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937B1 - 광 디스크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937B1
KR0161937B1 KR1019950011513A KR19950011513A KR0161937B1 KR 0161937 B1 KR0161937 B1 KR 0161937B1 KR 1019950011513 A KR1019950011513 A KR 1019950011513A KR 19950011513 A KR19950011513 A KR 19950011513A KR 0161937 B1 KR0161937 B1 KR 0161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actuator
guide rails
disk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1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2622A (ko
Inventor
김영중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11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1937B1/ko
Publication of KR96004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2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Landscapes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픽업베이스 내에서 수직상태로 경로가 변환되어 액튜에이터로 입사되는 빔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적인 저밀도 디스크의 재생은 물론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시에도 재생상태가 양호해지도록 함과 함께 상기 고밀도 디스크중 두께가 얇아진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시에는 디스크의 얇아진 두께만큼 상기 디스크의 트랙면에서 대물렌즈까지의 거리를 보상해 줄 수 있도록 하여 디스크의 두께차에도 상관없이 항상 양호한 재생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디스크를 탑재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탑재된 디스크를 본체 내부로 이동시켜 주는 로딩장치와, 상기 트레이에 탑재된 디스크가 본체 내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재생신호가 주어질 때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타를 읽어내는 재생장치와, 상기 로딩장치 및 재생장치를 콘트롤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재생장치의 광 경로상에 셔터공이 형성된 셔터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셔터에 의해 빔의 크기가 선택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저밀도 디스크 및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플레이어
제1도는 종래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a)는 디스크를 탑재하기 위해 트레이가 본체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도.
(b)는 디스크를 탑재한 트레이가 본체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도.
제2도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a)는 디스크를 탑재하기 위해 트레이가 본체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도.
(b)는 디스크를 탑재한 트레이가 본체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도.
제3도는 제1도 (a)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종래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종래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베이스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
제7도는 종래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 의해 디스크를 재생할 때 재생되는 디스크의 트랙에 대한 빔의 촛점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a)는 저밀도 디스크를 재생할 때의 상태도.
(b)는 고밀도 디스크를 재생할 때의 상태도.
제8도는 본 발명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C-C선 단면도로서,
(a)는 고밀도 디스크를 재생하는 상태도.
(b)는 저밀도 디스크를 재생하는 상태도.
제11도는 제9도의 D-D선 단면도로서,
(a)는 픽업베이스의 높이조절이 상한선까지 이루어진 상태도.
(b)는 픽업베이스의 높이조절이 하한선까지 이루어진 상태도.
제12도는 제11도 (a)의 E-E선 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 (b)의 F-F선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 광 디스크 플레이어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이 지지편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로서,
(a)는 가이드레일의 일측 힌지부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가 지지편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있는 상태도.
(b)는 가이드레일의 다른 일측 힌지부에 형성된 제2걸림돌기가 지지편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있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트레이
3 : 메인베이스 17 : 지지편
17a : 걸림턱 18 : 가이드레일
25 : 엑튜에이터 35 : 솔레노이드
36 : 셔텨 36a : 셔터공
37 : 스프링 38 : 모터
39 : 워엄 40 : 워엄휠
41, 41a : 풀리 42 : 벨트
43, 43a : 걸림돌기
본 발명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엑튜에이터로 입사되는 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디스크의 트랙면에서 픽업베이스의 대물렌즈까지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저밀도 디스크의 재생은 물론 대용량의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디스크 플레이어는 광 디스크(이하 디스크라 한다)를 기록매체로 하여 상기 디스크에 기록된 신호를 픽업장치에 의해 읽어 재생하는 기기로서, 종래에는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디스크를 탑재하는 트레이(2)와, 상기 트레이에 탑재된 디스크를 본체 내부로 이동시켜 주는 로딩장치와, 상기 트레이(2)에 탑재된 디스크가 본체 내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재생신호가 주어질 때 디스크에 기록된 신호를 읽어내는 재생장치와, 상기 로딩장치 및 재생장치를 콘트롤하는 제어장치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트레이(2)에는 트레이구멍(2a)과 디스크탑재홈(2b)그리고 트레이트레이랙(2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딩장치는 베이스구멍(3a)을 갖는 메인베이스(3)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제어장치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로딩모터(4)와, 상기 로딩모터에 축결합되어 로딩모터(4)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풀리(5)와, 상기 메인베이스(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풀리(5)의 회전력을 벨트(6)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풀리(7)와, 상기 종동풀리(7)에 일체 형성되어 종동풀리와 함께 회전하는 전달기어(8)와, 메인베이스(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달기어(8)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트레이(2)를 이동시켜 주는 간헐기어로 된 캠기어(9)와, 상기 캠기어의 회전에 의해 트레이(2)가 이동할 때 이 이동하는 트레이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편(10)과, 상기 캠기어(9)와 동일축상에 고정되어 캠기어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나선형의 캠홈(11a)을 갖는 캠(11)과, 상기 메인베이스(3)의 베이스구멍(3a)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캠(11)의 회전력을 일체 형성된 돌기(12a)를 통해 전달받아 회동하는 회동플레이트(12)와, 상기 회동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제어장치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핀들 모터(13)와, 상기 스핀들 모터에 축결합되어 회동플레이트(12)의 회동시 트레이(2)에 탑재된 디스크를 들어줌과 함께 스핀들 모터(13)의 구동시 디스크를 회전시켜 주는 턴테이블(14)과, 상기 메인베이스(3)의 양 끝단이 고정된 브라켓(15)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턴테이블(14)이 디스크를 들어줄 때 상기 디스크를 클램핑하여 주는 클램프(1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재생장치는 로딩장치를 구성하는 회동플레이트(12)에 고정된 지지편(17)과, 상기 지지편에 양끝단부가 지지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8)(18a)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로 빔통과공(19a)이 일체 형성된 픽업베이스(19)와, 상기 픽업베이스 내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레이져빔(이하 빔이라 한다)을 발생시키는 빔발생기(20)와, 상기 픽업베이스(19) 내에 고정되어 빔발생기(20)에서 발생되는 빔은 반사시키고 되돌아오는 빔은 통과시키는 빔스프리터(21)와, 상기 픽업베이스(19) 내에 고정되어 빔스프리터(21)에서 반사된 빔의 경로를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변화시켜 주는 제1미러(22) 및 제2미러(23)와, 상기 픽업베이스(19)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복수개의 탄성지지체(24)에 의해 지지되어 수직상태로 경로가 변화된 빔을 받아들이는 엑튜에이터(25)와, 상기 엑튜에이터에 설치되어 엑튜에이터(25)로 들어온 빔을 디스크에 조사함과 함께 상기 디스크에 조사되어 반사된 빔을 다시 수광하는 대물렌즈(26)와, 상기 픽업베이스(19) 내에 설치되어 대물렌즈(26)를 통해 수광된 빔의 광량을 검지 이를 제어장치로 보내주는 광검지기(27)와, 로딩장치를 구성하는 회동플레이트(12)에 부착되어 제어장치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슬라이드모터(28)와, 상기 슬라이드모터에 축결합되어 슬라이드모터(28)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29)와, 상기 회동플레이트(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기어(29)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종동기어(30)와, 상기 엑튜에이터(25)에 고정되어 종동기어(30)의 회전력을 엑튜에이터(25)로 전달하여 주는 랙플레이트(31)와, 상기 엑튜에이터(25)에 감겨져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포커스코일(32) 및 트랙킹코일(33)과, 상기 픽업베이스(19)에 고정되어 포커스코일(32)에서 발생된 자기력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엑튜에이터(25)가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트랙킹코일(33)에서 발생된 자기력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엑튜에이터(25)가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자석(34)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도 (a) 및 제2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를 본체(1)의 외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2)에 형성된 디스크 탑재홈(2b)으로 디스크를 탑재시킨 다음 로딩버튼을 선택하면 메인베이스(3)의 하부면에 부착된 로딩모터(4)가 제어장치의 제어신호를 받아 정구동하므로 상기 로딩모터 축결합된 구동풀리(5)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력은 벨트(6)→종동풀리(7)→전달기어(8)를 통해 메인베이스(3)에 설치된 캠기어(9)로 전달되므로 상기 캠기어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트레이(2)에 형성된 트레이랙(2c)이 캠기어(9)의 회전력을 부여 받으므로 상기 트레이(2)는 디스크를 탑재한 상태로 복수개의 가이드편(10)에 안내되어 본체(1)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트레이(2)가 캠기어(9)의 반시계방향 회전력을 받아 본체(1) 내측으로 이동하다가 간헐기어로 된 상기 캠기어(9)의 무기어부분이 트레이(2)에 형성된 트레이랙(2c)에 접촉되는 순간 캠기어의 회전력은 더 이상 트레이(2)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트레이가 제1도 (b) 및 제2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 내측으로 이동 완료된다.
한편 로딩모터(4)가 정구동하여 구동풀리(5)가 회전하고 이 회전력을 벨트(6)→종동풀리(7)→전달기어(8)를 통해 캠기어(9)가 전달받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캠기어에 일체 형성된 캠(11)도 캠기어(9)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캠(11)의 캠홈(11a) 내로 회동플레이트(12)에 형성된 돌기(12a)가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회동플레이트(12)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한 작용에 의해 회동플레이트(12)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회동플레이트에 부착된 스핀들 모터(13)와 상기 스핀들 모터에 축결합된 턴테이블(14)이 메인베이스(3)에 형성된 베이스구멍(3a)을 통과함과 함께 상기 턴테이블(14)은 계속해서 트레이(2)에 형성된 트레이구멍(2a)을 통과함에 따라 상기 트레이(2)의 디스크 탑재홈(2b)에 탑재된 디스크가 턴테이블(14)에 안착되면서 트레이(2)와는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디스크의 상부면이 브라켓(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클램프(16)에 접촉되므로 제2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가 클램핑되면서 로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재생모드를 선택하면 회동플레이트(12)에 부착된 스핀들 모터(13)가 제어장치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하여 턴테이블(14)을 회전시켜 주므로 상기 턴테이블과 함께 디스크가 회전하는데, 이때 회동플레이트(12)의 하부면에 부착된 슬라이드모터(28)가 제어장치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하므로 상기 슬라이드모터에 축결합된 구동기어(29)가 회전하고 이 회전력은 회동플레이트(12)에 설치된 종동기어(30)를 통해 픽업베이스(19)에 고정된 랙플레이트(31)로 전달되므로 상기 픽업베이스(19)가 이동력을 부여받아 한 쌍의 가이드레일(18)(18a)에 안내되어 디스크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크에 기록된 신호를 읽어내므로 재생이 행하여진다.
그럼 여기서 픽업베이스(19)가 이동하면서 디스크에 기록된 신호를 읽어내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픽업베이스(19)가 디스크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픽업베이스 내에 설치된 빔발생기(20)가 제어장치의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여 빔을 발생시키고 이 발생된 빔은 빔스프리터(21)와 제1, 2미러(22)(23)에 의해 연속적으로 반사되면서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경로가 변환된 다음 픽업베이스(19)에 형성된 빔통과공(19a)을 통해 픽업베이스(19) 외부로 나가는데, 이때 픽업베이스(19)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복수개의 탄성지지체(24)에 의해 엑튜에이터(25)가 지지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수직상태로 경로가 변화되어 상기 픽업베이스(19)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빔은 엑튜에이터(25)로 입사된 다음 상기 엑튜에이터(25)에 설치된 대물렌즈(26)를 통해 조사되고 이 조사된 빔은 회전하는 디스크의 트랙면에 부딪혀 다시 대물렌즈(26)에 수광된다.
이와 같이 대물렌즈(26)에 의해 다시 수광된 빔은 엑튜에이터(25)→제2미러(23)→제1미러(22)→빔스프리터(21)를 연속적으로 지나 광검지기(27)에 검지되고 이 검지된 빔은 광량의 차이에 의해 신호로 나타나 출력되므로 디스크가 재생된다.
한편 상기한 작용에 의해 디스크가 재생되는 도중 엑튜에이터(25)에 설치된 대물렌즈(26)를 통해 조사된 빔이 디스크의 휨등으로 인하여 상기 디스크의 트랙면에 직각으로 부딪히지 못한다면 디스크의 트랙에 기록된 신호를 정확하게 읽어내지 못함에 따라 포커싱 에러가 발생됨과 함께 상기 엑튜에이터(25)에 설치된 대물렌즈(26)를 통해 조사된 빔이 디스크의 트랙을 정확하게 찾아가지 못한다면 이 또한 디스크의 트랙면에 기록된 신호를 정확하게 읽어내지 못함에 따라 트랙킹 에러가 발생되는데, 상기 포커싱 에러가 발생되었다면 엑튜에이터(25)에 감겨진 포커스코일(32)로 전원이 공급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므로 상기 포커스코일에 흐르는 자기력과 픽업베이스(19)에 고정된 자석(34)의 자력에 의해 엑튜에이터(25)는 탄성지지체(24)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이동함에 따라 포커싱 에러가 계속적으로 보정되고, 트랙킹 에러가 발생되었다면 엑튜에이터(25)에 감겨진 트랙킹코일(33)로 전원이 공급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므로 상기 트랙킹코일에 흐르는 자기력과 픽업베이스(19)에 고정된 자석(34)의 자기력에 의해 엑튜에이터(25)는 탄성지지체(24)에 지지된 상태로 수평이동함에 따라 트랙킹 에러가 계속적으로 보정된다.
또한 재생이 완료되면 스핀들 모터(13)의 구동이 정지되므로 턴테이블(14)과 디스크의 회전은 중단됨과 함께 슬라이드모터(28)는 재생시와 역으로 구동하므로 픽업베이스(19)가 다시 디스크의 내측으로 이동 완료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젝트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로딩시와 역으로 모든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언로딩이 행하여지므로 턴테이블(14)에 안착되어 있던 디스크를 트레이(2)가 다시 안착하여 본체(1) 외측으로 이동시켜 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는 저밀도 디스크만을 재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만약 고밀도 디스크를 재생할 경우에는 상기 고밀도 디스크가 저밀도 디스크에 비해 신호가 기록된 트랙의 간격(p)이 상대적으로 매우 좁고, 디스크의 트랙면에 접촉된 빔의 직경에는 변함이 없음을 감안할 때 대물렌즈를 통해 조사되는 빔의 촛점이 제7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밀도 디스크의 두개 트랙에 겹치게 되므로 상기 두개의 트랙에 기록된 데이타가 동시에 읽혀짐에 따라 재생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는 데이타의 저장용량을 크게 하기 위해 디스크가 상기한 바와 같이 고밀도화 됨은 물론 경량화를 위해 전체적인 두께(t)가 얇아지는데, 상기 디스크가 트랙이 형성된 상부판과 상기 트랙을 보호하는 하부판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디스크의 전체적인 두께가 얇아진 다는 것은 상부판의 두께(t1)는 변함이 없고 하부판의 두께(t2)가 얇아진다는 것이므로 결과적으로 두께가 얇아진 고밀도의 디스크를 재생할 때는 디스크의 트랙면에서 대물렌즈까지의 거리(1)가 짧아지고 이런 상태로 디스크를 재생하게 되면 두께가 얇아진 디스크는 초점거리가 더욱 맞지 않게 되어 재생상태가 거의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픽업베이스 내에서 수직상태로 경로가 변환되어 엑튜에이터로 입사되는 빔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적인 저밀도 디스크의 재생은 물론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시에도 재생상태가 양호해지도록 함과 함께 상기 고밀도 디스크중 두께가 얇아진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시에는 디스크의 얇아진 두께만큼 상기 디스크의 트랙면에서 대물렌즈까지의 거리를 보상해줄 수 있도록 하여 디스크의 두께차에도 상관없이 항상 양호한 재생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재생장치의 광 경로상에 셔터공이 형성된 셔터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셔터에 의해 빔의 크기가 선택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저밀도 디스크 및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 본 발명 광 디스크 플레이어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8도 내지 제14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8도는 본 발명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9도는 본 발명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제10도는 제9도의 C-C선 단면도이고, 제11도는 제9도의 D-D선 단면도이다.
또한 제12도는 제11도 (a)의 E-E선 단면도이고, 제13도는 제11도의 (b)의 F-F선 단면도이며, 제14도는 본 발명 광 디스크 플레이어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이 지지편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로서, 본 발명 구성중 기 설명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도면상에 종래 부호와 동일 부호로 표기함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면, 픽업베이스(19)의 상부면에 솔레노이드(35)의 작동에 따라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셔터공(36a)이 형성된 셔터(36)를 설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35)로 전원이 공급될 때 셔터(36)가 제2미러(23)와 엑튜에이터(25) 사이로 위치됨에 따라 상기 엑튜에이터로 입사되는 광량이 셔터공(36a)에 의해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엑튜에이터(25)에는 스프링(37)의 일단을 연결함과 함께 셔터(36)에는 스프링(37)의 다른 일단을 연결하여 솔레노이드(35)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셔터(36)가 상기 스프링(37)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한다.
또한 픽업베이스(19)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8)(18a)이 회전력부여수단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받아 함께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력부여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각 가이드레일(18)(18a)의 회전중심이 양끝 힌지부 중심에 대해 편심을 갖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8)(18a)의 회전에 의해 픽업베이스(19)가 상, 하로 이동됨에 따라 디스크의 트랙면에서 엑튜에이터(25)의 대물렌즈(26)까지 거리(1)가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회전력부여수단은 메인베이스(3)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8)와, 상기 모터에 축결합되어 모터(38)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워엄(39)과, 한 쌍의 가이드레일(18)(18a)중 일측 가이드레일(18)의 힌지부에 고정되어 워엄(39)의 회전력을 받아 일측 가이드레일(18)을 회전시켜 주는 워엄휠(40)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8)(18a)중 일측 가이드레일(18)에 고정된 제1풀리(41) 및 다른 일측 가이드레일(18a)에 고정된 제2풀리(41a)와, 상기 제1, 2풀리(41)(41a)에 감겨져 일측 가이드레일(18)의 회전력을 다른 일측 가이드레일(18a)로 전달하여 주는 벨트(42)로 구성한다.
그리고 한 쌍의 가이드레일(18)(18a)을 지지하는 지지편(17)에 걸림턱(17a)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8)(18a)의 일측 힌지부 끝단에는 각각 제1걸림돌기(43)를 형성함과 함께 다른 일측 힌지부 끝단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43)와 180도 위상차를 갖도록 제2걸림돌기(43a)를 형성하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8)(18a)이 회전할 때 제1, 2걸리돌기(43)(43a)가 180도 위상차를 가지며 지지편(17)에 형성된 걸림턱(17a)에 선택적으로 걸림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18)(18a)의 회전시 힌지부 중심에 대한 회전중심의 상,하한선이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레이(2)에 저밀도 디스크를 탑재한 다음 상기 저밀도 디스크를 로딩장치에 의해 본체(1) 내측으로 이동 완료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재생모드와 함께 저밀도 디스크 선택신호를 입력시키면 종래에서 기 설명된 바와 같은 작용에 의해 픽업베이스(19)가 한 쌍의 가이드레일(18)(18a)에 안내되어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대물렌즈(26)를 통해 조사되는 빔에 의해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타를 읽어내는데, 이때 픽업베이스(19)에 설치된 솔레노이드(35)로 전원이 공급되므로 상기 솔레노이드가 동작하고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35)에 설치된 셔터(36)가 스프링(37)의 탄력을 받으면서 제9도의 실선 상태에서 일점쇄선 상태로 이동하여 상기 픽업베이스(19) 내부에 고정된 제2미러(23)와 복수개의 탄성지지체(24)에 의해 지지된 엑튜에이터(25) 사이로 제10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확하게 위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셔터(36)가 제2미러(23)와 엑튜에이터(25)사이에 정확히 위치되면 상기 제2미러(23)에 의해 수평상태로 경로가 변환된 빔이 셔터(36)에 형성된 셔터공(36a)을 통과하면서 제10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줄어들고 이 줄어든 빔은 그대로 엑튜에이터(25)에 입사되는데, 이때 후술하는 설명에서와 같이 엑튜에이터(25)로 입사되는 빔직경(D1)이 작으면 대물렌즈(26)를 통해 조사되어 디스크의 트랙에 부딪힐 때의 촛점 직경(d1)은 상대적으로 커지므로 저밀도 디스크의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만약 상기한 상태(제10도의 (b)의 상태)로 고밀도 디스크를 재생하였다고 가정하면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고밀도 디스크의 트랙 간격이 저밀도 디스크에 비해 월등히 좁음으로 대물렌즈(26)를 통해 조사된 빔이 고밀도 디스크의 두개 트랙에 겹친 상태로 부딪힐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읽어들인 데이타의 일부가 겹치게 되어 양호한 재생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됨은 이기 설명된바 있다.
한편 저밀도 디스크의 재생시 엑튜에이터(25)가 수평이동하면서 트랙킹이 조절될 때 상기 엑튜에이터의 트랙킹신호를 솔레노이드(35)에 전달시켜 주면 엑튜에이터(25)의 트랙킹 조절량 만큼 상기 솔레노이드(35)가 동작하여 셔터(36)를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므로 저밀도 디스크의 재생시 상기 셔터는 항상 제2미러(23)와 엑튜에이터(25)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된다.
또한 트레이(2)에 고밀도 디스크를 탑재한 다음 상기 고밀도 디스크를 로딩장치에 의해 본체(1) 내측으로 이동 완료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재생모드와 함께 고밀도 디스크 선택신호를 입력시키면 종래에서 기 설명된 바와 같은 작용에 의해 픽업베이스(19)가 한 쌍의 가이드레일(18)(18a)에 안내되어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대물렌즈(26)를 통해 빔을 조사하는데, 이때 픽업베이스(19)에 설치된 솔레노이드(35)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상기 솔레노이드가 동작하지 않고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35)에 설치된 셔터(36)가 이동되지 않으므로 상기 셔터는 제9도의 실선 상태에 그대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셔터(36)가 이동됨이 없이 제9도의 실선상태에 있게되면 상기 제2미러(23)에 의해 수평상태로 경로가 변환된 빔은 크기가 제10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어들지 않은 상태 그대로 엑튜에이터(25)에 입사되는데, 이때 후술하는 설명에서와 같이 엑튜에이터(25)로 입사되는 빔직경(D)이 크면 대물렌즈(26)를 통해 조사되어 디스크의 트랙에 부딪힐 때의 촛점직경(d)은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그럼 여기서 엑튜에이터(25)에 입사되는 빔의 직경이 작으면 대물렌즈(26)를 통해 조사되어 디스크의 트랙면에 부딪힐 때의 빔촛점 직경은 작아지고 반대로 엑튜에이터(25)에 입사되는 빔 직경이 크면 대물렌즈(26)를 통해 조사되어 디스크의 트랙면에 부딪힐 때의 빔촛점 직경은 커지는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0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36)에 형성된 셔터공(36a)을 통과함에 따라 직경이 작아진 상태로 엑튜에이터(25)에 입사되는 빔과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36)에 형성된 셔터공(36a)을 통과하지 않음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지 않은 상태로 엑튜에이터(25)에 입사되는 빔의 파장(λ)과 굴절율(n)은 동일하므로 상기 직경이 작아진 상태로 엑튜에이터(25)에 입사되어 대물렌즈(26)를 통해 저밀도 디스크의 트랙면에 부딪히는 빔의 촛점직경(d1) =이고, 직경이 작아지지 않은 상태로 엑튜에이터(25)에 입사되어 대물렌즈(26)를 통해 고밀도 디스크의 트랙면에 부딪히는 빔의 촛점직경(d) =이므로 상기 두식을 비교하여 볼 때 Sinθ1값이 Sinθ 값보다 큼에 따라 결과적으로 d1이 d보다 촛점직경이 커짐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용에서와 같이 고밀도 디스크를 재생할 때 상기 고밀도 디스크의 경량화를 위해 전체적인 두께가 얇아진 상태에 있다면 상기 두께가 얇아진 고밀도 디스크의 트랙면에서부터 대물렌즈까지의 거리가 적정거리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를 보상하여 주어야 하는데, 이때에는 먼저 고밀도 디스크의 두께가 일반적인 저밀도 디스크의 두께와 같은 두께인지 아니면 일반적인 저밀도 디스크의 두께에 비해 얇아진 두께인지를 판단하여야 하고 상기 고밀도 디스크의 두께를 판단하는 구성은 본 발명에서 여러 가지 방법을 적용할 수 있지만 이하에서 몇가지만 살펴보면, 사용자가 재생모드를 선택하면서 두께가 얇아진 디스크라는 선택을 같이 행하는 하나의 방법이 제시될 수 있고 센서를 이용해 디스크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빔을 감지 이를 토대로 두께가 얇아진 디스크라는 식별을 해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시된 방법이나 아니면 다른 방법에 의해 고밀도 디스크의 두께가 얇아졌음을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회동플레이트(12)의 하부면에 부착된 모터(38)가 제어장치의 제어신호를 받아 정구동하므로 상기 모터에 축 결합된 워엄(39)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가이드레일(18)(18a)중 일측 가이드레일(18)의 힌지부에 고정된 워엄휠(40)이 상기 워엄(39)의 회전력을 받으므로 상기 워엄휠(40)과 일측 가이드레일(18)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일측 가이드레일(18)에는 제1풀리(41)가 고정되어 있고 다른 일측 가이드레일(18a)에는 제2풀리(41a)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풀리(41)와 제2풀리(41a)는 벨트(42)로서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일측 가이드레일(18)과 함께 다른 일측 가이드레일(18a)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하여 한 쌍의 가이드레일(18)(18a)이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각 가이드레일의 회전중심이 양끝단 힌지부 중심에 대해 편심되어 있으므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8)(18a)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픽업베이스(19)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하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두께가 얇아진 고밀도 디스크의 트랙면에서부터 대물렌즈까지의 거리(1)가 두께가 얇아지지 않은 고밀도 디스크를 재생할 때와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작용에 의해 고밀도 디스크의 트랙면에서부터 대물렌즈까지의 거리가 두께가 얇아지지 않은 고밀도 디스크를 재생할 때와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회전할 때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8)(18a)의 일측 힌지부 끝단에 제1걸림돌기(43)가 형성됨과 함께 다른 일측 힌지부 끝단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와 서로 180도 위상차를 가지고 제2걸림돌기(43a)가 형성되어 있고, 각 가이드레일(18)(18a)을 지지하는 지지편(17)에는 걸림턱(17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가이드레일(18)(18a)이 180도 회전하였을 경우에는 제14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걸림돌기(43a)가 지지편(17)에 형성된 걸림턱(17a)에 걸리게 되어 상기 모터(38)의 구동이 정확하게 정지되지 못하더라도 각 가이드레일(18)(18a)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정확하게 하부이동 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 의해 저밀도 디스크 및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이 완료되었을 경우에나 디스크 재생시 스톱모드가 주어졌을 경우에는 디스크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있던 픽업베이스(19)가 새로운 디스크의 재생을 위해 다시 내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저밀도 디스크의 재생 신호에 따라 제2미러(23)와 엑튜에이터(25) 사이로 정확하게 위치이동되어 있던 셔터(36)는 다음 디스크 재생시 디스크 재생신호에 따르도록 다시 원위치로 이동되며, 두께가 얇아진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에 따라 하부로 이동되어 있던 픽업베이스(19)는 다음에 재생되는 고밀도 디스크의 두께에 따르도록 원위치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저밀도 디스크는 물론 상기 저밀도 디스크 보다 데이타 저장용량이 큰 고밀도 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으면서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시에는 상기 고밀도 디스크의 전체적인 두께차에도 대응할 수 있으므로 저밀도 디스크를 기록매체로 사용하던 고밀도 디스크를 기록매체로 사용하던 상관없이 항상 양호한 재생상태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픽업베이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지지편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력 부여수단을 통해 회전력을 부여받아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각 가이드레일이 회전할 때 회전중심이 양끝 힌지부 중심에 대해 편심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의 회전에 의해 픽업베이스가 상부로 이동하면 디스크의 트랙면에서 엑튜에이터의 대물렌즈까지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저밀도 디스크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픽업베이스가 하부로 이동하면 디스크의 트랙면에서 엑튜에이터의 대물렌즈까지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력 부여수단은 메인베이스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축결합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워엄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중 일측 가이드레일의 힌지부에 고정되어 워엄의 회전력을 받아 일측 가이드레일을 회전시켜주는 워엄휠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고정된 제1, 2풀리와, 상기 제1, 2풀리에 감겨져 일측 가이드레일의 회전력을 다른 가이드레일로 전달하여 주는 벨트로 구성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의 회전에 의해 픽업베이스가 상, 하로 이동됨에 따라 디스크의 트랙면에서 엑튜에이터의 대물렌즈까지 거리가 가변되도록 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는 지지편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각 가이드 레일의 일측 힌지부 끝단에는 제1걸림돌기를 형성함과 함께 다른 일측 힌지부 끝단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와 180도 위상차를 갖도록 제2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회전할 때 제1, 2걸림돌기가 180도 위상차를 가지며 지지편에 형성된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1019950011513A 1995-05-10 1995-05-10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0161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1513A KR0161937B1 (ko) 1995-05-10 1995-05-10 광 디스크 플레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1513A KR0161937B1 (ko) 1995-05-10 1995-05-10 광 디스크 플레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622A KR960042622A (ko) 1996-12-21
KR0161937B1 true KR0161937B1 (ko) 1998-12-15

Family

ID=1941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1513A KR0161937B1 (ko) 1995-05-10 1995-05-10 광 디스크 플레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1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197B1 (ko) * 2002-11-27 2009-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위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197B1 (ko) * 2002-11-27 2009-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위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622A (ko) 199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0591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조정 장치
US6445660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information and/or from optical information record disk
KR100302531B1 (ko) 디스크기록및재생장치
JPH0614256Y2 (ja) 光学式デイスクプレ−ヤ
US6922314B2 (en) Disk recording or reproducing device with pickup inclination adjusting mechanism
US6529468B2 (en) Optical disk driving device having a clamper for correcting warpage of an optical disk
JP3428030B2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0161937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100297771B1 (ko)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KR910005643B1 (ko) 상이한 직경의 디스크의 겸용 재생장치
KR0162388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
JPH08315409A (ja) 光学式情報記録または再生装置
KR101077850B1 (ko) 광 디스크 재생장치
KR0124615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틸트조정장치
JP3572797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KR970011224B1 (ko) 레이져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장치
JPH03150729A (ja) 光ピックアップの光軸補正装置
JP2703329B2 (ja) 光学式記録再生装置
JPH10308035A (ja) 光学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9231603A (ja) 光学ピックアップ
KR0155102B1 (ko) 힌지타입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이중 대물렌즈
JP2524991Y2 (ja) 対物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JPH0935316A (ja) 光学ヘッド装置ならびにこの光学ヘッド装置を含む情報再生装置
WO2000022616A1 (fr) Appareil d'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JPS63177324A (ja) 光学式デイ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