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351Y1 - 호스 클램프 - Google Patents

호스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351Y1
KR200155351Y1 KR2019950050669U KR19950050669U KR200155351Y1 KR 200155351 Y1 KR200155351 Y1 KR 200155351Y1 KR 2019950050669 U KR2019950050669 U KR 2019950050669U KR 19950050669 U KR19950050669 U KR 19950050669U KR 200155351 Y1 KR200155351 Y1 KR 200155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band body
pin
slot
dr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0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578U (ko
Inventor
백승길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50050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351Y1/ko
Publication of KR9700435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5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3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목적]
직경이 가감 폭이 넓고, 강력한 조임력이 발휘될 수 있는 구조의 호스 클램프를 제공함.
[구성]
슬로트가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된 밴드체와, 상기한 슬로트에 맞물려 밴드체를 1피치씩 이동시키며 외주면에 체결공이 등간격으로 다수 뚫려지고, 일측단이 육각머리로 형성된 스플로킷과, 상기한 밴드체의 일측단에 일체로 배치되어서 상기한 스플로킷이 상기한 슬로트에 맞물려지게 수납 배치하고, 상기한 스플로킷의 외주에 뚫려진 체결공과 일치하는 핀공이 뚫려 있는 커버체와, 상기한 핀공과 체결공을 관통하여 삽입설치되는 핀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호스 클램프
제1도는 종래의 호스 클램프를 예시하는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호스 클램프를 예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밴드체 12 : 슬로트
14 : 커버체 16 : 스플로킷
18 : 육각머리 22 : 체결공
24 : 핀공 26 : 핀
[산업 상의 이용 분야]
본 고안은 호스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클램핑력을 가감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호스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호스 클램프는 차량 등에서 엔진의 오일이나 냉각수 순환용 호스를 기밀상으로 죄어 붙여 놓을 때 사용되는 부품이다.
이와 같은 호스 클램프는 종래부터 여러 가지 종류가 실요화되고 있으나, 어느 것이나 파이프의 외부 윤곽에 일치하는 원형의 링체로 형성되고, 이 링체의 직경을 가감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또, 링체의 직경은 강제로 가감 조절되거나 스크류 등에 의해 조절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제1도는 강제로 직경을 가감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호스 클램프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시한 클램프는 링체(2)의 양단부에 그림(4)을 갖추고 있고, 이 그림(4)은 상호 교차상으로 배치되어서 플라이어나 펜치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좁혀 주면 상기한 링체(2)의 직경이 증가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클램프에서 상기한 양 그립(4) 사이의 간격 조절은 그 사이로 스크류를 배치하여 행하게 하는 것도 실용화되고 있다.
[이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상기한 구성의 호스 클램프는 직경이 가감 폭이 제한되어 적용 범위가 좁은 단점이 있다.
게다가 호스 체결력도 자체 탄성력에 의해 발휘되기 때문에 기밀상의 접속 용도에는 만족스럽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호스 클램프에서 볼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직경의 가감 폭이 넓고, 강력한 조임력이 발휘될 수 있는 구조의 호스 클램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에 따라 슬로트가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된 밴드체와, 상기한 슬로트에 맞물려 밴드체를 1패치씩 이동시키며 외주면에 체결공이 등간격으로 다수 뚫려지고, 일측단이 육각머리로 형성된 스플로킷과, 상기한 밴드체의 일측단에 일체로 배치되어서 상기한 스플로킷이 상기한 슬로트에 맞물려지게 수납 배치하고, 상기한 스플로킷의 외주에 뚫려진 체결공과 일치하는 핀공이 뚫려 있는 커버체와, 상기한 핀공과 체결공을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는 핀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밴드체의 자유단부를 커버체로 관통시켜서 그 면에 등분 형성된 슬로트가 스플로킷에 맞물려지게 한 다음, 육각머리를 렌치나 드라이버로 회전시키면 상기한 밴드체가 1피치씩 이동하면서 말려들게 되고, 이에 따라 파이프의 접속을 행하게 된다.
또, 파이프의 체결이 종료되면 핀을 커버의 핀공으로 삽통하여 스플로킷의 체결공을 통해 관통되게 함으로써 체결된 상태가 변동없이 유지되게 한다.
[실시예]
상술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제2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밴드체(10)는 그 판면을 슬로트(12)를 다수 등간격으로 배열하고 있음과 아울러 그 일측단에는 커버체(14)를 일체로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커버체(14)의 내부에는 스플로킷(16)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서 상기한 밴드체(10)의 슬로트(12)와 맞물려져 있으며, 이 때문에 스플로킷(16)의 회전은 밴드체(10)가 1피치씩 이동하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또한, 스플로킷(16)은 그 일측단부가 육각머리(18)로 형성되어서 커버체(14)의 외부에서 상기한 스플로킷(16)을 회전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스플로킷(16)은 육각머리(18)의 주면으로 중공상의 벽체(20)를 보유하고 있고, 이 벽체(20)의 외주면에는 체결공(22)이 다수 등간격으로 뚫려져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스플로킷(16)이 수용 배치되는 커버체(14)의 외주 소정 위치에는 상기한 체결공(22)과 일치되는 핀공(24)이 뚫려져 있고, 이 핀공(24)과 체결공(22)을 관통하여 핀(26)이 삽입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커버체(14)의 외부에서 육각머리(18)를 회동 조작함에 따라 밴드체(10)의 자유단부는 커버체(14)를 통과하여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로 밴드체(10)가 밀려져 형성된 링 형태의 직경은 가감 조절될 수 있다.
또, 조절된 밴드체(10)의 직경은 커버체(14)의 외측 핀공(24)을 통해 삽통되는 핀(26)에 의해 조절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파이프의 접속이 종료된 후에 밴드체(10)가 이완되거나 하는 일은 생기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플로킷에 밴드체가 1피치씩 이동함에 따라 직경의 가감 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므로 종래의 클램프에 비해 적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 파이프로 가해지는 조임력은 스플로킷과 슬로트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가감되는 것이어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견고히 죄어 붙여 놓을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슬로트가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된 밴드체와, 상기한 슬로트에 맞물려 밴드체를 1피치씩 이동시키며 외주면에 체결공이 등간격으로 다수 뚫려지고, 일측단이 육각머리로 형성된 스플로킷과, 상기한 밴드체의 일측단에 일체로 배치되어서 상기한 스플로킷이 상기한 슬로트에 맞물려지게 수납 배치하고, 상기한 스플로킷의 외주에 뚫려진 체결공을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는 핀으로 구성된 호스 클램프.
KR2019950050669U 1995-12-28 1995-12-28 호스 클램프 KR200155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669U KR200155351Y1 (ko) 1995-12-28 1995-12-28 호스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669U KR200155351Y1 (ko) 1995-12-28 1995-12-28 호스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578U KR970043578U (ko) 1997-07-31
KR200155351Y1 true KR200155351Y1 (ko) 1999-09-01

Family

ID=1944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0669U KR200155351Y1 (ko) 1995-12-28 1995-12-28 호스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3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848B1 (ko) 2015-09-22 2017-07-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호스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848B1 (ko) 2015-09-22 2017-07-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호스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578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93933A (ja) ナット合わせ手段付きロックナット
KR20050041447A (ko) 자동차용 볼트 및 클램프의 체결구조
US7047610B2 (en) Holding device
CA2207060A1 (en) Blind fastener and blind fixing method
KR200155351Y1 (ko) 호스 클램프
CA2248976A1 (en) Blind alignment and clamp up tool
JP3043726B1 (ja) ナット具
KR200208961Y1 (ko) 강화유리의 손잡이 체결구조
US4558493A (en) Variably accessible band clamp
JPH06346910A (ja) ねじ具
KR100223111B1 (ko) 호스고정용 스프링 클램프
KR960000446Y1 (ko) 파이프 체결장치
SU1622705A1 (ru) Петлевой зажим дл закреплени гибких шлангов на патрубках, штуцерах
JPH0746188Y2 (ja) 伸縮管
KR200320275Y1 (ko) 렌치 홀더
KR200147626Y1 (ko) 지지용 파이프 고정구조
KR19980013506U (ko) 고정 클립을 갖는 밴드 클램프
JPS6246075Y2 (ko)
RU1812092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т гивани гаек
KR19980052793U (ko) 호스클램프
JPS5932523Y2 (ja) チエンジノブ等のレンチアダプタ
KR0174835B1 (ko) 간격 조절 가능한 스패너
JPH08149656A (ja) 管継手
SE9503710D0 (sv) Metod för montering av komponenter vid fordon
KR19980020443U (ko)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