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629U -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스핀들모터 스큐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스핀들모터 스큐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629U
KR19990009629U KR2019970022921U KR19970022921U KR19990009629U KR 19990009629 U KR19990009629 U KR 19990009629U KR 2019970022921 U KR2019970022921 U KR 2019970022921U KR 19970022921 U KR19970022921 U KR 19970022921U KR 19990009629 U KR19990009629 U KR 199900096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motor
support plate
plate
pickup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94165Y1 (ko
Inventor
김대중
홍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22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165Y1/ko
Publication of KR199900096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6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1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3Power control during transducing, e.g. by monito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스핀들모터 스큐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핀들모터의 기울기가 조립되어 있는 픽업상태 및 재생되는 디스크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하여 상기 픽업의 조립상태가 불량이거나 일부가 휘어져 있는 불량디스크를 재생하더라도 픽업에서 조사되는 빔이 상기 디스크의 트랙면에 항상 직각되게 부딪히면서 트랙면에 기록된 신호를 정확하게 읽어내도록 함에 따라 재생상태가 양호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턴테이블이 축결합되어 있는 스핀들모터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회동플레이트에 자유롭게 끼워져 상단이 지지판의 일측부에 압입된 축봉과, 상기 축봉의 하단에 형성되어 회동플레이트와 일정간격 이격된 돌출편과, 상기 본체 내의 적소에 구비되어 픽업에서 조사되어 디스크의 트랙면에 비딪힌 다음 다시 픽업으로 되돌아오는 빔량에 따라 인가전압을 결정하는 전압제어부와,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지지판 사이에 위치되도록 축봉에 끼워져 전압제어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치에 따라 변위량이 조절되는 제1피에조스프링과,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축봉에 일체화된 돌출편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축봉에 끼워져 전압제어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치에 따라 제1피에조스프링과 반대로 변위량이 조절되는 제2피에조스프링과, 상기 지지판의 타측부를 회동플레이트에 결합시켜 제1,2피에조스프링의 변위량 만큼 지지판이 이동력을 받을 때 상기 지지판의 기준점 역할을 하는 힌지편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스핀들모터 스큐 조정장치
본 고안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턴테이블이 축결합된 스핀들모터의 기울기를 필요한 각도만큼 적절하게 조정하여 재생시 픽업에서 조사된 빔이 디스크의 기록면에 항상 직각상태로 부딪히도록 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스핀들모터 스큐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디스크 플레이어는 CD, LD, DVD 등과 같은 광 디스크(이하디스크라 한다)를 기록매체로 하여 상기 디스크에 기록된 신호를 픽업에 의해 읽어 재생하는 기기로서, 기기본체(1)와, 상기 기기본체에 내,외측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디스크를 탑재하고 이 탑재된 디스크를 인입 및 인출시켜 주는 트레이(2)와, 상기 기기본체(1) 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회동플레이트(3)와,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핀들모터(4)와, 상기 스핀들모터에 축결합되어 스핀들모터(4)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디스크를 회전시켜 주는 턴테이블(5)과, 상기 회동플레이트(3)의 상부면에 가이드축(6)의 안내를 받아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디스크에 기록된 신호를 읽어내는 픽업(7)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트레이 인출버튼을 선택하여 기기본체(1)에 설치된 트레이(2)를 외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의 디스크 탑재홈(2a) 내로 디스크를 탑재한 다음 트레이 인입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트레이(2)가 내측으로 수평이동하면서 탑재된 디스크를 인입시켜 준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재생모드를 선택하면 기기본체(1) 내에 설치된 회동플레이트(3)가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수단의 의해 회동력을 부여받아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데, 이때 상기 회동플레이트(3)의 상부면에 스핀들모터(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핀들모터에는 턴테이블(5)이 축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결국 상기 턴테이블이 트레이(2)의 디스크 탑재홈(2a)에 탑재되어 있는 디스크를 들어올려 트레이(2)와 일정간격 이격시켜 준다.
상기 작용에 의해 턴테이블(5)이 디스크를 들어올려 주면 곧바로 스핀들모터(4)가 구동하여 턴테이블(5)을 회전시켜 주므로 디스크가 회전하는데, 이때 픽업(7)이 가이드축(6)의 안내를 받아 회전하는 디스크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디스크의 트랙에 빔을 조사하므로 상기 트랙상에 기록된 신호가 읽혀지면서 재생이 행하여 진다.
상기에서 재생모드 선택시 트레이(2)에 탑재된 상태로 인입되어 있는 디스크를 들어올려 주는 것은 상기 디스크가 회전할 때 트레이(2)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재생이 완료되거나 사용자가 스톱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회동플레이트(3)가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수단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므로 턴테이블(5)에 의해 들어올려져 있던 디스크가 다시 트레이(2)의 디스크 탑재홈(2a)에 탑재되고, 이후 사용자가 트레이 인출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트레이(2)는 다시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탑재된 디스크를 인출시켜 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회동플레이트(3)에 설치된 스핀들모터(4)는 스큐 조정장치에 의해 기울기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데, 이는 스핀들모터의 기울기가 픽업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맞지 않은 상태 그대로 디스크를 재생할 경우 픽업(7)에서 조사된 빔이 스핀들모터(4)의 구동에 따라 턴테이블(5)에 의해 회전하는 디스크의 트랙면에 직각상태로 부딪히지 못하므로 상기 빔이 디스크의 트랙면에 기록된 정보를 정확하게 읽어내지 못하거나 상기 디스크의 트랙면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낸 빔의 일부가 다시 픽업에 원활히 수광되지 못함에 따라 재생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한 스핀들모터 스큐 조정장치의 종래 구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턴테이블(5)이 축결합된 스핀들모터(4)가 지지판(11)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의 일측부는 조정스크류(12)로서 회동플레이트(3)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스크류에는 회동플레이트(3)와 지지판(11) 사이에 위치되면서 지지판에 탄력을 부여하도록 스프링(13)이 끼워져 있고, 상기 지지판(11)의 타측부는 기준점 역할을 하도록 회동플레이트(3)에 힌지편(14)으로서 결합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스핀들모터 스큐 조정장치에 의해 스핀들모터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스핀들모터(4)의 기울기가 픽업(7)과 비교하여 서로 맞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픽업에서 조사된 빔이 스핀들모터(4)의 구동에 따라 턴테이블(5)에 의해 회전하는 디스크의 트랙면에 직각상태로 부딪히지 못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작업자가 상기 디스크의 트랙면에 부딪힌 다음 다시 픽업(7)에 수광되는 빔량을 측정하면서 이 측정값에 따라 상기 스핀들모터(4)의 기울기를 필요한 각도만큼 조정하여 주면 된다.
즉, 스핀들모터(4)가 지지된 지지판(11)의 일측부를 데크플레이트(4)에 결합시켜 주고 있는 조정스크류(12)를 필요한 만큼 조이거나 풀면 상기 지지판(11)이 타측부의 힌지편(14)를 기준점으로 하여 스프링(13)의 탄력을 받으면서 조정스크류(12)의 조임량 및 풀림량에 비례된 만큼 상부로 이동되거나 하부로 이동되고 이에따라 픽업(7)에서 조사되는 빔이 디스크의 트랙면에 직각상태로 부딪히도록 스핀들모터(4)의 기울기가 조정되는데, 이는 상기 스핀들모터에 턴테이블(5)이 축결합되어 있고, 상기 턴테이블에는 디스크가 얹혀져 있음을 감안할 때 결국 디스크의 기울기가 변하게 되므로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이와같은 스핀들모터 스큐 조정장치는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조정스크류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기 스핀들모터의 기울기를 조정하므로 첫째, 작업성이 저하됨과 함께 정밀도가 떨어지고 둘째, 조립후 테스트 과정에서 한번 조정이 끝나게 되면 출하후 사용자가 재조정을 할 수가 없으며, 최초의 조정은 디스크가 수평상태라는 가정하에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부분적으로 휨이 일어난 불량디스크를 재생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불량디스크의 휜부분에 대응되게 스핀들모터의 기울기가 자동으로 조정되지 못하므로 재생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스핀들모터의 기울기가 조립되어 있는 픽업상태 및 재생되는 디스크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하여 상기 픽업의 조립상태가 불량이거나 일부가 휘어져 있는 불량디스크를 재생하더라도 픽업에서 조사되는 빔이 상기 디스크의 트랙면에 항상 직각되게 부딪히면서 트랙면에 기록된 신호를 정확하게 읽어내도록 함에 따라 재생상태가 양호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턴테이블이 축결합되어 있는 스핀들모터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회동플레이트에 자유롭게 끼워져 상단이 지지판의 일측부에 압입된 축봉과, 상기 축봉의 하단에 형성되어 회동플레이트와 일정간격 이격된 돌출편과, 상기 본체 내의 적소에 구비되어 픽업에서 조사되어 디스크의 트랙면에 비딪힌 다음 다시 픽업으로 되돌아오는 빔량에 따라 인가전압을 결정하는 전압제어부와,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지지판 사이에 위치되도록 축봉에 끼워져 전압제어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치에 따라 변위량이 조절되는 제1피에조스프링과,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축봉에 일체화된 돌출편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축봉에 끼워져 전압제어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치에 따라 제1피에조스프링과 반대로 변위량이 조절되는 제2피에조스프링과, 상기 지지판의 타측부를 회동플레이트에 결합시켜 제1,2피에조스프링의 변위량 만큼 지지판이 이동력을 받을 때 상기 지지판의 기준점 역할을 하는 힌지편으로 구성하여서 된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스핀들모터 스큐 조정장치가 제공된다.
도 1a는 종래 스핀들모터 스큐 조정장치를 갖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요부 종단면도로서, 트레이에 탑재된 디스크를 턴테이블이 들어올려주지 않은 상태도
도 1b는 종래 스핀들모터 스큐 조정장치를 갖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요부 종단면도로서, 트레이에 탑재된 디스크를 턴테이블이 들어올려준 상태도
도 2는 종래 스핀들모터 스큐 조정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 스핀들모터 스큐 조정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3. 회동플레이트
4. 스핀들모터 5. 턴테이블
7. 픽업 101. 지지판
102. 축봉 103. 돌출편
104. 전압제어부 105. 제1피에조스프링
106. 제2피에조스프링 107. 힌지편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3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 스핀들모터 스큐 조정장치를 나타낸 요부확대도로서, 본 고안은 턴테이블(5)이 축결합되어 있는 스핀들모터(4)를 지지판(101)으로서 지지하고, 회동플레이트(3)에는 축봉(102)을 자유롭게 끼워 상기 축봉의 상단을 지지판(101)의 일측부에 압입하며, 상기 축봉(102)의 하단에는 회동플레이트(3)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편(103)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1) 내의 적소에는 픽업(7)에서 조사되어 디스크의 트랙면에 부딪힌 다음 다시 픽업(5)으로 되돌아오는 빔량에 따라 인가전압을 결정하는 전압제어부(104)를 구비하며, 상기 촉봉(102)의 상부에는 회동플레이트(3)와 지지판(101) 사이에 위치되면서 전압제어부(104)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치에 따라 변위량이 조절되는 제1피에조스프링(105)을 끼우고, 상기 축봉(102)의 하부에는 회동플레이트(3)와 축봉(102)에 일체화된 돌출편(103) 사이에 위치되면서 전압제어부(104)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치에 따라 제1피에조스프링(105)과 반대로 변위량이 조절되도록 제2피에조스프링(106)을 끼우며, 상기 지지판(101)의 타측부는 제1,2피에조스프링(105)(106)의 변위량에 따라 지지판(101)이 상부로 이동하거나 하부로 이동할 때 기준점 역할을 수행하도록 힌지편(107)으로서 회동플레이트(3)에 결합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스핀들모터 스큐 조정장치에 의해 스핀들모터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핀들모터(4)의 기울기가 픽업(7)과 비교하여 서로 맞지 않도록 조립되어 있거나 재생하기 위한 디스크가 휘어져 있다면 상기 픽업(7)에서 조사된 빔이 스핀들모터(4)의 구동에 따라 턴테이블(5)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디스크의 트랙면에 직각상태로 부딪히지 못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디스크의 트랙면에 부딪힌 다음 다시 픽업(7)으로 되돌아오는 빔량에 따라 축봉(102)에 끼워진 제1피에조스프링(105) 및 제2피에조스프링(106)이 변형되면서 스핀들모터(4)의 기울기가 조정된다.
즉, 픽업(7)에서 조사되어 디스크의 트랙면에 부딪힌 다음 다시 픽업으로 되돌아오는 빔량에 따른 적정전압을 본체(1) 내의 적소에 구비된 전압제어부(104)가 제어하여 상기 픽업(4)이 다시 되돌아오는 빔량에 대응되는 전압을 축봉(102)의 상부에 끼워진 제1피에조스프링(105)으로 인가시켜 줌과 동시에 각 축봉(102)의 하부에 끼워진 제2피에조스프링(106)으로 인가시켜 주므로 상기 제1피에조스프링(105)과 제2피에조스프링(106)이 인가되는 전압치에 맞게 서로 반대로 변위되는데, 상기 제1피에조스프링(105)은 축봉(102)의 상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플레이트(3)와 스핀들모터(4)가 지지된 지지판(101)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제2피에조스프링(106)은 축봉(102)의 하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플레이트(3)와 축봉(102)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편(103)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결국 지지판(101)이 상기 지지판의 타측부를 회동플레이트(3)에 결합시켜 주고 있는 힌지편(107)을 기준점으로 하여 제1,2피에조스프링(105)(106)의 변위량에 비례된 만큼 상부로 이동되거나 하부로 이동되고, 이에따라 스핀들모터(4)의 기울기가 픽업(7)에서 조사되는 빔이 디스크의 트랙면에 직각상태로 부딪히도록 조정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재생시 픽업에서 조사되어 디스크의 트랙면에 부딪힌 다음 다시 픽업으로 되돌아오는 빔량에 따라 스핀들모터의 기울기가 적정 각도만큼 자동으로 조정되므로 픽업의 조립상태가 불량이었거나 재생되는 디스크가 일부분이 휘어져 있는 불량 디스크이더라도 픽업에서 조사되는 빔은 항상 디스크의 트랙면에 직각되게 부딪히므로 재생상태가 양호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턴테이블이 축결합되어 있는 스핀들모터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회동플레이트에 자유롭게 끼워져 상단이 지지판의 일측부에 압입된 축봉과,
    상기 축봉의 하단에 형성되어 회동플레이트와 일정간격 이격된 돌출편과,
    본체 내의 적소에 구비되어 픽업에서 조사되어 디스크의 트랙면에 비딪힌 다음 다시 픽업으로 되돌아오는 빔량에 따라 인가전압을 결정하는 전압제어부와,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지지판 사이에 위치되도록 축봉에 끼워져 전압제어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치에 따라 변위량이 조절되는 제1피에조스프링과,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축봉에 일체화된 돌출편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축봉에 끼워져 전압제어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치에 따라 제1피에조스프링과 반대로 변위량이 조절되는 제2피에조스프링과,
    상기 지지판의 타측부를 회동플레이트에 결합시켜 제1,2피에조스프링의 변위량 만큼 지지판이 이동력을 받을 때 상기 지지판의 기준점 역할을 하는 힌지편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스핀들모터 스큐 조정장치.
KR2019970022921U 1997-08-23 1997-08-23 광디스크플레이어의스핀들모터스큐조정장치 KR200294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921U KR200294165Y1 (ko) 1997-08-23 1997-08-23 광디스크플레이어의스핀들모터스큐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921U KR200294165Y1 (ko) 1997-08-23 1997-08-23 광디스크플레이어의스핀들모터스큐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629U true KR19990009629U (ko) 1999-03-15
KR200294165Y1 KR200294165Y1 (ko) 2002-12-31

Family

ID=5389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921U KR200294165Y1 (ko) 1997-08-23 1997-08-23 광디스크플레이어의스핀들모터스큐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1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597B1 (ko) * 2002-07-24 2005-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틸트조정장치를 갖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597B1 (ko) * 2002-07-24 2005-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틸트조정장치를 갖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165Y1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0591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조정 장치
JP3668097B2 (ja) ピックアップ傾き調整機構を有するディスク記録又は再生装置
US7489601B2 (en) Disk drive
US6324152B1 (en) Disc reproducing apparatus with motor base bearing system
KR200294165Y1 (ko) 광디스크플레이어의스핀들모터스큐조정장치
KR910005643B1 (ko) 상이한 직경의 디스크의 겸용 재생장치
JP2005050398A (ja) ピックアップ傾き調整機構を具えたディスク記録又は再生装置
KR100277947B1 (ko) 광디스크플레이어의픽업스큐조정장치
KR970011224B1 (ko) 레이져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장치
JP2001344767A (ja) ピックアップ傾き調整機構を有するディスク記録又は再生装置
WO2004044906A1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光ピックアップのチルト補正方法
KR100585671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자동 틸트 보정 장치
KR100604782B1 (ko) 픽업의 광축 정렬장치
KR960005009Y1 (ko) 미니디스크겸용 콤펙트디스크플레이어의 미니디스크위치 결정핀 승강장치
KR19990006391U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스핀들모터 각도 조정장치
KR0161937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19990012172U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가이드축 높이 조정장치
KR100588923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기어 캠
KR960014655B1 (ko) 양면재생용 레이저디스크플레이어의 픽업틸팅장치
JP4067465B2 (ja) ピックアップ傾き調整機構を具えたディスク記録又は再生装置
JP3342390B2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691354B2 (ja) ピックアップ傾き調整機構を有するディスク記録又は再生装置及びその調整機構を位置決めする方法
KR0162388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
JPH09180225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085432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