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2170A -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2170A
KR19990012170A KR1019970035478A KR19970035478A KR19990012170A KR 19990012170 A KR19990012170 A KR 19990012170A KR 1019970035478 A KR1019970035478 A KR 1019970035478A KR 19970035478 A KR19970035478 A KR 19970035478A KR 19990012170 A KR19990012170 A KR 19990012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teering
solenoid valve
vehicl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5961B1 (ko
Inventor
최석곤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1019970035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5961B1/ko
Publication of KR19990012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8Ste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14Steering gears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주행상태에서의 선회시에 스티어링휠의 작동에 대한 파워스티어링 실린더의 응답성을 둔화시켜 선회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은 프라이어티 밸브(60)로부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의 제 1챔버(94) 및 제 2챔버(96)로 공급되는 압유 공급경로상에 제 1솔레노이드 밸브(110) 및 재 2솔레노이드 밸브(120)를 각각 설치하고, 이들 제 1솔레노이드 밸브(110) 및 재 2솔레노이드 밸브(120)를 콘트롤러(40)에서 차속이 설정값 이상일 때 제 1챔버(94) 및 제 2챔버(96)로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을 감소시켜 고속주행시 핸들조작에 대한 파워스티어링 실린더의 응답성을 둔화시킴으로써 고속시의 급선회로 인한 하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그로 인한 하물의 파손 및 인명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
본 발명은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펌프에서 펌핑된 압유를 각각의 작동부로 적절히 공급제어 하는 것에 의해 작업시에 요구되는 작동력을 수행하는 전동지게차에서 차량의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파워스티어링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조향시스템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하물(荷物)을 적재하거나 또는 하차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산업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유압펌프에 의해 발생되는 압유를 예정된 경로를 따라 예컨대, 파워스티어링 실린더 또는 리프트실린더 등의 작동부로 분배하고, 분배과정에서 복수의 밸브수단으로 유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작동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지게차는 동력원에 따라 엔진지게차와 전동지게차로 구별된다. 전자의 엔진지게차는 엔진에서 배기가스가 발생되고, 소음이 크게 발생하여 주로 실외의 작업에서 이용되며, 후자의 전동식은 배기가스가 없으며, 소음이 작으므로 실내의 작업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동지게차에 관련된 것으로, 이러한 전동지게차는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으며, 이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며 바퀴를 회전시켜 차량의 전진 또는 후진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차량주행모터가 설치됨과 동시에,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어 유압펌프를 작동시켜 작업 및 조향에 필요한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구동모터가 설치된다.
도 1에는 지금까지 실시되고 있는 전동지게차의 유압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살펴보면,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구동모터(20) 및 차량주행모터(30)가 제공된다. 차량주행모터(3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가능한 것으로 바퀴에 연결되어 바퀴를 회전시켜 차량을 전진 또는 후진구동하게 되며, 유압구동모터(20)는 유압펌프(50)를 구동하게 된다.
상기 각각의 유압구동모터(20) 및 차량주행모터(30)는 운전자의 조작신호를 인가받는 콘트롤러(4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 된다.
유압펌프(50)는 유압구동모터(20)의 구동력에 따라 펌핑능력이 가변되며, 오일탱크(10)내의 오일을 압축펌핑하여 예정된 경로를 통해 프라이어티 밸브(60)(priority valve)로 공급하게 된다. 프라이어티 밸브(60)는 유압펌프(50)로부터 공급되는 압유(壓油)를 스티어링휠(72)에 의해 제어되는 스티어링 유닛(70)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리프트실린더 등을 포함하는 작동부측으로 분배하게 된다. 이때, 프라이어티 밸브(60)는 일차적으로 스티어링 유닛(70)의 작동에 필요한 압유를 충분히 공급한 후에 여유분을 작동부로 공급하게 된다.
스티어링 유닛(70)으로 공급되는 압유는 스티어링휠(72)의 회전방향에 따라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의 방향이 전환되어 피스톤(92)에 의해 구분되는 제 1챔버(94) 및 제 2챔버(96)를 갖는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로 공급하게 된다.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는 피스톤(92)의 이동방향에 따라 조향바퀴(98)를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콘트롤러(40)는 스티어링 유닛(70)내의 유압에 따라 작동하는 압력감지스위치(80)의 신호를 인가받아 유압구동모터(20)를 제어하게 된다.
참고적으로, 도 2에는 종래의 유압구동모터(20)와 차량주행모터(30)의 전기제어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유압구동모터(20) 및 차량주행모터(30)는 배터리전원(B+)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게 되고, 콘트롤러(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펄스에 의해 작동되는 제 1트랜지스터(Q1) 및 제 2트랜지스터(Q2)가 '온/오프'동작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이때 각각의 차량주행모터(30) 및 유압구동모터(20)는 콘트롤러(40)의 제어펄스의 '온'타임주기의 변화에 따라 가변제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조행시스템은 유압구동모터(20)와 차량주행모터(30)가 콘트롤러(4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므로 인해 선회주행시에 하물이 이탈되어 제품의 파손은 물론 인명을 손상시킬 우려를 갖고 있었다.
즉, 종래의 조향시스템은 콘트롤러(40)에 셋팅된 유압구동모터(20)의 조향 듀티(duty)값이 아이들시와 조향시로 구분되고, 이때 아이들시 듀티는 운전개시초기에 일정시간동안 비교적 작은 RPM으로 회전하도록 셋팅되어 있고, 조향시의 듀티는 조향시 상대적으로 큰 RPM으로 회전하며, 스티어링에 사용되는 유압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일정하게 셋팅되어 있다.
따라서, 정지상태나 저속 및 고속주행시에도 콘트롤러(40)에 셋팅된 조향듀티에 근거하여 유압구동모터(20)가 동일하게 제어되므로,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고 있을 경우에도 스티어링휠(72)의 회전량에 따른 유압구동모터(20)의 압유가 저속시와 동일하게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고속시에 스티어링휠을 급격하게 조작하게 되면, 차량선회시의 원심력이 커지게 되고, 하물에 작용하는 관성 또한 커지게되므로 하물에 대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제공되어 있지 않는 지게차의 경우에는 하물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속주행 상태에서의 선회시에 스티어링휠의 작동에 대한 파워스티어링 실린더의 응답성을 둔화시켜 선회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전동지게차 조향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유압회로도
도 2는 종래 전동지게차 조향시스템의 전기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지게차 조향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유압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지게차 조향시스템의 전기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오일탱크 20: 유압구동모터
30: 차량주행모터 40: 콘트롤러
50: 유압펌프 60: 프라이어티 밸브
70: 스티어링 유닛 80: 압력감지스위치
90: 파워스티어링 실린더 92: 피스톤
94: 제 1챔버 96: 제 2챔버
98: 조향바퀴 100: 차속감지센서
110: 제 1솔레노이드 밸브 120: 제 2솔레노이드 밸브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력을 제공하는 차량주행모터와, 유압펌프를 구동하는 유압구동모터와, 피스톤에 의해 구분되는 제 1챔버 및 제 2챔버를 갖춘 파워스티어링 실린더와, 유압펌프에서 펌핑된 압유를 전달받아 스티어링휠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챔버 또는 제 2챔버중 선택된 챔버로 압유를 공급하는 프라이어티 밸브를 구비하여 차량의 조향을 이루는 전동지게차의 조향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주행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감지센서와, 상기 차속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차속으로 환산하여 이 속도를 내장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와, 스티어링 유닛과 파워스티어링 실린더사이에 설치되어 콘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스티어링 유닛으로부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의 제 1챔버로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 1솔레노이드 밸브와, 스티어링 유닛과 파워스티어링 실린더사이에 설치되어 콘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스티어링 유닛으로부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의 제 2챔버로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 2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의 유압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구동모터(20) 및 차량주행모터(30)가 제공된다. 차량주행모터(3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가능한 것으로 바퀴에 연결되어 바퀴를 회전시켜 차량을 전진 또는 후진구동하게 되며, 유압구동모터(20)는 유압펌프(50)를 구동하게 된다.
상기 각각의 유압구동모터(20) 및 차량주행모터(30)는 운전자의 조작신호를 인가받는 콘트롤러(40)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 된다.
차량주행모터(30)에는 그것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콘트롤러(40)로 전기적신호를 인가하는 차속감지센서(100)가 설치되어 있다. 콘트롤러(40)는 차속감지센서(10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내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유압펌프(50)는 유압구동모터(20)의 구동력에 따라 작동능력이 가변되며, 오일탱크(10)내의 오일을 압축펌핑하여 예정된 경로를 통해 프라이어티 밸브(60)(priority valve)로 공급하게 된다. 프라이어티 밸브(60)는 유압펌프(50)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스티어링휠(72)에 의해 제어되는 스티어링 유닛(70)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도시되지 않은 리프트트실린더 등을 포함하는 작동부측으로 분배하게 된다. 이때, 프라이어티 밸브(60)는 일차적으로 스티어링 유닛(70)에 필요한 압유를 충분히 공급한 상태에서 그 나머지의 압유를 작동부로 공급하게 된다. 스티어링 유닛(70)의 압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상기 콘트롤러(40)로 인가하는 압력감지스위치(80)가 설치된다.
스티어링 유닛(70)으로 공급되는 압유는 스티어링휠(72)의 회전방향에 따라 흐름방향이 선택되어 예정된 경로를 통해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로 공급하게 된다. 이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는 피스톤(92)의 이동방향에 따라 조향바퀴(98)를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시켜 차량의 주행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는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피스톤(92)에 의해 구분되는 제 1챔버(94) 및 제 2챔버(96)를 갖으며, 스티어링 유닛(70)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는 스티어링휠(72)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챔버(94) 또는 제 2챔버(96)중 선택된 챔버로 공급된다.
상기 스티어링 유닛(70)으로부터 제 1챔버(94) 및 제 2챔버(96)로 공급되는 압유가 공급되는 각각의 경로상에는 압유의 이송유량을 제어하는 제 1솔레노이드 밸브(110) 및 재 2솔레노이드 밸브(12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1솔레노이드 밸브(110) 및 제 2솔레노이드 밸브(120)는 콘트롤러(40)에 의해 동시에 제어되는 것으로, 차속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신호가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압유의 공급경로를 완전히 개방하여 정상적인 작동을 수행하게 되고, 차속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신호가 기준값보다 같거나 클 경우에는 압유의 공급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도록 공급경로를 닫게되어 스티어링휠(72)의 작동에 대한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의 응답성이 둔화된다.
한편, 상기 콘트롤러(40)는 스티어링 유닛(70)내의 유압에 따라 작동하는 압력감지스위치(80)의 신호를 인가받아 유압구동모터(20)를 제어하게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구동모터(20)와 차량주행모터(30)의 전기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유압구동모터(20) 및 차량주행모터(30)는 배터리전원(B+)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게 되고, 콘트롤러(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펄스에 의해 작동되는 제 1트랜지스터(Q1) 및 제 2트랜지스터(Q2)가 '온/오프'동작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이때 각각의 차량주행모터(30) 및 유압구동모터(20)는 콘트롤러(40)의 제어펄스의 '온'타임주기의 변화에 따라 가변제어 된다. 또한, 유압구동모터(2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차속감지센서(100)의 감지신호는 콘트롤러(40)로 인가되고, 콘트롤러(40)는 차속감지센서(10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내장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제 1솔레노이드 밸브(120) 및 재 2솔레노이드 밸브(120)를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은 프라이어티 밸브와 파워스티어링 실린더 사이의 압유의 공급경로상에 제 1솔레노이드 밸브 및 제 2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고, 콘트롤러에서 이들 제 1솔레노이드 밸브 및 제 2솔레노이드 밸브를 차속에 연계시켜 제어토록 함으로써 고속주행시 핸들조작에 대한 파워스티어링 실린더의 응답성을 둔화시켜 급선회로 인한 하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그로 인한 하물의 파손 및 인명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차량의 주행력을 제공하는 차량주행모터(30)와, 유암펌프를 구동하는 유압구동모터(20)와, 피스톤(92)에 의해 구분되는 제 1챔버(94) 및 제 2챔버(96)를 갖춘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와, 유압펌프(50)에서 펌핑된 압유를 전달받아 스티어링휠(72)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챔버(94) 또는 제 2챔버(96)중 선택된 챔버로 압유를 공급하는 프라이어티 밸브(60)를 구비하여 차량의 조향을 이루는 전동지게차의 조향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주행모터(30)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감지센서(100)와;
    상기 차속감지센서(1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차속으로 환산하여 이 속도를 내장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40)와;
    스티어링 유닛(70)과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사이에 설치되어 콘트롤러(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스티어링 유닛(70)으로부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의 제 1챔버(94)로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제 1솔레노이드 밸브(110)와;
    스티어링 유닛(70)과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사이에 설치되어 콘트롤러(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스티어링 유닛(70)으로부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의 제 2챔버(96)로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재 2솔레노이드 밸브(120)를 포함하는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솔레노이드 밸브(110) 및 재 2솔레노이드 밸브(120)는 콘트롤러(40)에 의해 동시제어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
KR1019970035478A 1997-07-28 1997-07-28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 KR100225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478A KR100225961B1 (ko) 1997-07-28 1997-07-28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478A KR100225961B1 (ko) 1997-07-28 1997-07-28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170A true KR19990012170A (ko) 1999-02-25
KR100225961B1 KR100225961B1 (ko) 1999-10-15

Family

ID=1951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478A KR100225961B1 (ko) 1997-07-28 1997-07-28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59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302B1 (ko) * 2006-09-19 2008-02-2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전동지게차의 유량제어방법
KR101403842B1 (ko) * 2007-12-24 2014-06-03 주식회사 두산 유압보존장치를 구비한 전동지게차의 유압장치 및 그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125B1 (ko) 2007-12-27 2014-06-18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조향장치
EP3334628B1 (en) 2015-08-14 2021-10-27 Crown Equipment Corporation Steering and traction applications for determining a steering control attribute and a traction control attribute
US11008037B2 (en) 2015-08-14 2021-05-18 Crown Equipment Corporation Model based diagnostics based on steering model
US10414288B2 (en) 2017-01-13 2019-09-17 Crown Equipment Corporation Traction speed recovery based on steer wheel dynamic
US10723382B2 (en) 2017-01-13 2020-07-28 Crown Equipment Corporation High speed straight ahead tiller desensitiz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302B1 (ko) * 2006-09-19 2008-02-2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전동지게차의 유량제어방법
KR101403842B1 (ko) * 2007-12-24 2014-06-03 주식회사 두산 유압보존장치를 구비한 전동지게차의 유압장치 및 그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5961B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5961B1 (ko)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
KR20080059735A (ko) 지게차의 유압시스템
US6286308B1 (en) Drive unit of cooling fan
JP2006027351A (ja) 作業車両の油圧駆動装置
US6484081B1 (en) Power steering system
KR101182552B1 (ko) 휠타입 굴삭기의 유압펌프 마력제어장치
KR100230051B1 (ko) 자동 조향장치
KR100225963B1 (ko)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4082879B2 (ja) 産業用車両における駆動制御システム
JPH06329041A (ja) 車速感応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
JPS6410391B2 (ko)
KR20100023398A (ko) 전동 지게차의 유압모터 제어 시스템
JPS6185272A (ja) 動力舵取装置
JPH07172328A (ja) 荷役車両における流体圧回路
JP2918953B2 (ja) 車両用油圧回路
KR100953383B1 (ko) 지게차의 조향 시스템
JPS646984B2 (ko)
KR100287367B1 (ko) 건설용 중장비의 엔진회전수 제어장치
JP2509884B2 (ja) 油圧走行車両の走行速度切換装置
JPS6212427A (ja) 車両用油圧駆動装置
JPS6076471A (ja) 動力舵取装置の制御装置
KR100481447B1 (ko) 전동지게차의 유압모터 회전속도 조절장치
JPH07222472A (ja) 液圧ブレーキ装置用電動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
KR19990030343U (ko) 지게차의 조향시 경고음 발생장치
KR100374713B1 (ko) 전동파워스티어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