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388B1 -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388B1
KR0162388B1 KR1019950024408A KR19950024408A KR0162388B1 KR 0162388 B1 KR0162388 B1 KR 0162388B1 KR 1019950024408 A KR1019950024408 A KR 1019950024408A KR 19950024408 A KR19950024408 A KR 19950024408A KR 0162388 B1 KR0162388 B1 KR 0162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motor shaft
turntable
disk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4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2630A (ko
Inventor
김영중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24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2388B1/ko
Publication of KR970012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2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3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provided on the turntable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밀도 재생용 스핀들모터에 관한 것으로, 턴테이블에 부착되는 로터와, 상기 턴테이블의 중앙부에 압입고정되는 모터축과, 상기 모터축의 하부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베어링 홀더와, 상기 베어링 홀더에 결합되는 코일 지지판과, 제1디스크의 재생시 전류가 인가되어 그 제1디스크가 안착된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제1코일 및 제1마그네트와, 제2디스크의 재생시 전류가 인가되어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고 모터축을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켜 촛점거리를 보상하기 위한 제2코일 및 제2마그네트와, 상기 모터축의 승강 높이를 규제하기 위한 승강 규제수단으로 구성하여, 일반적인 저밀도 디스크의 재생은 물론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시에도 재생 상태가 양호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고밀도 디스크중 두께가 얇아진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시에는 디스크의 얇아진 두께 만큼 상기 디스크의 트랙면에서 대물렌즈까지의 거리를 보상해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크의 두께차에도 상관없이 항상 양호한 재생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
제1도의 (a) 및 (b)는 일반적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것으로,
(a)는 트레이의 언로딩 상태를 보인 평면도.
(b)는 트레이의 로딩 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2도의 (a) 및 (b)는 일반적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것으로,
(a)는 트레이의 언로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b)는 트레이의 로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제3도의 일반적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동력전달계통을 보인 정단면도.
제4도는 일반적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5도는 일반적인 광 디스크 플레이어를 구성하는 재생장치를 보인 사시도.
제6도는 일반적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대물렌즈에 의한 디스크 재생동작을 보인 측단면도.
제7도 내지 제10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스핀들모터를 보인 것으로,
제7도는 분해 단면도.
제8도는 코어의 평면도.
제9도는 디스크의 재생 이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10도는 디스크의 재생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11도의 (a) 내지 (c)는 일반적인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 의한 대물렌즈의 촛점 상태를 보인 것으로, (a)는 저밀도 디스크의 촛점이 정확하게 맞추어진 상태를 보인 작용도. (b)는 고밀도 디스크의 촛점이 맞추어지지 않은 상태를 보인 작용도. (c)는 고밀도 디스크의 촛점이 촛점 보상 높이 만큼 상승되어 정확하게 맞추어진 상태를 보인 작용도.
제12도 내지 제1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핀들모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것으로,
제12도는 디스크의 재생 이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13도는 저밀도 디스크의 재생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14도는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핀들모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 단면도.
제16도 및 제1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핀들모터의 요부 구성을 보인 것으로,
제16도는 마그네트의 착자 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17도는 코일의 배치 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18도는 제12도의 a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턴테이블 52 : 로터
52a : 상부 케이스 52b : 하부 케이스
53 : 모터측 53a : 걸림턱
53b : 나사부 54 : 베어링
55 : 베어링 홀더 56 : 코일 지지판
57, 59 : 제1, 2 코일 58, 60 : 제1, 2 마그네트
62 : 걸림부재 63 : 받침부재
64 : 고정부재
본 발명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spindle mo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께가 얇아진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시, 디스크의 얇아진 두께 만큼 상기 디스크의 트랙면에서 대물렌즈까지의 거리를 보상하여 디스크의 두께 차이에도 상관없이 항상 양호한 재생을 실현 할 수 있게 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디스크 플레이어는 광 디스크(이하, 디스크라 한다)를 기록매체로 하여 상기 디스크에 기록된 신호를 픽업장치에 의해 읽어 재생하는 기기로서, 종래에는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설치되어 디스크(D)를 탑재하는 트레이(2)와, 상기 트레이(2)에 탑재된 디스크(D)를 본체(1)의 내부로 이동시켜주는 로딩장치와, 상기 트레이(2)에 탑재된 디스크(D)가 본체(1)의 내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재생신호가 주어질 때 디스크(D)에 기록된 신호를 읽어내는 재생장치와, 상기 로딩장치 및 재생장치를 콘트롤하는 제어장치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트레이(2)에는 트레이구멍(2a)과 디스크 탑재홈(2b), 그리고 트레이 랙(2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딩장치는 베이스구멍(3a)을 갖는 메인베이스(3)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제어장치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로딩모터(4)와, 상기 로딩모터(4)에 축결합되어 로딩모터(4)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풀리(5)와, 상기 메인베이스(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풀리(5)의 회전력을 벨트(6)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풀리(7)와, 상기 종동풀리(7)에 일체로 형성되어 종동풀리(7)와 함께 회전하는 전달기어(8)와, 메인베이스(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달기어(8)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트레이(2)를 이동시켜 주는 간헐기어로 된 캠기어(9)와, 상기 캠기어(9)의 회전에 의해 틀이(2)가 이동할 때 이동하는 트레이(2)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편(10)과, 상기 캠기어(9)와 동일축상에 고정되어 캠기어(9)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나선형의 캠홈(11a)을 갖는 캠(11)과, 상기 메인베이스(3)의 베이스구멍(3a)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캠(11)의 회전력을 일체 형성된 돌기(12a)를 통해 전달받아 회동하는 회동플레이트(12)와, 상기 회동플레이트(12)에 부착되어 제어장치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핀들모터(13)와, 상기 스핀들모터(13)에 축결합되어 회동플레이트(12)의 회동시 트레이(2)에 탑재된 디스크를 들어줌과 함께 스핀들모터(13)의 구동시 디스크(D)를 회전시켜 주는 턴테이블(14)과, 상기 메인베이스(3)에 양끝단이 고정된 브라켓(15)과, 상기 브라켓(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턴테이블(14)이 디스크(D)를 들어줄 때 상기 디스크(D)를 클램핑 하여 주는 클램프(1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재생장치는 로딩장치를 구성하는 회동플레이트(12)에 고정된 지지편(17)과, 상기 지지편(17)에 양끝단부가 지지된 한쌍의 가이드레일(18)(18a)과,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18)(18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로 빔통과공(19a)이 일체로 형성된 픽업베이스(19)와, 상기 픽업베이스(19) 내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레이저빔(이하 빔이라 한다)을 발생시키는 빔발생기(20)와, 상기 픽업베이스(19)내에 고정되어 빔발생기(20)에서 발생되는 빔은 반사시키고 되돌아오는 빔은 통과시키는 빔스프리터(21)와, 상기 픽업베이스(19) 내에 고정되어 빔스프리터(21)에서 반사된 빔의 경로를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변화시켜 주는 제1밀러(22) 및 제2밀러(23)와, 상기 픽업베이스(19)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복수개의 탄성지지체(24)에 의해 지지되어 수직상태로 경로가 변화된 빔을 받아들이는 엑튜에이터(25)와, 상기 엑튜에이터(25)에 설치되어 그 엑튜에이터(25)로 들어온 빔을 디스크(D)에 조사함과 함께 상기 디스크(D)에 조사되어 반사된 빔을 다시 수광하는 대물렌즈(26)와, 상기 픽업베이스(19)내에 설치되어 대물렌즈(26)를 통해 수광된 빔의 광량을 검지, 이를 제어장치로 보내주는 광검지기(27)와, 로딩장치를 구성하는 회동플레이트(12)에 부착되어 제어장치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력을 방생시키는 슬라이드모터(28)와, 상기 슬라이드모터(28)에 축결합되어 그 슬라이드모터(28)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29)와, 상기 회동플레이트(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기어(29)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종동기어(30)와, 상기 엑튜에이터(25)에 고정되어 종동기어(30)의 회전력을 엑튜에이터(25)로 전달하여 주는 랙플렉이트(31)와, 상기 엑튜에이터(25)에 감겨져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포커스코일(32) 및 트랙킹코일(33)과, 상기 픽업베이스(19)에 고정되어 포커스코일(32)에서 발생된 자기력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엑튜에이터(25)가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트랙킹코일(33)에서 발생된 자기력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엑튜에이터(25)가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한쌍의 자석(34)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도 (a) 및 제2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를 본체(1)의 외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2)에 형성된 디스크 탑재홈(2b)으로 디스크(D)를 탑재시킨 다음 로딩버튼을 선택하면 메인베이스(3)의 하부면에 부착된 로딩모터(4)가 제어장치의 제어신호를 받아 정구동하므로 상기 로딩모터(4)에 축결합된 구동풀리(5)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력은 벨트(6)→종동풀리(7)→전달기어(8)를 통해 메인베이스(3)에 설치된 캠기어(9)로 전달되므로 상기 캠기어(8)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트레이(2)에 형성된 트레이 랙(2c)이 캠기어(9)의 회전력을 부여 받으므로 상기 트레이(2)는 디스크(D)를 탑재한 상태로 복수개의 가이드편(10)에 안내되어 본체(1)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트레이(2)가 캠기어(9)의 반시계방향 회전력을 받아 본체(1) 내측으로 이동하다가 간헐기어로 된 상기 캠기어(9)의 무기어부분이 트레이(2)에 형성된 트레이 랙(2c)에 접촉되는 순간 캠기어의 회전력은 더이상 트레이(2)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트레이(2)가 제1도 (b) 및 제2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 내측으로 이동 완료된다.
한편, 로딩모터(4)가 정구동하여 구동풀리(5)가 회전하고 이 회전력을 벨트(6)→종동풀리(7)→전달기어(8)를 통해 캠기어(9)가 전달받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캠기어(9)에 일체로 형성된 캠(11)도 캠기어(9)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캠(11)의 캠홈(11a) 내로 회동플레이트(12)에 형성된 돌기(12a)가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회동플레이트(12)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한 작용에 의해 회동플레이트(12)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회동플레이트(12)에 부착된 스핀들모터(13)와 상기 스핀들모터(13)에 축결합된 턴테이블(14)이 메인베이스(3)에 형성된 베이스구멍(3a)을 통과함과 함께 상기 턴테이블(14)은 계속해서 트레이(2)에 형성된 트레이 구멍(2a)을 통과함에 따라 상기 트레이(2)의 디스크 탑재홈(2b)에 탑재된 디스크(D)가 턴테이블(14)에 안착되면서 트레이(2)와는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디스크(D)의 상부면이 브라켓(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클램프(16)에 접촉되므로 제2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D)가 클램핑되면서 로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재생모드를 선택하면 회동플레이트(12)에 부착된 스핀들모터(13)가 제어장치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하여 턴테이블(14)을 회전시켜 주므로 상기 턴테이블(14)과 함께 디스크(D)가 회전하는데, 이때 회동플레이트(12)의 하부면에 부착된 슬라이드모터(28)가 제어장치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하므로 상기 슬라이드모터(28)에 축결합된 구동기어(29)가 회전하고, 이 회전력은 회동플레이트(12)에 설치된 종동기어(30)를 통해 픽업베이스(19)에 고정된 랙플레이트(31)로 전달되므로 상기 픽업베이스(19)가 이동력을 부여받아 한쌍의 가이드레일(18)(18a)에 안내되어 디스크(D)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크(D)에 기록된 신호를 읽어내므로 재생이 행하여 진다.
그럼 여기서 픽업베이스(19)가 이동하면서 디스크(D)에 기록된 신호를 읽어내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픽업베이스(19)가 디스크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픽업베이스(19)내에 설치된 빔발생기(20)가 제어장치의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여 빔을 발생시키고 이 발생된 빔은 빔스프리터(21)와, 제1, 2밀러(22)(23)에 의해 연속적으로 반사되면서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경로가 변환된 다음 픽업베이스(19)에 형성된 빔통과공(19a)을 통해 픽업베이스(19) 외부로 나가는데, 이때 픽업베이스(19)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복수개의 탄성지지체(24)에 의해 엑튜에이터(25)가 지지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수직상태로 경로가 변화되어 상기 픽업베이스(19)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빔은 엑튜에이터(25)로 입사된 다음 상기 엑튜에이터(25)에 설치된 대물렌즈(26)를 통해 조사되고 이 조사된 빔은 회전하는 디스크의 트랙면에 부딪혀 다시 대물렌즈(26)에 수광된다.
이와같이 대물렌즈(26)에의해 다시 수광된 빔은 엑튜에이터(25)→제2밀러(23)→제1밀러(22)→빔스프리터(21)를 연속적으로 지나 광검지지(27)에 검지되고 이 검지된 빔은 광량의 차이에 의해 신호로 나타나 출력되므로 디스크(D)가 재생된다.
한편, 상기한 작용에 의해 디스크(D)가 재생되는 도중 엑튜에이터(25)에 설치된 대물렌즈(26)를 통해 조사된 빔이 디스크(D)의 휨등으로 인하여 상기 디스크(D)의 트랙면에 직각으로 부딪히지 못한다면 디스크(D)의 트랙에 기록된 신호를 정확하게 읽어내지 못함에 따라 포커싱 에러가 발생됨과 함께 상기 엑튜에이터(25)에 설치된 대물렌즈(26)를 통해 조사된 빔이 디스크의 트랙을 정확하게 찾아가지 못한다면 이 또한 디스크(D)의 트랙면에 기록된 신호를 정확하게 읽어내지 못함에 따라 트랙킹 에러가 발생되는데, 상기 포커싱 에러가 발생되었다면 엑튜에이터(25)에 감겨진 포커스코일(32)로 전원이 공급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므로 사기 포커스코일에 흐르는 자기력과 픽업베이스(19)에 고정된 자석(34)의 자력에 의해 엑튜에이터(25)는 탄성지지체(24)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이동함에 따라 포커싱 에러가 계속적으로 보정되고, 트랙킹 에러가 발생되었다면 엑튜에이터(25)에 감겨진 트랙킹코일(33)로 전원이 공급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므로 상기 트랙킹코일에 흐르는 자기력과 픽업베이스(19)에 고정된 자석(34)의 자기력에 의해 엑튜에이터(25)는 탄성지지체(24)에 지지된 상태로 수평이동함에 따라 트랙킹 에러가 계속적으로 보정된다.
또한 재생이 완료되면 스핀들모터(13)의 구동이 정지되므로 턴테이블(14)과 디스크(D)의 회전은 중단됨과 함께 슬라이드모터(28)는 재생시와 역으로 구동하므로 픽업베이스(19)가 다시 디스크(D)의 내측으로 이동 완료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젝트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로딩시와 역으로 모든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언로딩이 행하여 지므로 턴테이블(14)에 안착되어 있던 디스크를 트레이(2)가 다시 안착하여 본체(1)외측으로 이동시켜 준다.
한편, 상기와 같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주요 부품으로 사용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스핀들모터(13)의 일례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7도 내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14)에 부착되는 로터(41)와, 상기 로터(41)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마그네트(42)와, 상기 턴테이블(14)의 중앙부에 압입고정되는 모터축(43)과, 상기 모터축(43)의 하부에 베어링(44)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베어링 홀더(45)와, 상기 베어링 홀더(45)에 결합되는 방사상의 코어(46)와, 상기 코어(46)에 감겨지는 코일(4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스핀들모터(13)는, 코일(47)에 전류를 흘리면, 코어(46)의 자장과 마그네트(42)의 자력에 의하여 로터(41)가 회전하게 되고, 그 로터(41)의 회전에 의하여 턴테이블(14)이 회전하여 디스크(D)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8은 스틸피시비를 보인 것으로, 그 스틸피시비(48)는 회동플레이트(12)에 볼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데이타의 저장용량을 크게 하기 위해 디스크(D)가 고밀도화 됨은 물론 경량화를 위해 전체적인 두께(t)가 얇아지는데, 상기 디스크(D)가 트랙이 형성된 상부판과 상기 트랙을 보호하는 하부판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디스크의 전체적인 두께가 얇아진다는 것은 상부판의 두께는 변함이 없고 하부판의 두께가 얇아진다는 것이므로 결과적으로 두께가 얇아진 고밀도의 디스크를 재생할 때는 디스크의 트랙면에서 대물렌즈 까지의 거리가 짧아지고, 이런 상태로 디스크를 재생하게 되면 두께가 얇아진 디스크는 초점거리가 더욱 맞지않게 되어 재생상태가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즉, 제11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밀도 디스크(D)를 사용할 경우에는 대물렌즈(26)와 저밀도 디스크(D)의 촛점이 정확하게 맞으나, 제11도의 (b)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가 비교적 얇은 고밀도 디스크(D)의 경우에는 고밀로 디스크(D)의 트랙면(t)과 대물렌즈(26)까지의 거리(L)가 짧아지게 됨으로써 △L 만큼의 촛점 보상 높이가 요구되는 바, 종래 기술에 의한 스핀들모터(13)로는 상기한 촛점 보상 높이(△L)를 만족시키지 못하여 고밀도 디스크(D)의 재생이 불가능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저밀도 디스크의 재생은 물론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시에도 재생 상태가 양호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고밀도 디스크중 두께가 얇아진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시에는 디스크의 얇아진 두께 만큼 상기 디스크의 트랙면에서 대물렌즈까지의 거리를 보상해 줄 수 있도록 하여 디스크의 두께차에도 상관없이 항상 양호한 재생상태가 되도록 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턴테이블에 부착되는 로터와, 상기 턴테이블의 중앙부에 압입고정되는 모터축과, 상기 모터축의 하부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베어링 홀더와, 상기 베어링 홀더에 결합되는 코일 지지판과, 제1 디스크의 재생시 전류가 인가되어 그 제1 디스크가 인착된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제1 코일 및 제1 마그네트와, 제2 디스크의 재생시 전류가 인가되어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고 모터축을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켜 촛점거리를 보상하기 위한 제2 코일 및 제2 마그네트와, 상기 모터축의 승강 높이를 규제하기 위한 승강 규제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가 제공된다.
상기로터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분리되어, 그 하부 케이스의 저면 및 상부 케이스의 내부 상면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이 각각 부착되며, 상기 코일 지지판의 하면 및 상면에 제1 마그네트 및 제2 마그네트가 부착된다.
상기 승강 규제수단은 베어링 홀더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모터축의 걸림턱 부위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부재와, 상기 모터축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모터축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2도 내지 제1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핀들모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단면도이고, 제16도 및 제17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고밀도 재생용 스핀들모터를 구성하는 마그네트의 착자 상태를 보인 평면도 및 코일의 배치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제18도는 제12도의 a부 확대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는, 턴테이블(51)에 부착되는 로터(52)와, 상기 턴테이블(51)의 중앙부에 압입고정되는 모터축(53)과, 상기 모터축(53)의 하부에 베어링(54)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베어링 홀더(55)와, 상기 베어링 홀더(55)에 결합되는 원판상의 코일 지지판(56)과, 제1 디스크(저밀도 디스크)의 재생시 전류가 인가되어 그 제1 디스크기 안착된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제1 코일(57) 및 제1 마그네트(58)와, 제2 디스크(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시 전류가 인가되어 턴테이블(51)을 회전시키고 모터축(53)을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켜 촛점거리를 보상하기 위한 제2 코일(59) 및 제2 마그네트(60)와, 상기 모터축(53)의 승강 높이를 규제하기 위한 승강 규제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터(52)는, 상부 케이스(52a)와, 하부 케이스(52b)로 분리되어, 수개의 고정나사(61)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하부 케이스(52b)의 저면 및 상부 케이스(52a)의 내부 상면 제1 코일(57) 및 제2 코일(59)이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 지지판(56)의 하면 및 상면에 제1 마그네트(58) 및 제2 마그네트(6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승강 규제수단은 베어링 홀더(55)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모터축(53)의 걸림턱(53a) 부위가 걸리도록 하는 원판상의 걸림부재(62)와, 상기 모터축(53)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와셔 등의 받침부재(63)와, 상기 모터축(53)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부(53b)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등의 고정부재(64)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모터축(53)이 완전하게 하강된 상태에서 걸림판(62)의 하면과 와셔(63)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고밀도 디스크(D)의 사용에 따른 대물렌즈와 디스크(D) 사이의 촛점거리 보상량(△L)과 동일한 거리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고밀도 재생용 스핀들모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2도는 디스크(D)의 재생 이전 상태를 보인 것으로, 기존의 경우와 같이 저밀도의 제1 디스크(D)를 재생할 경우에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의 제1 코일(57)에 전류가 흘러 하부의 제1 마그네트(58)와의 자장과 자력에 의하여 서로 밀치면서 하부 케이스(52b)가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로터(52) 및 턴테이블(51)도 함께 회전하여 디스크(D)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모터축(53)은 그의 걸림턱(53a)이 베어링 홀더(55)에 고정된 걸림부재(62)에 걸리게 되므로 하강 동작이 규제된다.
한편,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밀도 디스크(D)의 재생시에는 대물렌즈와 디스크(D) 사이의 촛점거리 보상이 필요하므로, 상부의 제2 코일(59)에 전류가 흘러 제2 마그네트(60)와의 자장과 자력에 의하여 서로 밀치면서 로터(52)를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턴테이블(51)과 고밀도 디스크(D)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베어링 홀더(55)에 고정된 걸림부재(62)에 모터축(53)의 하단부에 고정된 받침부재(63)가 걸리게 되므로, 모터축(53)은 대물렌즈와 디스크(D) 사이의 촛점거리 보상량 만큼 상승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디스크(D)의 저밀도 및 고밀도 판단은 미리 시스템에서 인식하게 되며, 그 인식의 여부에 따라 제1 코일(57), 또는 제1 코일(59)에 전류를 흘리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밀도 재생용 스핀들모터는, 턴테이블에 부착되는 로터와, 상기 턴테이블의 중앙부에 압입고정되는 모터축과, 상기 모터축의 하부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베어링 홀더와, 상기 베어링 홀더에 결합되는 코일 지지판과, 제1 디스크의 재생시 전류가 인가되어, 그 제1 디스크가 안착된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제1 코일 및 제1 마그네트와, 제2 디스크의 재생시 전류가 인가되어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고 모터축을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켜 촛점거리를 보상하기 위한 제2 코일 및 제2 마그네트와, 상기 모터축의 승강 높이를 규제하기 위한 승강 규제수단으로 구성하여, 일반적인 저밀도 디스크의 재생은 물론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시에도 재생 상태가 양호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고밀도 디스크중 두께가 얇아진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시에는 디스크의 얇아진 두께 만큼 상기 디스크의 트랙면에서 대물렌즈까지의 거리를 보상해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크의 두께차에도 상관없이 항상 양호한 재생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턴테이블에 부착되는 로터와, 상기 턴테이블의 중앙부에 압입고정되는 모터축과, 상기 모터축의 하부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베이링 홀더와, 상기 베어링 홀더에 결합되는 코일 지지판과, 제1 디스크의 재생시 전류가 인가되어 그 제1 디스크가 안착된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제1 코일 및 제1 마그네트와, 제2 디스크의 재생시 전류가 인가되어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고 모터축을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켜 촛점거리를 보상하기 위한 제2 코일 및 제2 마그네트와, 상기 모터축의 승강 높이를 규제하기 위한 승강 규제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분리되어, 그 하부 케이스의 저면 및 상부 케이스의 내부 상면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이 각각 부착되며, 상기 코일 지지판의 하면 및 상면에 제1 마그네트 및 제2 마그네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규제수단은 베어링 홀더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모터축의 걸림턱 부위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부재와, 상기 모터축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모터축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
KR1019950024408A 1995-08-08 1995-08-08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 KR0162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4408A KR0162388B1 (ko) 1995-08-08 1995-08-08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4408A KR0162388B1 (ko) 1995-08-08 1995-08-08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630A KR970012630A (ko) 1997-03-29
KR0162388B1 true KR0162388B1 (ko) 1998-12-15

Family

ID=19423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4408A KR0162388B1 (ko) 1995-08-08 1995-08-08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23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630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3336A (en) Optical disk drive
KR100200591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조정 장치
US5323369A (en) Objective lens driving apparatus designed to minimize rolling effects of an optical pick-up
JP2004152472A (ja) 光ピックアップ用アクチュエータと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それを採用した光記録再生装置
KR850001484B1 (ko) 비데오 기록-재생 장치의 구동 장치
US7120920B1 (en) Disc drive and optical disc drive
KR910005643B1 (ko) 상이한 직경의 디스크의 겸용 재생장치
KR0162388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
KR0161937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100189914B1 (ko) 디스크플레이어의 픽업기울기 조정장치
KR970011224B1 (ko) 레이져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장치
KR100231645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니트
JP2005100481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8255355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0124615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틸트조정장치
KR100194350B1 (ko) 디브이디용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진동 흡수 구조
KR100211817B1 (ko)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장치
JP3251235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20050089863A (ko) 광 디스크 재생장치
KR100211818B1 (ko)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장치
JPH1049976A (ja) 情報信号の再生方法
KR0176547B1 (ko) 픽업 및 그 안내장치가 개선된 디스크드라이브
KR0155927B1 (ko) 편심보정장치를 갖는 디스크 드라이브
KR20010024092A (ko) 디스크 재생 장치
JPH01182933A (ja) 光学式情報記録媒体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