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967U - 자동차용 방향제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방향제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967U
KR19990009967U KR2019970023229U KR19970023229U KR19990009967U KR 19990009967 U KR19990009967 U KR 19990009967U KR 2019970023229 U KR2019970023229 U KR 2019970023229U KR 19970023229 U KR19970023229 U KR 19970023229U KR 19990009967 U KR19990009967 U KR 199900099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fixing
air freshener
hol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3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9967U/ko
Publication of KR199900099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967U/ko

Link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방향제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고체형의 방향제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용 돌기와 그 양측으로 고정부를 일체로 형성한 베이스에 구멍이 형성된 커버를 구비하고 베이스의 저면에 양면 테이프를 구비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단부에 고정된 방향제에 있어서, 힌지공(11a)(11b)을 양측으로 형성한 메인덕트(11)의 저면으로 유입구(12a)와 토출구(12b) 및 일측면에 구멍(12c)을 형성한 공간부(12) 그리고, 방향제 고정부(12d)를 일체형으로 구비한 보조덕트(10)와 상기 힌지공에 삽입되는 힌지축(21)(21a)을 일체로 형성한 격막(20)과 방향제 탱크(30)의 상부로 형성한 투입공(31)을 개폐토록 하는 캡(32)과 유도관(33) 및 유도관의 단부에 고정된 증발부(34)로 구비된 방향제 보관부(30)와 상기 힌지축에 연결된 모터(40)로 구성하여 필요시 선택적으로 공기를 서브덕트로 바이패스토록 하여 차내의 방향능력을 향상시키고 방향제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방향제의 고정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방향제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컨디셔너 및 히터의 불로워에 연결된 메인덕트의 일측에 방향제를 보관한 하우징을 고정한 서브덕트를 구비시키고 블로워와 메인덕트를 통해 차내로 토출되는 공기를 필요시 서브덕트로 바이패스토록 하여 차내의 방향능력을 향상시키고 방향제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내는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시트와 카페트 및 도어트림 그리고, 여러 가지 방음작용을 하기 위한 방음부재등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구성품들은 주행중 발생하게 되는 진동 등으로 인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리된 상태서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체결수단을 통해 전후, 좌우의 패널에 고정이 되어 있다.
이때 사용되는 체결수단은 통상 나사식을 사용하나 트림이나 방음부재를 고정시는 체결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차내의 후로워 패널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시트는 그 외측에 여러 종류의 시트 카바를 씌워 차내의 미관을 향상토록 하였으나 각각의 구성품들을 고정시 사용되는 접착제로 인해 그 특유의 냄새가 차내에 베어 있는 상태에 있어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곤 하였다.
또한, 애연가를 위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중앙에 재떨이를 구비하여 주행중 잠시나마 담배를 태울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 역시 담배재와 꽁초 등으로 인해 심한 악취를 발생케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접착제와 담배재 및 꽁초 등으로 발생케 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차내의 일측에 방향제를 구비하여 이를 해결하였다.
이때 사용되는 방향제는 차내에 향기로운 냄새가 퍼지도록 하여 쾌적한 차내의 환경을 유지토록 한 것으로 그 방향제의 형태에 따라 고체형과 액체형이 있으며, 고체형은 도 4 의 종단면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내의 일측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방향제를 구비한 케이스를 구비하여 차내의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였으며, 이러한 구성은 프론트 글라스(100)와 인스트루먼트 패널(110)이 접하게 되는 상단부에 고체형의 방향제(12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용 돌기(131)(131a)와 다수개의 구멍(141)(141a)이 형성된 커버(14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32)가 일체로 구비된 베이스(130)를 구비하고 이 베이스(130)의 저면에 부착수단인 양면 테이프(150)를 구비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110)의 상단부에 고정하였다.
인스트르먼트 패널(110)에 고정된 방향제는 베이스(130)와 커버(140)의 공간부로 확산이 되면서 커버(140)에 형성된 구멍(141)(141a)을 통해 차내로 퍼지게 되어 쾌적한 환경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항상 친숙한 느낌을 갖도록 하였다.
한편, 액체형의 방향제는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 용기에 방향제를 구비하여 고체형과 동일한 효과를 갖도록 하였다.
그러나, 고체형과 액체형의 방향제는 차내의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하여 친숙한 느낌을 갖도록 할 수 있으나 방향제가 확산에 의해 차내로 퍼지게 됨으로 그 향기가 리어시트나 리어 글라스 등이 위치한 뒷부분까지 미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차내에 사용자(운전자와 탑승자)가 없을 경우에도 계속적으로 확산이 되어 방향제가 쉽게 소모되어 자주 교환을 해야하는 경제적인 문제점과 이에 따른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메인덕트의 일측에 방향제를 구비토록 하는 서브덕트를 구비시키고 필요시 이 서브덕트를 통해 공기가 바이패스토록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방향제의 고정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종단면 예시도,
도 3 은 도 2 의 A-A선 단면 예시도,
도 4 는 종래 고안의 종단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보조덕트 11; 메인덕트
11a,11b; 힌지공 12; 공간부
12a; 유입구 12b; 토출구
12c; 구멍 12d; 고정부
20; 격막 21,21a; 힌지축
30; 탱크 30; 방향제 보관부
31; 투입공 32; 캡
33; 유도관 34; 증발부
40; 모터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힌지공을 양측으로 형성한 메인덕트의 저면으로 유입구와 토출구 및 일측면에 구멍을 형성한 공간부 그리고, 방향제 고정부를 일체형으로 구비된 보조덕트와 힌지축을 일체로 형성한 격막과 탱크의 상부로 형성된 투입공을 개폐토록 하는 캡과 유도관 및 그 단부에 고정된 증발부로 구비된 방향제 보관부와 상기 힌지축에 연결된 모터로 구성되어 필요시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차내의 방향능력을 향상시키고 방향제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 예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종단면 예시도이며, 도 3 은 도 2 의 A-A선 단면 예시도이다.
고체형의 방향제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용 돌기를 상부면으로 형성하고 그 양측으로 고정부를 일체로 형성한 베이스에 구멍이 형성된 커버를 구비하고 베이스의 저면에 양면 테이프를 구비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단부에 고정된 방향제에 있어서, 메인덕트(11)의 저면으로 돌출 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한 보조덕트(10)와 보조덕트(10)의 상부로 힌지고정된 격막(20) 및 보조덕트(10)의 일측으로 액체와 고체방향제를 보관하기 위한 방향제 보관부(30) 그리고, 격막을 개폐하기 위한 모터(4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덕트(11)는 에너컨디셔너와 히터에 연결되어 있어 블로워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이 덕트(11)의 하부로 유입구(12a)와 토출구(12b)를 형성하고 양 유입과 토출구의 저면으로 공기가 지나가면서 방향제를 확산키 위한 공간부(12)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부(12)의 일측면에 구멍(12c)을 형성하고 구멍(12c)이 형성된 일측으로 방향제 고정부(12d)로 구비된 보조덕트(10)를 일체형으로 구비한다.
상기 공간부(12)의 상부 양측으로 메인덕트(11)에 힌지공(11a)(11b)을 형성한다.
상기 격막(20)은 메인덕트(11)의 중앙에 위치하여 보조덕트(10)와 메인덕트(11)의 유로를 조절하는 것으로 양측에 힌지축(21)(21a)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힌지공(11a)(11b)에 삽입된다.
상기 방향제 보관부(30)는 액체형과 고체형의 방향제를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탱크(30)의 상단부에는 이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공(31)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32)이 삽입되어져 있으며, 그 일측으로 유도관(33)이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구멍(12c)을 관통하여 그 단부가 공간부(12)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12)의 중앙에 위치한 유도관(33)의 단부에는 유도관(33)을 통해 탱크로부터 흘러나오는 기체나 액체상태의 방향제를 확산시키기 위한 증발부(34)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격막(20)의 일측에 구비된 힌지축(21a)의 단부에는 모터(40)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축과 연결이 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주행중에 에어컨디셔너나 히터를 작동한 상태에서 모터(40)와 연결된 스위치를 ON하게 되면 모터(40)가 회전을 하게 됨과 동시에 힌지축(21a)이 회전을 하게 되고 이 힌지축(21a)의 회전으로 격막(20)이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메인덕트(11)를 차단하게 된다.
메인덕트(11)내로 흐르고 있던 공기는 격막(2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유입구(12a)를 통해 토출구(12b)를 거쳐 메인덕트(11)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노즐(도시는 생략함)을 통해 차내로 확산(토출)된다.
이때, 공기가 유입구(12a)와 토출구(12b)가 위치한 공간부(12)를 통과하게 되면서 그 중앙에 구비되어 있는 증발부(34)에서 확산되는 방향제를 공기중에 함유하게 되며, 증발된 방향제는 탱크내에 있는 방향제가 유도관(33)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증발부(34)로 계속적으로 공급이 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를 역회전시키게 됨과 동시에 그 격막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메인덕트(11)의 유로를 개방함으로서 공기가 유입구를 경유하지 않음으로 방향제의 소모량은 감소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메인덕트를 통형으로 구비하여 사용하였으나 각형으로도 사용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메인덕트의 일측에 방향제를 보관한 하우징을 고정토록 한 서브덕트를 구비시키고 불로워와 메인덕트를 통해 차내로 토출되는 공기를 서브덕트로 바이패스토록 하여 차내의 방향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고체형의 방향제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용 돌기와 그 양측으로 고정부를 일체로 형성한 베이스에 구멍이 형성된 커버를 구비하고 베이스의 저면에 양면 테이프를 구비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단부에 고정된 방향제에 있어서, 힌지공(11a)(11b)을 양측으로 형성한 메인덕트(11)의 저면으로 유입구(12a)와 토출구(12b) 및 일측면에 구멍(12c)을 형성한 공간부(12) 그리고, 방향제 고정부(12d)를 일체형으로 구비한 보조덕트(10)와 상기 힌지공에 삽입되는 힌지축(21)(21a)을 일체로 형성한 격막(20)과 방향제 탱크(30)의 상부로 형성한 투입공(31)을 개폐토록 하는 캡(32)과 유도관(33) 및 유도관의 단부에 고정된 증발부(34)로 구비된 방향제 보관부(30)와 상기 힌지축에 연결된 모터(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방향제의 고정 구조.
KR2019970023229U 1997-08-26 1997-08-26 자동차용 방향제의 고정구조 KR199900099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229U KR19990009967U (ko) 1997-08-26 1997-08-26 자동차용 방향제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229U KR19990009967U (ko) 1997-08-26 1997-08-26 자동차용 방향제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967U true KR19990009967U (ko) 1999-03-15

Family

ID=6969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229U KR19990009967U (ko) 1997-08-26 1997-08-26 자동차용 방향제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996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8946B1 (en) Dual scent air-freshening dispensing device
US20080299014A1 (en) Aroma diffuser for vehicles
JP2010179786A (ja) 車両用芳香装置
JP2001253235A (ja) 空気清浄装置
KR19990009967U (ko) 자동차용 방향제의 고정구조
KR101940628B1 (ko) 차량용 방향제
US6532682B2 (en) Ventilated foot rest for a motor vehicle
US11034217B1 (en) Automobile air freshener
KR20180051059A (ko) 방향제 거치용 콘솔구조
JP2002362143A (ja) 車両用香り発生装置
JPH06255358A (ja) 居眠り運転防止装置
JP2576550Y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S6021081Y2 (ja) 通風放香容器
KR20000001071U (ko) 자동차용 방향제 공급 장치
KR200143863Y1 (ko) 차량용 방향장치
JPH0632145A (ja) 発香脱臭制御装置
JP2005125872A (ja) 空調用レジスタ及びそれに使用する芳香剤パッケージ
JP4609620B2 (ja) 車両用物入れ構造
JPH0127458Y2 (ko)
KR0121558Y1 (ko) 방향제 및 탈취제 발산기
KR20000006331U (ko) 공기 조화기를 이용한 방향제 토출 구조
JPS6025819A (ja) 自動車用消臭装置
KR10142321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KR0185828B1 (ko) 가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그에 따른 향 휘산방법
KR19980061067U (ko) 차량용 방향제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