결합부(153)와 리프팅 부재(104)의 결합부(161)와의 결합은 트리거 부재(105)에 의해 리프팅 부재(104)의 로크를 제거하도록 해제된다. 따라서, 리프팅 부재(104)는 카트리지 홀더(102)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코일 스프링(164)의 힘에 의해 활주하여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의 중심 허브(22)를 제2드라이브(101)의 스핀들(171) 상에 위치시킨다.
B) 전도 삽입 또는 반전 삽입 등의 오삽입 시:
도27에서,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가 카트리지 홀더(102) 안에 부적절하게 삽입되면,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의 단부면의 일부가 홈(12)이 아닌 오삽입 방지부(11)의 돌기(111a)의 헤드에 접촉하게 되어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가 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2)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를 제1드라이브(301) 안에 삽입할 때:
A) 정상 위치 삽입 시:
도28에서, 제2 기록 매체를 제1드라이브(301)의 카트리지 홀더(302) 안에 삽입하면, 제1드라이브(301)에 배열된 토션 코일 스프링(306) 형태인 오삽입 방지 부재(306)의 제2아암(306c)이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의 오삽입 방지부(11)의 홈(12) 안에 도입된다. 홈(12)의 제1 및 제2 측벽(12a, 12b)에 기인하여, 홈(12)에 도입된 제2아암(306c)이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의 외측으로 회전할 수 없고, 신장 상태로 되어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홀더(302) 안에 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29 및 도30을 참조하여 분리식 트리거형 드라이브(301)에 제2기록 매체 카트리지(1)를 삽입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셔터 폐쇄 시에 셔터(4)에 의해 폐쇄되고 셔터 개방 시에 외측에 면하는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의 일측면 부분(3b)은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오목부(211)에 대응하는 부분, 즉 도30의 폐쇄된 해칭부와 전체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된다.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를 분리식 트리거형의 제1드라이브(301)의 카트리지 홀더(302) 안에 삽입하면, 제1드라이브(301)의 셔터 개방 부재(303)의 셔터 결합 돌기(309)가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의 전방 단부면에 형성된 홈(3e) 안에 도입된다. 셔터 개방 부재(303)는 셔터 결합 부재(309)에 의해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의 셔터를 개방하도록 토션 코일 스프링의 힘에 대하여 회전된다. 셔터(4)가 완전히 개방되면 셔터 개방 부재(303)의 회전이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에 의해 방지되어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가 카트리지 홀더(302) 안에 더 삽입될 수 없게 한다. 따라서, 제1드라이브(301)의 트리거 레버(305)의 가압부(323)는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의 전방 단부면에 의해 가압되지 않아서 리프팅 부재(304)의 로크가 트리거 레버(305)에 의해 제거되지 않게 된다.
B) 전도 삽입 또는 반전 삽입 등의 오삽입 시:
도31에서,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가 제1드라이브(301) 안에 부적절하게 삽입되면, 제1드라이브(301)의 오삽입 방지 부재(306)의 제2아암(306c)의 헤드가 홈(12)이 아닌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의 단부면의 일부분에 접촉하게 되어 제2아암(306c)이 신장 상태로 되어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가 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가 분리식 트리거형 제1드라이브(301) 안에 부적절하게 삽입되면, 셔터 개방 부재(302)는 이의 회전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스토퍼에 접촉하기 전에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의 삽입을 허용한다. 셔터 개방 부재(302)가 이의 회전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스토퍼에 접촉한 후에,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가 카트리지 홀더(302) 안에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트리거 레버(305)의 가압부가 가압되는 것을 방지한다.
3)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를 제2드라이브(101) 안에 삽입 할 때:
A) 정상 위치 삽입 시:
도33에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가 제2드라이브(101)의 카트리지 홀더(102) 안에 삽입되면, 셔터 개방 부재(103)의 셔터 결합 돌기(142)가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전방 단부면에 형성된 홈(203c)에 도입된다. 따라서, 셔터 개방 부재(103)는 셔터 결합 돌기(142)에 의해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셔터(204)를 개방하도록 토션 코일 스프링(143)의 힘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도34 및 도35에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홀더(102) 안에 삽입되면, 제2드라이브(101)의 오삽입 방지 부재(111)의 돌기(111a)는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경사부(302e)에 접촉하고, 경사부(203e)를 따라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외측으로 회전하여 오삽입 방지 부재(111) 또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취소하게 한다. 따라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는 카트리지 홀더(102) 안에 더 삽입된다. 셔터(4)가 셔터 개방 부재(103)에 의해 개방되면 곧바로 트리거 부재(103)의 결합부(153)와 리프팅 부재(104)의 결합부(161)와의 결합이 트리거 부재(105)에 의해 리프팅 부재(104)의 로크를 제거하도록 해제된다. 따라서, 리프팅 부재(104)는 카트리지 홀더(102)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코일 스프링(164)의 힘에 의해 활주하여서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의 중심 허브(22)를 제2드라이브(101)의 스핀들(171) 상에 위치시키게 된다.
B) 전도 삽입 또는 반전 삽입 등의 오삽입 시:
도36에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가 제2드라이브(101) 안에 부적절하게 삽입되면, 오삽입 방지 부재(111)의 돌기(111a)가 경사부(203e)가 아닌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단부면의 일부분에 접촉하여서 오삽입 방지 부재(111)가 신장 상태로 되어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가 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37a 내지 도37c는 오삽입 방지 부재(111)의 변경예를 도시한다. 이들 변경예에서, 토션 코일 스프링의 형태인 오삽입 방지 부재(111)는 코일(111A)과, 제1아암(111B)과, 코일(111A)에 대하여 이에 수직하게 위치한 제2아암(111C)을 포함한다. 코일(111A)은 코일 결합부(181)에 의해 카트리지 홀더(102)의 상부측에 결합된다. 제1아암(111B)은 아암 결합부(182)에 의해 카트리지 홀더(102)의 상부측에 결합된다. 제2아암(111C)은 거의 수직 하방으로 만곡되고 돌기(111D)를 형성하고 있는 단부를 갖는다. 돌기(111D)는 카트리지 홀더(102)의 상부측에 형성된 리세스(183)를 통해서 카트리지 홀더(102) 내에서 돌출한다.
도37a에서,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가 카트리지 홀더(102) 안에 정상 위치에 삽입되면, 제2아암(111C)의 단부에 형성된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는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의 오삽입 방지부(11)의 홈(12) 안에 도입되어서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1)가 제2드라이브(101)에 로딩될 수 있게 해준다. 도37b에서,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홀더(102) 안에 정상 위치에 삽입되면, 제2아암(111C)의 돌기(111D)가 경사부(203e)에 접촉하게 되어서 제2아암(111C)이 경사부(203e)에 의해 쉘(203) 외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1 기록 매체 카트리지(201)의 로딩을 허용하게 된다.
제2아암(111C)의 돌기(111D)는 도37a 및 도37b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 방향에서 보았을 때 코일(111A)의 상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변경예는 오삽입 방지 부재(111)로서의 토션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여서 부품의 수 및 조립 공정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양호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내에서 여러 형태로 변경 및 수정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높은 저장 능력을 갖는 플로피 디스크 등의 디스크용 드라이브, 특히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의 로딩을 허용하는, 즉 종속 적합성을 갖는 제2드라이브와, 제2 기록 매체 카트리지의 로딩을 허용하지 않는 제1드라이브를 마련할 수 있다.

Claims (17)

  1. 평평한 장방형 평행 육면체 형상을 취하고 일측면과 개구를 갖는 쉘과,
    쉘에 장착되고 개구를 폐쇄하게 되는 제1위치와 개구를 개방하게 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일측면을 따라 활주가능한 셔터와,
    셔터의 활주 영역 외측의 일부분에서 쉘의 상기 일측면에 배열되고 드라이브의 오삽입 방지 부재의 도입을 허용하는 리세스를 갖는 오삽입 방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쉘의 상기 일측면이 셔터 폐쇄 시에 셔터에 의해 폐쇄되고 셔터 개방 시에 외측을 면하며 전체적으로 높이가 동일한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면이, 디스크 카트리지가 드라이브 안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전방 단부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오삽입 방지부의 리세스 형상이 쉘의 일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장방형의 평행 육면체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오삽입 방지부가 쉘의 일측면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6. 제4항에 있어서, 오삽입 방지부가 쉘의 일측면에 수직한 한쌍의 측벽과, 이들 측벽을 연결하는 연결벽을 포함하고, 이로써 모서리부가 쉘의 일측면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모서리부가 연결벽의 측면 상에 있는 기부와, 쉘의 일측면의 측면 상에 있는 헤드를 가지며, 상기 기부의 폭이 헤드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8. 제6항에 있어서, 모서리부에 대향하여 배열된 상기 쌍의 측벽중 하나가, 경사부를 형성하고 있는 단부를 쉘의 일측면의 측면 상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9. 제6항에 있어서, 쉘이 제1 및 제2 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쌍의 측벽 및 연결벽이 쉘의 두께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연장되는 쉘의 제1 및 제2 반부중 적어도 하나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쉘의 제1 및 제2 반부중 다른 하나에 배열된 상기 쌍의 측벽 및 연결벽이 보강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1. 제1항에 있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쉘에 회전식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2. 제1포맷의 기록 매체를 갖춘 제1카트리지와,
    제1카트리지용으로 배열된 제1드라이브와,
    제2포맷의 기록 매체를 갖춘 제2카트리지와,
    제1 및 제2 카트리지용으로 배열된 제2드라이브와,
    제1카트리지에 배열되고 제1카트리지가 제1드라이브 내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카트리지의 전방 단부면의 모서리부에 배열된 경사부 형태를 취하고 제1카트리지가 정상 위치에 삽입되었을 때 제1카트리지가 제1드라이브 내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장치와,
    제2카트리지 및 제2드라이브에 배열되고 제2카트리지가 제2드라이브 내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카트리지의 전방 단부면에 있는 것으로 제1카트리지의 모서리부에 대응하는 홈부를 포함하고 제1카트리지가 정상 위치에 삽입되었을 때 제1카트리지가 제2드라이브에 로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1장치와 협동하고 제2카트리지가 정상 위치에 삽입되었을 때 제2카트리지가 제2드라이브에 로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2카트리지의 홈부와 협동하는 제2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드라이브가 카트리지를 유지하여 이를 삽입 위치와 로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카트리지 홀더와, 이 카트리지 홀더에 회전식으로 장착되고 돌기를 형성하고 있는 부재와, 이 부재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편향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카트리지가 제2드라이브 내에 정상 위치에 삽입되면 제2드라이브의 상기 부재가 편향 수단에 대하여 제2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1장치에 결합되어 제1카트리지가 제2드라이브에 로딩되는 것을 허용하고,
    제2카트리지가 제2드라이브 내에 정상 위치에 삽입되면 제2드라이브의 상기 부재가 제2장치의 홈부에 삽입되어 제2카트리지가 제2드라이브에 로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제1카트리지가 제1쉘과, 제1카트리지가 카트리지 홀더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그 전방 단부에서 상기 제1쉘에 활주식으로 장착된 제1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쉘의 전방 단부가 셔터 폐쇄 시에 제1셔터에 의해 폐쇄되고 셔터 개방 시에 외측에 면하는 부분을 갖고, 상기 부분이 홈을 형성하고 있고,
    제2카트리지가 제2쉘과, 제2카트리지가 카트리지 홀더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그 전방 단부에서 상기 제2쉘에 활주식으로 장착된 제2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쉘의 전방 단부가 셔터 폐쇄 시에 상기 셔터에 의해 폐쇄되고 셔터 개방 시에 외측에 면하는 부분을 갖고, 상기 부분이 전체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고,
    제1 및 제2 드라이브가 카트리지 홀더의 셔터를 개방하기 위해 카트리지 홀더에 장착된 개방 부재와, 카트리지 홀더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와, 카트리지 홀더에 삽입된 카트리지의 전방 단부면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이동 부재가 카트리지 홀더를 로딩 위치로 하방 이동시킬수 있도록 이동 부재용 로크를 제거하기 위한 트리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드라이브가, 제1카트리지가 제1드라이브 내에 정상 위치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개방 부재가 제1카트리지의 홈에 도입되도록 제1카트리지가 삽입되게 되는 제1위치로 트리거 부재용 로크가 제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드라이브가, 제1 및 제2 카트리지중 하나가 카트리지 홀더 내에 정상 위치에 삽입되었을 때 트리거 부재용 로크가 홈의 존재와는 무관하게 제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포맷의 기록 매체를 갖춘 제1카트리지와 제2포맷의 기록 매체를 갖춘 제2카트리지용 드라이브로서,
    카트리지를 유지하여 이를 삽입 위치와 로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카트리지 홀더와,
    카트리지 홀더에 회전식으로 장착되고 돌기를 형성하고 있는 오삽입 방지 부재와,
    오삽입 방지 부재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이를 편향시키는 편향 수단을 포함하며,
    제1카트리지가 드라이브 내에 정상 위치에 삽입되면 오삽입 방지 부재의 돌기가 제1카트리지의 경사 모서리부에 맞물려서 제1카트리지가 드라이브에 로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오삽입 방지 부재를 편향 수단에 대하여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제2카트리지가 드라이브 내에 정상 위치에 삽입되면 오삽입 방지 부재의 돌기가 제1카트리지의 경사 모서리부에 대응하지만 이와는 다른 형상을 취하고 제2카트리지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홈 안에 삽입되어 제2카트리지가 드라이브에 로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16. 제15항에 있어서, 오삽입 방지 부재가 카트리지 홀더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17. 제15항에 있어서, 오삽입 방지 부재가 판을 만곡함으로써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KR1019980028137A 1997-07-14 1998-07-13 디스크 카트리지의 오삽입 방지 구조 KR199900138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825097 1997-07-14
JP97-188250 1997-07-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814A true KR19990013814A (ko) 1999-02-25

Family

ID=1622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137A KR19990013814A (ko) 1997-07-14 1998-07-13 디스크 카트리지의 오삽입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3) US6185070B1 (ko)
EP (1) EP0895236B1 (ko)
KR (1) KR19990013814A (ko)
AT (1) ATE214509T1 (ko)
AU (1) AU7610998A (ko)
BR (1) BR9802438A (ko)
CA (1) CA2243098A1 (ko)
DE (1) DE69804173T2 (ko)
HU (1) HUP9801554A3 (ko)
ID (1) ID20573A (ko)
IL (1) IL125325A0 (ko)
PL (1) PL327481A1 (ko)
SG (1) SG65085A1 (ko)
TW (1) TW473706B (ko)
ZA (1) ZA9862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5678A (ja) * 2000-09-26 2002-06-21 Hitachi Maxell Ltd 誤挿入防止機能を有するカートリッジと駆動装置
US7427043B2 (en) * 2002-08-22 2008-09-23 Quantrum Corporation Tape cartridge with multiple keying features
JP2004310829A (ja) * 2003-04-03 2004-11-04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20070083510A1 (en) * 2005-10-07 2007-04-12 Mcardle James M Capturing bibliographic attribution information during cut/copy/paste operations
JP5735934B2 (ja) * 2012-03-22 2015-06-17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368A (ja) 1985-07-11 1987-01-22 Victor Co Of Japan Ltd デイスク駆動装置
JPH07114055B2 (ja) 1987-03-20 1995-12-06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スクカセツトの装着装置
GB2208330B (en) * 1987-07-27 1991-12-04 Hitachi Ltd An optical disc cartridge and a mechanism for preventing an incorrect insertion of a cartridge.
JPH0828096B2 (ja) 1988-09-29 1996-03-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カセット
NL8802763A (nl) 1988-11-10 1990-06-01 Philips Nv Systeem voor het registreren en/of uitlezen van signalen op informatiedragers in cassettes.
JPH0610530Y2 (ja) 1989-01-24 1994-03-16 ティアツク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誤挿入防止機構
JP3038754B2 (ja) 1990-01-20 2000-05-08 ソニー株式会社 光磁気ディスクの記録装置
JP3024174B2 (ja) 1990-07-02 2000-03-2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装着装置
JPH0467461A (ja) 1990-07-06 1992-03-03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装着装置
JP2917488B2 (ja) 1990-10-22 1999-07-12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178005B2 (ja) 1991-01-21 2001-06-1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5502704A (en) 1991-03-29 1996-03-26 Sony Corporation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EP0609617A3 (en) 1992-12-01 1996-12-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US5854719A (en) 1994-10-18 1998-12-29 Iomeg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whether a removable cartridge disk drive is empty
JPH09167429A (ja) 1995-12-15 1997-06-24 Fujitsu Ltd 光ディスク装置
JPH09213051A (ja) 1996-02-06 1997-08-15 Mitsumi Electric Co Ltd 大容量フレキシブルディスクおよびそれを挿入可能な高密度専用型フレキシブルディスクドライブと高密度/通常密度兼用型フレキシブルディスクドライブ
US5953187A (en) 1996-01-31 1999-09-14 Mitsumi Electric Co., Ltd. High-density flexible disk drive having a function of facilitating correct insertion of a large-capacity flexible disk thereinto without an insertion error
JPH11242848A (ja) * 1997-12-25 1999-09-07 Sony Corp 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の誤挿入防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65085A1 (en) 1999-05-25
EP0895236A2 (en) 1999-02-03
TW473706B (en) 2002-01-21
BR9802438A (pt) 1999-10-19
ATE214509T1 (de) 2002-03-15
DE69804173D1 (de) 2002-04-18
IL125325A0 (en) 1999-03-12
US6288869B1 (en) 2001-09-11
HUP9801554A3 (en) 2001-11-28
EP0895236A3 (en) 1999-06-16
DE69804173T2 (de) 2002-08-29
HU9801554D0 (en) 1998-09-28
EP0895236B1 (en) 2002-03-13
AU7610998A (en) 1999-01-21
CA2243098A1 (en) 1999-01-14
HUP9801554A2 (hu) 1999-02-01
PL327481A1 (en) 1999-01-18
ZA986216B (en) 1999-01-27
US6285526B1 (en) 2001-09-04
ID20573A (id) 1999-01-14
US6185070B1 (en) 2001-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800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5936935A (en) Disk cartridge having a locking means and cartridge coupling means
KR100897980B1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EP1058260A1 (en) Disk cartridge and disk player
KR19990013814A (ko) 디스크 카트리지의 오삽입 방지 구조
EP1152418A1 (en) Disk cartridge device and disk cartridge
EP1001422B1 (en) Disk cartridge
KR100893807B1 (ko)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US6570841B1 (en) Disk cartridge and disk player
KR20040039183A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CA2303117A1 (en) Cartridge housing provided with a protrusion to prevent improper insertion
KR101059493B1 (ko) 디스크 카트리지용 셔터 부재,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기록 또는 재생 장치
US6115212A (en) Structure for preventing misinsertion of recording-medium cartridges
JP3726800B2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100875316B1 (ko)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JP3178047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003674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とドライブ装置及び誤挿入防止機構
EP0665549B1 (en) Disc cassette
JP4062836B2 (ja) フロッピーディスク・ドライブ
JP2899847B2 (ja) ディスク装置
JPH09106605A (ja) ディスクドライブシステム
JP3105198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シャッタ開閉機構
JP3257557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991824A (ja) ディスクドライブシステム
US20080019046A1 (en) Disk Cart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