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0325A - 호스고정용 스프링 클램프 - Google Patents

호스고정용 스프링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0325A
KR19990010325A KR1019970033106A KR19970033106A KR19990010325A KR 19990010325 A KR19990010325 A KR 19990010325A KR 1019970033106 A KR1019970033106 A KR 1019970033106A KR 19970033106 A KR19970033106 A KR 19970033106A KR 19990010325 A KR19990010325 A KR 19990010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lamp
long bolt
bent
rubber hos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3111B1 (ko
Inventor
김현식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70033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111B1/ko
Publication of KR19990010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4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 F16L33/06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in which the threaded pin is rigid with the hose-encircl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72Joints for pipes of dissimila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호스를 파이프에 연결시킬 때에 사용되는 스프링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탄성을 가진 고리형상의 클램프 몸체(10)의 양쪽 선단부에 상방향을 향하도록 소정각도로 절곡된 절곡부(11,1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절곡부(11,1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삽입공(11a,12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쪽 삽입공(11a)에 다른쪽 삽입공(12a)이 맛대어진 상태에서 체결용 장보울트(20)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스프링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장보울트(20)의 외주면에 중심으로부터 양단으로까지 상기 절곡부(11,12)를 조여주도록 된 나사산(21,22)이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면에는 조임수단을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체결홈(23)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장보울트의 가운데를 중심축으로하여 양쪽 절곡부가 동시에 조여지게 되므로, 상기 고무호스의 연결작업 및 수리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호스고정용 스프링 클램프
본 발명은 고무호스를 파이프에 연결시킬 때에 사용되는 스프링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결작업 또는 수리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된 호스고정용 스프링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 클램프(spring clamp)는 분리되어 있는 두개의 물체를 결합시킬 때에 사용되는 체결수단으로서, 그 구조의 단순성과 사용상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기기 사이의 조임이 헐거워져 풀림 방지 효과가 감소되며, 자체의 기밀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기밀이 요구되는 곳에는 체결력 여부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예컨대, 유압이 전달되는 파이프의 접속부에서 스프링 클램프의 조임이 풀리거나 헐거워지게 되면 작동유체가 새어나와 주위를 오염시키게 되어 정확한 유압의 전달이 어렵게 된다. 특히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 기어 박스 같은 경우 파이프 접속 부위의 보울트가 차량의 진동 등으로 헐거워지거나 풀리게 되면 엔진 룸 등을 오염시키고 파워 스티어링 오일의 소모가 많아 운전시 조향력이 무거워져 안전 운전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게 된다.
즉, 상기한 자동차나 각종 기계부품에 사용되고 있는 고무호스를 스틸 파이프에 연결시킬 때에 사용되는 스프링 클램프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진 스틸재질로서 환형으로 형성된 클램프 몸체(100)의 양쪽 선단부가 윗쪽으로 절곡되어 절곡부(101,102)를 이루고, 한쪽 절곡부(101)에는 장공(101a)이 형성되면서 이 장공(101a)에 다른쪽 절곡부(102)가 맛대어진 상태에서 장보울트(110)가 관통되게 삽입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로 된 종래의 스프링 클램프를 사용해서 고무호스를 파이프에 연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양쪽 절곡부(101,102)를 플라이어와 같은 공구로 집어서 클램프 몸체(100)의 내경을 고무호스(120)의 외경보다 크게 만들어주고, 상기 고무호스(120)를 파이프(130)에 끼우고 나서 클램프 몸체(100)를 위치시키며, 이 정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101,102)를 물어잡고 있던 플라이어를 놓고 상기 절곡부(101,102)의 삽입공에 장착된 장보울트(110)를 조여주면 체결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스프링 클램프를 이용하여 고무호스(120)를 연결시키는 작업은, 작업자가 한쪽 손으로 플라이어를 잡고서 클램프를 집은 상태에서 다른 한쪽 손으로 고무호스(120)를 파이프(130)에 억지로 끼워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힘이 들고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장보울트(110)는 통상 그 하단이 무딘 구조로서 물건을 뚫을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시키고자 하는 물건에 반드시 관통구멍을 뚫어 두고서 상기 장보울트를 나사 박음식으로 삽입하여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는바, 상기 장보울트(110)의 외표면에는 일정한 폭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30)에 고무호스(120)를 끼운 상태에서 절곡부(101,102)를 조이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게 되어 작업이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기 고무호스를 파이프에 끼우고 스프링 클램프를 조이는 과정에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된 호스고정용 스프링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탄성을 가진 고리형상의 클램프 몸체의 양쪽 선단부에 상방향을 향하도록 소정각도로 절곡된 절곡부가 각각 형성되고 있고, 이 절곡부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쪽 삽입공에 다른쪽 삽입공이 맛대어진 상태에서 체결용 장보울트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스프링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장보울트의 외주면에 중심으로부터 양단으로까지 상기 절곡부를 조여주도록 된 나사산이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면에는 조임수단을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장보울트의 외주면을 따라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대칭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스프링 클램프를 이용하여 파이프에 끼워진 고무호스를 체결시키도록 되어, 상기 장보울트의 가운데를 중심축으로하여 양쪽 절곡부가 동시에 조여지게 되므로, 상기 고무호스의 연결작업 및 수리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호스고정용 스프링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호스고정용 스프링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클램프 몸체 11,12 : 절곡부
11a,12a : 삽입공 20 : 장보울트
21,22 : 나사산 23 : 체결홈
30 : 고무호스 40 : 파이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자동차의 호스고정용 스프링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써, 탄성을 가진 고리형상의 클램프 몸체(10)의 양쪽 선단부에 상방향을 향하도록 소정각도로 절곡된 절곡부(11,1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절곡부(11,1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삽입공(11a,12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쪽 삽입공(11a)에 다른쪽 삽입공(12a)이 맛대어진 상태에서 체결용 장보울트(20)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스프링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장보울트(20)의 외주면에 중심으로부터 양단으로까지 상기 절곡부(11,12)를 조여주도록 된 나사산(21,22)이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면에는 조임수단을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체결홈(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구조로 된 스프링 클램프와 종래의 것과 상이한 점은, 상기 클램프 몸체(11)에 형성된 양쪽 절곡부(2,3)를 조여주도록 된 장보울트(20)의 외주면에 중심으로부터 양단으로까지 대칭되는 방향 즉 반대되는 방향으로 나사산(21,22)이 각각 형성된 것에 있다.
그리고, 상기 장보울트(20)의 일측선단면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체결홈(23)이 형성되어 있어, 이 체결홈(23)에 육각렌치 등을 삽입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절곡부(11,12)의 삽입공이 조여지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체결홈(23)의 형상은 육각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자 또는 십자 등의 형상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로 된 스프링 클램프를 사용해서 고무호스를 파이프에 연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고무호스(30)를 파이프(40)에 끼우기 이전에 먼저 작업자가 플라이어로 클램프 몸체(10)의 양쪽 절곡부(11,12)를 집어서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게 한 후에 상기 고무호스(30)에 끼우고, 양손으로 고무호스(30)를 잡고서 파이프(40)에 끼운 다음에 클램프를 체결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정렬시킨 후에 상기 장보울트(20)의 체결홈(23)에 공구를 삽입 또는 감싼후에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양 절곡부(11,12)의 삽입공(11a,12a)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의해 동시에 내부쪽으로 이동되므로 조여지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를 조이도록 된 장보울트(20)의 외표면에는 대칭되는 방향으로 각각 나사산(21,2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홈(23)을 일회전시키면 양측 절곡부(11,12)가 동시에 일회전하게 되므로, 종래의 고무호스의 체결작업 시간을 반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호스고정용 스프링 클램프에 의하면, 상기한 장보울트의 외주면을 따라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대칭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스프링 클램프를 이용하여 파이프에 끼워진 고무호스를 체결시키도록 되어, 상기 장보울트의 가운데를 중심축으로하여 양쪽 절곡부가 동시에 조여지게 되므로, 상기 고무호스의 연결작업 및 수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탄성을 가진 고리형상의 클램프 몸체(10)의 양쪽 선단부에 상방향을 향하도록 소정각도로 절곡된 절곡부(11,1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절곡부(11,1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삽입공(11a,12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쪽 삽입공(11a)에 다른쪽 삽입공(12a)이 맛대어진 상태에서 체결용 장보울트(20)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스프링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장보울트(20)의 외주면에 중심으로부터 양단으로까지 상기 절곡부(11,12)를 조여줄 수 있도록 된 나사산(21,22)이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면에는 조임수단을 매개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체결홈(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고정용 스프링 클램프.
KR1019970033106A 1997-07-16 1997-07-16 호스고정용 스프링 클램프 KR100223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106A KR100223111B1 (ko) 1997-07-16 1997-07-16 호스고정용 스프링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106A KR100223111B1 (ko) 1997-07-16 1997-07-16 호스고정용 스프링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325A true KR19990010325A (ko) 1999-02-18
KR100223111B1 KR100223111B1 (ko) 1999-10-15

Family

ID=19514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106A KR100223111B1 (ko) 1997-07-16 1997-07-16 호스고정용 스프링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409A (ko) * 2002-08-06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관클램프
KR101426389B1 (ko) * 2013-02-26 2014-08-05 황현우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
KR20200005071A (ko) 2018-07-05 2020-01-15 주식회사 해솔 호스 연결용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3111B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2768A (en) Fluid line nut locking device
US5403041A (en) Tube- or hose connector for the transport of a fluid
KR100223111B1 (ko) 호스고정용 스프링 클램프
JPH0160714B2 (ko)
JP2013079722A (ja) ホースクランプ用トルクコントロールキャップ
JP2008208898A (ja) ホース接続のフランジ式コネクタ
US200601702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amping stud to exhaust manifold
KR200336038Y1 (ko) 호스 연결구
JP5584583B2 (ja) 樹脂管用継手及び樹脂管用継手を用いた連結方法
KR200310165Y1 (ko) 슬리브의 연결부위 조임량 확인장치
US7062995B2 (en) T-connector holding tool and method
JPH0488288A (ja) 分岐パイプ継手
JPH0632887U (ja) 管継手
JP3785446B2 (ja) 管継手予備締め治具
KR20080005468U (ko) 튜브 피팅
JPH0310466Y2 (ko)
JPH08149656A (ja) 管継手
KR20110138713A (ko) 파이프 커플러용 볼트
KR200169307Y1 (ko) 하네스, 케이블, 파이프 및 호스의 고정장치
KR200198253Y1 (ko) 파이프 및 축 이음쇠 구조
KR200155351Y1 (ko) 호스 클램프
JP3016933U (ja) 管継手
JP3158459U (ja) 手締め継手
JPH11310957A (ja) トラスの接合構造
JP3040811U (ja) ねじ込み形90゜ストリートエルボの 締め付け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