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165Y1 - 슬리브의 연결부위 조임량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슬리브의 연결부위 조임량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165Y1
KR200310165Y1 KR20-2003-0001262U KR20030001262U KR200310165Y1 KR 200310165 Y1 KR200310165 Y1 KR 200310165Y1 KR 20030001262 U KR20030001262 U KR 20030001262U KR 200310165 Y1 KR200310165 Y1 KR 200310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tightening
nut
fastening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윤
Original Assignee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1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1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1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리브의 연결부위 조임량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너트 하단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중간은 일정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경사면이 압착될시 경사면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조임 확인와셔를 마련한 후, 체결볼트와 너트를 나사 결합시 상기 조임 확인와셔에 의해 그 조임량이 적절하게 조절되게 함으로서, 체결볼트와 너트가 과다하게 조임되어 제품수명이 단축되는 것과, 체결볼트와 너트의 조임량이 적어 슬리브와 연결관의 연결부위에서 가스등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리브의 연결부위 조임량 확인장치{Confirmation apparatus of sealing state of sleeve}
본 고안은 슬리브의 연결부위 조임량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결볼트와 너트 사이에 별도의 조임 확인와셔를 형성한 후, 체결볼트와 너트를 나사 결합시 상기 조임 확인와셔에 의해 그 조임량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슬리브의 연결부위 조임량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관로등에 사용되는 슬리브의 체결장치를 간단하게 살펴보면슬리브의 상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슬리브와 연결관의 양단부에 접속되고 연결부위로 부터 가스등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밀폐링과, 상기 밀폐링의 외부에 상하 결합되어 슬리브와 연결관을 일체로 연결 고정시키는 상,하부 체결단과, 상기 상,하부 체결단의 체결구멍에 삽입된 체결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상,하부 체결단을 체결하는 와셔 및 너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슬리브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슬리브와 연결관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단순히 와셔,너트 및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상,하부 체결단을 나사 결합함으로서 슬리브와 연결관을 서로 긴밀하게 연결하기 때문에 나사 체결되는 조임량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작업자가 감각이나 경험으로 나사 조임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체결볼트와 너트를 과다하게 나사 조임하면 나사산이 서로 마모되어 파손되거나 그로인해 제품수명이 단축 되었으며, 체결볼트와 너트를 약하게 나사 조임하면 그 조임력이 약해 슬리브와 연결관의 연결부위로 부터 가스등이 누출되는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체결볼트와 너트 사이에 별도의 조임 확인와셔를 형성한 후, 체결볼트와 너트를 나사 결합시 상기 조임 확인와셔에 의해 조임량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슬리브의 연결부위 조임량 확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이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슬리브 11 ; 연결관 20 ; 밀폐링
30,31 ; 상,하부 체결단 40 ; 체결볼트 41 ; 와셔
42 ; 너트 100 ; 조임 확인와셔 110 ; 접촉면
120 ; 경사면 130 ; 공간 200 ; 확인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너트와 와셔 사이에 위치하고 상,하부 체결단을 나사 결합시 그 조임량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케 하는 조임 확인와셔를 구비하되,
이 조임 확인와셔는 너트 하단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중간은 일정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경사면이 압착될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2는 본 고안이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며, 도3은 본 고안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도 슬리브(10)의 상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관(11)과, 상기 슬리브(10)와 연결관(11)의 양단부에 접속되고 연결부위로 부터 가스등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밀폐링(20)과, 상기 밀폐링(20)의 외부에 상하 결합되어 슬리브(10)와 연결관(11)을 일체로 연결 고정시키는 상,하부 체결단(30)(31)과, 상기 상,하부 체결단(30)(31)의 체결구멍(32)에 삽입된 체결볼트(40)에 나사 결합되어 상,하부 체결단(30)(31)을 체결하는 와셔(41) 및 너트(42)로 이루어지는 체결장치의 구성과 작동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체결볼트(40)와 너트(42)를 나사 결합시 그 체결되는 조임량을 조절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너트(42)와 와셔(41) 사이에 위치하고 상,하부 체결단(30)(31)을 나사 결합시 그 체결되는 조임량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케 하는 조임 확인와셔(100)가 동원된다.
조임 확인와셔(100)는 너트(42) 하단과 접촉되는 접촉면(110)이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중간은 일정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120)이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경사면(120)이 압착될시 접촉면(110)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공간(13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경사면(120)의 표면에는 임의의 색상이 부여된 확인층(200)이 형성되고, 작업자는 이 확인층(200)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체결볼트와 너트를 나사 조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밀폐링(20)의 좌우측에 슬리브(10)와 연결관(11)의 단부를 접속한 다음 상기 밀폐링(20) 외부에 상,하부 체결단(30)(31)을 위치시키고 체결구멍(32)에는 체결볼트(40)를 삽입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볼트(40)상에 와셔(41), 조임 확인와셔(100), 너트(42)를 차례로 삽입한 후, 너트(42)와 체결볼트(40)를 나사 결합하면 경사면(120)은 나사 결합력에 의해 압착된다.
즉, 작업자가 경사면(120) 표면에 형성된 확인층(200)이 육안으로 보이지 않을때까지 체결볼트(40)와 너트(42)를 나사 결합하면 경사면(120) 하단은 공간(130)을 통하여 압착되고, 압착되는 과정에서 경사면(120)이 접촉면(110)과 수평을 이루면 조임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체결볼트와 너트 사이에 별도의 조임 확인와셔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볼트와 너트를 나사 결합하면 상기 조임 확인와셔에 의해 체결되는 조임량이 적절하게 조절되어 체결볼트와 너트의 수명이 연장될 뿐 아니라 가스등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은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Claims (2)

  1. 슬리브(10)의 상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관(11)과, 상기 슬리브(10)와 연결관(11)의 양단부에 접속되고 연결부위로 부터 가스등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밀폐링(20)과, 상기 밀폐링(20)의 외부에 상하 결합되어 슬리브(10)와 연결관(11)을 일체로 연결 고정시키는 상,하부 체결단(30)(31)과, 상기 상,하부 체결단(30)(31)의 체결구멍(32)에 삽입된 체결볼트(40)에 나사 결합되어 상,하부 체결단(30)(31)을 체결하는 와셔(41) 및 너트(42)로 이루어지진 슬리브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너트(42)와 와셔(41) 사이에 위치하고 상,하부 체결단(30)(31)을 나사 결합시 그 체결되는 조임량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케 하는 조임 확인와셔(100)를 구비하되, 이 조임 확인와셔(100)는 너트(41) 하단과 접촉되는 접촉면(110)이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중간은 일정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120)이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경사면(120)이 압착될시 접촉면(110)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공간(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의 연결부위 조임량 확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130)의 표면에는 임의의 색상이 부여된 확인층(2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의 연결부위 조임량 확인장치.
KR20-2003-0001262U 2003-01-15 2003-01-15 슬리브의 연결부위 조임량 확인장치 KR200310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262U KR200310165Y1 (ko) 2003-01-15 2003-01-15 슬리브의 연결부위 조임량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262U KR200310165Y1 (ko) 2003-01-15 2003-01-15 슬리브의 연결부위 조임량 확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165Y1 true KR200310165Y1 (ko) 2003-04-16

Family

ID=49332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262U KR200310165Y1 (ko) 2003-01-15 2003-01-15 슬리브의 연결부위 조임량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1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749A1 (ko) * 2018-08-30 2020-03-05 주식회사 코리아조인트 체결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파이프 커플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749A1 (ko) * 2018-08-30 2020-03-05 주식회사 코리아조인트 체결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파이프 커플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598B2 (en) Pipe joint locking device
US6893052B2 (en) Connecting arrangement for coolant lines
KR101478746B1 (ko) 파이프 압착 연결구
KR200310165Y1 (ko) 슬리브의 연결부위 조임량 확인장치
KR102091182B1 (ko) 파이프 고정 장치 및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장치
KR100914153B1 (ko) 파이프연결압륜 어셈블리
KR100943787B1 (ko) 슬라이드 조임식 파이프 연결 소켓
KR20210001307U (ko) 에어컨 실외기용 수지코팅 알루미늄관 연결장치
KR100887595B1 (ko) 패킹 구조
KR100558189B1 (ko) 관 연결 장치
KR200212005Y1 (ko) 급수관 연결구
KR200238545Y1 (ko) 파이프 연결구
KR100223111B1 (ko) 호스고정용 스프링 클램프
KR101317804B1 (ko) 너트 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한 차단기 단자 어셈블리
KR200194821Y1 (ko) 연결관 조임구
KR102528144B1 (ko) 이종관 연결구
KR200169307Y1 (ko) 하네스, 케이블, 파이프 및 호스의 고정장치
KR101243643B1 (ko) 체결성이 향상된 파이프 커플링장치
JP3186103U (ja) テストプラグ
JP2533704Y2 (ja) 水道用器具の接続パッキン
KR200297181Y1 (ko) 건축물 입상배관의 압력시험용 조립식 수압 캡
KR960009115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269750Y1 (ko) 이음쇠에 연결되는 배관의 조임장치
KR200354969Y1 (ko) 이경관 체결구
WO1998059177A1 (en) Nut and bolt sec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